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91A -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 Google Patents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91A
KR20180066591A KR1020160167594A KR20160167594A KR20180066591A KR 20180066591 A KR20180066591 A KR 20180066591A KR 1020160167594 A KR1020160167594 A KR 1020160167594A KR 20160167594 A KR20160167594 A KR 20160167594A KR 20180066591 A KR20180066591 A KR 2018006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 bottle
lids
engaging pie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195B1 (ko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김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곤 filed Critical 김상곤
Priority to KR102016016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4Spring clips, e.g. of wire or of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물병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異種) 음료의 휴대가 가능토록 하면서, 의약품의 간편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물병과 상기 제2물병은 저면이 서로 결합되며, 보온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1,2몸체와, 상기 제1,2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료가 저장되며 제1,2음용토출부를 갖는 제1,2저장용기와, 상기 제1,2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저장용기의 상기 제1,2음용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뚜껑과, 상기 제1,2뚜껑의 회동을 락킹하는 제1,2락킹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뚜껑에는 내부에 복수개의 투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제1물병과 상기 제2물병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결합은 각각 상호 회전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Portable double water bottle having case}
본 발명은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물병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異種) 음료의 휴대가 가능토록 하면서, 의약품의 간편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가정에서 음료나 물을 일반 물통이나 용기에 보관하여 필요시에 마시게 되고 외출 시에도 필요에 따라서 물통이나 음료병을 휴대하면서 마시게 된다.
특히, 등산, 낚시 등과 같은 레저활동을 하는 경우 잦은 갈증으로 인한 인체에 필요한 수분을 섭취하기 위해 음료수 또는 물을 공급해줘야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레저활동 지역에서는 음료수 또는 물을 구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 본인이 마시는 음료는 개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음료를 준비해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각각의 음료를 담는 두 개의 물병을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의 증가와 해당 음료를 마실 때마다 물병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특히 레저활동 중에는 소지가 상당히 번거로운 불편함이 따랐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 제20-0314066호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음료수병에 있어서, 상, 하부의 이중 공간(11')(11")이 형성되도록 차단판(12)이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주둥이(13)가 상, 하 대칭으로 형성된 용기(11)와, 용기(11)의 주둥이(13)와 결합 가능하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1(16)이 형성된 내측 뚜껑(15)과, 내측 뚜껑(15)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어 용기(11) 상부를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연 단부가 절곡되어 홈2(18)이 형성된 외측 뚜껑(17)과, 외측 뚜껑(17)의 외부 모서리 부분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갖으며 형성된 홈3(19)으로 이루어진 컵 겸용 뚜껑(14)으로 구성된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의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단순히 음료수병 내부에 차단판을 형성하여 공간을 분할시킴으로써 동일한 온도를 갖는 두 가지의 음료를 수용토록 하고 있을 뿐 이종(異種)의 음료(뜨거운 음료 및 차가운 음료)가 동시에 휴대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보약과 물 등과 같은 음료를 함께 휴대할 수 없는 것이다.
