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60A -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60A
KR20180068060A KR1020160169642A KR20160169642A KR20180068060A KR 20180068060 A KR20180068060 A KR 20180068060A KR 1020160169642 A KR1020160169642 A KR 1020160169642A KR 20160169642 A KR20160169642 A KR 20160169642A KR 20180068060 A KR20180068060 A KR 2018006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ing
shaped frame
lift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492B1 (ko
Inventor
이행범
강효상
박법효
이상현
심재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4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에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링형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형부; 및 상기 이형부의 일면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체결부에는 후크 체결용 개구가 형성되어, 작업자는 크레인 와이어에 달려있는 후크를 상기 후크 체결용 개구에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지그는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에 설치되기 때문에, 턴오버 작업동안 상기 리프팅 지그가 설치된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원통형 중량물의 돌출 부분들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JIG AND METHOD FOR LIFTING CYLINDRICAL HEAVY BODY}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 아래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수직으로 세우기 용이하도록 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중량물에는 리프팅을 위한 러그들이 곳곳에 형성되어 있다. 중량물의 리프팅 작업시에는 크레인에 달려 있는 와이어 끝에 연결된 후크를 중량물의 러그 등에 체결하여 리프팅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프팅 작업에서, 누워있는 중량물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크레인의 후크를 연결하고 상부만을 들어올려 중량물을 세우는 턴오버(turn-over)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크레인에 달려 있는 와이어가 금속 소재인 관계로, 상기 턴오버 작업시에 중량물의 상부가 위로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 중량물의 군데군데 형성되어 있는 돌출된 부위가 상기 와이어에 걸려 손상되거나, 도색된 부분이 벗겨지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에 윤활유 냉각기(300)를 리프팅하기 위해 상부 러그(331, 332) 및 하부 러그(333)에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된 후크들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다. 윤활유 냉각기(300)는 상부(301)와 하부(302)로 나뉘고, 상부(301)에는 상부 러그(331, 332), 상부 헤드(310), 제1 도관(321), 제2 도관(322), 제3 도관(323), 및 기타 돌출부(340)가 형성되며, 하부(302)에는 하부 러그(333)가 형성된다.
도 1에는 상부 러그(332)에 후크를 걸지 않았지만, 실제 작업시에는 상부 러그(331, 332) 모두에 후크를 걸어 상부(301)를 들어올린다. 그러나 이렇게 윤활유 냉각기의 상부(301) 자체에 형성된 러그(331, 332)를 활용할 경우, 상부(301)에 형성된 상부 헤드(310), 제1 도관(321), 제2 도관(322), 제3 도관(323), 및 기타 돌출부(340)에 와이어가 걸리면서 각 부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고, 이렇게 와이어가 각 부분에 걸리게 되면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여 인명 피해 또는 장비 파손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에 조립 가능한 지그를 제작하여 원통형 중량물의 턴오버 작업시의 중량물 손상을 최소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에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링형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형부; 및 상기 이형부의 일면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체결부에는 후크 체결용 개구가 형성되어, 작업자는 크레인 와이어에 달려있는 후크를 상기 후크 체결용 개구에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프팅 지그는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에 설치되기 때문에, 턴오버 작업동안 상기 리프팅 지그가 설치된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원통형 중량물의 돌출 부분들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은 반원형의 제1 프레임 및 반원형의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프레임을 둘로 나눔으로써, 필요시에만 조립을 하여 중량물의 리프팅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형부 및 상기 후크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레임마다 후크 체결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각 프레임의 후크 체결부가 서로 대칭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에 의한 상향 리프팅이 더욱 안정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마주보고 접하여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일 예로서, 마주보는 결합부 세트 중 하나는 경첩과 같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 세트는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 내부면에 제1 고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 상부면에 제2 고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무층 및 제2 고무층이 각 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됨으로써, 리프팅 지그가 원통형 중량물에 설치될 때 원통형 중량물의 표면에 금속이 아닌 고무가 닿게 되고, 마찰에 의한 도색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의 특성상 원통형 중량물에 설치된 리프팅 지그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1차적으로 방지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보다 내부 반경이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 설치시, 하부 프레임은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 아래에 위치되고 상부 프레임은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실제로 상부 헤드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은 리프팅 지그의 하부 프레임의 상부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리프팅 지그의 내부면들 중 원통형 중량물의 표면에 맞닿게 되는 내부면은 고무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면 사이에 계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단부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단부가 중량물의 상부 헤드 하부면을 지지하게 되며, 여기에 고무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레그는 하방으로 연장하고, 원통형 중량물의 도관들(321, 32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리프팅 지그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중량물 