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042A -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042A
KR20160119042A KR1020160127736A KR20160127736A KR20160119042A KR 20160119042 A KR20160119042 A KR 20160119042A KR 1020160127736 A KR1020160127736 A KR 1020160127736A KR 20160127736 A KR20160127736 A KR 20160127736A KR 20160119042 A KR20160119042 A KR 2016011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housing
tube
coo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6012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9042A/ko
Publication of KR2016011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대에 장치의 내실에 채워둔 액냉매(liquid refrigerant)를 냉각기로 냉각시켜 관체를 통해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를 분리ㅇ회수할 수 있도록 한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세로로 내재설치되고 일 외측에 연계설치됨에 따라, 유증기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흐름 중의 액화현상으로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 및, 상기 관체에 구비된 채로, 상기 하우징 내부온도의 저하로 인한 상기 관체 표면의 응결이 방지되도록 하는 성에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RECOVERY EQUIPMENT OF OIL MIST, USING COOLER}
본 발명은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대에 장치의 내실에 채워둔 액냉매(liquid refrigerant)를 냉각기로 냉각시켜 관체를 통해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를 분리ㅇ회수할 수 있도록 한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industrial structure, 産業構造)가 고도화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이 다양해지고 유기용제(organic solvent, 有機溶劑)의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이하 '유증기'라 함)의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유증기(oil mist, 油烝氣)는, 벤젠ㅇ톨루엔ㅇ자일렌ㅇ에틸렌 등 독성이 강한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신경ㅇ호흡기ㅇ소화기 및 각종 장기에 장해를 일으키는 등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대기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쳐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地球溫暖化)를 부추기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석유제품 및 유기용매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의 처리문제가 국가적 관리대상으로 지정되었는바, 공중위생관리법시행규칙 개정ㅇ공포(2005.11.01) 및 시행(2006.11.02)으로 석유계 유지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증기 배출을 억제하는 회수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대기환경보전법(법률 제11998호)에 의해 유증기의 대기 방출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상기 유증기의 배출원은 자연적 배출원과 인위적 배출원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자연적 배출원은 주로 식생활에서 발생되며, 인위적 배출원은 도장산업에서 46.2%, 자동차산업에서 34.9%, 주유소 및 저유시설에서 약 10%, 세탁소 및 기타시설에서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전국에 분포한 주유소 및 저유시설에서 휘발성 석유제품을 저장할 때마다 유류저장탱크 내부에 포화(saturation, 飽和)된 고농도의 유증기가 대기 중으로 유출됨에 따른 연간 에너지 손실량은 187Tcal로, 발생량으로는 약 26,124톤 정도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다.
한편, 세탁소에서의 유증기 배출원은, 옷감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 세제가 아닌 석유계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건식세탁법인 드라이클리닝(dry cleaning) 과정에서 주로 발생한다.
그리고, 주유소에서의 유증기 배출원은, 지하 유류저장탱크 숨구멍을 통한 증발과 유조차에서 지하 유류저장탱크에 휘발유, 경유 등의 석유제품을 하역할 때와 지하 유류저장탱크에서 자동차에 주유할 때의 두 가지 경우에서 발생한다. 이중, 지하 유류저장탱크로 연료를 주입할 때의 경우는 유조차에서 지하 유류저장탱크로 주입하는 방법에 따라 유증기 배출에 영향을 미치며, 급유의 온도 및 급유량에 따라서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자동차에 주유할 경우의 원인은 차량 연료탱크 안팎에서의 연료 온도차, 연료탱크의 형태 및 구조가 유증기 배출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대기의 온도, 유실량, 풍속 등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세탁소는 물론 주유소 및 저유시설에서 배출되는 유증기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손실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리기술과 처리장치(유증기 회수장치)의 연구 개발을 통해, VOCs의 발생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5072호를 통해,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기나 공기가 응축기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시켜 유기용제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측시스템이 개시된바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측시스템은, 유기용제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응축기를 통한 증기나 공기의 공급 또는 대기 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셔터방식의 분배챔버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응축기의 전방측에 증기나 공기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필터와 함께 설치하여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기나 공기가 응축기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응축기와 함께 설치되는 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에 더하여 유기용제의 회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급속 냉각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해, 큰 용량의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력이 비싼 낮 시간 동안에 운용하여야 하므로 인하여 작동하는 동안의 전력량이 과다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15072호 (등록일자 : 2006. 