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864A -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864A
KR20180067864A KR1020160169241A KR20160169241A KR20180067864A KR 20180067864 A KR20180067864 A KR 20180067864A KR 1020160169241 A KR1020160169241 A KR 1020160169241A KR 20160169241 A KR20160169241 A KR 20160169241A KR 20180067864 A KR20180067864 A KR 2018006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composition
hard coating
polymer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브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864A/ko
Publication of KR2018006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분자 중에 덴드리머 구조를 가지며, 분자의 말단에 불소 원자가 3 내지 4개 결합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COMPOSITION FOR HARD-COATING FILM AND HARD-COATING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드코팅 필름(hard-coating film)은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브라운관,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표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부분 잘 휘지 않는(Rigid) 형태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하드코팅 필름이 가져야 할 물성으로 유리(glass) 기판과 유사한 수준의 경도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고경도를 갖는 하드코팅 필름의 적용이 어려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할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고경도를 갖는 하드코팅 필름은 구부릴 때 크랙(crack)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할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정 수준의 경도와 더불어 우수한 밴딩성을 나타내는 하드코팅 필름을 얻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5443호
본 발명은 일정 수준의 경도 및 우수한 밴딩성을 나타내는 하드코팅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자 중에 덴드리머 구조를 가지며, 분자의 말단에 불소 원자가 3 내지 4개 결합된 폴리머(a);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 실리카(d); 광개시제(e); 및 용매(f)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a)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된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분자 중에 덴드리머 구조를 갖는 폴리머(a)가 최적 비율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경우, 요구되는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며 밴딩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통상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드코팅 필름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6H 내지 8H 범위의 연필경도를 가지면서 우수한 밴딩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 폴리머(a)가 함유되면서 각 성분의 조성비가 조절된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할 경우 6H 내지 8H 범위의 연필경도를 가지면서 우수한 밴딩성을 나타내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이하, '조성물'이라 함)은 폴리머(a),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 실리카(d), 광개시제(e) 및 용매(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머(a)는 분자 중에 덴드리머 구조를 가지며, 분자의 말단에 불소 원자가 3 내지 4개 결합된 것이다. 상기 덴드리머 구조란 모노머가 분지되면서 중합되어 방사형상으로 펼쳐진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폴리머(a)는 분자의 말단 또는 측쇄에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비닐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등의 관능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결합된 관능기의 수는 20개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 및 내마모성 등을 고려할 때, 분자의 말단에 결합된 관능기는 비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수는 15 내지 2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a)는 하기 그림 1과 같이 한 개의 중심 분자로부터 단계적으로 활성화 성장을 반복하여 외곽 구조를 키우는 Divergent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림 1]
Figure pat00001
이러한 폴리머(a)는 덴드리머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가교밀도를 높일 수 있어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자의 말단에 불소 원자가 결합(치환)되어 있음에 따라 표면 접촉각을 높여 Anti-finger(AF)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a)의 수평균분자량(Mn)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00 내지 2,000 k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머(a)의 분자량 분포(Mw/Mn)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a)의 수평균분자량이 500 kg/mol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밀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00 kg/mol을 초과할 경우에는 중합 과정에서 겔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a)의 분자량 분포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균일한 도막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a)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이다. 상기 폴리머(a)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밴딩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 및 내마모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및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이고, 분자의 말단 또는 측쇄에 결합된 관능기(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의 수가 1 내지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는 분자 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아디픽산과 1종 이상의 다가알콜(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축중합된 Aliphatic polyester polyol이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열성, 경도 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경화밀도에 의해 하드코팅 필름의 내크랙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열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내크랙성, 접착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실리카(d)는 하드코팅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리카(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건식 실리카 또는 습식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d)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d)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10 ㎚ 미만일 경우에는 실리카(d)의 비표면적이 과도하게 