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67Y1 -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67Y1
KR200257367Y1 KR2020010024235U KR20010024235U KR200257367Y1 KR 200257367 Y1 KR200257367 Y1 KR 200257367Y1 KR 2020010024235 U KR2020010024235 U KR 2020010024235U KR 20010024235 U KR20010024235 U KR 20010024235U KR 200257367 Y1 KR200257367 Y1 KR 200257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organic
cooling
pipe
storage tank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식
Original Assignee
문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준식 filed Critical 문준식
Priority to KR2020010024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67Y1/ko

Link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휘발성 유기 증기를 회수시 유용한 물질이고 간헐적으로 비출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주유소에서 휘발유등 연료 저장 탱크에 연료를 주입시킬 경우나 저장탱크에 펌프로 액체 주입시 벤트로 배출되는 경우 또는 공정중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시설의 휘발성 유기 증기를 제거하는 장치로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방식은 흡착방식, 연소방식, 미생물 처리방식, 냉각 응축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으나 액상으로 회수가 가능한 냉각 응축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회수된 휘발유는 타방식에 비해 우수한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 냉각 응축 방식을 적용하면서 몇가지 특징을 적용하였는데 첫째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증기 저장 탱크에 압축 저장한 후 일정량의 매우 적은량으로 냉각 제거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둘째 냉각 응축기에서 처리 공기의 순환을 적용하여 전열핀 표면에서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교환 능력을 높여서 휘발유를 냉각 응축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셋째 일정 시간마다 휘발성 유기 증기 처리를 중단하고 외기 공기를 전열핀으로 넣어 얼음을 녹여 제거하도록 구성하여 휘발성 유기 증기가 전열핀 표면에서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휘발성 유기증기와 수증기가 전열인 유입부에 얼음이 끼는 것을 제거해 주므로써 얼음으로 인한 열교환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공기 흐름 통로가 막혀 압력 강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특징을 적용한 본 장치의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발성 유기 증기의 흡인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1)와 ;
휘발성 유기 증기를 모아 저장한 후 일정량씩 보내주기 위한 압력 스위치(203)(Pressure Switch)가 부착된 압축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2) ;
휘발성 유기 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는 장치로 케이스 내부에 휘발성 유기 증기의 냉각열 접촉용 판 수백개를 세로(증기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로 설치된 전열핀(304)을 설치하고 전열핀을 관통하는 전열관(305)을 지그재그로 설치하며 , 고효율 미스트 엘리미네이터(308)(Mist Eliminator)를 설치하였으며,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전열관의 배출구(306)에서 흡입하여 냉매를 액화시키는 콤프레셔(4)와 냉매배관(401)이 부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냉각 응축기(3) ;
증기의 응축액을 모으고 기름과 물로 분리해 주는 장치인 유수분리기(5) ;
냉각기에서 제거 안 된 잔여 휘발성 유기 증기를 흡착 제거해 주는 활성탄 흡착탑(6) ;
을 갖추고 이러한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는 데
연결배관은 벤트에서 저장 탱크까지 휘발성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벤트끝에 캡식 후드(111)가 달린 인입부 연결배관(11)과 ;
저장 탱크에서 냉각응축기를 연결해 주는 배관 중간에 흐르는 가스를 일정압력으로 나가게 해주는 압력 조절기(121)(Pressure Regulator), 전동개폐밸브(122)와 유량계(123)와 함께 연결된 정화전 연결배관(12) ;
