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39A -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39A
KR20180068039A KR1020160169605A KR20160169605A KR20180068039A KR 20180068039 A KR20180068039 A KR 20180068039A KR 1020160169605 A KR1020160169605 A KR 1020160169605A KR 20160169605 A KR20160169605 A KR 20160169605A KR 20180068039 A KR20180068039 A KR 2018006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ayer
component
water
solu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553B1 (ko
Inventor
정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스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스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스텝
Priority to KR102016016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553B1/ko
Priority to PCT/KR2017/011519 priority patent/WO2018110819A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11D7/12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세정 시트는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층; 및 상기 세정층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세정층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수 재질의 밀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CLEAN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세정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 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정제는 액상을 이용한 스프레이로 분무하여 사용하거나 천에 묻혀 사용한다. 그러나 세정제 스프레이로 분무할 경우, 원치 않은 부분까지 세정제가 뿌려지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미세한 세제 입자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기 때문에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에 묻혀 사용할 경우에는 세정제 사용량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피부에 자극을 주어 장갑을 착용하는 등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천을 사용한 후에 빨아 말려서 보관해야 하는 등 부수적인 번거로움이 많아 세제 관련 제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거나 귀찮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천 대신에 예를 들어, 걸레, 키친타올, 휴지 등에 세정제를 함침한 세정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즉, 세정 시트나 오염 부위에 세정제를 도포할 필요 없이, 세정 시트를 오염 부위에 부착하여 세정 시트에 함침된 세정제가 오염 부위를 세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트에 세정제가 함침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그 무게로 인하여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으며, 세정 시트 자체에 함침된 세정제가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되어 세정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염 부위에 사용 시에도 시트에 함침된 세정제가 증발함으로써, 세정 시트 사용자가 증발된 세정 성분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증발을 감안하여 오염 부위를 세정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다량의 세정제가 시트에 함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세제의 낭비를 초래하고,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세정 시트 및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중에 세정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 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정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정 시트는,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층; 및 상기 세정층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세정층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수 재질의 밀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층은 상기 밀폐층에 세정 성분을 도포 및 건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 성분은 건조 분말로 형성되어 수분과 접하여 융해되면서 오염 물질에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는 상기 수분에 상기 세정 성분이 융해되거나 상기 융해 후 증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층은 상기 세정 성분의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층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 성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고정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층은 상기 세정 성분의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층은 상기 세정층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 재질의 원단에 방수층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밀폐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밀폐층 상에 세정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세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세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층의 저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고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층의 일 면에 밀폐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층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 재질의 원단에 방수층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층의 다른 일 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고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 물질에 물을 뿌려 세정 시트를 부착하고, 세정 시트의 세정제가 충분히 용해되도록 한 다음 일정 시간 경과 후 세정 시트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세정 물질을 형성함으로써, 보관, 휴대, 운반이 편리하고 소량 휴대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 성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증발되지 않게 함으로써, 세정 성분의 유해한 성분이 신체에 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세정 시트(100)는 오염 물질 상에 부착되어, 세정 작용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폐층(110) 및 세정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층(110)은 방수 재질의 시트를 제공하거나 섬유 재질의 원단에 방수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방수 밀폐층(110)(layer)을 형성하여 밀폐층(110) 하단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출 또는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층(110)은 방수 물질만으로 형성되거나 천연 섬유 재질, 합성 섬유 재질 등의 원단에 방수 물질을 점착, 융착, 접착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밀폐층(11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층(110)은 1~30%의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층(110) 하측의 세정층(120)의 세정 작용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세정 시간 및 세척 시간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밀폐층(110)의 상기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층(120)은 세정 성분으로 이루어진 층으로서, 여기서 세정 성분은 청소용 세제, 주방용 세제, 살균제, 표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세정층(120)은 밀폐층(110)의 일면에 세정 성분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여 예를 들어, 분말 또는 고형의 건조된 세정 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 성분이 건조된 상태의 세정층(120)을 형성함으로써, 보관 상태에서 세정 성분의 증발이나 이로 인한 인체 호흡,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로 인하여 세정 성분의 무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시트(100)의 사용 시에는 오염 물질에 소정의 수분을 부가한 후, 수분이 부가된 오염 물질 상에 세정 시트(100)를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된 세정층(120)이 수분과 접하여 융해되면서 오염 물질에 침투하는 등 세정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이후, 세정 시트(100)를 제거하고, 오염 물질을 물 등으로 세척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세정층(120)은 세정 성분에 부가하여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세정 성분에 의한 세정 작용을 보다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분과 접하여 발포를 발생시키는 탄산염(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 아세트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정층(120)은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제는 펄프,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제가 세정 성분과 함께 세정층(12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세정층(120)의 내구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세정 시트(200)는 세정층(120)의 저면에 고정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층(130)은 