높아져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 상승으로 인해 내크랙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3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 분산성, 작업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d)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d)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밴딩성, 내크랙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e)는 상기 폴리머(a), 상기 올리고머(b) 및 상기 모노머(c)의 경화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개시제(e)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4,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2-디에톡시-1-페닐-에타논, 트리메틸벤조페논 및 4-메틸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e)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e)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미경화로 인해 하드코팅 필름의 외관 불량 및 물성 저하 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반응된 광개시제(e)가 잔류되어 하드코팅 필름의 내크랙성, 접착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f)는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매(f)는 당 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f)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6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f)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작업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6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드코팅 필름의 성형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높이기 위해 레벨링제 및 접착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g)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고려할 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2. 하드코팅 필름
본 발명은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기재 상에 상술한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bar) 코팅, 스핀(spin) 코팅, 롤(roll)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dip)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포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화 온도는 80 내지 120 ℃이고, 경화 시간은 1 내지 5 분일 수 있다. 또한 UV 경화 시 조사되는 광량은 500 내지 2000 mJ/㎠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상술한 조성물로 제조됨에 따라 일정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고, 내스크래치성, 내크랙성, 내열성과 더불어 밴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필름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표시장치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따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는 당 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하드코팅 필름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 측 또는 하 측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거나, 상 측 및 하 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코팅 필름에 대한 설명은 상기 '2. 하드코팅 필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일정 수준의 경도를 갖고, 내스크치성, 내열성, 접착성과 더불어 밴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할 경우, 표시장치의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SP-1106(미원)과 불소 silane(신네츠)을 산 촉매 하에서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켜 폴리머(a)를 얻었다. 100 ㎖ bottle에 얻어진 폴리머(a),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Blemmer TA-604A(일유)),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를 투입한 후 용매(f)를 첨가하여 희석하였다. 이후 실리카(d), 광개시제(e), 첨가제(g)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거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다음, 제조된 조성물을 bar coating 방법으로 PI 필름에 도포하고, 100 ℃에서 3 분 동안 용매를 제거한 후 메탈할라이드 램프로 1500 mJ/㎠의 광을 조사하면서 경화시켜 두께 10 ㎛인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5]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조성물 및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덴드리머 구조의 폴리머 관능기수: 18 10 5 15 15 5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Blemmer TA-604A, 일유)
관능기수: 2 10 15 5 10 10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5 5 5 5 5
실리카 입경: 20 nm 15 15 15 10 20
광개시제 2,4,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1 1 1 1 1
용매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58 58 58 58 58
레벨링제 BYK-371 0.5 0.5 0.5 0.5 0.5
접착증진제 GPTMS 0.5 0.5 0.5 0.5 0.5
합계 100 100 100 100 100
[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조성물 및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덴드리머 구조의 폴리머 관능기수: 18 2.5 20 20 5 - -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Blemmer TA-604A, 일유)
관능기수: 2 17.5 - 10 5 - 1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SC-2153, 미원)
관능기수: 10 - - - - 25 1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PU2200, 미원)
관능기수: 2 - - - - 10 -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5 5 5 5 5 5
실리카 입경: 20 nm 15 15 5 25 - 15
광개시제 2,4,6-트리메틸 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1 1 1 1 1 1
용매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58 58 58 58 58 58
레벨링제 BYK-371 0.5 0.5 0.5 0.5 0.5 0.5
접착조제 GPTMS 0.5 0.5 0.5 0.5 0.5 0.5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 실험예 ]
제조된 조성물과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1kg의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5 회씩 수행하여 스크래치가 1회 이하로 나타낸 때를 최대 연필경도로 측정하였다.
2. 밴딩성: A4 크기의 하드코팅 필름을 곡률반경 2 ㎜ 간격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밴딩평가 시험기에 부착한 후 3초 간격으로 밴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3. 내마모성: 스틸울 시험기를 이용하여 1kg/(1cm*1cm) 하에서 하드코팅 필름을 왕복 운동시키면서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4. Curl: A4 크기의 하드코팅 필름을 평탄한 석반정 위에 올려 놓은 후 4각의 석반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5. Haze: Haze meter를 사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의 Haze를 측정하였다.
