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172A -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 Google Patents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172A
KR20180066172A KR1020187012995A KR20187012995A KR20180066172A KR 20180066172 A KR20180066172 A KR 20180066172A KR 1020187012995 A KR1020187012995 A KR 1020187012995A KR 20187012995 A KR20187012995 A KR 20187012995A KR 20180066172 A KR20180066172 A KR 2018006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ging
layer
active energy
mas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514B1 (ko
Inventor
미키히사 미즈노
쇼고 사카모토
시노부 하라
료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943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73262A1/ja
Publication of KR2018006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66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onforming the layers or laminate to a convex or concave prof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8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means for heating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being photo-polymeri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5Hydrophilic and oleophil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6Hydrophobic and oleophobic coatings
    • C08F2220/3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표면이 평활한 방담층을 갖고, 상기 방담층이 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하며, 상기 방담층이 90% 이상의 탄성 회복률과, 0.40 이하의 운동 마찰 계수와, 4㎛ 이상의 평균 두께를 갖는 방담 적층체이다.

Description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본 발명은, 건축 용도, 산업 용도, 자동차 용도, 광학 용도, 태양 전지 패널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갖는 방담 적층체,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방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품에는, 그의 표면을 장식 및 보호하기 위해서, 그의 표면에 수지 필름, 유리 등이 점착되어 있다.
그러나, 물품의 표면을 장식 및 보호하는 수지 필름, 유리 등이 흐려짐으로써 물품의 시인성 및 미관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그와 같은 물품의 시인성 및 미관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지 필름 및 유리에는 방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방담성 및 방오성을 구비하고, 특정한 조성을 갖는 전자선 경화형 하드 코트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통상적으로 방담성이 요구되는 거울, 유리창, 안경 등의 물품에 있어서는, 지문,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천 등에 의한 닦음질이 행해진다. 그렇게 하면, 반복된 닦음질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방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제3760669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갖는 방담 적층체,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방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1>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표면이 평활한 방담층을 갖고,
상기 방담층이 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하며,
상기 방담층이 90% 이상의 탄성 회복률과, 0.40 이하의 운동 마찰 계수와, 4㎛ 이상의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적층체이다.
<2>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이 70° 이상이며,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35°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3> 상기 방담층이 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4> 상기 기재와 상기 방담층의 사이에 앵커층을 갖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5> 상기 기재가 유리제 기재인 상기 <4>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6> 상기 앵커층의 평균 두께가 0.5㎛ 내지 5㎛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7> 상기 앵커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65질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함유하며,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8>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이,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상기 <7>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이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를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다.
<10> 상기 <9>에 기재된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담 적층체를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상기 방담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11> 상기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이 적외선 가열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10>에 기재된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12>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를 물품의 표면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방법이다.
<13> 증기에 의해 흐려진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의 상기 방담층에 상온 이상의 온도의 물을 뿌림으로써 상기 방담층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갖는 방담 적층체,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한 방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b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c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d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e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f는, 인 몰드 성형에 의해 본 발명의 물품을 제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그의 1).
도 3은,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그의 2).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그의 3).
도 5는,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그의 4).
도 6a는, 증기에 의한 흐림성 시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b는, 증기에 의한 흐림성 시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방담 적층체)
본 발명의 방담 적층체는 기재와, 방담층을 적어도 갖고, 바람직하게는 앵커층을 가지며, 더욱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부재를 갖는다.
<기재>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지제 기재, 무기제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제 기재>>
상기 무기제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제 기재, 석영제 기재, 사파이어제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제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규산 유리(규산염 유리), 소다석회 유리, 칼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제 기재는 강화 유리, 합판 유리, 내열 유리 등이어도 된다.
상기 유리제 기재는, 자동차용 창 유리, 건축용 창 유리, 렌즈, 거울, 고글 등 어떠한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유리제 기재의 형상은, 통상적으로 판 형상이지만, 시트 형상, 만곡 형상 등의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수지제 기재>>
상기 수지제 기재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스테르(TPE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아라미드,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C),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시클로올레핀 중합체(COP),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COC), PC/PMMA 적층체, 고무 첨가 PMM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필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가 필름 형상의 경우, 상기 기재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5㎛ 내지 1,000㎛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5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표면에는 문자, 패턴, 화상 등이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기재의 표면에는, 상기 방담 적층체를 성형 가공 시, 상기 기재와 성형 재료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또는 성형 가공 시의 성형 재료의 유동압으로부터 상기 문자, 상기 패턴, 및 상기 화상을 보호하기 위해서, 결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결합제층의 재질로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에틸렌 부틸알코올계,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등의 각종 결합제 외에,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층은 2층 이상 형성해도 된다. 사용하는 결합제는, 성형 재료에 적합한 감열성, 감압성을 갖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담층측과 반대측의 상기 기재의 표면은 주름 모양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방담 적층체를 겹쳤을 때의 블로킹이 방지되어, 후속 공정에서의 핸들링성이 향상되고,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주름 모양은,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로킹이란, 복수의 시트를 겹쳤을 때, 각 시트를 떼어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방담층>
상기 방담층의 탄성 회복률은 90% 이상이다.
상기 방담층의 운동 마찰 계수는 0.40 이하이다.
상기 방담층의 평균 두께는 4㎛ 이상이다.
상기 방담층은 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한다. 상기 방담층은 발수성 분자 구조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은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헥사데칸 접촉각은 35°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층은 90% 이상의 탄성 회복률과, 0.40 이하의 운동 마찰 계수와, 4㎛ 이상의 평균 두께를 겸비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방담층이 하기 (1) 내지 (3)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얻을 수는 없다.
(1) 탄성 회복률이 90% 이상이다.
(2) 운동 마찰 계수가 0.40 이하이다.
