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174A -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174A
KR20180068174A KR1020160169839A KR20160169839A KR20180068174A KR 20180068174 A KR20180068174 A KR 20180068174A KR 1020160169839 A KR1020160169839 A KR 1020160169839A KR 20160169839 A KR20160169839 A KR 20160169839A KR 20180068174 A KR20180068174 A KR 2018006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equipment
data
company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174A/ko
Priority to CN201711217291.XA priority patent/CN108234593B/zh
Publication of KR2018006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 예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방법은,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가능 하도록 게시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로부터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받고, 선정된 최종 수행업체에 대응하는 입찰지원 단말에게 최종 선정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contractor selection server for carrying out at construction work and method}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의 거래는 공사 및 용역의 발주를 하려는 기업 또는 개인이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 수행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상담을 한 후 견적을 의뢰하거나 전화 또는 Fax를 이용하여 공사 및 용역의 내용을 설명하고 견적을 의뢰하는 방식이며, 의뢰받은 기업은 견적서를 작성하여 발주의뢰자를 직접 방문 후 견적서를 제출하거나 우편으로 견적서를 발송하는 방식이다. 관공서의 경우는 공사 및 용역의 내용을 발표하고 현장설명을 하며 다수의 기업이 지정된 장소에서 입찰에 참가한다.
이에 따라, 발주를 하려는 기업이나 개인이 공사, 용역의 수행업체를 여러개 선정하여 각 수행업체마다 공사, 용역의 내용을 설명하고 각각의 기업으로부터 견적서를 받는다. 이렇게 받은 여러개의 견적서에서 공사, 용역의 수행 기업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여러 기업을 선정하여 각각의 기업에 내용을 설명하며 견적서를 받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된다.
그리고, 건설공사, 기술용역을 발주한 경험이 없는 기업이나 개인과 같은 민간공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맥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시행사 독단 행위를 통한 시공사의 접근 제한성을 가지며, 소규모의 건설에 대한 공개된 수발주 시스템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고, 특히, 중소건설업체는 수주의 접근 한계로 대형업체에 종속되는 현상이 되풀이되며, 전문단종분야는 시공사의 하청업체로서 활동하며 독자적 수주 및 공사 실행은 시공능력 평가에 따라 독점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건설공사, 기술용역을 발주한 경험이 없는 기업이나 개인은 자신이 의뢰하려는 공사, 용역의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려우므로 본인(또는 회사)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견적을 의뢰해야 되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기업이나 개인은 어느 기업에 공사, 용역을 발주해야 하는지 공사비, 기술용역비는 어느 정도인지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공사, 기술용역의 수행업체를 선택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을 갖게 되며 과다한 공사비, 기술용역비를 지출하거나 수행업체의 잘못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공사, 용역 수행업체의 수행능력, 신용도 등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인맥을 통하거나 광고 또는 사회적인 지명도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 공사, 용역의 수행업체가 제출한 견적서를 판단하여 가장 적합한 수행업체를 선택하는 일도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을 발주하려는 기업이나 개인이 여러 공사나 용역의 수행업체로부터 견적서를 받기 위해 행하는 많은 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건설공사 또는 용역의 내용을 정확히 분석하고, 공사 또는 용역을 맡을 적합한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도움을 주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방법은,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가능 하도록 게시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로부터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받고, 선정된 최종 수행업체에 대응하는 입찰지원 단말에게 최종 선정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통신하여 건설시공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서버는,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로부터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수신받아 건설시공의 발주를 접수하고,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 중 최종 수행업체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선정받아,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수행업체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을 발주하려는 기업이나 개인이 여러 공사나 용역의 수행업체로부터 견적서를 받기 위해 행하는 많은 과정을 단축하게 되므로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사 또는 용역을 발주해 본 경험이 없는 기업이나 개인이 공사 또는 용역의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어려움을 수행업체의 수행능력, 실적, 장비보유 현황, 신용도 등의 정보를 서버 시스템에서 확인하여 적합한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가 객관적으로 수행 능력이 없는 수행업체를 필터링하여 수행업체 선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가 입찰업체가 제공하기 어려운 건설기계 관련 전문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평가하여 수행업체 선정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후보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주의뢰자의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주의뢰자의 