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13A -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13A
KR20180064913A KR1020160165359A KR20160165359A KR20180064913A KR 20180064913 A KR20180064913 A KR 20180064913A KR 1020160165359 A KR1020160165359 A KR 1020160165359A KR 20160165359 A KR20160165359 A KR 20160165359A KR 20180064913 A KR20180064913 A KR 2018006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stic
sheet
plastic sheet
pla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빈
Original Assignee
임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빈 filed Critical 임형빈
Priority to KR102016016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913A/ko
Publication of KR2018006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3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305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7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 B29C2043/327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driving means for rotatable suports, e.g. carousels,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판의 내부에 강재 중 하나인 익스펜디드 메탈을 지지체로 일제 구성하되, 플라스틱시트를 압출과 동시에 지지체가 일체로 내장되도록 제조함으로써 경도 및 강도를 강화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은 지지체 제조단계는 플라스틱 내부에서 색상표출에 의한 미적기능을 발휘하도록 익스펜디드 메탈의 표면에 색상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착색층을 형성하는 지지체의 착색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plate with supporter}
본 발명은 플라스틱판 내부에 강재의 일종인 망형태의 익스펜디드메탈을 지지체로 내장하여 경도 및 강도를 강화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판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PC)를 소재로 하여 판재를 구성함으로써 소정의 강도와 무색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건축자재, 디자인, 간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 소재의 경우 내구성 및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내구성 및 강도면에서 아크릴 소재보다 비교적 우수한 반면 가격적인면에서 비용이 다소 비싼 단점이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판은 두께와 크기에 따라 비용적인 부담이 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130호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PC) 판재나 판넬에 내화학성을 부여하여 특히 화공약품을 취급하는 구조물이나 건축물, 축사나 양식장 등의 암모니아가스 등으로 부터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용적인 문제는 해소될 수 없으며, 경도 및 강도가 아크릴 보다는 우수하더라도 폴리카보네이트 역시 플라스틱 소재이기 금속재에 비해 강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108130 A 2015. 09. 25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플라스틱판의 내부에 강재 중 하나인 익스펜디드 메탈을 지지체로 일제 구성하되, 플라스틱시트를 압출과 동시에 지지체가 일체로 내장되도록 제조함으로써 경도 및 강도를 강화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은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사용하여 철망 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을 제조하여 지지체로 구성한 후 이송라인으로 따라 이송 공급하는 지지체 제조단계; 플라스틱원료를 용융하여 비경화된 시트형상으로 압출하여 공급하는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 이송라인을 따라 공급되는 지지체와 비경화상태로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를 일체로 압축하여 지지체의 외부에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층이 일체 형성되도록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형성하는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 제조단계는 플라스틱 내부에서 색상표출에 의한 미적기능을 발휘하도록 익스펜디드 메탈의 표면에 색상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착색층을 형성하는 지지체의 착색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 제조단계는 익스펜디드 메탈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착색층 형성단계를 거친 후, 플라스틱시트와 일체 압축시 접착밀도를 높히도록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원료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는 플라스틱 중간에 지지체가 형성되도록 압축시 압축롤의 양 사이드 중심에 지지체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체의 위아래로 플라스틱층이 일체 형성되도록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는 압축롤에 의해 지지체와 미경화된 상태로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를 압축과 동시에 경화되도록 냉각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를 통해 제조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면서 수축된 부분을 교정한 후, 냉각온열조절에 의한 수축방지 및 평탄화시키는 교정 및 폴리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라스틱판 내부에 강재의 일종인 망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을 지지체로 일체 내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라스틱판의 경도 및 강도가 강화함에 