냉각응축기 출구로부터 흡착탑을 거쳐 대기중 배출구까지 연결된 정화후 연결배관(13) ;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휘발성 유기 증기를 순환하기 위한 순환용 순환배관(14)과 순환 증기의 흡인을 유도하는 이젝터(124) ;
냉각핀에 낀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외기를 냉각응측기로 보내기 위한 외기 주입 배관(15)과 외기 공급팬(151);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에서 압축시 응축한 응축액을 유수분리조로 보내는 응축액 배출 배관(16) ;
냉각 응축기에서 응축한 응축액을 유수분리조로 보내는 응축액 배출 배관(17) ;
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Cooling & Condedencing Type Volertile Organic Compound Vapor Collector}
본 고안은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시 유용한 물질이고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시설로 주유소에서 휘발유등 연료 운송차가 지하 저장조에 연료를 넣을 때 연료를 주입시킬 경우나 저장탱크에 펌프로 액체 주입시킬 경우 등 벤트를 통해 포화된 휘발성 유기 증기가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를 제거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 증기를 제거해 주는 목적은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동시에 대기중으로 손실되는 증기(예:휘발유)를 회수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배출 특성에 적합하게 구성해야 하는 데 배출 특성은 첫째 배출가스량은 수십 ㎥/시로 소량이고, 둘째 휘발성 유기 증기가 포화상태로서 수만∼수십만 ppm의 고농도로 배출되며, 셋째 액체를 넣을 때 발생하므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 적용코자 하는 휘발성 유기 증기를 제거해 주는 방식은 흡착방식, 연소방식, 미생물 처리방식, 냉각 응축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으나 상기 배출 특성인 소용량 고농도이고 액체(예:휘발유)로 회수시 재사용이 가능한 점을 감안 냉각 응축 방식을 채택하였다.
냉각 응축 방식은 포화 상태의 증기를 이슬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냉각 시켜 액상으로 응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벤트로 배출되는 증기 온도가 25℃, 배출농도(포화 농도) 20 vol.%(포화증기압 150mmHg)이고 냉각된 증기 온도 -30℃, 포화농도 2 vol.%(포화증기압 15mmHg) 라면 나머지 18 vol.% 는 액상으로 응축되어 포집되며 결과적으로 90%가 제거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예를 들어 주유소에서 지하 저장 탱크로 휘발유를 넣을 때 벤트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의 제거는 현실여건상 경제적으로 냉각 응축시켜야하므로 냉각 장치의 용량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휘발유증기를 함유한 배출 유량이 수십 ㎥/시로 적은 유량이긴 하나 냉각 해야할 온도차가 크고 냉각 온도가 낮아 냉각기의 용량이 수kw에서 수십kw로 적지 않은 용량이 소요되며 또한 냉각중에 발생되는 문제로 증기 유입부에 냉각핀 사이에 주로 형성되는 얼음(응축 휘발유 및 수증기가 얼은 것)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휘발성 유기 증기의 포집과 증기를 회수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일련의 시스템으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적용하여 경제성 있는 우수한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휘발성 유기 증기의 제거 방식은 증기를 액상(예:휘발유)으로 회수가 가능한 방식을 사용한다.
(2) 경제성 있는 장치를 가능케 하기 위해 작은 용량의 냉각기를 갖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3) 순환 방식 등을 적용하여 냉각 응축기의 냉각 성능이 우수하도록 구성한다.
(4) 휘발성 유기 증기가 냉각된 표면에서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휘발유 증기와 수증기가 냉각핀 유입부에 얼음이 끼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도록 구성한다.
(5) 휘발성 유기 증기의 제거는 액체를 저장조에 주입할 때 대부분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 주되 액체가 주입이 되지 않을 때에도 제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와 같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1) 휘발성 유기 증기의 제거 방식은 흡착방식, 연소방식, 미생물 처리 방식, 냉각 응축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으나 액상으로 회수가 가능한 냉각 응축 방식을 사용한다.