08. 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 우레탄폼으로 둘러싼 내실을 마련하고, 액냉매가 내부공간에 채워진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관체를 구비하되 상기 관체가 내실의 내부공간 전체를 대부분 차지하도록 웨이브형태로 형성하여, 관체로 유입 및 통과하는 유증기의 액화(liquefaction, 液化)를 통한 유기용제 분리와 더불어 대부분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기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세로로 내재설치되고 일 외측에 연계설치됨에 따라, 유증기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흐름 중의 액화현상으로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 및, 상기 관체에 구비된 채로, 상기 하우징 내부온도의 저하로 인한 상기 관체 표면의 응결이 방지되도록 하는 성에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내부하우징의 추가 구성으로 상기 냉각기에 의한 온도저하가 이루어지는 내실, 및 상기 내실의 온도유지를 위한 단열재가 내재되는 외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실과 상기 외실의 동일 상단 일부위로부터 수직으로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 내실로 액냉매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투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외실의 하측으로는, 상기 관체를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가 임시저장될 수 있는 포집실과, 상기 냉각기의 구성요소들을 내재수용할 수 있는 기계실이 연이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관체는, 유증기 주입을 위한 유입관부, 및 상기 유입관부로부터 상기 내실과 상기 외실의 바닥면을 지나 상기 포집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내실의 내부공간 전체를 차지하는 웨이브형태를 이룸으로써, 유증기의 이동 흐름을 지체시켜 액화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보냉관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실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치됨에 따라,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외부 배출 및 회수를 위한 통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실의 일측 내벽면에는, 액냉매를 내부공간에서 순환시켜 액냉매에 의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순환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성에제거수단은, 상기 보냉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태로 열원을 발생시키는 열선이 내장된 구리관과, 상기 구리관을 덮어, 상기 열선에 의해 발생한 온열이 상기 내실에 채워진 액냉매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냉관부는, 유증기의 접촉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횡폭은 넓은 반면 종폭이 좁은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각관이고, 횡폭이 넓은 단부에는, 상기 성에제거수단의 내재수용을 위해 내측으로 단차를 갖는 내향부가 횡폭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는, 냉각기와 액냉매 및 이들을 이용한 관체의 냉각만으로도 상기 관체를 통과하는 유증기의 액화가 가능케 됨으로써, 고성능 응축기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이도 유증기 액화에 필요한 장비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를 통한 장치소형화 달성에 따른 장치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전력이 남아돌고 적게 소비되는 심야시간대의 냉각기 가동만으로도 내실에 채워진 액냉매의 냉각이 가능하고, 내장된 우레탄폼(단열재)에 의한 하우징 내부(내실)의 열손실 최소화로 인하여 낮시간대까지 액냉매의 냉각상태 유지가 가능함으로써, 값싼 전력을 이용한 장비운용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각종 사업장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유증기 방출의 극소화를 통한 인체 유해성분의 피부접촉 억제 및 주변환경 개선의 효과발휘는 물론이거니와 그린환경 조성을 위한 관련산업 및 관련분야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보냉관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에 있어서 보냉관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는, 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박스형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세로로 내재설치되고 일 외측에 연계설치됨에 따라, 유증기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흐름 중의 액화현상으로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2)와, 상기 하우징(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2)의 경로를 따르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3)와, 상기 관체(2)에 구비된 채로, 하우징(1) 내부온도의 급격한 저하로 인한 관체(2) 표면의 응결(condensation, 凝結)이 방지되도록 하는 성에제거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은, 단일 장치의 구성과 더불어 냉각을 위한 내부공간(내실)의 마련을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내부하우징(1-1)의 추가 구성을 통해 상기 냉각기(3)에 의해 급격한 온도저하가 이루어지는 내실(11)과, 상기 내실(12)의 온도유지를 위한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재(heat insulating material, 斷熱材)가 내재되는 외실(12)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간을 갖는다.