(3) 평균 두께가 4㎛ 이상이다.
상기 (1) 및 (3)을 충족함으로써, 닦을 때 가해진 압력으로 방담층이 변형을 받아도, 압력을 제거했을 때 높은 복원성을 갖는다.
상기 (2)를 충족함으로써, 방담층에 가해지는 닦음질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방담층은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이란, 천 등에 의해 방담층의 표면의 오염을 닦는 일을 반복한 후에도, 방담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탄성 회복률>>
탄성 회복률이란, 이하의 같은 지표이다.
평가 대상이, (ⅰ) 일정 시간에 걸쳐 응력을 가하고, (ii) 일정한 시간을 유지하며, 및 (ⅲ) 일정한 속도로 응력을 개방해 가는 프로세스에서 변형된 경우에, 그 총 변형량에 대해서, 평가 대상이 갖는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 회복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탄성 회복률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PICODENTOR HM500(피셔 인스트루먼츠사 제조) 경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면각 136°의 다이아몬드 뿔체 압자에 의해, 25℃에 있어서, 일정한 부하 속도(압력이 1.0mN/㎛2인 경우, 0.050mN/㎛2·초)로, 20초에 걸쳐 소정의 압력까지 압력을 가하고, 그 후, 일정한 언로딩 속도(압력이 1.0mN/㎛2인 경우, 0.050mN/㎛2·초)로 20초에 걸쳐 압력을 0까지 언로딩했을 때의 하중과 변형량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으로부터, 소성 변형 작업(Wplast), 탄성 변형 작업량(Welast)을 구하고, 소정의 압력에서의 탄성 회복률(%)을 하기 식으로 산출한다.
탄성 회복률(%)=[Welast/(Wplast+Welast)]×100
1.0mN/㎛2의 압력으로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측정하고, 탄성 회복률을 산출하여, 탄성 회복 특성을 평가한다.
상기 방담층의 탄성 회복률은 90% 이상이며, 93%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8%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담층의 탄성 회복률의 상한값은 100%이다.
<<운동 마찰 계수>>
운동 마찰 계수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운동 마찰 계수는, Triboster TS501(상품명; 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면 접촉자에 BEMCOT(등록상표) M-3II(상품명;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고, 측정 하중 50g/㎠, 측정 속도 1.7㎜/s, 측정 거리 20㎜로 하여, 임의의 12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운동 마찰 계수로 한다.
상기 방담층의 운동 마찰 계수는 0.40 이하이며, 0.37 이하가 바람직하고, 0.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층의 운동 마찰 계수의 하한값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상기 방담층의 운동 마찰 계수는, 예를 들어 0.10 이상이 바람직하다.
<<평균 두께>>
평균 두께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방담층의 두께는, 방담 적층체의 단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 S-4700(상품명;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조)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한다. 임의의 5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두께로 한다.
상기 방담층의 평균 두께는 4㎛ 이상이며, 5㎛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층의 평균 두께는, 두꺼워도, 닦을 때에 가해진 압력으로 방담층이 변형을 받았을 때의 높은 복원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담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값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평균 두께는 15㎛ 이하, 30㎛ 이하, 100㎛ 이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담층은, 상기 기재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담층은 표면이 평활하다. 여기서, 표면이 평활하다 함은, 의도적으로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표면에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담 적층체에 있어서는, 상기 방담층을 형성할 때(상기 경화물을 형성할 때), 물리적인 가공에 의한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표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방담층이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지 않음으로써, 매직잉크, 지문, 땀, 화장품(파운데이션, UV 프로텍터 등) 등의 수성 오염 및/또는 유성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어 그들 오염이 부착된 경우라도 티슈 등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친수성 분자 구조>>
상기 친수성 분자 구조로서는, 친수성의 분자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친수성의 유기 분자 구조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분자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방담층을 제작할 때, 후술하는 친수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방담층 중에 도입할 수 있다.
<<발수성 분자 구조>>
상기 발수성 분자 구조로서는, 발수성의 분자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수성의 유기 분자 구조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알킬기, 플루오로알킬에테르기, 디메틸실록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수성 분자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방담층을 제작할 때, 후술하는 발수성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방담층 중에 도입할 수 있다.
<<순수 접촉각>>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은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 접촉각의 상한값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7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순수 접촉각은, 접촉각계인 PCA-1(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한다. 증류수를 플라스틱 시린지에 넣고, 그 선단에 스테인리스제의 바늘을 부착하여 평가면(방담층 표면)에 적하한다.
물의 적하량: 2μL
측정 온도: 25℃
물을 적하하여 5초 경과 후의 접촉각을, 방담층 표면의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순수 접촉각으로 한다.
<<헥사데칸 접촉각>>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헥사데칸 접촉각은 35°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헥사데칸 접촉각의 상한값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5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헥사데칸 접촉각은, 접촉각계인 PCA-1(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한다. 헥사데칸을 플라스틱 시린지에 넣고, 그 선단에 테프론 코팅 스텐레스제의 바늘을 부착하여 평가면(방담층 표면)에 적하한다.
헥사데칸의 적하량: 1μL
측정 온도: 25℃
헥사데칸을 적하하여 20초 경과 후의 접촉각을, 방담층 표면의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헥사데칸 접촉각으로 한다.
순수 접촉각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며,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매직잉크, 지문, 땀, 화장품(파운데이션, UV 프로텍터 등) 등의 수성 오염 및/또는 유성 오염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들 오염이 벌크의 하층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담성 외에 방오성에도 우수하다.
또한, 방오성을 겸비하는 상기 방담 적층체는 방담 방오 적층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방오성을 겸비하는 상기 방담층은 방담 방오층이라고 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상기 방담층은,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한 경화물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이하, 「친수성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발수성 단량체(이하, 「발수성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함유하고, 더욱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한다.