후보 재선정 요청에 대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시 생성되는 중간 데이터의 일 예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건설장비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시스템은 발주의뢰 단말(100), 복수개의 입찰지원 단말(300) 및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발주의뢰 단말(100) 및 입찰지원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망일 수도 있고, 혹은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발주의뢰 단말(100)은 발주자측에서 이용하는 단말로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와 통신하여,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발주의뢰 단말(100)은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서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로부터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찰지원 단말(300)은 입찰지원자측에서 이용하는 단말로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와 통신하여,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입찰지원 단말(300)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서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로부터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의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발주의뢰 단말(100) 및 입찰지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발주를 의뢰받은 건설시공에 대하여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입찰받은 수행업체 중 임의의 수행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이와 같은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그리고,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전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이외에도, 수행업체 선정서버(20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콘텐츠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분류하여 DB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수행업체 선정서버(200)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0)는 발주의뢰 단말(100)과 입찰지원 단말(300)의 매개를 위해,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발주관련 정보를 입찰지원 단말(300)이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는, 발주관련 정보를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 등 네트워크 상에 발주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변형예에서는, 이전에 가입한 입찰지원자 정보를 확인하여, 입찰지원자 단말에게 발주 정보를 직접 통지할 수 있다. 통지 방법은, 발주 정보를 직접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상기 발주 정보에 접근 가능한 주소 등을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는 통신부(210), 제어부(230) 및 메모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발주의뢰 단말(100) 및 입찰지원 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부(21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0)에게 전달하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발주의뢰 단말로부터(100) 발주의뢰를 접수받아, 적절한 입찰지원자를 선정하여 발주의뢰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게시 모듈(231), 데이터 산정 모듈(233), 후보 선정 모듈(235), 통지 모듈(237) 및 평가 관리 모듈(239)을 포함할 수 있다.
게시 모듈(231)은 외부의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전자게시판에 게시물을 업로드하거나, 게시된 게시물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게시된 게시물에 대하여 권한있는 사용자의 편집도 가능하게 한다. 권한있는 사용자는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람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등을 통해 권한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산정 모듈(233)은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건설시공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발주의뢰자 요구 데이터를 재산정한다.
데이터 산정 모듈(233)은 건설시공 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설시공 시뮬레이션 방법 이나 사례기반추론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과거 사례 데이터에 기반한 방법은 과거 사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과거 사례 중에서 발주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유사도를 평가하고, 유사한 사례를 채택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산정 모듈(233)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발주된 건설시공에 요구되는 최적장비와 가능 공사기간을 재선정할 수 있다.
후보 선정 모듈(235)은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수신받은 장비관련 데이터 및 견적서에 기초하여, 건설시공에 입찰한 입찰지원자 중에서 수행업체 후보를 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후보 선정 모듈(235)은 데이터 산정 모듈(233)에 의해 산정된 데이터와,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받은 발주의뢰자의 선정 우선순위에 따라 발주의뢰된 건설시공에 입찰한 입찰지원자 중에서 수행업체 후보를 선정한다.
통지 모듈(237)은 후보 선정 모듈(235)에 의해 선정된 수행업체 후보의 장비관련 데이터 및 견적서를 통신부(210)를 통해 발주의뢰 단말(100)에 전송하여, 최종 선정 확인을 요청한다.
또한, 통지 모듈(237)은 발주의뢰된 건설시공에 대한 최종 수행업체가 선정되면, 해당 수행업체의 입찰지원 단말 또는 수행업체의 연락처(연락 단말)을 통해 최종 수행업체로 선정되었음을 통지한다.
또한, 통지 모듈(237)은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최종 선정 또는 재선정 요청 등에 따라 타 구성요소에 처리를 전달할 수 있다.