리프팅 방법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반원형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링형 프레임을 중량물의 상부 헤드 아래에 걸리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볼트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후크 체결부의 구멍에 제1 리프팅 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중량물의 하부에 제2 리프팅 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리프팅 와이어로 상기 중량물의 상부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형 프레임을 중량물의 상부 헤드 아래에 걸리도록 배치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중량물 외부로 돌출된 대부분의 부품 또는 부분들이 크레인 와이어와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종래 리프팅 방법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턴오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중량물의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은 예를 들면 도 1과 도 2의 도관들(321, 322)이다. 지지 레그를 이러한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리프팅 작업 도중 리프팅 지그가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에 의하면, 원통형 중량물 상부에 상기 리프팅 지그를 설치하여 중량물의 턴오버 작업을 수행할 경우 크레인 와이어가 중량물의 돌출 부분들에 걸려 도색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윤활유 냉각기를 리프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윤활유 냉각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리프팅 지그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지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리프팅 지그(1)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포함하는 링형 프레임, 상기 각 프레임(100, 20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형부(150, 250), 제1 이형부(150) 및 제2 이형부(250)로부터 각각 상기 링형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체결부(160, 260)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100, 200)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며, 프레임(100, 200)의 표면은 외부면(110, 210), 내부면(120, 220), 상부면(130, 230), 및 하부면(140, 240)으로 구성된다. 외부면(110, 210)은 리프팅 지그(1) 설치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고, 내부면(120, 220)은 리프팅 지그를 중량물에 설치하면 중량물(300)의 표면과 마주보고 접촉하는 표면이다. 상부면(130, 230)은 리프팅 설치시 중량물(300)의 상부 헤드(310) 하부면에 접촉하고, 리프팅 작업시에 중량물의 상부 헤드(310)를 지지하여 중량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면(140, 240)은 상부면(130, 230) 반대편에 위치되고, 리프팅 지그(1) 설치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다.
상기 이형부(150, 250)는 이형부 개구(151, 251)를 갖는다. 이형부 개구(151, 251)는 각 러그(170, 270)에 형성된 러그 개구(171, 271)와 함께 각 프레임(100, 200)을 들어올려 원통형 중량물에 조립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100, 200)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릴 수도 있으나, 중량이 커지면 이 개구들에 크레인을 연결하여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원형의 프레임(100, 200) 양단에는 결합부(180, 28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180)와 제2 결합부(280)는 플레이트형으로서, 이들에는 나사공(181, 28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공(181)과 제2 나사공(281)은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여기에 볼트 및 너트(182)를 끼워 두 프레임(100, 200)을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들은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첩을 활용하여 한쪽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시켜놓고 다른 한쪽에서만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다면 각 프레임(100, 200)을 따로 들어올릴 필요 없이, 리프팅 지그(1)를 한번에 들어올려서 원통형 중량물(300)에 조립할 수 있다.
이형부(150, 250)는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링형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다. 이형부는 상부 표면(152, 252)과 하부 표면(153, 253)을 가지는데, 후크 체결부(160, 260)는 상부 표면(152, 252)에 형성된다. 후크 체결부(160, 260)가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110, 210)에 직접 형성되어도 되겠지만, 외부면(110, 21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놓는 것이 상부 헤드(310)와의 마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즉, 상부 헤드(310) 측면에 돌출된 부분,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부분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후크 체결부(160, 260)는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110, 21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체결용 개구(161, 261)는 중량물(300)에 리프팅 지그(1)를 설치하였을 때, 중량물(300)의 최상단보다 더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와이어와 중량물 사이의 간섭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리프팅 지그(1)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포함하는 링형 프레임, 상기 각 프레임(100, 20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형부(150, 250), 제1 이형부(150) 및 제2 이형부(250)로부터 각각 상기 링형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체결부(160, 260)를 포함할 뿐 아니라, 상기 각 프레임(100, 200)은 상부 프레임(101, 201)과 하부 프레임(102, 202)으로 구성된다.
하부 프레임(102, 202)은 상부 프레임(101, 201)보다 내부 반경이 작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원통형 중량물(300)의 상부 헤드(310)의 하부면이 하부 프레임(102, 202)의 상부면인 제2 내부면(122, 222)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부 헤드(310)의 측면이 상부 프레임(101, 201)의 내부면인 제1 내부면(121, 221)으로 감싸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리프팅 지그(1)가 중량물(300)을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각 프레임(100, 200)의 단면은 도 5와 같다. 이 경우 프레임(100, 200)의 표면은 크게 외부면(110, 210), 내부면(120, 220), 상부면(130, 230), 및 하부면(140, 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면(110, 210)은 제1 외부면(111, 211), 제2 외부면(112, 212), 및 제3 외부면(113, 213)으로 나뉘고 상기 내부면(120, 220)은 제1 내부면(121, 221), 제2 내부면(122, 222), 및 제3 내부면(123, 223)으로 나뉜다.