-친수성 단량체-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 쇄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4급 암모늄염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3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포스폰 산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관능 단량체여도 되고, 다관능 단량체여도 된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쇄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쇄, 폴리옥시프로필렌 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쇄가, 친수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폴리올 또는 폴리히드록시 함유 화합물)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그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모노 혹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모노 혹은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2가의 알코올, 3가의 알코올, 4가 이상의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이 300 내지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1,3-헥산디올, 2,2'-티오디에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글리세롤, 글리세롤, 1,2,4-부탄트리올, 1,2,6-헥산트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4가 이상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쇄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글리세린(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사토머사 제조의 SR415, SR9035), 에톡시화(15)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방담층의 적당한 경도와 친수성을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4급 암모늄염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글리시딜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디메틸에틸암모늄에틸설페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디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글리시딜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에틸암모늄에틸설페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1,2,2,6,6-펜타메틸피페리딜(메트)아크릴레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알릴술폰산, 비닐톨루엔술폰산, 스티렌술폰산, 술폰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술포에틸, (메트)아크릴산 술포프로필,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말단 술폰산 변성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에스테르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는 다관능의 친수성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의 분자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2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친수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60질량% 이상이며, 60질량% 내지 99.9질량%가 바람직하고, 63질량% 내지 9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65질량% 내지 9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휘발분(예를 들어, 유기 용제)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불휘발분에 대한 함유량이다.
-발수성 단량체-
상기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발수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와 불소 및 규소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러한 발수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불소 및 규소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불화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 에테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실록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수성 단량체는, 상기 친수성 단량체와 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메트)아크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발수성 단량체는 시판품이어도 된다.
상기 불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Y-1200 시리즈,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메가페이스 RS 시리즈,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옵툴 DA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X-22-164 시리즈, 에보닉사 제조 TEGO Rad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발수성 단량체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담층 중에 상기 발수성 단량체의 반응물이 많이 존재하는 결과, 호기 방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휘발분(예를 들어, 유기 용제)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불휘발분에 대한 함유량이다.
-광중합 개시제-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산 발생제, 비스아지드 화합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테트라메톡시글리콜우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톡시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1-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2-디페닐에탄디온,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 내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내지 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휘발분(예를 들어, 유기 용제)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불휘발분에 대한 함유량이다.
-그 밖의 성분-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상기 방담층의 신장률, 경도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방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지방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질량% 내지 45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0질량% 내지 3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휘발분(예를 들어, 유기 용제)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불휘발분에 대한 함유량이다.
상기 필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주석, 안티몬도프산화주석, 오산화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어 중실 실리카, 중공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사용 시에는 유기 용제를 사용해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글리콜에테르계 용매, 글리콜에테르 에스테르계 용매, 염소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적외선, 레이저광선, 가시광선, 전리 방사선(X선, α선, β선, γ선 등), 마이크로파, 고주파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부재>
상기 그 밖의 부재로서는, 앵커층, 보호층 등을 들 수 있다.
-앵커층-
상기 앵커층은, 상기 기재와 상기 방담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이다.
상기 앵커층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재와 상기 방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앵커층의 굴절률은, 간섭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방담층의 굴절률과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상기 앵커층의 굴절률은 상기 방담층의 굴절률의 ±0.10 이내가 바람직하며, ±0.05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앵커층의 굴절률은 상기 방담층의 굴절률과 상기 기재의 굴절률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층은,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층은,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경화물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와,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방담층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각각 들 수 있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어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콤마 코트법, 딥핑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를 상기 유리제 기재로 한 경우에는, 층간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방담 적층체는 상기 앵커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상기 앵커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은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65질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은,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방담층의 구성 재료의 일례로서 설명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의 상기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에톡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앵커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5㎛가 보다 더 바람직하며, 0.5㎛ 내지 5㎛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층의 평균 두께가, 특히 바람직한 범위이면, 상기 기재를 상기 유리제 기재로 한 경우에도, 층간 밀착성이 우수한 방담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층에는 반사율 저감이나 대전 방지의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앵커층은, 내구성이나 내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보호층-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담층의 표면(순수 접촉각이 90° 이상인 표면)을 보호하는 층이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담 적층체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물품을 제조할 때, 상기 표면을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담 수지층의 상기 표면 위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층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앵커층과 마찬가지의 재질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담 적층체는, 열 굽힘용 필름, 인 몰드 성형용 필름, 인서트 성형용 필름, 오버레이 성형용 필름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방담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방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방담 적층체의 제조 방법>
상기 방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과, 방담층 형성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
상기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으로서는, 기재 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상기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의 상기 방담층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상기 기재 위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고체의 막이어도 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저분자량의 경화성 성분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막이어도 된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어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콤마 코트법, 딥핑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은,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화되지 않는다.
상기 미경화 수지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앵커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의 상기 앵커층 위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앵커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상기 앵커층 등을 들 수 있다.
<<방담층 형성 공정>>
상기 방담층 형성 공정으로서는, 상기 미경화 수지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시켜 방담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담층을 형성할 때, 미세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표면에 형성하기 위한 물리적인 가공은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발수성 단량체와, 상기 친수성 단량체를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방담층에 있어서는, 저표면 에너지 성분이 표면에 국재화하는 한편, 상기 방담층 중에는, 친수성 성분(흡수성 성분)이 존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물방울은, 상기 방담층의 표면에 있어서 발수화되고, 수증기는 방담층 중에 포착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보다 우수한 방담성이 얻어진다.
-활성 에너지선-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상기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등을 들 수 있다.
(물품)
본 발명의 물품은,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를 표면에 갖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부재를 갖는다.