평가 관리 모듈(239)은 입찰완료된 건설시공 완료 후 발주의뢰 단말(100)에게 수행업체의 입찰지원자 및 참여 건설기사의 평가를 통신부(210)를 통해 요청하고, 상기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수행업체의 입찰지원자 및 참여 건설기사의 평가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250)의 입찰자별 DB(254)에 저장하고, 다음 입찰시 활용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한 중간 결과 및 최종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 장치,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와 메모리부(250)가 통신하여 통신부(210)가 수신한 정보를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고, 제어부(230)가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정보 중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제어부(230)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부(250)에 송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50)는 발주의뢰자들로부터 획득한 건설시공 DB(252), 입찰지원자들로부터 획득한 입찰자별 DB(254), 참조장비 DB(256)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시공 DB(252)는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발주의뢰 접수시 발급받은 식별자별로 또는 발주의뢰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건설시공 DB(252)에 저장되는 정보는 발주의뢰자의 발주 접수시 수신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 및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의 수행업체 선정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중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 의해 매칭된 시공업체에 의해 건설이 시공된 경우, 입찰 관련 정보로서, 입찰지원자 관련 정보, 입찰결정일자 및 견적서가 함께 건설시공 DB(252)에 저장될 수 있다.
입찰자별 DB(254)는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임의의 입찰지원자에 대하여 평가 결과가 있는 경우 평가결과도 입찰자별 DB(254)에 저장될 수 있다.
참조장비 DB(256)는 각 제조회사의 제품모델별 참조장비 정보를 저장한다. , 제품모델별 참조장비 정보는 제조된 각종 장비에 대하여, 모델명, 제조회사, 제조회사 고장률, 고장이력, 평균연비, 작업모드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장비 정보는 서버에서 사전에 저장해 둔 정보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수행업체 선정서버(200) 구성부 중 해당 변형 예에 불필요한 기능/구성부가 생략되거나, 일부 구성부가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를 매개로 발주의뢰자는 자신의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매칭되는 입찰지원자들의 건설장비 정보 및 견적서를 미리 제공받아, 원하는 입찰지원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시스템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건설시공에 대한 발주를 의뢰받고(S100), 발주의뢰를 접수한다(S110).
발주의뢰 단말(100)이 발주를 의뢰 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다.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는 공사 기간, 건설시공장소, 건설종류, 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선정 우선순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정 우선순위는 발주의뢰자가 수행업체 선정시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싶은 항목의 순위를 말한다. 장비연비, 생산성, 장비제조회사, 고장이력, 견적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가 접수되면 발주관련 정보를 입찰지원자들이 확인가능하도록,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게시한다(S120). 이로써, 입찰지원 단말(300)이 네트워크를 통해 발주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발주의뢰된 건설시공에 대한 입찰을 지원받는다(S130).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입찰지원시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장비관련 데이터는 보유장비데이터, 장비 1일 사용료, 장비회사(maker), 참여가능한 건설기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유장비데이터는 출시일자, 제조회사, 제조회사 고장률, 고장이력, 평균연비, 작업모드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된 입찰지원자로부터 후보 수행업체를 선정한다(S140).
서버(200)가 후보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은 추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200)가 선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100)에 제공한다(S150).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정보는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발주의뢰 단말(100)이, 상기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즉 발주의뢰자로부터 최종 수행업체를 선택받는다(S160).
발주의뢰 단말(100)이 최종 수행업체를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게 통지한다(S170).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통지받은 선택된 최종 수행업체에 대응하는 입찰지원 단말(300)에게 최종 선정을 통지한다(S180).
입찰지원 단말(300)이 최종 선정됨을 확인하고, 자신이 상기 통지를 확인 및/또는 수락했음을 의미하는 메시지를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 통지한다(S190).
이로써, 건설 시공 업체가 선정되어, 건설 시공이 행해진다.
건설 시공 이후,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 단말(100)에게 입찰지원자 및 참여기사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여(S200),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평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S220, S230).