제1 내부면(121, 221)은 상부 헤드(310)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제2 내부면(122, 222)은 상부 헤드(310)의 하부면을 지탱한다. 제3 내부면(123, 223)은 중량물 상부(301)의 몸통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외부면(110, 210)의 경우, 위와 같이 제1 외부면 내지 제3 외부면으로나누지 않고 하나의 면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형부(150, 250)는 상부 프레임(101, 201) 또는 하부 프레임(102, 202)에 형성될 수 있다.
반원형의 프레임(100, 200) 양단에는 결합부(180, 28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180)와 제2 결합부(280)는 플레이트형으로서, 이들에는 나사공(181, 28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공(181)과 제2 나사공(281)은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여기에 볼트 및 너트(182)를 끼워 두 프레임(100, 200)을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들은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첩을 활용하여 한쪽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시켜놓고 다른 한쪽에서만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다면 각 프레임(100, 200)을 따로 들어올릴 필요 없이, 리프팅 지그(1)를 한번에 들어올려서 원통형 중량물(300)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80, 280)는 상부 프레임(101, 201), 하부 프레임(102, 202), 또는 상부 프레임(101, 201)과 하부 프레임(102, 202) 모두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형부(150, 250)는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링형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한다. 이형부는 상부 표면(152, 252)과 하부 표면(153, 253)을 가지는데, 후크 체결부(160, 260)는 상부 표면(152, 252)에 형성된다. 후크 체결부(160, 260)가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110, 210)에 직접 형성되어도 되겠지만, 외부면(110, 21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놓는 것이 상부 헤드(310)와의 마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즉, 상부 헤드(310) 측면에 돌출된 부분,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부분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후크 체결부(160, 260)는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110, 21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리프팅 지그(1)의 상부 프레임(101, 201)이 중량물(300)의 상부 헤드(310)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후크 체결부(160, 260)가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110, 21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야 할 필요성이 적다고 볼 수도 있으나, 크레인의 후크를 지그(1)에 체결할 때 중량물(300)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전히 이격의 필요성은 존재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후크 체결용 개구(161, 261)는 중량물(300)에 리프팅 지그(1)를 설치하였을 때, 중량물(300)의 최상단보다 더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와이어와 중량물 사이의 간섭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지그(1)를 윤활유 냉각기(300)의 상부(301)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작업자는 도 6에서와 같이 리프팅 지그(1)를 상부 헤드(310) 아래에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그 후 도 7에서와 같이 리프팅 지그(1)의 후크 체결용 개구(161, 261) 및 하부 러그(333)에 크레인의 후크를 체결한다. 하부 러그(333)에 체결된 와이어보다 리프팅 지그(1)에 체결된 와이어를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들어올림으로써 턴오버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윤활유 냉각기(300)의 상부(301) 쪽에 체결된 와이어를 먼저 끌어 올리더라도 와이어가 윤활유 냉각기(300)의 몸체에 닿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윤활유 냉각기(300)에 전혀 손상이 생기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리프팅 지그(1)는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140, 240)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지지 레그(190, 290)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할 때, 내부면(120)과 상부면(130)에 고무층(105, 205)이 형성되더라도, 지지 레그가 없는 리프팅 지그(1)의 경우 리프팅 작업 중에 지그(1)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약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 레그(190, 290)는 윤활유 냉각기(300)에 형성된 돌출부, 예를 들어 도관(321, 322) 사이에 끼워지면 지그(1)의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리프팅 지그(1)는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140, 240)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지지 레그(190, 29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와는 달리 윤활유 냉각기(300)에 형성된 돌출부, 예를 들어 제1 도관(321), 제2 도관(322), 또는 제3 도관(321, 322)의 양 측방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면 지그(1)의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 레그(190, 290)가 제1 도관(321)과 제2 도관(322) 사이에 끼워져 조립된 사용 상태도를 볼 수 있다. 지지 레그(190, 290)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레그(190, 290)의 형상은 들어올릴 대상물의 돌출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맞추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윤활유 냉각기(300)의 경우 도관(321, 322)의 유선형 형태에 맞추어 지지 레그 역시 유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100: 제1 프레임 200: 제2 프레임
101: 상부 프레임 201: 상부 프레임
102: 하부 프레임 202: 하부 프레임
105: 고무층 205: 고무층
110: 외부면 210: 외부면
111: 제1 외부면 211: 제1 외부면
112: 제2 외부면 212: 제2 외부면
113: 제3 외부면 213: 제3 외부면
120: 내부면 220: 내부면
121: 제1 내부면 221: 제1 내부면
122: 제2 내부면 222: 제2 내부면
123: 제3 내부면 223: 제3 내부면