더하여, 상기 내실(11)과 외실(12)의 동일 상단 일부위로부터 수직으로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한 내실(11)로 액상의 냉매{refrigerants, 冷媒 / 이하 '액냉매(liquid refrigerant)'라 함}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투입관(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실(12)의 하측으로는, 상기 관체(2)를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액상)가 낙하 후 임시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되는 포집실(14)이, 상기 포집실(14)의 하측으로는, 냉각기(3)의 구성요소들을 내재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되는 기계실(15)이 각각 연이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실(14)의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하고, 그 경사측부의 끝자락에는 유기용제의 외부배출 및 회수를 배출관(151)이 연결되는바, 상기 배출관(151)에는 관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가 함께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실(11)에는, 상기 관체(2)의 일측 선단부 고정에 필요한 다수의 고정클립(1-11)이 일측 내벽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구비되고, 그 대향측의 상기 관체(2) 타측 선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1-12)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투입관(13)이 위치한 타측 내벽면에는, 상기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를 내부공간에서 순환시켜 액냉매에 의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순환기(1-13)가 더 설치된다.
관체(2)는, 상기 하우징(1) 내실(11)의 급격한 온도저하를 이용한 유증기의 액화 및 액화로 분리된 유기용제의 분리와 회수 그리고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의 유도를 위한 것으로, 유증기 주입을 위한 유입관부(21), 상기 유입관부(21)로부터 내실(11)과 외실(12)의 바닥면을 지나 상기 포집실(14)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내실(11)의 내부공간 전체를 차지하는 웨이브형태를 이룸으로써, 유증기의 이동 흐름을 지체시켜 액화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보냉관부(22)가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실(14)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치됨에 따라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외부 배출 및 회수를 위한 통기관(23)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유입관부(21)에는, 유증기의 주입 및 역류방지를 위한 제1개폐밸브(21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냉관부(22)는, 유증기로부터의 유기용제를 분리 및 회수를 위한 액화현상의 증대를 목적하여, 유증기의 접촉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횡폭은 넓은 반면 종폭이 좁은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각관(角管)인 바람직하다.
그리고, 횡폭이 넓은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차를 갖는 내향부(221)가 횡폭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성에제거수단(4)을 각각 내재수용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기관(23)에는, 상기 포집실(14)의 내부공간으로 임시저장된 유증기의 선택적 외부 배출을 위한 압력밸브(231)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포집실(14)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증기로 인한 압력상승에 따른 폭발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통기관(23)의 외부 배출부 일측으로부터는, 유조차로의 유증기 회수를 위한 관이나 호스를 연결할 수 있게 된 연결관부(232)가 연통되어 있는바, 제2개폐밸브(232-1)의 추가 구비를 통해 선택적 배기가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냉각기(3)는, 상기 하우징(1)의 내실(11) 내부공간에 채워둔 액냉매를 냉각시켜 상기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유증기의 액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실(11)의 냉각을 위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ompressor, 31)와, 상기 내실(11)의 열을 전도받아 상기 압축기(31)에서 전달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vaporator, 32)와, 상기 증발기(32)에서 전달되는 냉매를 응축시켜 압축기(31)로 보내는 응축기(condenser, 33)로 구성된다.
성에제거수단(4)은, 상기 냉각기(3)에 의해 급격한 온도저하로 인한 상기 보냉관부(22) 표면의 응결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냉관부(22) 표면에 형성된 내향부(221)에 내재구성된 상태로, 고온의 열원을 발생시키는 열선(41)이 내장된 구리관(42)과, 상기 구리관(42)을 덮어, 상기 열선(41)에 의해 발생한 온열이 상기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에 전도(傳導)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판(heat insulation panel, 43)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41)은 상기 포집실로 낙하 후 임시저장되는 유증기의 저장량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가능케 위한 측정수단이 되는 투명눈금이다.
