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885A -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885A
KR20180065885A KR1020170146888A KR20170146888A KR20180065885A KR 20180065885 A KR20180065885 A KR 20180065885A KR 1020170146888 A KR1020170146888 A KR 1020170146888A KR 20170146888 A KR20170146888 A KR 20170146888A KR 20180065885 A KR20180065885 A KR 2018006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outer cover
sludge
measuring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종현
박대길
신성훈
Original Assignee
(주)솔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내건설 filed Critical (주)솔내건설
Publication of KR2018006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슬러지를 수용하며, 처리하는 처리용 하우징과, 처리용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며, 태양광이 투과가능한 외부 덮개와, 외부 덮개 내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와, 외부 덮개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 습도센서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와,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외부 습도센서와, 외부 덮개 내외로 환기를 위한 배기팬 및, 내부 온도센서, 내부 습도센서, 외부 온도센서 및 외부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근거로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A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본 발명은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하수처리장이나, 오페수 처리과정에서 나로는 슬러지를 건조하여 처리하기 위한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sludge)란, 진흙상태의 산업폐기물 또는 폐수처리 침전물 등에 대한 일반적인 호칭을 일컫는 것으로, 오니(汚泥)라고도 한다. 금속표면을 산(酸) 처리하는 공정에서나, 물과 접하는 보일러, 선박, 탱크류 등의 금속표면이 박리, 퇴적하여 진흙상태로 된 것을 말하는데, 이때 슬러지의 주성분은 금속 또는 그 화합물이다.
슬러지 처리과정에 대한 환경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현재 사용중인 매립법에 의한 슬러지 처리는 한계에 달하고 있다. 이는 매립된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 등의 환경오염이 심각함이 이미 검증되었고, 매립 공간의 확보 측면에서도 한계에 도달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슬러지의 처리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건조하는 방법, 기계적으로 압착하는 방법, 진공 건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수분의 건조시간과 건조효율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조 과정에서 표면이 먼저 건조가 되어 수분의 증발을 막게 되므로 내부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조 방법은 슬러지 내부의 수분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므로, 시간당 처리량이 저하되고 장치의 운용 효율이 감소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8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원활한 슬러지의 공급과 건조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고, 건조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는 탈습 및 탈취상태로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를 수용하며, 처리하는 처리용 하우징; 상기 처리용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며, 태양광이 투과가능한 외부 덮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 습도센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외부 습도센서; 상기 외부 덮개 내외로 환기를 위한 배기팬; 및 상기 내부 온도센서, 내부 습도센서, 외부 온도센서 및 외부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외부의 일사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일사량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에서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처리용 하우징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좋다.
본 발명의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에 따르면, 친환경적으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건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악취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면서도 단시간에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리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검할 수 있고,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도 3은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100)는, 슬러지를 수용하며 처리하는 처리용 하우징(110), 상기 처리용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120), 상기 외부 프레임(120)을 덮도록 설치되는 외부 덮개(130), 상기 외부 덮개(130) 내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141), 외부 덮개(13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 습도센서(143),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145),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외부 습도센서(147), 일사량 센서(149), 외부 덮개(130) 내외로 환기를 위한 배기팬(150), 외부 덮개(130) 내부에서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160), 처리용 하우징(110)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기(170) 및 상기 각각의 센서(141,143,145,147,149)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고,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150), 송풍팬(160) 및 교반기(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처리용 하우징(110)은 소정 넓이와 깊이를 가진다. 이 처리용 하우징(110)에 처리할 슬러지가 수용된다. 처리용 하우징(110)의 재질은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상기 처리용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외부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외부 프레임(120)은 금속재질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처리용 하우징(110)의 상부에 일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120)의 외측에는 외부 덮개(130)가 설치된다 외부 덮개(130는 태양광이 투과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외부 덮개(130)는 비닐, 유리, 투명 합성수지 재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덮개(130) 내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내부에는 내부 온도센서(141)가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외부 덮개(13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 습도센서(143)가 설치되어 측정된 내부 습도정보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외부 덮개(13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145)와,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외부 습도센서(147)가 외부에 설치되고, 측정된 외부온도 및 외부 습도 측정값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또한, 외부 덮개(130)의 외측에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량 센서(149)가 설치되어 일사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일사량 측정값은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또한, 외부 덮개(130) 내외로 환기를 위한 배기팬(150)이 외부 덮개(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팬(150)은 제어부(180)의 제어동작에 의해 구동제어도어 외부 덮개(130)내외로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풍팬(160)은 외부 덮개(130) 내부에서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그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 덮개(130) 내부의 공간에서의 좌우, 상하로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습도와 온도를 균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170)는 처리용 하우징(110)의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설치되며, 하나 또는 복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기는 상기 외부 프레임(120)에 연결된 별도의 지지대나 지지프라켓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인 경우 동시에 또는 교대로 동작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제어부(180)에 의해 구동제어 될 수 있다.
즉, 교반기(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기(170)는 구동모터(171)와, 샤프트(173)와, 샤프트(173)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교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175)를 구비한다. 임펠러(175)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교반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에 교반날개를 대신하여 오거 등이 설치되어 슬러지를 교반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교반기(170)의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각각의 센서(141,143,145,147,149)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고, 측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150), 송풍팬(160) 및 교반기(17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교반되면서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건조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조 장치 없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 설비로 제작 및 보급이 가능하고, 설치 장소 등에 제한이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 처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친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110..처리용 하우징 120..외부 프레임
130..외부 덮개 141..내부 온도센서
142..내부 온도센서 143..내부 습도센서
145..외부 온도센서 147..외부 습도센서
149..일사량 센서 150..배기팬
160..송풍팬 170..교반기
180..제어부