상기 물품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창, 냉장·냉동 쇼케이스, 자동차의 윈도우 등의 창재, 욕실 내의 거울, 자동차 사이드미러 등의 거울, 욕실의 바닥 및 벽, 태양 전지 패널, 방범 감시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안경, 고글, 헬멧, 렌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커버, 프론트 패널, 사이드 패널, 리어 패널 등이어도 된다. 이들은, 인 몰드 성형, 인서트 성형, 오버레이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 적층체는 상기 물품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물품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물품 제조 방법은, 가열 공정과,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사출 성형 공정이나 캐스트 성형 공정 등의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이다.
<가열 공정>
상기 가열 공정으로서는, 방담 적층체를 가열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담 적층체는,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이다.
상기 가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적외선 가열 혹은 고온 분위기에 대한 폭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의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상기 수지제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 혹은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의 시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
상기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으로서는, 가열된 상기 방담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금형에 밀착시켜, 공기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사출 성형 공정>
상기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의 후, 필요에 따라 사출 성형 공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사출 성형 공정으로서는,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방담 적층체의 수지제 기재측에 성형 재료를 사출하고, 상기 성형 재료를 성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서 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알릴계 내열 수지, 각종 복합 수지, 각종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사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금형에 밀착시킨 상기 방담 적층체의 수지제 기재측에, 용융된 상기 성형 재료를 유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캐스트 성형 공정>
상기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의 후, 필요에 따라 캐스트 성형 공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캐스트 성형 공정으로서는,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방담 적층체의 수지제 기재측에, 용액에 용해시킨 수지 재료를 유입하고, 상기 수지 재료를 고화시켜 성형하는 공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은, 인 몰드 성형 장치, 인서트 성형 장치, 오버레이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조 방법은 인 몰드 성형 장치를 사용한 제조 방법이다.
우선, 방담 적층체(500)를 가열한다. 가열은, 적외선 가열, 혹은 고온 분위기에 대한 노출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한 방담 적층체(500)를, 제1 금형(501)과 제2 금형(502)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방담 적층체(500)의 수지제 기재가 제1 금형(501)을 향하고, 방담층이 제2 금형(502)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도 1a에 있어서, 제1 금형(501)은 고정형이며, 제2 금형(502)은 가동형이다.
제1 금형(501)과 제2 금형(502)의 사이에 방담 적층체(500)를 배치한 후, 제1 금형(501)과 제2 금형(502)을 형 체결한다. 계속해서, 제2 금형(502)의 캐비티면에 개구되어 있는 흡인 구멍(504)을 통해 방담 적층체(500)를 흡인하여, 제2 금형(502)의 캐비티면에 방담 적층체(500)를 장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비티면이 방담 적층체(500)에 의해 부형된다. 또한, 이때, 도시되지 않은 필름 누름 기구로 방담 적층체(500)의 외주를 고정하여 위치 결정해도 된다. 그 후, 방담 적층체(500)의 불필요한 부위를 트리밍한다(도 1b).
또한, 제2 금형(502)이 흡인 구멍(504)을 갖지 않고, 제1 금형(501)에 압공 구멍(도시 생략)을 갖는 경우에는, 제1 금형(501)의 압공 구멍으로부터 방담 적층체(500)에 압공을 보냄으로써, 제2 금형(502)의 캐비티면에 방담 적층체(500)를 장착한다.
계속해서, 방담 적층체(500)의 수지제 기재를 향하여, 제1 금형(501)의 게이트(505)로부터 용융한 성형 재료(506)를 사출하고, 제1 금형(501)과 제2 금형(502)을 형 체결하여 형성한 캐비티 내에 주입한다(도 1c). 이에 의해, 용융한 성형 재료(506)가 캐비티 내에 충전된다(도 1d). 또한, 용융한 성형 재료(506)의 충전 완료 후, 용융한 성형 재료(506)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켜 고화한다.
그 후, 제2 금형(502)을 움직이게 하여, 제1 금형(501)과 제2 금형(502)을 형 개방한다(도 1e). 그렇게 함으로써, 성형 재료(506)의 표면에 방담 적층체(500)가 형성되고, 또한 원하는 형상으로 인 몰드 성형된 물품(507)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제1 금형(501)으로부터 돌출 핀(508)을 압출하여, 얻어진 물품(507)을 취출한다.
상기 오버레이 성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것은, 방담 적층체를 성형 재료의 표면에 직접 장식하는 공정이며, 그 일례로서는, TOM(Three dimension Overlay Method) 공법을 들 수 있다. 상기 TOM 공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하기에 설명한다.
우선,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방담 적층체에 의해 분단된 장치 내의 양쪽 공간에 대하여, 진공 펌프 등에서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양쪽 공간 내를 진공화한다.
이때, 편측의 공간에 사전에 사출 성형한 성형 재료를 설치해 둔다. 동시에, 방담 적층체가 연화되는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적외선 히터로 가열한다. 방담 적층체가 가열되어 연화된 타이밍에, 장치 내 공간의 성형 재료가 없는 측에 대기를 보내옴으로써 진공 분위기하에서, 성형 재료의 입체 형상에, 방담 적층체를 확실히 밀착시킨다.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대기를 보내온 측으로부터의 압공 압박을 병용해도 된다. 방담 적층체가 성형체에 밀착한 후, 얻어진 장식 성형품을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낸다. 진공 성형은 통상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0℃ 정도에서 행해진다.