참고하여, 상기 포집실(14)과 기계실(15)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도어(및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냉각기(3)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지하 유류저장탱크의 숨구멍을 통한 증발과 유조차에서 지하 유류저장탱크에 휘발유 등의 석유제품을 하역할 때와, 지하 유류저장탱크에서 자동차에 주유할 때의 두 가지 경우에서 유증기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유증기의 회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의 관체(2) 중 상기 유입관부(21)에 유류저장탱크의 통기관을 연결하면 유증기가 회수장치(A)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액화현상을 일으켜 유기용제가 분리 및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A)는, 새벽과 같은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기(3)를 작동시켜 압축기(31) 및 응축기(33)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1-1) 전체를 둘러싼 증발기(32)의 연계작동에 의해 상기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가 냉각되도록 하고, 냉각된 그 액냉매에 의해 상기 내실(11)에 배치된 보냉관부(22)가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온도저하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냉관부(22)는 내실(11)의 급격한 온도저하로 인한 표면 응결의 현상은, 상기 성에제거수단(4)의 열선(42)을 작동시켜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실(11) 내부에 더 배치구성된 상기 순환기(1-13)를 작동시켜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가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액냉매에 의한 상기 보냉관부(22)의 냉각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우징(1)과 내부하우징(1-1) 사이 공간에 내재된 단열재(121)에 의해서는, 냉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야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내실(11) 및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냉각시킨 상태가 낮시간까지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낮시간에도 유증기의 액화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만약, 냉각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약간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기(3)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유증기의 액화를 위한 내실(11)의 내부온도를 맞출 수 있음으로써, 전력사용에 대한 효율성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바에 의한 본 발명의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의 실시 예는, 최초 주유소(및 저유시설)의 유류저장탱크를 통해 유증기가 상기 관체(2)의 유입관부(21) 안으로 주입되면, 액냉매에 의해 냉각된 상기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증기가 액화현상을 일으켜 유기용제가 분리되는 것이며, 이렇게 분리된 유기용제는 상기 보냉관부(22)를 거쳐 포집실(14)로 낙하 후 임시저장되고, 유기용제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기체(잉여 유증기)는 상기 통기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이어간다.
이로써, 액상의 유기용제는 상기 포집실(14)로 낙하하는바 저장량이 일정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투명눈금(141)을 통해 그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배출관(151)의 밸브 개방을 통해 지정된 곳에서 유기용제를 회수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통기관(23)을 따라 외부 배출 흐름을 갖는 기체(잉요 유증기)는, 상황에 따라 상기 통기관(23)에 연결된 압력밸브(231) 개방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줌으로써 포집실(14)의 압력을 낮추거나 혹은 상기 제2개폐밸브(232-1) 개방을 통해 상기 연결관부(232)에 연결된 호스를 통하여 유조차로의 회수가 가능한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를 이용하여, 유증기의 액화를 통한 유기용제의 분리 및 회수가 보다 용이하게 됨으로써, 유증기의 외부 배출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의 발생을 애초에 미리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통한 주유소 및 저유시설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심야전기를 활용한 장치운용에 따라, 전력소비량과 장치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전국에 분포된 주유소 및 저유시설에서 휘발성 석유제품을 저장할 때나 주유를 할 때마다 고농도의 유증기가 대기 중으로 유출됨에 따른 연간 에너지손실을 크게 낮춰 에너지자원의 절약효과 및 그린환경 조성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
더하여, 냉매만으로도 유증기의 액화 및 분리가 용이한 단순구조를 이룸에 따른 장치구조의 간소화와 더불어 이를 통한 장치의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 절감을 통한 소비자 구매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A)는, 주유소 및 저유시설은 물론이거니와 세탁소 등과 같이 석유계 용제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도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함과 같은 호환성 발휘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유증기 회수장치, 1 : 하우징, 1-1 : 내부하우징
1-11 : 고정클립, 1-12 : 지지대, 1-13 : 순환기
2 : 관체, 3 : 냉각기, 4 : 성에제거수단
11 : 내실, 12 : 외실, 13 : 투입관
14 : 포집실, 15 : 기계실, 21 : 유입관부
22 : 보냉관부, 23 : 통기관, 31 : 압축기
32 : 증발기, 33 : 응축기, 41 : 열선
42 : 구리관, 43 : 전도방지판, 121 : 단열재
141 : 투명눈금, 151 : 배출관, 211 : 제1개폐밸브
221 : 내향부, 231 : 압력밸브, 232 : 연결관부
232-1 : 제2개폐밸브

Claims (3)

  1.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세로로 내재설치되고 일 외측에 연계설치됨에 따라, 유증기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흐름 중의 액화현상으로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 및,