(2) 기본적으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배기 공기 저장 탱크에 압축 저장한 후 냉각 응축은 소량의 일정량을 24시간 계속 처리해 주므로써 낮은 용량의 냉각 장치로 휘발유 증기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3) 냉각 응축기에서 처리 공기의 순환을 적용하여 전열핀 표면에서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교환 능력을 높여서 휘발성 유기 증기를 냉각 응축하도록 구성한다. (순환에 의한 유속 증가로 열교환 능력을 높힌 방식은 이미 본 고안자가 실용 신안을 취득 한 방식임 : 실용신안 제20-193937호 휘발성 유기 가스 회수 장치)
(4) 휘발성 유기 증기가 전열핀 표면에서 냉각 응축하는 과정에서 휘발유 증기와 수증기가 전열된 유입부에 얼음이 끼는 것을 제거해 주기 위해 일정 시간마다 휘발성 유기 증기 처리를 중단하고 외기 공기를 전열핀으로 넣어 얼음을 녹여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5) 저장조 벤트와 제거 장치 연결배관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벤트 끝부분에 캡식 후드로 씌워 액체 주입시에는 벤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일부 외기를 같이 흡인토록 하고 액체가 주입되지 않을 때에는 후드사이 공간으로 벤트 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적용한 일련의 장치로 저에너지에 낮은 설비비로 경제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휘발유까지 회수하도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흐름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공기 압축기
2.......압축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
201.....유기 증기 저장 탱크 유입구
202.....유기 증기 저장 탱크 배출구
203.....압력 스위치
3.......냉각 응축기
301.....냉각 응축기 유입구
302.....냉각 응축기 배출구
303.....응축액 배출구
304.....전열핀
305.....전열관
306.....전열관 배출구
307.....전열관 유입구
308.....미스트 엘리미네이터
4.......콤프레셔
401.....냉매 배관
5.......유수분리기
501.....유수분리기 응축액 유입구
502.....유수분리기 벤트
503.....유수분리기 휘발유 배출구
504.....유수분리기 물 배출구
6.......활성탄 흡착탑
11......인입부 연결배관
111.....캡식 후드
12......정화전 연결배관
121.....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
122.....정화전 연결배관 전동개폐밸브
123.....유량계
124.....이젝터
13......정화후 연결배관
14......휘발성 유기 증기 순환배관
15......외기 주입배관
151.....외기 공급팬
16......증기 저장 탱크 응축액 배출배관
17......냉각 응축기 응축액 배출배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유소에서 연료 운송차가 연료를 주입할 때와 같이 휘발성 유기 증기가 배출구를 통해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장치는 공기압축기(1)와 압력 스위치(203)(Pressure Switch)가 부착된 압축된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2), 냉각 응축기(3), 유수분리기(5) 및 활성탄 흡착탑(6)을 갖추고 이러한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는 데 연결배관은 벤트 끝에 캡식 후드(111)가 달린 벤트로부터 저장 탱크까지의 인입부 연결배관(11)과, 저장탱크에서 냉각응축기를 연결하는 배관 중간에 흐르는 가스를 일정압력으로 나가게 해주는 압력 조절기(121)(Pressure Regulator), 개폐밸브(122)와 유량계(123)와 함께 연결된 정화전 연결배관(12), 냉각응축기 출구로부터 대기중 배출구까지 연결된 정화후 연결배관(13)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 휘발성 유기 증기의 순환용 순환배관(14)과 순환 증기의 흡인을 유도하는 이젝터(124), 냉각핀에 낀 얼음 제거용 외기 주입 배관(15) 및 외기 공급팬(151), 휘발성 유기 증기의 압축시 응축한 응축액 배출 배관(16)과 냉각 응축기에서 응축한 응축액 배출 배관(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장치의 주요장치인 냉각 응축기(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각응축기 케이스 내부에 휘발성 유기 증기의 냉각열 접촉용 판 수백개를 세로(증기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로 설치된 전열핀(304)을 설치하고 전열핀을 관통하는 전열관(305)을 지그재그로 설치하며 , 냉각 응축기 유입구(301) 및 배출구(302)가 있고 , 배출구전에 미세한 입자 형태로 응축된 미스트를 포집하기 위해 고효율 미스트 엘리미네이터(308)(Mist Eliminator)를 설치하였으며,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전열관의 배출구(306)에서 흡입하여 냉매를 액화시키는 콤프레셔(4)와 냉매배관(401)이 부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 졌다.