6. 투과율: 투과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하드코팅 필름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7. 접착성: 하드코팅 필름에서 조성물이 도포된 면에 1 ㎜ 간격으로 11개의 선을 그어 100개의 정사각형을 형성하였다. 이후, 테이프(3M)를 이용하여 3회 박리 테스트를 진행하여 떨어지는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연필경도 7H 6H 7H 6H 6H
밴딩성(회) >10만 >10만 10만 >10만 >10만
내마모성(회) 3만 1만 3만 2만 2만
Curl(㎜) <1mm <1mm <3mm <3mm <1mm
Haze 0.25 0.24 0.26 0.25 0.24
투과율(%) 91.3 91.5 91.5 91.7 91.5
접착성(개)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연필경도 3H 8H 7H 6H 4H 5H
밴딩성(회) 6만 <1만 3만 <1만 3만 5만
내마모성(회) <5천 1만 <5천 1만 <5천 1만
Curl(㎜) <1mm <5mm <5mm <1mm <5mm <3mm
Haze 0.23 0.24 0.25 0.23 0.25 0.24
투과율(%) 91.4 91.2 91.5 91.4 91.5 91.2
접착성(개) 100/100 70/100 100/100 100/100 50/100 100/100
상기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함에 따라 경도가 일정 수준(6H 내지 7H)으로 나타나면서 밴딩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분자 중에 덴드리머 구조를 가지며, 분자의 말단에 불소 원자가 3 내지 4개 결합된 폴리머(a);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b);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c);
    실리카(d);
    광개시제(e); 및
    용매(f)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머(a)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a)는 수평균분자량(Mn)이 500 내지 2,000 kg/mol인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a)는 분자량 분포(Mw/Mn)가 1.0 내지 1.5인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a)는 분자의 말단에 20개 미만의 비닐기가 결합된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d)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d)는 평균 입자 크기(D50)가 10 내지 30 ㎚인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벨링제 및 접착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g)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9.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된 청구항 8의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69241A 2016-12-13 2016-12-13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KR20180067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41A KR20180067864A (ko) 2016-12-13 2016-12-13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41A KR20180067864A (ko) 2016-12-13 2016-12-13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64A true KR20180067864A (ko) 2018-06-21

Family

ID=6280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241A KR20180067864A (ko) 2016-12-13 2016-12-13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8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344B2 (en) 2017-10-27 2021-04-20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579339B2 (en) 2018-05-10 2023-02-14 Applied Materials, Inc.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43A (ko) 2008-07-07 2010-01-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반사외관이 우수하고 오염방지 기능을 가진 하드코팅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43A (ko) 2008-07-07 2010-01-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반사외관이 우수하고 오염방지 기능을 가진 하드코팅필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344B2 (en) 2017-10-27 2021-04-20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758757B2 (en) 2017-10-27 2023-09-12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579339B2 (en) 2018-05-10 2023-02-14 Applied Materials, Inc.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34056B2 (en) 2019-06-26 2024-03-19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2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3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624B (zh) 聚合物膜、可撓式發光元件顯示裝置、及可捲繞式顯示裝置
JP6802528B2 (ja) 耐擦傷性コーティング用硬化性組成物
TWI306884B (ko)
JP5744064B2 (ja) 透明性が高く、耐引掻性に被覆されたプラスチック基材、特に電子装置のジャケ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20160013402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JP6168313B2 (ja) 銅薄膜付基材用アンダーコート剤、銅薄膜付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フィルム及び電極フィルム
KR20180067865A (ko)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KR20180067864A (ko) 하드코팅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WO2015098495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情報表示装置
JP5315829B2 (ja) 硬化型ハードコート剤組成物
JP2017206699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20120002366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JP6155346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TWI510530B (zh) 製備塑膠膜的方法
JP2022105058A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系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組成物、及び積層体
JP201908555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
KR20160088000A (ko) 다관능 (메타)아크릴 알콕시 실란 올리고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72586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TW201807113A (zh) 活性能量線硬化型組成物及被覆薄膜
TWI510531B (zh) 塑膠膜
JP5211510B2 (ja) 帯電防止硬化膜形成用塗料と帯電防止硬化膜及び帯電防止硬化膜付きプラスチック基材並びに帯電防止硬化膜の製造方法
TWI719154B (zh) 活性能量線硬化型組成物
JP6780256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6652738B2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用フィルム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