따른 강성 및 품질이 향상된 플라스틱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소재의 제품에 적용시 내부 지지체에 의한 향상된 내구성으로 두께를 줄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경감함에 따른 경제적인 시공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플라스틱판을 구성하는 아크릴 또는 폴라카보네이트가 반투명이나 투명성을 갖는 특성에 따라 익스펜디드 메탈의 구조적 특성과 색상층의 색상표현에 의한 심미감을 조성하여 미적 기능이 더해진 플라스틱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다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절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제조공정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중 지지체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중 압출, 압축, 폴리싱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장치 및 압축장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제조하는 압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을 절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은 강재의 일종인 익스펜디드메탈을 지지체(10)로 구비하여 플라스틱시트와 일체로 압축하여 플라스틱 내부에 지지체(10)가 내장되어 경도 및 강도를 강화한 플라스틱판을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체에 다양한 색상중 하나로 도장하여 착색층을 형성하여 지지체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지지체의 도장된 착색층에 의한 심미감 조성으로 미적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은 익스펜디드 메탈(11)을 판상 형태의 지지체(10)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10)의 표면에 색상도료에 의한 착색층(20)을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20)으로 접착제(30)를 도포하며,
상기 지지체(10)와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로 된 플라스틱원료로 압출된 플라스틱시트(41)를 일체 압축 성형하여 지지체(10)가 중간에 내장되도록 지지체(10)의 외부에 일체 형성되는 플라스틱층(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0)를 형성하는 익스펜디드 메탈(11)은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소재로 하여 일정간격으로 재단 후 늘려서 틈이 형성됨에 따른 확장된 철망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익스펜디드 메탈(11)은 이미 건축, 토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0)는 일체로 압축되는 플라스틱판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착색층(20)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플라스틱시트(41)와 접착성을 높히기 위해 상하부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가공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착색층(20)은 지지체(10)의 상하부 표면에 색상도료를 도포하여 코팅함으로써 두 가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첫번째는 금속소재인 지지체(10)의 표면에 1차 색상도료를 코팅함에 따른 압출된 플라스틱시트(41)와 압축시 접착밀도를 높히도록 도포되는 접착제(30)의 부착성을 높혀 지지체(10)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는 플라스틱시트(41)로 사용되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가 투명성을 갖는 특성상 지지체(10)를 중심으로 하여 플라스틱시트(41)과 압착하여 플라스틱판으로 구성하게 되면, 지지체(10)에 코팅된 착색층(20)에 의한 색상이 플라스틱층(40)의 내측에서 투영됨에 따른 심미감이 조성되는 미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플라스틱판의 제품을 고급화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30)는 지지체(10)의 표면에 도장된 착색층(20)의 표면 전체에 도포하여 용융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41)와 압축하여 일체 구성시에 접착밀도를 높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층(40)은 접착제(30)가 도포된 지지체(10)를 플라스틱시트(41)와 일체되도록 압축하되, 지지체(10)가 중심에 내장하도록 하여 지지체(10)의 표면 전체를 플라스틱층(40)이 감싸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층(40)은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두께로 제조됨에 따라 크기 및 규격별로 제품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은 종래의 플라스틱원료만으로 판재를 구성시 가지는 경도 및 강도의 한계점을 보완하도록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의 내부에 금속재로 된 익스펜디드 메탈(11)로 이루어진 지지체(10)를 내장재로 복합 구성함으로써, 경도 및 강도를 강화함에 따른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익스펜디드 메탈(11)이 망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플라스틱시트(41)와 일체 압축 성형하여 플라스틱판으로 구성하게 되면, 망 사이로 형성된 통공마다 플라스틱원료가 채워지면서 지지체(10)와 플라스틱이 보다 견고한 구조로 결합상태를 형성하여 내구성에서 아주 뛰어난 플라스틱판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의 제조를 위해 지지체(10)의 제조와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출하여 지지체(10)와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하여 판재로 구성하는 각 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라인이 일괄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의 제조방법은 지지체 제조단계(S100)와,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S200)와, 지지체 및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와, 교정 및 폴리싱단계(S400)를 포함하며,
제품화를 위한 후속 공정으로 제품검사단계(S500)와, 보호필름형성단계(S600)와, 제품재단(S700) 및 포장단계(S800)를 더 포함한다.