국내특허 제20-0314066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8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가 수용되는 두 개의 물병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황에 따른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함께,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이종(異種) 음료의 휴대가 가능토록 하면서, 의약품의 간편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은, 이종(異種)의 음료를 보온/보냉 하는 제1물병과 제2물병으로 구성된 이중 물병에 있어서, 상기 제1물병과 상기 제2물병은 저면이 서로 결합되며, 보온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1,2몸체와, 상기 제1,2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료가 저장되며 제1,2음용토출부를 갖는 제1,2저장용기와, 상기 제1,2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저장용기의 상기 제1,2음용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뚜껑과, 상기 제1,2뚜껑의 회동을 락킹하는 제1,2락킹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뚜껑에는 내부에 복수개의 투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제1물병과 상기 제2물병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의 결합은 각각 상호 회전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저면에는 내측이 함몰된 상태로 원통의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과 제1결합편 사이에 단차지게 제1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 중 다른 저면에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편과 제1수용홈의 형상과 대응하며, 상기 제1결합편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되는 제2결합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 중 어느 일면에는 회전을 통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결합 포지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 중 다른 일면에는 상기 스톱퍼돌기가 수용되는 포지션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 중 어느 저면에는 돌출형성된 나선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1,2뚜껑과 상기 케이스 중 다른 저면에는 상기 나선돌기부가 결합되는 나선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원통의 하우징 내부로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개의 투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투입공간의 상측에 상기 투입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알람시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1,2락킹장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2몸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2몸체의 상부의 제1,2가이드돌부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제1,2걸림고리가 형성된 제1,2슬라이더; 상기 제1,2가이드돌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2슬라이더의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 및 상기 제1,2뚜껑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슬라이더의 상기 제1,2걸림고리와 락킹되는 제1,2락킹고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두 개의 물병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함께,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이종(異種) 음료의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약이 보관되는 케이스가 이중 물병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약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장치를 통해 약의 섭취시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한층 더 강화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이 제1몸체와 제2몸체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이 제1뚜껑과 케이스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결합수단의 구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이 제1몸체와 제2몸체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이 제1뚜껑과 케이스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결합수단의 구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의 구성 중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물병(400)은, 상기 제1물병(100)과 상기 제2물병(200)은 저면이 서로 결합되며, 보온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1,2몸체(110,210)와, 상기 제1,2몸체(110,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료가 저장되며 제1,2음용토출부(121,221)를 갖는 제1,2저장용기(120,220)와, 상기 제1,2몸체(110,2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저장용기(120,220)의 상기 제1,2음용토출부(121,2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제1,2뚜껑(130,230)의 회동을 락킹하는 제1,2락킹장치(140,2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뚜껑(130,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뚜껑에는 내부에 복수개의 투입공간(320)이 형성된 케이스(300)가 결합되고, 상기 제1물병(100)과 상기 제2물병(20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의 결합은 각각 상호 회전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중 물병(400)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이종(異種)의 음료를 보온/보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동일한 온도를 갖는 음료를 보온/보냉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물병(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 그리고 케이스(300)로 구성된다.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은 각각 음료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있다.
위 제1물병(1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약이 보관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케이스(300)가 결합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의 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보온/보냉이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탄성을 갖는 보호커버(350)가 구비된다.
이하, 각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물병(100)은 도 2와 같이 제1몸체(110)와, 제1저장용기(120)와, 제1뚜껑(130) 및 제1락킹장치(1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몸체(110)는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보온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보온재질은 통상적으로 물병에 적용되는 재질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저장용기(120)는 제1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액체의 음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제1저장용기(120)의 상측에는 제1저장용기(120)의 상측을 폐쇄하면서 제1저장용기(120)의 내측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1토출구(122)를 갖는 제1음용토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저장용기(120)와 제1몸체(11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진공상태의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제1저장용기(120) 내부 음료의 저장온도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을 한층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뚜껑(130)은 도면상 좌측에 구비된 힌지에 결합되는 스프링(미 도시)의 탄성에 의해 제1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회동을 통해 제1저장용기(120)의 제1음용토출부(121)와 밀착되면서 제1음용토출부(121)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1토출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뚜껑(130)의 내측에는 제1음용토출부(121)와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돌출된 제1가압부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가압부재(131)의 판면에는 제1음용토출부(121)의 제1토출구(122)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232)가 형성되어 제1뚜껑(130)이 닫힐 때 제1가압부재(131)와 제1음용토출부(121)가 밀착되고 제1끼움돌기(232)가 제1토출구(122)에 끼워짐으로써 제1토출구(122)를 폐쇄시킨다.
제1락킹장치(140)는 제1몸체(110)와 제1뚜껑(130) 사이로 제1몸체(110) 상부표면의 도면상 우측에 구비된 상태로 슬라이딩을 통해 제1뚜껑(13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락킹시킨다.
즉, 제1락킹장치(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물병(4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락킹장치(140)는, 제1몸체(110)의 상부의 제1가이드돌부(141)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제1걸림고리(142)가 형성된 제1,2슬라이더(143)와, 제1가이드돌부(141)에 지지된 상태로 제1슬라이더(143)의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144), 및 제1뚜껑(1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슬라이더(143)의 제1걸림고리(142)와 락킹되는 제1락킹고리(145)로 구성된다.