제공받은 평가정보는 추후 해당 입찰지원자의 입찰지원시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수신받고(S100), 발주의뢰를 접수한다(S110).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는 공사 기간, 건설시공장소, 건설종류, 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수행업체 선정시 고려할 선정 우선순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 접수시, 수신받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한다(S115).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 재산정시, 건설시공 시뮬레이션 방법, 사례기반추론 방법, 또는 이를 혼합한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례기반추론 방법은 과거 사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과거 사례 중에서 발주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유사도를 평가하고, 유사한 사례를 채택하는 방법이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이렇게 채택된 유사한 사례로부터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제시함으로써 수행한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를 입찰지원자들에게 제공한다(S125).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입찰지원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입찰지원 단말(300)에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입찰지원 단말(300)이 확인가능 하도록,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게시할 수 있다. 이로써, 입찰지원 단말(3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에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확인한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입찰을 지원받는다(S135).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입찰지원시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장비관련 데이터는 보유장비데이터, 장비 1일 사용료, 장비회사(maker), 참여가능한 건설기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유장비데이터는 출시일자, 제조회사, 제조회사 고장률, 고장이력, 평균연비, 작업모드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장비 데이터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장비 DB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고,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S140 내지 단계 S230은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의 단계 S140 단계의 후보 수행업체 선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시공 후보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시 생성되는 중간 데이터의 일 예이다.
먼저,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각 입찰지원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장비관련 데이터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 또는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입찰지원자를 필터링하여 제외한다(S142). 다시 말하면,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 또는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필터링된 입찰지원자는 수행업체 선정의 후보군에서 탈락시킨다.
이와 같이 단계 S142에 의해,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 또는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입찰지원자들이 제외된다.
각 입찰지원자의 건설장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입찰지원자를 필터링한다(S144).
여기서 임의의 기준은 입찰지원자가 등록한 기준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벗어난 건설장비를 보유장비에서 제외한 나머지 건설장비가 상기 필요충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일 수 있다. 또 다른 임의의 기준은, 입찰지원자가 등록한 복수의 건설장비 위치들을 확인하여, 각 건설장비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설장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입찰지원자가 공사현장에 실제 사용가능한 위치(가동 가능한 위치)에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44에서 필터링이 완료된 입찰지원자들의 장비 데이터에서 발주의뢰자 선정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각 항목에 대한 점수화를 진행한다(S145). 예컨대, 발주의뢰자 선정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항목이 도 9의 (a)와 같이 '연비'인 경우, 각 입찰자들의 보유장비별 연비를 기 저장된 참조장비 DB(256)의 참조장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점수화한다. 이 때, 서버(200)가 건설시공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작업의 종류와 빈도를 고려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200)가 분석한 작업 종류와 빈도가 도파링기 30%, 주행 20%, 심굴삭 30%, 상차 작업 20%인 경우, 도파링기에 사용되는 장비연비에 0.3을 곱하고, 주행에 사용되는 장비연비에 0.2을 곱하고, 심굴삭에 사용되는 장비연비에 0.3을 곱하고, 상차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연비에 0.2을 곱한 후 합산하면, 해당 입찰자의 총 보유장비에 대한 평균연비가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주의뢰자 선정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항목이 도 9의 (b)와 같이 '내구성'인 경우, 각 입찰자들의 보유장비별 내구성을 참조장비 DB의 참조장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점수화(레벨화)한다. 이 때, 서버(200)가 건설장비 데이터를 분석하여 내구성 평가와 연관되는 항목 예컨대 출시일자, 장비제조회사의 고장률, 해당 장비의 고장 이력, AM(after market) 서비스 수준을 추출하고, 건설시공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건설기간 중 장비사용이 가능한 가용시간 동안의 내구성을 고려한다.
단계 S145에서 필터링된 입찰지원자들의 장비 데이터의 점수에 발주의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가산점을 부여한다(S146).
점수 순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후보 수행업자를 선정한다(S148).