증기의 응축액을 모으는 유수분리기(5)는 응축액이 들어오는 유입구(501)와 벤트(502), 분리된 휘발유 배출구(503) 및 물 배출구(504)가 부착되어 있고 휘발유 증기 저장 탱크(2)와 냉각 응축기(3)부터 유수분리기까지 연결된 응축액 연결 배관(16,17), 이젝터에 연결된 벤트배관(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유소에 휘발유를 실은 휘발유 운송차가 주유소 지하 저장조에 휘발유를 넣기 위해 호수를 연결하면 호수 연결부위에 전기적 신호를 내는 장치를 설치하여 이 신호에 의해 공기압축기(1)를 가동시키면 벤트로 배출된 휘발성 유기 증기는 후드(111)를 통해 흡인되어 공기압축기로 압축하여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2)에 압축 저장된다. 휘발유 운송차에 휘발유 주입이 끝나 호수를 분리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압축기 가동이 멈춘다. 이 때 휘발성 유기 증기와 수증기가 10배이상 압축되면서 일부 응축되며 응축된 액체는 응축액 연결배관(16)을 통해 유수분리기(5)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후드(111)의 역할은 벤트와 후드흡입부 사이에 공간이 있어 휘발유 주입이 안 되고 있을 때에는 공간이 외기와의 벤트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공기압축기(1)와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2)가 설치된 이유는 휘발유 주입 시간 동안(약 30분) 발생하는 휘발유 증기가 함유된 공기(20㎥)를 모은 후 다음 휘발유 주입 때까지(약 20시간) 계속 제거해주므로써 1/40유량(약 1㎥/시)으로 냉각 처리하여 냉각기(3) 용량을 1/4로 줄이기 위함이다.
휘발성 유기 저장 탱크(2)에 휘발성 유기 증기가 유입되어 점차 압력이 증가하여 일정 압력(통상 2기압) 이상이 되면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개폐밸브(122)가 열려 휘발유 증기가 냉각 응축기로 일정량씩 흘러들어 간다. 여기에는 압력조절기(121)가 설치되어 압력조절기 출구에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나가게 하여 공기가 일정한 유량으로 흐르도록 하며 필요시 유량계(123)를 보고 유량 조절 밸브를 조정하여 원하는 일정한 유량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적은 일정량의 휘발유 증기가 함유 된 공기를 냉각하여 증기를 응축 제거하기 위해 냉각 응축기(3)로 유입시킨다.
냉각기 유입구(301)로 유입된 공기는 전열핀(304) 사이로 흐르면서 냉매가 뺏어가는 열에 의해 냉각 응축된다.
휘발성 유기 증기의 일부는 전열핀 표면에 응축되어 흘러내리고 이중 일부는 전열핀 표면에 얼음으로 얼어붙어 있게 되며 나머지 응축된 휘발유는 미세한 입자의 미스트 상태로 배출된다.
미스트 상태의 휘발유는 고효율 미스트 제거장치(308)(Mist Eliminator)에서 포집되어 아래로 흘러서 떨어지게 된다. 전열핀에서 흘러내리는 액체와 미스트 엘리미네이터에서 흘러 떨어지는 액체는 아래에 응축액 연결배관(17)을 통해 유수분리기(5)로 들어간다.
이때 냉매는 전열관(305)을 통해 흐르면서 열교환 전열핀(304)과 한 몸체로 된 전열관(305) 사이로 통과하는 동안 액상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기화열만큼 열을 가져가 전열핀 사이로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키며, 기화된 냉매는 콤ㅍ레셔(4)에 의해 다시 액화되어 순환하게 된다.
냉각 응축기에서 응축 제거된 후의 공기의 상당량을 제거 안 된 잔여 휘발유 증기의 제거를 위해 이젝터(124)의 흡인력에 의해 순환배관(14)을 통해 다시 순환시키고 나머지 공기는 흡착탑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순환시키는 이유는 전열핀에서의 유속을 증대시켜 총괄전열계수를 높이므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순환시키지 않을 때는 적은 유량이 통과되어 낮은 유속으로 흐르는 반면 순환시킬 때는 순환 유량과 합쳐져 빠른 유속으로 흐르지만 여러번 순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접촉 체류시간은 같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빠른 유속에 의한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냉각기 출구 유량의 2/3를 순환시킬 때 대략 1.5∼2배정도 열교환 효율이 증대된다.
