KR20180068673A - 유증기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673A
KR20180068673A KR1020160170595A KR20160170595A KR20180068673A KR 20180068673 A KR20180068673 A KR 20180068673A KR 1020160170595 A KR1020160170595 A KR 1020160170595A KR 20160170595 A KR20160170595 A KR 20160170595A KR 20180068673 A KR20180068673 A KR 2018006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vapor
liquefier
pip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744B1 (ko
Inventor
박현배
Original Assignee
박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배 filed Critical 박현배
Priority to KR102016017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74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653 priority patent/WO2018110975A1/ko
Priority to CN201780075989.4A priority patent/CN110139813A/zh
Publication of KR2018006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운반차량이 유류 저장탱크로의 유기용제 적하시 발생하는 유증기, 주유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한 후, 포집된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유기용제로 회수함에 있어, 유증기 회수 효율을 증가시킨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제가 저장된 저장탱크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증기 회수 장치의 운용 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 장치 { OIL VAPOR RECOVERY APPARATUS }
본 발명은 유류 취급시설 운용시 발생되는 유증기(VOCs)를 포집한 후, 포집된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유기용제로 회수함에 있어, 유증기 회수 효율을 증가시킨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및 등유 등의 유류는 휘발성 물질임에 따라, 유류 취급시설 운용시에 유증기가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는 벤젠·톨루엔·자일렌·에틸렌 등 독성이 강한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신경·호흡기·소화기 및 각종 장기에 장해를 일으키는 등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물질이며, 발암성을 지닌 독성화학물질로, 광화학산화물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며 악취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석유제품 및 유기용매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의 처리문제가 국가적 관리대상으로 지정되었는바, 공중위생관리법시행규칙 개정·공포 및 시행으로 석유계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증기 배출을 억제하는 회수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해 유증기의 대기 방출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유증기 배출을 억제하며 상기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를 회수하기위한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551호에는 주유소의 휘발유저장탱크, 화학공장의 휘발성 용제탱크 등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킴으로써 회수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대기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유증기 대비 회수율이 높지 않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5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장치의 운용 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과 액화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유증기 회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기용제가 저장된 저장탱크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트레이에 저장되는 유기용제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장치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고,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와; 내외측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액상의 열매체를 수용하는 열매체수용부와; 상기 액화장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매가 이동되도록, 상기 액화장치 내측에 배치되는 냉매배관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이동된 유증기가 상기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응결되도록 상기 유증기를 이송하는 응결배관;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 내부를 냉각시킨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로 순환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관은, 상기 유증기를 상기 액화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유증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흡입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냉매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응결배관의 유기용제 회수율이 평균치보다 낮은 경우, 성에 제거 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은, 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응결배관을 통과한 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응결배관으로 재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에 제거 모드는, (A) 상기 냉각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B)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에 주입하는 단계와; (C) 상기 액화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유기용제 및 융해된 수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냉각기를 재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에 제거 모드는, (a) 상기 냉각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액화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c)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에 주입하는 단계와; (d) 상기 유기용제 및 융해된 수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냉각기를 재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에 제거 모드는, (Ⅰ) 상기 냉각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Ⅱ) 상기 액화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Ⅲ)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에 순환시켜 상기 응결배관이 유기용제에 의해 세척되는 단계와; (Ⅳ) 상기 유기용제 및 수분과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단계; 그리고 (Ⅴ) 상기 냉각기를 재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결배관에 주입되는 유기용제는, 상기 저장트레이에 저장된 유기용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트레이는, 상기 저장트레이로부터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액화장치로 재이송하는 이송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배관은, 상기 유기용제를 상기 저장트레이로부터 상기 액화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펌프와; 상기 저장트레이에서 상기 액화장치로의 유기용제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이송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장치의 운용 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과 액화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액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증기가 발생되는 다양한 유류 운용 설비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주유소에 적용된 예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주유운반차량(1000), 유류 저장탱크(2000), 주유기(3000) 그리고 유증기 회수 장치(4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주유운반차량(1000)은 액체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화물용 자동차로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라고 불리며, 유기용제를 유류 저장탱크(20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는 지하에 매설되어 유기용제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3000)는 상기 유류 저장탱크에 보관된 유기용제를 펌프를 통해 이송하여 차량의 연료주입구로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 내에는 상기 유기용제의 휘발성 때문에 유증기가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는 연료유, 윤활유, 유압기유 등이 고압으로 미세한 틈으로 분사되어 생성되거나, 기기 혹은 배관 등으로부터 유출되어 액체상태로 존재하다가 고열의 장비에 접촉함으로써 기화된 후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와 만나서 생성된 기체를 말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증기는, 상기 주유운반차량(1000)이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로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나 주유기를 이용하여 차량에 주유하는 경우에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증기는 장시간 유류와 접촉하고 있었기 때문에 포화상태에 가까운 고농도 상태이므로 다량의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이 된다.