예컨대, 발주의뢰자의 선정 우선순위가, 1순위부터 연비, 장비 제조회사, 고장이력유무 차례인 경우, 단계 S144에서 필터링된 입찰지원자들의 장비정보 데이터를 확인하여, 연비가 좋은 순으로 입찰지원자 리스트를 정렬시키고, 연비의 순위별로 가산점을 부가할 수 있다.
다음, 선정된 입찰지원자 리스트에서 발주의뢰자가 선호하는 장비의 보유개수에 따라 가산점을 부가할 수 있다.
다음, 고장 이력의 개수에 감산점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때, 고장 이력의 부품의 중요도에 따라 감산점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된 감산점 또는 가산점을 합산하여 점수 순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점수 또는 미리 정해진 수의 수행업자를 후보 수행업자로서 선정한다.
후보 수행업자가 선정되면, 도 3과 도 4의 단계 150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 예이다.
도 6의 (a)는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건설장비 관련 데이터의 일 예이고, 도 6의 (b)는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서 재산정한 건설장비 관련 데이터의 일 예이다.
이와 같이, 발주의뢰 단말이 입력한 요청장비는 굴삭기3, 휠로더 3, 크레인 3인 반면, 재산정된 최적장비는 21t 휠굴삭기 2, 34t 크롤러 굴삭기1, 42t 크롤러 굴삭기1, 400휠로더 3, 크레인2, 사다리차 2, 건설기간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건설기간 또는 발주의뢰 단말이 입력한 데이터와 재산정된 데이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가 입찰 이전에 건설장비의 요구데이터의 적절성을 미리 확인하여 재산정 해 줌으로써, 발주의뢰자는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의 (c)는 발주의뢰 단말에게 제공되는 후보 수행업체의 장비관련 정보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주의뢰자의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발주의뢰자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변경이 통지받으면(S210), 변경된 건설 시공 데이터가 중요 정보인지 확인한다(S220).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단계 110에서 발주의뢰 접수시 저장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변경이 통지된 건설 시공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변경된 데이터(변경된 항목)이 최적장비 가능공사기간에 영향을 미칠만한 중요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S220에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변경된 건설 시공 데이터가 중요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단계 S125로 진행하여 변경된 건설 시공 데이터를 게시한다(S125). 이후 단계 S135로 진행한다.
단계 S220에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변경된 건설 시공 데이터가 중요 정보라고 판단하면, 변경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한다(S115).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입찰지원 단말(300)에게 제공한다(S125). 수행업체 선정서버(200)가 입찰지원 단말(300)이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게시하거나, 입찰지원 단말(300)에게 재산정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변경된 건설 시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찰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주의뢰자의 후보 재선정 요청에 대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단계 S150에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선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100)에 제공한다.
발주의뢰 단말(100)은 제공된 후보 수행업체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즉, 발주의뢰자로부터 최종 수행업체의 선정을 입력받거나, 후보 수행업체의 재선정을 입력받아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발주의뢰 단말(100)이 단계 S150에서 제공받은 후보 수행업체 중 최종 수행업체를 선택하지 않고, 후보 수행업체의 재선정을 입력하여 수행업체 선정서버(200)에 요청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200)는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후보 재선정을 요청받으면(S300), 발주의뢰 단말(100)에게 우선순위의 변경 또는 건설시공 관련하여 추가적인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한다(S310).
발주의뢰 단말(100)이 우선순위를 변경하거나 또는 건설시공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를 입력하여(S320), 입력 데이터를 전송한다(S330).