응축배관을 통해 유수분리조(5)로 들어온 액체는 비중차에 의해 휘발유와 물로 분리된 후 가벼운 휘발유는 위쪽에 설치된 배출구(503)를 통해 나가고 물은 아래에 설치된 배출구(504)를 통해 배출된다.
이외에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고 공기 흐름을 막아 압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전열핀 사이에 발생한 얼음을 제거해 주기 위해 외기 유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데 가동은 타이머 작동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정화전 연결배관의 개폐밸브(122)를 닫고 동시에 외기 공급팬(151)을 가동하여 외기를 외기 유입 배관(15)을 통해 냉각기로 넣어줘 전열핀에 얼어 있는 얼음을 녹여준다.
그리고 최종 배출구에 위치한 활성탄 흡착탑은 냉각 응측기에서 제거 안 된 잔여 휘발유 증기를 흡착 제거하여 준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장치에 의하면
첫째 휘발성 유기 증기를 냉각 응축 방식으로 경제적으로 유용한 액상(예:휘발유)으로 다량 회수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1일 1회 휘발유 운송차로 주입하는 것을 기준할 경우 30분 동안 20㎥의 배출 공기를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에 저장하여 20시간에 걸쳐 처리하므로써 용량을 1/4로 줄여 냉각 응축기에서 제거효율을 높이고 냉각기 용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즉 같은 용량의 냉각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냉각 공기량이 1/40로 작아져 제거 효율이 훨씬 높아지고 동일 효율인 경우에는 냉각기 용량이 1/40로 작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냉각 응축기에서 처리된 공기를 순환시키므로써 냉각 전열핀에서의 격막전열계수를 높혀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열교환 효율의 상승 효과는 순환 공기량에 따라 달라지나 대략 2배정도 상승한다.
넷째 전열핀에 얼어 있는 얼음을 일정시간마다 외기를 넣어줘 녹여 제거해 주므로써 얼음으로 인한 열교환 효율 저하방지와 냉각기에서의 압력강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를 회수시 유용한 물질이고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시설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시설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 증기(주로 휘발유 증기)를 냉각 응축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휘발성 유기 증기의 흡인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1)와 ;
    휘발성 유기 증기를 모아 저장한 후 일정량씩 보내주기 위한 압력 스위치(203)(Pressure Switch)가 부착된 압축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2) ;
    휘발성 유기 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는 장치로 케이스 내부에 휘발성 유기 증기의 냉각열 접촉용 판 수백개를 세로(증기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로 설치된 전열핀(304)을 설치하고 전열핀을 관통하는 전열관(305)을 지그재그로 설치하며 , 냉각 응축기 유입구(301) 및 배출구(302)가 있고 , 배출구전에 미세한 입자 형태로 응축된 미스트를 포집하기 위해 고효율 미스트 엘리미네이터(308)(Mist Eliminator)를 설치하였으며,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전열관의 배출구(306)에서 흡입하여 냉매를 액화시키는 콤프레셔(4)와 냉매배관(401)이 부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냉각 응축기(3) ;
    증기의 응축액을 모으는 장치로 응축액이 들어오는 유입구(501)와 벤트(502), 분리된 휘발유 배출구(503) 및 물 배출구(504)가 부착되어 있고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와 냉각 응축기부터 유수분리기까지 연결된 응축액 연결 배관(16,17), 이젝터에 연결된 벤트배관(18)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수분리기(5) ;
    냉각기에서 제거 안 된 잔여 휘발성 유기 증기를 흡착 제거해 주는 활성탄 흡착탑(6) ;
    을 갖추고 이러한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는 데
    연결배관은 벤트에서 저장 탱크까지 휘발성 유기 증기를 이송시키는 벤트끝에 캡식 후드(111)가 달린 인입부 연결배관(11)과 ;
    저장 탱크에서 냉각응축기를 연결해 주는 배관 중간에 흐르는 가스를 일정압력으로 나가게 해주는 압력 조절기(121)(Pressure Regulator), 전동개폐밸브(122)와 유량계(123)와 함께 연결된 정화전 연결배관(12) ;
    냉각응축기 출구로부터 흡착탑을 거쳐 대기중 배출구까지 연결된 정화후 연결배관(13) ;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휘발성 유기 증기를 순환하기 위한 순환용 순환배관(14)과 순환 증기의 흡인을 유도하는 이젝터(124) ;