오버레이 성형 시에는, 상기 방담 적층체와 상기 성형 재료를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방담 적층체의 방담층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점착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제 기재 위에 상기 방담층을 형성 후에, 상기 수지제 기재의 상기 방담층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층용 도공액을 도공하여,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위에 점착층용 도공액을 도공하여 상기 점착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수지제 기재와 상기 박리 시트 위의 상기 점착층을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수지제 기재 위에 상기 점착층을 적층해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물품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의 물품은, 성형 재료(506)와,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을 갖고, 성형 재료(506) 위에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 물품은,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3의 물품은, 성형 재료(506)와,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과, 하드 코트층(600)을 갖고, 성형 재료(506) 위에,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성형 재료(506)의 수지제 기재(211) 측과 반대측에는 하드 코트층(6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물품은, 예를 들어 도 2의 물품을 제조 후, 방담층(212) 위에 보호층을 형성한 후에, 성형 재료(506)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600)을, 성형 재료(506)를 하드 코트액에 침지, 그 후 건조, 경화시키는 것 등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보호층을 박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방담층이 평활면이며, 순수 접촉각이 70°보다 크고,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35°보다 큰 경우, 방담층이 하드 코트액을 튕겨내기 위해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방담층 위에는 하드 코트가 형성되지 않고, 성형 재료(506)의 수지제 기재(211) 측과 반대측에만 하드 코트층(60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도 4의 물품은, 성형 재료(506)와,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을 갖고, 성형 재료(506)의 양측에,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5의 물품은, 성형 재료(506)와,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과, 광학 필름(601)을 갖고, 성형 재료(506) 위에, 수지제 기재(211)와, 방담층(2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성형 재료(506)의 수지제 기재(211) 측과 반대측에는 광학 필름(601)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601)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 코트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 필름,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물품은, 예를 들어 더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더블 인서트 성형은, 양면 적층 필름 일체품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03-11471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방담 방법)
<방담 방법(그의 1)>
본 발명의 방담 방법의 일 형태는, 본 발명의 상기 방담 적층체를 물품의 표면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상기 물품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창, 냉장·냉동 쇼케이스, 자동차의 윈도우 등의 창재, 욕실 내의 거울, 자동차 사이드미러 등의 거울, 욕실의 바닥 및 벽, 태양 전지 패널, 방범 감시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안경, 고글, 헬멧, 렌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커버, 프론트 패널, 사이드 패널, 리어 패널 등이어도 된다. 이들은, 인 몰드 성형,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의 표면에 상기 방담 적층체를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물품의 표면에 상기 방담 적층체를 점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물품의 표면에 상기 방담 적층체를 적층할 수 있다.
<방담 방법(그의 2)>
본 발명의 방담 방법의 다른 일 형태는, 증기에 의해 흐려진 상기 방담 적층체의 상기 방담층에 상온 이상의 온도의 물을 뿌림으로써 상기 방담층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욕실 등의 고습도하에 놓인 상기 방담 적층체에 있어서는, 증기에 의해 상기 방담층에 흐려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담층에 뜨거운 물을 뿌림으로써, 흐려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그 방담 효과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장시간(예를 들어, 적어도 30분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방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담층이 뿌리는 물(뜨거운 물)의 온도로서는 상온(25℃)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30℃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이상 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5℃ 이상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담층에 물을 뿌리는 시간으로서는, 상기 방담층의 흐려짐을 제거할 수 있는 시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시간이어도, 상기 방담층의 흐려짐을 제거할 수 있으면, 그 후, 방담 효과는 유지된다.
상기 방담 방법에 있어서 장시간에 걸쳐 방담 효과가 유지하는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상기 방담층의 친수성 분자 구조에 기인한 흡수성이 관계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회복률>
PICODENTOR HM500(피셔 인스트루먼츠사 제조) 경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면각 136°의 다이아몬드 뿔체 압자에 의해, 25℃에 있어서, 0.050mN/㎛2·초의 부하 속도로, 20초에 걸쳐 1.0mN/㎛2의 압력까지 압력을 가하고, 그 후, 0.050mN/㎛2·초의 언로딩 속도로 20초에 걸쳐 압력을 0까지 언로딩했을 때의 하중과 변형량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으로부터, 소성 변형 작업(Wplast), 탄성 변형 작업량(Welast)을 구하여, 소정의 압력에 있어서의 탄성 회복률(%)을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탄성 회복률(%)=[Welast/(Wplast+Welast)]×100
임의의 5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탄성 회복률로 하였다.
<평균 두께>
방담층의 두께는, 방담 적층체의 단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 S-4700(상품명;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조)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임의의 5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두께로 하였다.
<운동 마찰 계수>
Triboster TS501(상품명; 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면 접촉자에 BEMCOT(등록상표) M-3II(상품명;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양면 테이프로 점착하고, 측정 하중 50g/㎠, 측정 속도 1.7㎜/s, 측정 거리 20㎜로 하여, 임의의 12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운동 마찰 계수로 하였다.
<호기 방담성>
25℃ 37%RH의 환경에서, 방담층의 표면에 대해서, 해당 표면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5㎝ 떨어진 거리로부터 숨을 크게 한 번 내뱉었다. 그 후, 즉시, 눈으로 표면을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방담층 표면에 외관 변화가 전혀 없었다.
○: 방담층 표면의 일부에 있어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의 외관 변화가 확인되었다.
×: 방담층 표면이 전체적으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의 외관 변화가 확인되었다.
<내찰상성>
스틸 울(상품명: 본스타, 번수: #0000)을 방담층의 표면에 두고, 하중 400gf/13㎜φ로 10 왕복 접동(접동 스트로크: 3㎝, 접동 속도: 6㎝/s)한 후, 하기 평가 기준으로, 외관 및 호기 방담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외관>>
〔평가 기준〕
○: 외관에 흠집 발생이나 백탁 등의 변화가 없었다.
×: 외관에 흠집 발생이나 백탁 등의 변화가 있었다.
<<호기 방담성>>
〔평가 기준〕
○: 호기 방담성에 변화가 없었다.
×: 호기 방담성이 열화되었다.