이 후, 서버(200)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후보 수행업체를 재선정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발주의뢰 단말(100)로부터 후보 재선정의 요청을 미리 정해진 횟수까지만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횟수가 3회이면 3회까지만 후보 재선정이 가능하고, 3회째 재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하여도 발주의뢰자가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하지 않는 경우,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미결정 건으로 처리한다.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미결정된 사실을 입찰지원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수행업체 선정서버(200)는 미결정되었음을 네트워크를 통해 게시하여, 입찰지원자들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시된 각 단계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발주의뢰 단말
200 : 서버
210 : 통신부
230 : 제어부
250 : 메모리부
300 : 입찰지원 단말

Claims (20)

  1.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방법으로서,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발주의뢰시 수신받은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서 접근가능 하도록 게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로부터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하는 단계;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장비관련 데이터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받고, 선정된 최종 수행업체에 대응하는 입찰지원 단말에게 최종 선정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는,
    각 입찰지원자의 장비관련 데이터가 상기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입찰지원자를 필터링하여 제외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는,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발주의뢰자의 선정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발주의뢰된 건설시공에 입찰한 입찰지원자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행업체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는 장비종류, 공사 기간, 건설시공장소, 건설종류, 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장비관련 데이터는 보유장비데이터, 장비사용료, 장비의 제조회사(maker), 참여가능한 건설기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장비 데이터는 보유장비현황, 출시일자, 제조회사, 제조회사 고장률, 고장이력, 평균연비, 작업모드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 우선순위는 장비연비, 생산성, 장비제조회사, 고장이력, 견적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가능 하도록 게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 분석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사례기반추론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 이전에,
    각 입찰지원자의 건설장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동 가능한 위치에 있는 장비인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변경을 통지받고, 변경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변경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은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후보 수행업체의 재선정을 요청받으면, 우선순위 변경 또는 건설시공 관련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입력된 우선순위 변경 또는 건설시공 관련 추가 데이터를 수신받고,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건설시공 완료 후 발주의뢰자로부터 선정된 입찰지원자 및 참여 건설기사의 평가정보를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자를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단계는,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발주의뢰자의 선정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저장된 참조장비 정보를 기반으로 입찰자들의 장비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평가하고, 평가된 항목들에 대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방법.
  13.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통신하여 건설시공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서버로서,
    발주의뢰 단말 및 입찰지원 단말과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입찰지원 단말로부터 입찰에 필요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아 입찰지원자 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수신받아 건설시공의 발주를 접수하고,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 중 최종 수행업체를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선정받아, 최종 수행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수행업체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가능하도록 전자게시판에 발주접수된 건설 게시하는 게시 모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발주의뢰자의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하는 데이터 산정 모듈;
    상기 데이터 산정 모듈에 의해 산정된 데이터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발주의뢰자의 선정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입찰지원자별 장비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후보 선정 모듈; 및
    선정된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의 장비관련 데이터 및 견적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발주의뢰 단말에 전송하여, 최종 선정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발주의뢰 단말에 의해 최종 수행업체가 선정되면, 상기 최종 수행업체에 선정사실을 통지하는 통지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선정 모듈은 각 입찰지원자의 장비관련 데이터가 상기 수행업체 선정을 위한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입찰지원자를 필터링하여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선정 모듈은 각 입찰지원자의 건설장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동 가능한 위치에 있는 장비인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의 변경을 통지받고, 변경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변경된 건설시공 관련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적장비 및 가능공사기간을 재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정된 후보 수행업체에 대한 장비관련 데이터와 견적서를 수신받은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후보 수행업체의 재선정을 요청받으면, 우선순위 변경 또는 건설시공 관련 추가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주의뢰 단말로부터 입력된 우선순위 변경 또는 건설시공 관련 추가 데이터를 수신받아 후보 수행업체를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의뢰자의 선정 항목에 대하여 필터링된 입찰자들의 장비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평가하고, 평가된 항목들에 대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참조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장비 DB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장비 정보를 기반으로 입찰자들의 장비관련 데이터를 항목별로 평가하고, 하나 이상의 후보 수행업체로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 서버.