    냉각핀에 낀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외기를 냉각응측기로 보내기 위한 외기 주입 배관(15)과 외기 공급팬(151);
    휘발성 유기 증기 저장 탱크에서 압축시 응축한 응축액을 유수분리조로 보내는 응축액 배출 배관(16) ;
    냉각 응축기에서 응축한 응축액을 유수분리조로 보내는 응축액 배출 배관(17) ;
    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KR2020010024235U 2001-08-09 2001-08-09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KR200257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35U KR200257367Y1 (ko) 2001-08-09 2001-08-09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35U KR200257367Y1 (ko) 2001-08-09 2001-08-09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367Y1 true KR200257367Y1 (ko) 2001-12-24

Family

ID=731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235U KR200257367Y1 (ko) 2001-08-09 2001-08-09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94B1 (ko) 2006-05-29 2007-12-28 유춘임 압축공기의 유·수(油·水)분리 장치
KR100874174B1 (ko) 2006-03-01 2008-12-15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액체-충전 생성물 용기 및 전달 시스템을 위한 자납형 증류정제기/과열기
KR101221132B1 (ko) * 2012-08-24 2013-01-10 신상신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239181B1 (ko) * 2012-08-17 2013-03-05 신상신 흡입펌프를 장착한 옥외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74B1 (ko) 2006-03-01 2008-12-15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액체-충전 생성물 용기 및 전달 시스템을 위한 자납형 증류정제기/과열기
KR100789494B1 (ko) 2006-05-29 2007-12-28 유춘임 압축공기의 유·수(油·水)분리 장치
KR101239181B1 (ko) * 2012-08-17 2013-03-05 신상신 흡입펌프를 장착한 옥외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101221132B1 (ko) * 2012-08-24 2013-01-10 신상신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WO2014030923A1 (ko) * 2012-08-24 2014-02-27 주식회사 엔콘글로벌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964B2 (en) Water recovery from combustion turbine exhaust
US73066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water from atmospheric air
KR101639551B1 (ko)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CN103394267B (zh) 一种结合冷凝和吸附的油气回收装置
JPH06317365A (ja) パージ回収システム
CN102458610A (zh) 一种用于回收co2吸收剂的方法及回收装置
JP4671940B2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JP5044764B2 (ja) ガス状炭化水素回収装置及び方法
JP2007289802A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その方法
KR930700809A (ko) 냉매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459001B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CN115279869A (zh) 用于产生液体生物气体的方法和系统
KR200257367Y1 (ko)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제거 장치
US5533358A (en) Refrigerant recovering system
JP2009028723A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方法
CN211537120U (zh) 一种采用热氮脱附的有机废气净化装置及系统
JP3867662B2 (ja) エアードライヤー
JPH04326901A (ja) 溶剤回収装置
CN106669355A (zh) 基于影像识别除霜技术一体化油气回收装置
KR200259352Y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CN115006963A (zh) 一种医药行业废气深冷溶剂回收系统及工艺
CN102407059A (zh) 高沸点有机气体的回收装置
JP2008238171A (ja)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方法
KR101407497B1 (ko) 유증기 재사용 설비 시스템
KR101131991B1 (ko) 유증기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