<방오성>
Sharpie PROFESSIONAL(검은 유성 매직, 상품명, Newell Rubbermaid사 제조)로 방담층의 표면을 오염시켰다. 그 후, 이것을 티슈(다이오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리엘)로 10회, 원을 그리듯이 닦은 후에, 눈으로 표면을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오염이 없어졌다.
×: 오염이 남아있었다.
<순수 접촉각>
순수 접촉각은, 접촉각계인 PCA-1(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증류수를 플라스틱 시린지에 넣고, 그 선단에 스테인리스제의 바늘을 부착하여 평가면(방담층 표면)에 적하하였다.
물의 적하량: 2μL
측정 온도: 25℃
물을 적하하여 5초 경과 후의 접촉각을, 방담층 표면의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순수 접촉각으로 하였다.
<헥사데칸 접촉각>
헥사데칸 접촉각은, 접촉각계인 PCA-1(교와 가이멘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헥사데칸을 플라스틱 시린지에 넣고, 그 선단에 테프론 코팅 스텐레스제의 바늘을 부착하여 평가면(방담층 표면)에 적하하였다.
헥사데칸의 적하량: 1μL
측정 온도: 25℃
헥사데칸을 적하하여 20초 경과 후의 접촉각을, 방담층 표면의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헥사데칸 접촉각으로 하였다.
<성형 가공>
제작한 방담 적층체를 적외선 조사에 의해 150℃에서 5초간 가열 후, 진공 압공 성형에 의해, 오목면이 방담층이 되도록, φ80㎜의 8 커브 렌즈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그 후, 톰슨 칼날로 φ80㎜의 8 커브 렌즈 형상 방담 적층체를 펀칭하였다. 이것을 인서트 성형용 금형에 세트하고, 용융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충전 후, 폴리카르보네이트가 고화될 때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금형을 개방하여, 오목면이 방담층인 8 커브 렌즈를 얻었다.
<<성형 가공 후의 호기 방담성>>
25℃ 37%RH의 환경에서, 방담층의 표면에 대해서, 렌즈 중심부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5㎝ 떨어진 거리로부터 숨을 크게 한 번 내뱉었다. 그 후, 즉시, 눈으로 표면을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방담층 표면에 외관 변화가 전혀 없었다.
○: 방담층 표면의 일부에 있어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의, 외관 변화가 확인되었다.
×: 방담층 표면이 전체적으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 외관 변화하였다.
<<성형 가공 후의 내찰상성>>
스틸 울(상품명: 본스타, 번수: #0000)을 렌즈의 방담층측 표면에 두고, 하중 400gf/13㎜φ로 10 왕복 접동(접동 스트로크: 3㎝, 접동 속도: 6㎝/s)한 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외관 및 호기 방담성에 변화가 없었다.
×: 외관에 흠집 발생이나 백탁 등의 변화가 있고, 및/또는 호기 방담성이 열화되었다.
<밀착성>
JIS K5600-5-6(크로스컷 시험법)에 준거하여 크로스컷 밀착 시험을 행하였다. 100매스 중, 박리되지 않고 남은 수를 셌다.
박리되지 않은(100매스 중 100매스 남은) 경우를, 「100/100」으로 나타내고, 모두 박리된(100매스 중 1매스도 남지 않은) 경우를, 「0/100」으로 나타낸다.
또한, 박리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유리-앵커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 또는 앵커층-방담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도 확인하였다.
<증기에 의한 흐림성>
용기의 약 절반에 물을 넣었다. 넣은 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55℃로 유지하고, 또한, 용기 내의 상부 공간의 대기 온도를 35℃로 유지하였다. 그 용기에, 방담 적층체(샘플)를, 물(뜨거운 물)에 접하지 않도록 설치하였다(도 6a). 그리고, 방담 적층체(샘플)의 방담층에 약 40℃의 뜨거운 물을 뿌렸다(도 6b). 그 후, 도 6a의 상태로 되돌리고, 30분 후에 눈으로 흐려진 모습을 관찰하였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방담층 표면에 외관 변화가 전혀 없었다.
○: 방담층 표면의 일부에 있어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의, 외관 변화가 확인되었다.
×: 방담층 표면이 전체적으로, 흰색 흐려짐, 수막 형성 등, 외관 변화하였다.
(실시예 1)
<방담 적층체의 제작>
수지제 기재로서,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FE-2000(PC 기재, 평균 두께 180㎛)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건조 및 경화 후의 평균 두께가 10㎛가 되도록, 상기 수지제 기재 위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60℃의 오븐으로 2분간 건조시켰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조사량 500mJ/㎠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방담층을 경화시켜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9035(사토머사 제조) 60.41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89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건조 및 경화 후의 방담층의 평균 두께를 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9035(사토머사 제조) 51.78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4.52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건조 및 경화 후의 방담층의 평균 두께를 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메가페이스 RS-75(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2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BYK3500(빅 케미·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41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415(사토머사 제조) 60.41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89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SR415(사토머사 제조) 51.78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4.52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1-3]
Figure pct00003
[표 1-4]
Figure pct00004
표 1-1 내지 표 1-4 중의 약호 또는 상품명은 이하와 같다.
SR9035: 사토머사 제조
SR415: 사토머사 제조
EB40: EBECRYL 40, 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DAC-HP: 옵툴 DAC-HP,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RS75: 메가페이스 RS-75,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BYK3500: 빅 케미·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Y-1203: 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84D: 이르가큐어 184D, BASF사 제조
IPA: 이소프로필알코올
방담층이, 탄성 회복률 90% 이상, 평균 두께 4㎛ 이상, 및 운동 마찰 계수 0.40 이하를 충족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4는, 방담층이 평균 두께 4㎛ 이상, 및 운동 마찰 계수 0.40 이하를 충족하고 있었지만, 탄성 회복률이 90% 미만이었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방담층의 평균 두께가 방담성의 내구성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현시점에서는 상세 불명이지만, 비교예 2로부터, 방담성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는, 방담층의 탄성 회복률 및 운동 마찰 계수뿐만 아니라, 평균 두께가 4㎛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고 판명되었다.