KR1020160169839A 2016-12-13 2016-12-13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KR20180068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39A KR20180068174A (ko) 2016-12-13 2016-12-13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CN201711217291.XA CN108234593B (zh) 2016-12-13 2017-11-28 工程施工执行承包商选定服务器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39A KR20180068174A (ko) 2016-12-13 2016-12-13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174A true KR20180068174A (ko) 2018-06-21

Family

ID=6265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839A KR20180068174A (ko) 2016-12-13 2016-12-13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8174A (ko)
CN (1) CN108234593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802B1 (ko) * 2019-08-26 2020-04-22 최종철 공사-용역사업에 관한 온라인 공개입찰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66993B1 (ko) * 2020-03-19 2020-10-16 (주)하우스퍼즐 경쟁 입찰 방식을 이용한 하우스퍼즐의 건축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12580B1 (ko) * 2021-05-18 2021-10-14 구우성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리 및 시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036594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건축자재 판매 협업 플랫폼을 이용한 건축자재 판매 및 건축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20072979A (ko) * 2020-11-26 2022-06-03 이대근 작업자 중개 장치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26543B1 (ko) * 2021-08-20 2022-07-29 신영삼 재해예방활동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0561A (ko) * 2021-03-18 2022-09-27 박종진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KR102525903B1 (ko) * 2022-07-25 2023-04-26 (주)예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입찰 참여업체 예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340A (zh) * 2018-08-31 2019-01-01 万翼科技有限公司 项目供应商的引入方法及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52799B1 (ko) * 2020-02-17 2022-10-13 주식회사 스타키움 주변 시공사례와 공간별 공사 견적제공이 가능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6949B2 (en) * 2000-11-15 2011-10-11 Nick Nassiri Real-time, interactive, competitive method of on-line auction utilizing an auctioneer
CN103136624B (zh) * 2011-11-29 2016-03-23 北京建龙重工集团有限公司 工程项目招标、投标、评标的在线管理方法
CN104794643A (zh) * 2015-03-19 2015-07-22 布瑞克(苏州)农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农产品的远程招投标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802B1 (ko) * 2019-08-26 2020-04-22 최종철 공사-용역사업에 관한 온라인 공개입찰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66993B1 (ko) * 2020-03-19 2020-10-16 (주)하우스퍼즐 경쟁 입찰 방식을 이용한 하우스퍼즐의 건축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1187934A1 (ko) * 2020-03-19 2021-09-23 주식회사 하우스퍼즐 경쟁 입찰 방식을 이용한 하우스퍼즐의 건축파트너 매칭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36594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건축자재 판매 협업 플랫폼을 이용한 건축자재 판매 및 건축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72979A (ko) * 2020-11-26 2022-06-03 이대근 작업자 중개 장치
KR20220130561A (ko) * 2021-03-18 2022-09-27 박종진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KR102312580B1 (ko) * 2021-05-18 2021-10-14 구우성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리 및 시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426543B1 (ko) * 2021-08-20 2022-07-29 신영삼 재해예방활동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525903B1 (ko) * 2022-07-25 2023-04-26 (주)예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입찰 참여업체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34593B (zh) 2022-03-11
CN108234593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174A (ko)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US20200202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etitive pricing for vehicle services
US10255602B2 (en) Location-based verification for predicting user trustworthiness
US20170076344A1 (e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vehicle failures on public roadways
US20160071338A1 (en) Diagnostic unit and method
KR102112394B1 (ko) 렌터카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US11204970B2 (en) Real-time outage analytics and reliability benchmarking system
US81907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rvice providers using a social network
KR101517966B1 (ko)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US78772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milar auction identification
US201600424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urrent Rental Vehicle Location and Rate Selection Using Network Based Data
JP2018508877A (ja) 技術プロジェクトをクラウドソーシ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9290B1 (ko)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0170A (ko) 문답형 지식검색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거래 시스템 및 방법
EP2646969A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etitive pricing for vehicle services
JP2021535496A (ja) 航空宇宙ip取引
CN112102099B (zh) 保单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76108B1 (ko)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0804B1 (ko) 소프트웨어 개발 원가검증 시스템
US80865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ve collaborative marketplaces
CN107609942A (zh) 一种业务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US202100496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cial Network for Automotive Quotes
US20180121862A1 (en) Vehicle service management system
KR20180036949A (ko)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060253480A1 (en)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for a design team, outside suppliers, and outside manufactu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