즉, 제1슬라이더(143)는 제1가이드돌부(141)에 끼워진 상태로 제1뚜껑(130)의 상부표면에서 슬라이딩 되고, 제1탄성부재(144)는 제1슬라이더(143)의 이동시 압축되면서 제1슬라이더(143)에 반발력을 부여함으로써 초기의 위치로 상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144)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슬라이더(143)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1락킹장치(140)는 외부에서 제1슬라이더(143)를 가압하여 누르면 제1슬라이더(143)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걸림고리(142)와 제1락킹고리(145)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기 때문에 제1뚜껑(130)이 열리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락킹장치(140)가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물병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제1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2물병(200)은 도 2와 같이 제2몸체(210)와, 제2저장용기(220)와, 제2뚜껑(230) 및 제2락킹장치(2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물병(200)의 구조는 제1물병(1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동일한 구조에 대한 명칭 앞에 '제2'를 부여하기로 하고, 설명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각 저면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즉, 하나의 물병에 이종(異種) 음료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이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 중 어느 하나의 물병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케이스(300)는 제1,2뚜껑(130,23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부에 복수개의 투입공간(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2뚜껑(130,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뚜껑과 결합된다.
케이스(3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원통의 하우징 내부로 격벽(310)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개의 투입공간(320)을 형성하고 있으며, 개방된 각 투입공간(320)의 상측에는 투입공간(320)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도어(330)가 오픈(도 2의 일점쇄선)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케이스(300)는 투입공간(320)과 개폐도어(3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용해야하는 약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300)의 투입공간(320)이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약을 시간대별(예를 들어 아침, 점심 저녁)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약이 보관된 투입공간(320)의 각 개폐도어(330)의 표면에는 시각적으로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300)의 중심부에는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케이스(300)에 보관된 약의 시간대별 섭취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알람시계(3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00)가 제1뚜껑(130)과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의 케이스(300)는 제1뚜껑(130)과 제2뚜껑(23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결합위치와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 및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은 각각 상호 회전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의 결합, 그리고 제1뚜껑(130)과 케이스(300)의 결합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동일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결합수단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결합수단은 도 3과 같이,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중 어느 저면에는 내측이 함몰된 상태로 원통의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결합편(T1)이 형성되고, 제1결합편(T1)과 제1결합편(T1) 사이에는 제1결합편(T1)으로부터 단차지게 제1수용홈(T2)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중 다른 저면에는 제1결합편(T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1결합편(T1)과 제1수용홈(T2)과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결합편(T1)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T3)과 제1수용홈(T2)에 수용되는 제2결합편(T4)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제1결합편(T1)과 제1수용홈(T2) 그리고 제2수용홈(T3)과 제2결합편(T4)은 방사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편(T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수용홈(T3)이 위치하고 제1수용홈(T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결합편(T4)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제1결합편(T1)과 제2결합편(T4) 중 어느 일면에는 회전을 통한 결합시 제1결합편(T1)과 제2결합편(T4)의 결합 포지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돌기(S1)가 형성되고, 제1결합편(T1)과 제2결합편(T4) 중 다른 일면에는 스톱퍼돌기(S1)가 수용되는 포지션홈(S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톱퍼돌기(S1)와 포지션홈(S2)이 서로 마주하게 제1,2결합편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결합편(T1)과 제2결합편(T4)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포지션홈(S2)으로 스톱퍼돌기(S1)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제1결합편(T1)과 제2결합편(T4)의 최상의 결합위치를 잡아주는 것이다.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수단은 도 4와 같이,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 중 어느 저면에는 내측이 함몰된 상태로 원통의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결합편(T1)이 형성되고, 제1결합편(T1)과 제1결합편(T1) 사이에는 제1결합편(T1)으로부터 단차지게 제1수용홈(T2)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 중 다른 저면에는 제1결합편(T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1결합편(T1)과 제1수용홈(T2)과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결합편(T1)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T3)과 제1수용홈(T2)에 수용되는 제2결합편(T4)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00)가 제1뚜껑(13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위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수단과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결합수단은 동일한 구성임에 따라 이후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돌기(S1)와 포지션홈(S2)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병(400)의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에 적용된 결합수단이 동일한 구조임에 따라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결합되는 과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제1몸체(110)의 저면과 제2몸체(210)의 저면을 마주한 상태로 배치한다.