    상기 관체에 구비된 채로, 상기 하우징 내부온도의 저하로 인한 상기 관체 표면의 응결이 방지되도록 하는 성에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내부하우징의 추가 구성으로 상기 냉각기에 의한 온도저하가 이루어지는 내실, 및 상기 내실의 온도유지를 위한 단열재가 내재되는 외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실과 상기 외실의 동일 상단 일부위로부터 수직으로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 내실로 액냉매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투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외실의 하측으로는, 상기 관체를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가 임시저장될 수 있는 포집실과, 상기 냉각기의 구성요소들을 내재수용할 수 있는 기계실이 연이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체는, 유증기 주입을 위한 유입관부, 및 상기 유입관부로부터 상기 내실과 상기 외실의 바닥면을 지나 상기 포집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내실의 내부공간 전체를 차지하는 웨이브형태를 이룸으로써, 유증기의 이동 흐름을 지체시켜 액화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보냉관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실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치됨에 따라,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외부 배출 및 회수를 위한 통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의 일측 내벽면에는, 액냉매를 내부공간에서 순환시켜 액냉매에 의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순환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제거수단은, 상기 보냉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태로 열원을 발생시키는 열선이 내장된 구리관과,
    상기 구리관을 덮어, 상기 열선에 의해 발생한 온열이 상기 내실에 채워진 액냉매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냉관부는, 유증기의 접촉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횡폭은 넓은 반면 종폭이 좁은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각관이고,
    횡폭이 넓은 단부에는, 상기 성에제거수단의 내재수용을 위해 내측으로 단차를 갖는 내향부가 횡폭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20160127736A 2016-10-04 2016-10-04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KR20160119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36A KR20160119042A (ko) 2016-10-04 2016-10-04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36A KR20160119042A (ko) 2016-10-04 2016-10-04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240A Division KR20160064528A (ko) 2014-11-28 2014-11-28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042A true KR20160119042A (ko) 2016-10-12

Family

ID=5717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36A KR20160119042A (ko) 2016-10-04 2016-10-04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90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778B1 (ko) * 2021-12-30 2022-07-15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KR102503039B1 (ko) * 2022-06-27 2023-02-23 에코매직 주식회사 재순환식 유증기 액화회수장치
WO2023128324A1 (ko) * 2021-12-30 2023-07-06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저유 어셈블리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778B1 (ko) * 2021-12-30 2022-07-15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WO2023128324A1 (ko) * 2021-12-30 2023-07-06 에코매직 주식회사 유증기 액화회수처리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저유 어셈블리 유닛
KR102503039B1 (ko) * 2022-06-27 2023-02-23 에코매직 주식회사 재순환식 유증기 액화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712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101221132B1 (ko)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183191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39551B1 (ko)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CN100354393C (zh) 气体状烃的处理、回收装置以及方法
KR101813442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KR20160119042A (ko)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DE102009029392A1 (de) Explosionsgeschützte Kälteanlage mit brennbarem Kältemittel
KR100718972B1 (ko) 유증기 액화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유증기 액화 장치
CN105066535A (zh) 一种制冷剂回收及充注装置
KR101473214B1 (ko) 축냉식 유증기 액화 장비
KR101521721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101506338B1 (ko) 유증기 회수장치
CN107456839A (zh) 利用冷凝吸附法的油气回收装置及吸附与脱附的切换装置
KR101471359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20160064528A (ko) 냉각기를 이용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247456B1 (ko) 가솔린 베이퍼 회수 장치
KR101984744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CN204943992U (zh) 一种制冷剂回收及充注装置
CA3094687A1 (en) Multi-cooling type cold trap
CN101501425A (zh) 冷冻集装箱
KR101419660B1 (ko) 일체형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설비
KR101539920B1 (ko) 유증기 액화 부재 및 상기 유증기 액화 부재를 포함하는 유증기 액화 장치
KR101667375B1 (ko) 유증기 회수장치
CN108137227B (zh) 安全移动加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