130: 상부면 230: 상부면
140: 하부면 240: 하부면
150: 제1 이형부 250: 제2 이형부
152: 상부 표면 252: 상부 표면
153: 하부 표면 253: 하부 표면
151: 제1 이형부 개구 251: 제2 이형부 개구
160: 제1 후크 체결부 260: 제2 후크 체결부
161: 제1 후크 체결용 개구 261: 제2 후크 체결용 개구
170: 러그 270: 러그
171: 러그 개구 271: 러그 개구
180: 제1 결합부 280: 제2 결합부
181: 제1 나사공 281: 제2 나사공
190: 지지 레그 290: 지지 레그
182: 볼트 및 너트 300: 윤활유 냉각기
301: 상부 302: 하부
310: 상부 헤드 321: 제1 도관
322: 제2 도관 323: 제3 도관
331, 332: 상부 러그 333: 하부 러그
340: 기타 돌출부

Claims (13)

  1. 원통형 중량물의 상부 헤드에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링형 프레임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형부; 및
    상기 이형부의 일면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체결부에는 후크 체결용 개구가 형성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프레임은 반원형의 제1 프레임 및 반원형의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형부 및 상기 후크 체결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마주보고 접하여 볼트 결합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 내부면에 제1 고무층을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 상부면에 제2 고무층을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보다 내부 반경이 작은,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면 사이에 계단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용 리프팅 지그.
  12. 반원형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링형 프레임을 중량물의 상부 헤드 아래에 걸리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볼트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후크 체결부의 구멍에 제1 리프팅 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중량물의 하부에 제2 리프팅 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리프팅 와이어로 상기 중량물의 상부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의 리프팅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중량물의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통형 중량물의 리프팅 방법.
KR1020160169642A 2016-12-13 2016-12-13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KR10189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2A KR101890492B1 (ko) 2016-12-13 2016-12-13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2A KR101890492B1 (ko) 2016-12-13 2016-12-13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0A true KR20180068060A (ko) 2018-06-21
KR101890492B1 KR101890492B1 (ko) 2018-08-21

Family

ID=6280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2A KR101890492B1 (ko) 2016-12-13 2016-12-13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07U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초저온 펌프의 클램핑 지그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673A (ja) * 1996-05-09 1997-11-2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大径管吊り揚げ金具
KR20090111666A (ko) * 2008-04-22 2009-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밸브 권양용 지그
KR101589121B1 (ko) * 2013-08-01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설비의 파이프 인양지그 장치 및 파이프 수직 결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673A (ja) * 1996-05-09 1997-11-2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大径管吊り揚げ金具
KR20090111666A (ko) * 2008-04-22 2009-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밸브 권양용 지그
KR101589121B1 (ko) * 2013-08-01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설비의 파이프 인양지그 장치 및 파이프 수직 결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07U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초저온 펌프의 클램핑 지그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492B1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082B2 (en) Arrangement for lifting a tower wall portion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lifting a tower wall portion of a wind turbine
KR101817634B1 (ko) 차량 리프트용 지지 장치
US9821987B2 (en) Adjustable universal adaptor for a lifting jack
JP6070039B2 (ja) 玉掛け用吊り治具
KR101890492B1 (ko) 원통형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지그 및 방법
KR101743358B1 (ko) 파일 인양기구
EP2871147B1 (en) Elevator with tubular motor and divided motor mount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US3744837A (en) Pipe sling
JP5822220B1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EP3507489A1 (en) Rotor blade assembly
JP6723119B2 (ja)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KR101647196B1 (ko) 중량물 인양 작업용 러그 조립체
CN112777478B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US11125214B2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ding means in a wind turbine and adapter
KR101577933B1 (ko) 선체용 로딩 암 구조체의 정비 보조장치
KR101323793B1 (ko) 케이블 공급장치
KR101444135B1 (ko) 장갑차용 인양장치
CN220439401U (zh) 脱模工装和线圈脱模设备
CN213595708U (zh) 一种船用低速柴油机整机起吊用双耳吊具
CN107986147B (zh) 一种单裙发动机的翻转吊具
KR20180002087U (ko) 하이드로릭 텐셔너 지지장치
JP6914813B2 (ja) 型枠吊上げ用金具
JP6844919B2 (ja) 固定具
KR20160000252A (ko) 고중량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