Claims (4)

  1. 슬러지를 수용하며, 처리하는 처리용 하우징;
    상기 처리용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덮도록 설치되며, 태양광이 투과가능한 외부 덮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 습도센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외부 습도센서;
    상기 외부 덮개 내외로 환기를 위한 배기팬; 및
    상기 내부 온도센서, 내부 습도센서, 외부 온도센서 및 외부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일사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일사량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 내부에서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 하우징의 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70146888A 2016-12-07 2017-11-06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KR20180065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74 2016-12-07
KR20160165874 2016-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85A true KR20180065885A (ko) 2018-06-18

Family

ID=6276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88A KR20180065885A (ko) 2016-12-07 2017-11-06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8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83B1 (ko) * 2020-02-19 2020-10-21 (주)진에너텍 유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공기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64Y1 (ko) 2010-12-10 2011-05-30 지가람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64Y1 (ko) 2010-12-10 2011-05-30 지가람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83B1 (ko) * 2020-02-19 2020-10-21 (주)진에너텍 유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공기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1325A (ja) 生ごみの真空乾燥装置
JPH0451235B2 (ko)
JP6263679B2 (ja) 有機廃棄物堆肥化装置及び方法
KR102054380B1 (ko)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7058413B2 (ja) 堆肥化制御方法
KR20180065885A (ko) 친환경 고효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329545B1 (ko) 하수 및 분뇨, 음식물 찌꺼기 건조장치
KR20210011732A (ko) 함수 파쇄물 건조 장치
JP5215524B2 (ja) 堆肥発酵処理システム及び排気方法
JPH1099826A (ja) 生ゴミ処理機
TWI693114B (zh) 用於處理混合廢料的裝置及其方法
JP7190133B2 (ja) 堆肥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473247B1 (ko) 하수 및 가축분뇨 찌꺼기 건조장치
JPH11294952A (ja) 生ごみ処理装置
CN213679996U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生物强化处理设备
JP3968969B2 (ja) コンポスト様物の製造方法及びコンポスト様物の製造装置
JP3991974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2143897A (ja) 発酵乾燥機
KR200186285Y1 (ko) 폐기물 건조기
JPH09132490A (ja) 有機物の処理装置
KR2023017205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JP3985731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80048210A (ko) 유기성 폐기물용 퇴비화장치
JP4401851B2 (ja) し渣分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