비교예 3은, 방담층이 탄성 회복률 90% 이상, 및 평균 두께 4㎛ 이상이었지만, 운동 마찰 계수가 0.40보다 컸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4로부터, 양호한 방오성을 겸비하기 위해서는,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이 70° 이상이며,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다.
(실시예 7)
<방담 적층체의 제작>
기재로서, 유리제 기재(닛폰 이타가라스(주) 제조, 플로트 판유리, 평균 두께 5㎜)를 사용하였다.
하기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1)을, 건조 및 경화 후 두께가 1㎛가 되도록, 상기 유리제 기재 위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80℃의 오븐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조사량 500mJ/㎠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앵커층(하지층)을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1)-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65.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5.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다음으로, 상기 앵커층 위에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1)을, 건조 및 경화 후의 평균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 후, 80℃의 오븐에서 2분간 건조시켰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조사량 500mJ/㎠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방담층을 경화시켜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1)-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2)-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70.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3)-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85.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5.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4)-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70.0질량부
·HEAA(KJ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5)-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70.0질량부
·A-TMM-3L(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6)-
·UT5181(닛폰 고세이사 제조) 70.0질량부
·M3130(Miwon사 제조) 3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7)-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70.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0질량부
·KBM-503(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5.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8에 있어서, 앵커층의 평균 두께를 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2)-
·SR9035(사토머사 제조) 60.41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89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3)-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4)-
·SR9035(사토머사 제조) 60.41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5.89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6에 있어서, 앵커층의 평균 두께를 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8)-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90.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의 평균 두께를 0.1㎛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8)-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BYK3500(빅 케미·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5)-
·SR9035(사토머사 제조) 51.78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4.52질량부
·KY-1203(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6)-
·SR9035(사토머사 제조) 51.78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4.52질량부
·옵툴 DAC-HP(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5에 있어서, 건조 및 경화 후의 방담층의 평균 두께를 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8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2-7)-
·SR9035(사토머사 제조) 69.04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7.26질량부
·메가페이스 RS-75(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25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2.7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참고예 1)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9)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9)-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사 제조) 60.0질량부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0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참고예 2)
실시예 7에 있어서,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조성의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담 적층체를 얻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1-10)-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사 제조) 70.0질량부
·Miramer M300(Miwon사 제조) 30.0질량부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3질량부
·PGME(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900질량부
얻어진 방담 적층체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앵커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배합을 이하에 정리한다.
[표 2]
Figure pct00005
UT-5181: UT5181(닛폰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EB40: EBECRYL 40(다이셀 올넥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아크릴레이트
HEAA: HEAA(KJ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TMM3L: A-TMM-3L(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TMP(EO)3TA: M3130(Miwon사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Miramer M300(Miwon사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KBM503: KBM-503(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Irg184D: 이르가큐어 184D(BASF사 제조)
방담층의 제작에 사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을 이하에 정리한다.
[표 3]
Figure pct00006
[표 4-1]
Figure pct00007
[표 4-2]
Figure pct00008
[표 4-3]
Figure pct00009
방담층이, 탄성 회복률 90% 이상, 평균 두께 4㎛ 이상, 및 운동 마찰 계수 0.40 이하를 충족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방담성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방담층이 평균 두께 4㎛ 이상, 및 운동 마찰 계수 0.40 이하를 충족하고 있었지만, 탄성 회복률이 90% 미만이었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방담층의 평균 두께가 방담성의 내구성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현시점에서는 상세 불명이지만, 비교예 7로부터, 방담성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는, 방담층의 탄성 회복률 및 운동 마찰 계수뿐만 아니라, 평균 두께가 4㎛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고 판명되었다.
비교예 8은, 방담층이 탄성 회복률 90% 이상, 및 평균 두께 4㎛ 이상이었지만, 운동 마찰 계수가 0.40보다 컸기 때문에, 내찰상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실시예 21로부터, 양호한 방오성을 겸비하기 위해서는,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이 70° 이상이며,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다.
기재를 유리제 기재로 하는 경우, 유리제 기재 위에 직접 방담층을 형성하는 것보다도, 유리제 기재와 방담층의 사이에 앵커층을 형성하는 것이, 층간 밀착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20과 다른 실시예의 대비로부터, 앵커층의 평균 두께는, 0.5㎛ 이상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실시예 20).
또한, 참고예 1 및 2와 실시예의 대비로부터, 앵커층은 이하의 조건 (1) 내지 (3)을 충족하는 것이 층간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 상기 앵커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다.
(2)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65질량% 이상 함유한다.
(3)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은,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함유한다.
또한, 실시예 19와 다른 실시예의 대비로부터, 앵커층은 나아가 이하의 조건 (4)를 충족하는 것이 층간 밀착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4)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은,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15질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참고예 1 및 2는, 유리제 기재와 앵커층의 밀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방담성 등의 평가를 행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담 적층체는, 유리창, 냉장·냉동 쇼케이스, 자동차의 윈도우 등의 창재, 욕실 내의 거울, 자동차 사이드미러 등의 거울, 욕실의 바닥 및 벽, 태양 전지 패널 표면, 방범 감시 카메라 등에 붙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담 적층체는, 성형 가공이 용이한 점에서, 인 몰드 성형, 인서트 성형을 이용하여, 안경, 고글, 헬멧, 렌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커버, 프론트 패널, 사이드 패널, 리어 패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211: 수지성 기재
212: 방담층

Claims (13)

  1.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표면이 평활한 방담층을 갖고,
    상기 방담층이 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하며,
    상기 방담층이 90% 이상의 탄성 회복률과, 0.40 이하의 운동 마찰 계수와, 4㎛ 이상의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담층의 표면의 순수 접촉각이 70° 이상이고, 또한 헥사데칸 접촉각이 35° 이상인, 방담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담층이 발수성 분자 구조를 함유하는, 방담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방담층의 사이에 앵커층을 갖는, 방담 적층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유리제 기재인, 방담 적층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층의 평균 두께가 0.5㎛ 내지 5㎛인, 방담 적층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며,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65질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함유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방담 적층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활성 에너지 경화성 성분이,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및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활성 에너지성 경화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방담 적층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를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0. 제9항에 기재된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담 적층체를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상기 방담 적층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담 적층체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이 적외선 가열에 의해 행해지는, 물품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를 물품의 표면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방법.