세정층(120)이 세정 성분이 건조된 상태로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세정층(120)의 적어도 일부가 밀폐층(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층(130)은 세정 시트(200)의 사용 시에 제거되어, 수분이 부가된 오염 물질이 세정층(120)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층(130)은 수용성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고분자 성분으로 이루어진 층이 세정층(120)에 부착되거나, 세정층(120)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의 용액을 도포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층(130)은 수용성 고분자 성분에 부가하여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세정 성분에 의한 세정 작용을 보다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분과 접하여 발포를 발생시키는 탄산염(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 아세트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정 시트(300, 300')의 밀폐층(110')은 평판 형상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 영역이 세정층(1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밀폐층(110')은 세정층(120)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 방향의 외력 등에 의해 세정층(120)의 적어도 일부가 밀폐층(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세정 시트(300, 300')의 사용 시, 세정층(120)이 수분과 접하여 생성되는 세정 성분, 오염 물질 등의 유체가 세정 시트(300, 300') 외측으로 유출되거나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세정 시트(300, 3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서 밀폐층(110')은 세정층(120)뿐만 아니라 고정층(130)의 측면까지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S410 단계에서, 밀폐층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층은 세정층에서 발생하는 유체(세정 성분 등)의 유출 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 물질만으로 밀폐층을 형성하거나, 천연 섬유 재질, 합성 섬유 재질 등의 원단에 방수 물질을 점착, 융착, 접착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밀폐층을 형성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밀폐층의 일면에 세정 성분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성분은 청소용 세제, 주방용 세제, 살균제, 표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430 단계에서, 세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30 단계는 S420 단계에서 도포된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분말 또는 고형의 세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세정 촉진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420 단계와 동시에 또는 S42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포된 세정 촉진제는 S430 단계에서 세정 성분과 함께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층에 세정 성분과 함께 세정 촉진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세정 시트의 세정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420 단계는 세정 성분에 부가하여 충진제를 도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20 단계는 세정 성분과 충진제를 혼합한 후 밀폐층의 일 면에 도포하거나, 세정 성분과 충진제를 순차적으로 밀폐층의 일 면에 도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제는 펄프,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방법(500) 중 S510 단계 내지 S530 단계는 도 4의 방법(400) 중 S410 단계 내지 S430 단계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S530 단계에서 세정층을 형성한 후에, S540 단계에서, 세정층의 일 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수분에 의해 융해되는 성분으로서,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고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S550 단계는 S540 단계에서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층이 밀폐층과 함께 분말 또는 고형의 세정층이 세정 시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 시트의 사용 시 수분에 융해되어 세정층이 오염 물질에 대해 세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세정 촉진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540 단계와 동시에 또는 S54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포된 세정 촉진제는 S550 단계에서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함께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층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과 함께 세정 촉진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세정 시트의 세정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S610 단계에서, 세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S610 단계는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정 성분은 청소용 세제, 주방용 세제, 살균제, 표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610 단계를 통해 세정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분말 또는 고형의 세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세정층의 일 면에 밀폐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층은 세정층에서 발생하는 유체(세정 성분 등)의 유출 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S620 단계는 기제조된 밀폐층을 세정층에 부착하거나 방수 물질을 이용하여 세정층의 일 면에 밀폐층을 제조(예를 들어, 방수 물질의 도포 및 건조 등)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밀폐층은 방수 물질만으로 형성되거나, 천연 섬유 재질, 합성 섬유 재질 등의 원단에 방수 물질을 점착, 융착, 접착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세정 촉진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예를 들어,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는 S610 단계와 동시에 또는 S61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61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세정 촉진제는 세정 성분과 함께 건조될 수 있으며, S61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세정 촉진제를 건조하는 단계가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610 단계는 세정 성분에 부가하여 충진제를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충진제는 펄프,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의 방법(700) 중 S710 단계 내지 S720 단계는 도 6의 방법(600) 중 S610 단계 내지 S620 단계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S730 단계에서, 세정층의 일 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수분에 의해 융해되는 성분으로서,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고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S740 단계는 S730 단계에서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층이 밀폐층과 함께 분말 또는 고형의 세정층이 세정 시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 시트의 사용 시 수분에 융해되어 세정층이 오염 물질에 대해 세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세정 촉진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730 단계와 동시에 또는 S53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도포된 세정 촉진제는 S740 단계에서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함께 건조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300' 세정 시트 110, 110' 밀폐층
120 세정층 130 고정층

Claims (14)

  1. 세정 시트로서,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층; 및
    상기 세정층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세정층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수 재질의 밀폐층을 포함하는, 세정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층은 상기 밀폐층에 세정 성분을 도포 및 건조함으로써 생성되는, 세정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성분은 건조 분말로 형성되어 수분과 접하여 융해되면서 오염 물질에 침투하는, 세정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수분에 상기 세정 성분이 융해되거나 상기 융해 후 증발에 의해 형성되는, 세정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층은 상기 세정 성분의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정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층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 성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고정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정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상기 세정 성분의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정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촉진제는 탄산염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정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은 상기 세정층의 상면 및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세정 시트.