위의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제1몸체(110)의 제1결합편(T1)과 제1수용홈(T2)을 제2몸체(210)의 제2수용홈(T3)과 제2결합편(T4)에 삽입한다.
이때, 제1결합편(T1)의 스톱퍼돌기(S1)와 제2결합편(T4)의 포지션홈(S2)은 도 5a와 같이 서로 다른 방사상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중 어느 하나의 몸체를 파지한 상태로 도 5a의 화살표 방향을 선택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결합편(T1)은 회전에 의해 제2결합편(T4)의 저면에 형성된 공간(제2결합편(T4)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면, 제1결합편(T1)의 스톱퍼돌기(S1)는 어느 순간 제2결합편(T4)의 포지션홈(S2)에 수용되고, 이로 인해 도 5b와 같이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위의 결합방법은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에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결합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수단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 중 어느 저면에는 돌출형성된 나선돌기부(T5)가 형성되고,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 중 다른 저면에는 나선돌기부(T5)가 결합되는 나선결합부(T6)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호 결합을 이루는 대향하는 저면에 각각 나선돌기부(T5)와 나선결합부(T6)를 형성함으로써 이들의 결합을 통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결합 그리고 제1,2뚜껑(130,230)과 케이스(300)의 결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은, 음료가 수용되는 두 개의 물병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함께,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이종(異種) 음료의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약이 보관되는 케이스가 이중 물병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약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장치를 통해 약의 섭취시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한층 더 강화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제1물병 110 : 제1몸체
120 : 제1저장용기 121 : 제1음용토출부
122 : 제1토출구 130 : 제1뚜껑
131 : 제1가압부재 132 : 제1끼움돌기
140 : 제1락킹장치 141 : 제1가이드돌부
142 : 제1걸림고리 143 : 제1슬라이더
144 : 제1탄성부재 145 : 제1락킹고리
200 : 제2물병 210 : 제2몸체
220 : 제2저장용기 221 : 제2음용토출부
222 : 제2토출구 230 : 제2뚜껑
231 : 제2가압부재 232 : 제2끼움돌기
240 : 제2락킹장치 241 : 제1가이드돌부
242 : 제1걸림고리 243 : 제1슬라이더
244 : 제1탄성부재 245 : 제1락킹고리
300 : 케이스 310 : 격벽
320 : 투입공간 330 : 개폐도어
340 : 알람시계 400 : 이중 물병
S1 : 스톱퍼돌기 S2 : 포지션홈
T1 : 제1결합편 T2 : 제1수용홈
T3 : 제2수용홈 T4 : 제2결합편
T5 : 나선돌기부 T6 : 나선결합부

Claims (7)

  1. 이종(異種)의 음료를 보온/보냉 하는 제1물병(100)과 제2물병(200)으로 구성된 이중 물병(400)에 있어서,
    상기 제1물병(100)과 상기 제2물병(200)은 저면이 서로 결합되며 보온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1,2몸체(110,210)와, 상기 제1,2몸체(110,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료가 저장되며 제1,2음용토출부(121,221)를 갖는 제1,2저장용기(120,220)와, 상기 제1,2몸체(110,2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저장용기(120,220)의 상기 제1,2음용토출부(121,2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제1,2뚜껑(130,230)의 회동을 락킹하는 제1,2락킹장치(140,2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뚜껑(130,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뚜껑에는 내부에 복수개의 투입공간(320)이 형성된 케이스(300)가 결합되고,
    상기 제1물병(100)과 상기 제2물병(20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의 결합은 각각 상호 회전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 중 어느 저면에는 내측이 함몰된 상태로 원통의 둘레로부터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1결합편(T1)과 상기 제1결합편(T1)과 제1결합편(T1) 사이에 단차지게 제1수용홈(T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 중 다른 저면에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편(T1)과 제1수용홈(T2)의 형상과 대응하며, 상기 제1결합편(T1)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T3)과 상기 제1수용홈(T2)에 수용되는 제2결합편(T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T1)과 상기 제2결합편(T4) 중 어느 일면에는 회전을 통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편(T1)과 상기 제2결합편(T4)의 결합 포지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돌기(S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편(T1)과 상기 제2결합편(T4) 중 다른 일면에는 상기 스톱퍼돌기(S1)가 수용되는 포지션홈(S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 중 어느 저면에는 돌출형성된 나선돌기부(T5)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및 상기 제1,2뚜껑(130,230)과 상기 케이스(300) 중 다른 저면에는 상기 나선돌기부(T5)가 결합되는 나선결합부(T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는,