또한, 상기 유증기는 발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량의 유증기가 대기 중으로 곧바로 방출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유소에 본 발명과 같은 유증기 회수 장치(4000)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4000)는 주유운반차량(1000)이 유류 저장탱크(2000)로의 유기용제 적하시 발생하는 유증기, 주유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유류 저장탱크(2000)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여,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킴으로써 분리하여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4000)에 대하여는,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4000)는 포집기(100), 흡입관(200), 액화장치(300), 냉각기(400), 배출관(600), 저장트레이(700) 그리고 기체배출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포집기(100)는 상기 주유운반차량(1000)에서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로 유기용제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주유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200)은 내부에 흡입펌프(210)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펌프(210)를 이용하여 유증기를 상기 포집기(100)로부터 상기 액화장치(3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200)은 내부에 흡입차단밸브(220)를 구비하여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4000)의 성에 제거 과정 수행시, 상기 유증기가 상기 액화장치(3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화장치(300)는 상기 흡입관(20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화장치(300)는 응결배관(310), 열매체수용부(320) 그리고 단열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응결배관(310)은 상기 흡입관(200)으로부터 유증기가 유입되는 관으로,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영하의 저온상태에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기용제로는 대표적으로 가솔린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솔린이 휘발되어 유증기에 포함되었을 때,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가솔린을 액화시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온도는 유류(가솔린 등)의 응결점 이하의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은 설계 및 운용의 편의상 직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유증기의 이동경로를 연장하기 위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하 순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로가 형성된 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수용부(320)는 열교환율을 낮추는 액상의 열매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내외측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열매체는 유기용제의 응결 온도 이하에서도 액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어는점이 낮은 물질이어야 한다.
또한, 열 차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솔린을 대상으로 하므로 상기 열매체는 가솔린의 응결 온도보다 낮은 응결온도를 갖는 액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매체로 글리콜계 부동액과 물이 6:4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혼합액에서 상기 글리콜계 부동액의 함량이 60%일 때, 극저온 상태에서도 고체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글리콜계 부동액은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330)는 상기 액화장치(300)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열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우레탄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기(400)는 상기 액화장치(300)의 내부를 냉각시킨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300)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기(400)는 상기 응결배관(310)에 간접적으로 냉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액화장치(300) 내측에 배치되는 냉매배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기(400)는 내부에 냉각펌프(411)를 구비하여, 가동시 상기 냉각펌프(411)를 이용해 냉매가 상기 냉매배관(4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유증기를 유입시키면, 상기 냉매배관(410)으로 인해 온도가 낮아진 응결배관(3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증기의 온도도 낮아져 유기용제가 액화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600)은 상기 응결배관(310)에서 액화되어 분리된 유기용제를 상기 저장트레이(7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장트레이(700)는 상기 배출관(600)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는 불순물을 거르는 과정을 거쳐 재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배출관(800)은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하여 유기용제가 분리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4000)가 주유소에서 운용되는 경우,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4000)는 상기 주유운반차량(1000)에서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로 유기용제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주유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상기 유류 저장탱크(2000)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상기 포집기(100)를 통해 포집하고, 상기 흡입관(200)을 통해 유증기를 상기 액화장치(30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300)는 상기 냉매배관(410)을 통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응결배관(310)을 따라 유증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상기 유증기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배출관(600)으로 배출하여 재활용된다.