  9.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 재질의 원단에 방수층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밀폐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밀폐층 상에 세정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세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세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층의 저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고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세정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세정 성분을 건조하여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층의 일 면에 밀폐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층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 재질의 원단에 방수층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층의 다른 일 면에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수용성 고분자 성분을 건조하여 고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폴리 비닐 알코올, 젤라틴, 전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합성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및 천연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69605A 2016-12-13 2016-12-13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05A KR101895553B1 (ko) 2016-12-13 2016-12-13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7/011519 WO2018110819A1 (ko) 2016-12-13 2017-10-18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05A KR101895553B1 (ko) 2016-12-13 2016-12-13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39A true KR20180068039A (ko) 2018-06-21
KR101895553B1 KR101895553B1 (ko) 2018-10-18

Family

ID=6255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05A KR101895553B1 (ko) 2016-12-13 2016-12-13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553B1 (ko)
WO (1) WO2018110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1040B2 (ja) 2016-02-15 2021-11-24 モダン メドウ,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合バイオファブリケーテッド材料
AU2018253595A1 (en) 2017-11-13 2019-05-30 Modern Meadow, Inc. Biofabricated leather articles having zonal properties
MX2021008462A (es) 2019-01-17 2021-08-19 Modern Meadow Inc Materiales de colageno estratificados y metodos para fabricarlo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466U (ja) * 1991-04-24 1993-09-17 カミ商事株式会社 手挿入可能な洗浄用具
JPH10204499A (ja) * 1997-01-23 1998-08-04 Kao Corp シート状洗剤
KR20050019122A (ko) * 2002-06-07 2005-02-2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 물품
KR101268069B1 (ko) * 2012-08-14 2013-05-29 주식회사 에버코스 자가로 발포된 거품이 잘 배출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티백 타입의 클렌징 패드
KR101514184B1 (ko) * 2014-06-24 2015-05-04 주식회사 농협홍삼 자가발포 스크럽클렌징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클렌징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25B1 (ko) * 2009-02-24 2013-04-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트형 세제,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498081B2 (ja) * 2009-07-31 2014-05-21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466U (ja) * 1991-04-24 1993-09-17 カミ商事株式会社 手挿入可能な洗浄用具
JPH10204499A (ja) * 1997-01-23 1998-08-04 Kao Corp シート状洗剤
KR20050019122A (ko) * 2002-06-07 2005-02-2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 물품
KR101268069B1 (ko) * 2012-08-14 2013-05-29 주식회사 에버코스 자가로 발포된 거품이 잘 배출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티백 타입의 클렌징 패드
KR101514184B1 (ko) * 2014-06-24 2015-05-04 주식회사 농협홍삼 자가발포 스크럽클렌징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클렌징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553B1 (ko) 2018-10-18
WO2018110819A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553B1 (ko) 세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A2247428C (en) Device for cleaning flat objects
CN1481459A (zh) 织物处理装置
JPH03164403A (ja) 二酸化塩素発生体
CN1183062A (zh) 清洁装置和清洁方法
US10092932B2 (en) Multilayered disposable cleaning pad
US6576604B1 (en) Adhesive cleaning sheet
US20080244845A1 (en) Wipe for surface treatment so that a user can verify and/or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said treatment
US20120124762A1 (en) Deordorizing member with cleaning ability and method
JP2005124857A (ja) 清掃用物品
KR101494106B1 (ko) 부착형 세제
JP3559484B2 (ja) 洗浄用袋体及び洗浄方法
WO2006006284A1 (ja) 洗浄用袋体及び洗浄方法
JP2007215619A (ja) 液剤徐放用具
KR101890897B1 (ko) 오염제거용 패드
KR20230127675A (ko) 의류오염제거패치
CN206151386U (zh) 一种抹布
CN212422378U (zh) 一种防污干、湿纸巾
JP6679057B1 (ja) 携帯洗濯セット及び洗濯方法
JP5498081B2 (ja) 清掃用シート
CN214937160U (zh) 一种自清洁粘胶垫
JP4273216B2 (ja) 清掃用シート
JP4563762B2 (ja) 洗浄用袋体及び洗浄方法
JP3212970U (ja) 足裏シート
JPH04130761U (ja) 清掃用テ−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