    원통의 하우징 내부로 격벽(310)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개의 투입공간(320)을 형성하고, 상기 각 투입공간(320)의 상측에 상기 투입공간(320)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개폐도어(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에는 알람시계(3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2락킹장치(140,2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1,2몸체(110,210)의 내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2몸체(110,210)의 상부의 제1,2가이드돌부(141,241)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제1,2걸림고리(142,242)가 형성된 제1,2슬라이더(143,243);
    상기 제1,2가이드돌부(141,24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2슬라이더(143,243)의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144,244); 및
    상기 제1,2뚜껑(130,2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2슬라이더(143,243)의 상기 제1,2걸림고리(142,242)와 락킹되는 제1,2락킹고리(145,2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KR1020160167594A 2016-12-09 2016-12-09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KR10188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94A KR101884195B1 (ko) 2016-12-09 2016-12-09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94A KR101884195B1 (ko) 2016-12-09 2016-12-09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1A true KR20180066591A (ko) 2018-06-19
KR101884195B1 KR101884195B1 (ko) 2018-08-01

Family

ID=6279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94A KR101884195B1 (ko) 2016-12-09 2016-12-09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84A (ko) *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CN112168692A (zh) * 2020-10-26 2021-01-05 乾亨贸易(杭州)有限公司 一种防止儿童误食的安全药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23B1 (ko) 2018-10-12 2020-04-17 한국유리산업(주) 물병 보냉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400Y1 (ko) * 2003-12-08 2004-02-27 가부시기가이샤 타프코 보온병의 뚜껑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84A (ko) * 2019-03-04 2020-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약통
CN112168692A (zh) * 2020-10-26 2021-01-05 乾亨贸易(杭州)有限公司 一种防止儿童误食的安全药瓶
CN112168692B (zh) * 2020-10-26 2024-03-19 乾亨贸易(杭州)有限公司 一种防止儿童误食的安全药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195B1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17B1 (ko) 병과 같은 용기를 위한 뚜껑
EP2926680B1 (en) Hinged dual chamber storage container
US8475856B2 (en) OTG (on the go) specialty multi-beverage container systems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KR101244567B1 (ko) 휴대용 3중 용기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KR102184934B1 (ko) 휴대용 텀블러
CN101624113B (zh) 用于分开地容纳消耗品的系统
KR200480377Y1 (ko) 텀블러 뚜껑
US11673721B2 (en) Lidded container
US5102000A (en) Drink Mug
KR102050965B1 (ko) 텀블러
US20210267393A1 (en) Compartment Technology for Lids of Beverage Container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KR20090115349A (ko) 테이크 아웃용 냉각음료 용기
KR200470531Y1 (ko) 반찬냉장고
US20220117422A1 (en) Can cool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KR200483094Y1 (ko) 밀폐형 찬바트
KR20210032721A (ko) 음식포장용기
KR20200001438U (ko) 온도감응부를 부착할 수 있는 발열 텀블러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KR101623909B1 (ko) 휴대용 음료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