  13. 증기에 의해 흐려진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 적층체의 상기 방담층에 상온 이상의 온도의 물을 뿌림으로써 상기 방담층의 흐려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 방법.
KR1020187012995A 2015-10-27 2016-10-04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KR102077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1305 2015-10-27
JP2015211305 2015-10-27
JPJP-P-2016-168222 2016-08-30
JP2016168222A JP6154053B2 (ja) 2015-10-27 2016-08-30 防曇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曇方法
PCT/JP2016/079438 WO2017073262A1 (ja) 2015-10-27 2016-10-04 防曇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172A true KR20180066172A (ko) 2018-06-18
KR102077514B1 KR102077514B1 (ko) 2020-02-17

Family

ID=5871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995A KR102077514B1 (ko) 2015-10-27 2016-10-04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9410B2 (ko)
EP (1) EP3369568B1 (ko)
JP (2) JP6154053B2 (ko)
KR (1) KR102077514B1 (ko)
CN (1) CN108136746B (ko)
TW (1) TWI7290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10B1 (ko) * 2021-12-30 2022-05-25 주식회사 라스켐 안티포그 안경렌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안티포그 안경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8191B1 (ja) * 2017-04-26 2018-03-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JP6405015B1 (ja) 2017-09-22 2018-10-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
JP6388185B1 (ja) * 2017-12-01 2018-09-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塗料組成物
WO2019163638A1 (ja) * 2018-02-21 2019-08-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JP6568294B2 (ja) * 2018-02-21 2019-08-2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CN113851153B (zh) * 2018-03-09 2023-12-26 Hoya株式会社 间隔件、基板的层积体和基板的制造方法
JP2019200409A (ja) * 2018-05-11 2019-11-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レネル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6604582B2 (ja) * 2018-07-30 2019-1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親水性部材
CN109971137A (zh) * 2019-03-21 2019-07-05 深圳市昱荣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吸塑用防雾胶片及其制备方法
CN115835957A (zh) * 2020-07-13 2023-03-21 日东电工株式会社 带防污层的光学薄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2A (ko) * 2001-06-01 2002-12-11 (주) 개마텍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팅필름
JP3760669B2 (ja) 1999-04-22 2006-03-29 株式会社Nhvコーポレーション ハードコート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7246817A (ja) * 2006-03-17 2007-09-27 Fujifilm Corp 防汚性部材及び防曇性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6740A1 (en) * 1989-05-26 1990-11-26 Shih-Chung Chen Anti-fog coating
US5739181A (en) * 1996-06-07 1998-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ation 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possessing anti-fog properties
US7608312B1 (en) * 2000-09-08 2009-10-27 Cryovac, Inc. Printed antifog film
JP5224781B2 (ja) * 2007-11-02 2013-07-0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皮膜を有する樹脂板
TWI627061B (zh) * 2012-06-21 2018-06-2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之製造方法、塗料、塗膜及薄膜
JP5629025B2 (ja) * 2013-01-23 2014-11-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親水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防汚用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TWI576237B (zh) * 2013-02-01 2017-04-01 3M新設資產公司 用於光學膜之底漆組合物
WO2016136811A1 (ja) * 2015-02-25 2016-09-01 三井化学株式会社 変性アクリル樹脂硬化物、及びその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6637243B2 (ja) * 2015-03-09 2020-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JP2017030347A (ja) * 2015-04-28 2017-02-0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US20170056834A1 (en) * 2015-08-24 2017-03-02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Multilayer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0669B2 (ja) 1999-04-22 2006-03-29 株式会社Nhvコーポレーション ハードコート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91972A (ko) * 2001-06-01 2002-12-11 (주) 개마텍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팅필름
JP2007246817A (ja) * 2006-03-17 2007-09-27 Fujifilm Corp 防汚性部材及び防曇性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10B1 (ko) * 2021-12-30 2022-05-25 주식회사 라스켐 안티포그 안경렌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안티포그 안경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81148A (ja) 2017-05-18
US20180305249A1 (en) 2018-10-25
US10829410B2 (en) 2020-11-10
JP2017149156A (ja) 2017-08-31
JP6154053B2 (ja) 2017-06-28
KR102077514B1 (ko) 2020-02-17
TWI729012B (zh) 2021-06-01
JP6231237B2 (ja) 2017-11-15
EP3369568A4 (en) 2019-09-25
CN108136746B (zh) 2020-12-08
CN108136746A (zh) 2018-06-08
TW201733798A (zh) 2017-10-01
EP3369568B1 (en) 2021-10-20
EP3369568A1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14B1 (ko) 방담 적층체,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담 방법
JP637536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JP7161836B2 (ja) 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637243B2 (ja) 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JP6298191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US10987899B2 (e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oduct
WO2016175054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WO2017073262A1 (ja) 防曇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曇方法
JP201905923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
JP656829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WO2019163638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防曇防汚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物品、並びに防曇方法
WO2017104612A1 (ja) 防曇防汚積層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