한편,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상기 유증기에 혼합된 수분의 함량이 높거나, 냉각 온도 대비 유증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응결배관(310)에 결빙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에 결빙이 일정량 이상 발생되면, 상기 응결배관(310)이 막혀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상기 응결배관(310)의 유기용제 회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흡입관(200)의 흡입차단밸브(220)를 차폐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으로의 유증기 유입을 차단한 후, 상기 냉각기(400)를 중지시키고 냉매차단밸브(412)를 차폐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온도를 높이고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을 융해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을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상기 응결배관(310)과 연결되는 이송배관(710)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이송배관(710)을 통해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배관(710)은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펌프(711)와 상기 저장트레이(700)로부터 상기 응결배관(310)으로의 유기용제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이송차단밸브(7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액화장치(300)의 결빙 제거 작업 시 상기 냉각기(400)의 가동을 중지한 후,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이송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를 유기용제로 채울 수 있다.
이후,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이 융해되면,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를 채운 유기용제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에 유기용제를 투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성에 제거 작업시 융해된 수분이 상기 응결배관(310)에 잔류 되지 않고, 상기 유기용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냉각기(400)를 재가동하여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낮출 때 상기 응결배관(310)에 성에가 다시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성에를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310) 내의 유기용제 투입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성에가 융해된 수분과 함께 배출할 수도 있고,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높인 이후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투입하여 성에가 융해된 수분과 함께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에 성에가 융해된 수분이 잔류되지 않도록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의 투입과 배출을 반복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을 유기용제로 세척하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유기용제를 보관하는 유기용제보관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화장치(300)의 성에 제거 작업 시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투입하지 않고, 상기 유기용제보관트레이로부터 유기용제를 이송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에 투입하며, 상기 액화장치(300)의 성에 제거 작업 완료 후 배출된 상기 유기용제를 다시 상기 유기용제보관트레이에 보관하여 성에 제거 작업 시마다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4000)의 전체적인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결배관(310)이 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응결배관(310)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상기 유증기가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아 유증기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체배출관(800)으로 배출되는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한 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재주입함으로써, 유증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때, 새로 유입된 유증기와 회수된 유증기의 순환은 교차적으로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유운반차량이 유류 저장탱크로의 유기용제 적하시 발생하는 유증기, 주유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한 후, 포집된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유기용제로 회수함에 있어, 유증기 회수 효율을 증가시킨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증기 회수 장치의 운용 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 : 포집기 200 : 흡입관
210 : 흡입펌프 220 : 흡입차단밸브
300 : 액화장치 310 : 응결배관
320 : 열매체수용부 330 : 단열재
400 : 냉각기 410 : 냉매배관
411 : 냉각펌프 412 : 냉매차단밸브
600 : 배출관 700 : 저장트레이
710 : 이송배관 711 : 이송펌프
712 : 이송차단밸브 800 : 기체배출관
1000 : 주유운반차량 2000 : 유류 저장탱크
3000 : 주유기 4000 : 유증기 회수 장치

Claims (9)

  1. 유기용제가 저장된 저장탱크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트레이에 저장되는 유기용제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장치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고,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와;
    내외측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액상의 열매체를 수용하는 열매체수용부와;
    상기 액화장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매가 이동되도록, 상기 액화장치 내측에 배치되는 냉매배관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이동된 유증기가 상기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응결되도록 상기 유증기를 이송하는 응결배관;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 내부를 냉각시킨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로 순환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은,
    복수 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유증기를 상기 액화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유증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흡입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냉매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응결배관의 유기용제 회수율이 평균치보다 낮은 경우, 성에 제거 모드를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은,
    직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응결배관을 통과한 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응결배관으로 재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장치.
KR1020160170595A 2016-12-14 2016-12-14 유증기 회수 장치 KR10198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95A KR101984744B1 (ko) 2016-12-14 2016-12-14 유증기 회수 장치
PCT/KR2017/014653 WO2018110975A1 (ko) 2016-12-14 2017-12-13 유증기 회수 장치
CN201780075989.4A CN110139813A (zh) 2016-12-14 2017-12-13 油蒸汽回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95A KR101984744B1 (ko) 2016-12-14 2016-12-14 유증기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73A true KR20180068673A (ko) 2018-06-22
KR101984744B1 KR101984744B1 (ko) 2019-05-31

Family

ID=6255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595A KR101984744B1 (ko) 2016-12-14 2016-12-14 유증기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84744B1 (ko)
CN (1) CN110139813A (ko)
WO (1) WO20181109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685B1 (ko) 2019-05-22 2020-01-07 박진형 나선형 3중 열교환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1609A (zh) * 2020-03-03 2020-08-28 江苏大学 一种储油罐内油气回收装置及控制方法
KR102354263B1 (ko) 2021-05-06 2022-01-21 (주)조단텍코리아 유증기 회수설비의 글리콜 세퍼레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557A (ja) * 1996-08-05 1998-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回路機能抽出方法
JP2005009609A (ja) * 2003-06-20 2005-01-13 Tatsuno Corp 液化ガス燃料の貯蔵タンク
KR20130133743A (ko) * 2013-11-19 2013-12-09 박성오 유증기 회수장치
KR20160064528A (ko) * 2014-11-28 2016-06-08 박재홍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39551B1 (ko) 2016-01-13 2016-07-13 노기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402U (ko) * 1986-11-17 1988-05-30
KR100718972B1 (ko) * 2006-05-25 2007-05-16 김창석 유증기 액화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유증기 액화 장치
KR100905738B1 (ko) * 2009-02-06 2009-07-01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증기 회수장치
KR101552346B1 (ko) * 2014-10-30 2015-09-10 한동균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557A (ja) * 1996-08-05 1998-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回路機能抽出方法
JP2005009609A (ja) * 2003-06-20 2005-01-13 Tatsuno Corp 液化ガス燃料の貯蔵タンク
KR20130133743A (ko) * 2013-11-19 2013-12-09 박성오 유증기 회수장치
KR20160064528A (ko) * 2014-11-28 2016-06-08 박재홍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39551B1 (ko) 2016-01-13 2016-07-13 노기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685B1 (ko) 2019-05-22 2020-01-07 박진형 나선형 3중 열교환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975A1 (ko) 2018-06-21
KR101984744B1 (ko) 2019-05-31
CN110139813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442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KR101984744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KR101039401B1 (ko) 유증기 회수 시스템
US5882486A (en) Glycol refining
US5897690A (en) Vapor recovery system for hydrocarbon storage tanks
US20110247489A1 (en) Ultra-low emission natural gas dehydration unit with continuously fired reboiler
KR101471359B1 (ko) 유증기 회수장치
AU6602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a refrigerant
CN204637927U (zh) 一种油气回收装置
KR102060529B1 (ko)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KR100459001B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CN202246576U (zh) 一种油气低温冷凝吸收回收装置
US7343759B2 (en) Removal of volatile vapors from a storage vessel
KR20160119042A (ko)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CN102407059A (zh) 高沸点有机气体的回收装置
US118198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nd purifying a gaseous sterilizing agent
KR101131991B1 (ko) 유증기 처리 장치 및 방법
US6773554B1 (en) Hazardous waste disposal
CN105026308A (zh) 用于储存和分配燃料的设备,特别是用于机动车辆
CN109224752B (zh) 一种脱脂油回收装置和控制方法
KR200257367Y1 (ko)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KR200259352Y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KR100328343B1 (ko) 휘발성 유기물 증기 회수장치
BR102017023393A2 (pt) Sistema recuperador de vapores de hidrocarbonetos
KR101575724B1 (ko)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회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