1. 지지체 제조단계(S100);
지지체 제조단계(S100)는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사용하여 철망 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11)을 제조하여 지지체(10)로 구성한 후 이송라인으로 따라 이송 공급하는 하도록 구체적으로 세분화된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익스펜디드 메탈 제조단계(S110), 1차 피딩제어단계(S120), 지지체의 표면가공단계(S130), 지지체의 세척단계(S140), 지지체의 착색층 형성단계(S150), 접착제 도포단계(S160)를 포함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중 지지체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1-1) 익스펜디드 메탈 제조단계(S110)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사용하여 철망 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11)을 제조하여 지지체(10)로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체(10)를 제조와 동시에 이송라인에 의해 후속공정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10)는 익스펜디드 메탈 제조장치에 의해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두께 및 폭을 조절하며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익스펜디드 메탈 제조장치는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일정간격으로 재단 후 늘려서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확장된 철망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익스펜디드 메탈의 제조기술은 통상적으로 해당분야의 종사자라면 알 수 있는 기술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2) 1차 피딩제어단계(S120)
상기 지지체(10)를 후속 공정으로 이송안내시 피딩롤(122)이 상하 승강하는 1차 피딩제어부(121)를 통과하도록 하여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1차 피딩제어부(121)는 양측 지지대(123) 사이로 상부에 지지롤(12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124)의 하부에서 지지대(123)를 따라 상하 승강하는 피딩롤(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1차 피딩제어부(121)는 피딩롤(122)이 하강하면서 지지체(10)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지지체(10)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후속 공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1-3) 지지체의 표면가공단계(S130)
상기 지지체(10)의 상하부면을 표면가공부(131)를 통해 압연 및 연삭하여 매끄럽게 가공처리하게 된다.
상기 표면가공부(131)는 지지체(10)의 상하부면을 가압하여 압연처리 하도록 상하 대응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압연롤(132,132')이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압연롤(132,132') 사이로 지지체(10)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삭하기 위한 연삭롤(133,133')이 상하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가공부(131)를 통한 지지체(10)의 상하부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처리하는 것은 착색층 형성을 위한 후속 공정에서 색상 도장처리를 위해 도포되는 색상도료의 도착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1-4) 지지체의 세척단계(S140)
상기 표면가공에 의한 지지체(10)를 세척부(141)를 통과하도록 하여 표면가공시 발생된 분진이나 쇳가루를 제거하도록 세척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세척부(141)는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143)이 설치된 세척챔버(142)로 구성되어 고압의 공기에 의해 지지체(10)의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1-5) 지지체의 착색층 형성단계(S150)
지지체(10)에 도장부(151)를 거치도록 하여 표면에 색상 도료를 도포하여 착색층(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착색층(20)에 의해 플라스틱의 내부에서 색상에 의한 심미감이 조성됨에 따른 미적 기능을 발휘하여 제품의 질을 한층 높히며, 다양 분야에 인테리어 효과를 위한 내장재로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후속 공정에서 지지체(10)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30)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함과 아울러 부착성을 높히면서 익스펜디드 메탈(11)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장부(151)는 도료분사노즐(152)을 갖춘 도장챔버(153)와 히팅수단(154)이 구비된 건조챔버(155)로 구성되며, 지지체(10)가 도장챔버(153)에서 표면 전체에 색상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챔버(155)를 통과하면서 건조함에 따라 착색층(20)을 형성하게 된다.
1-6) 접착제 도포단계(S160)
상기 착색층(20)의 표면 전체에 접착제(30)를 도포하게 된다.
이는 지지체(10)가 내장되도록 플라스틱시트(41)와 일체 압축시 접착성을 높히도록 차색층(20)이 형성된 지지체(10)를 접착제 도포롤(161)을 통과하도록 하여 착색층(20) 전체에 접착제(30)를 고르게 도포하게 된다.
2.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S200);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과정중 압출, 압축, 폴리싱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를 나타낸 것이다.
플라스틱원료를 압출장치(201)에 의해 시트형상의 플라스틱시트(41)로 압출하여 상기 플라스틱시트(41)를 지지체(10)와 압축 결합하기 위한 후속 공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압출장치(201)는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플라스틱원료가 저장되는 원료투입부(210)와, 상기 원료투입부(210)의 전방으로 노즐(22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원료를 용융하여 압출하도록 히팅수단(230)이 포함된 압출기(240)와, 상기 압출기(240)에서 용융된 용융물을 시트형상으로 성형 압출하기 위한 압출구금(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출구금(250)은 다양한 두께의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출할 수 있도록 토출구(251)의 규격이 다른 다수의 압출구금(250)이 구비되어 압출기(240)에 교체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출장치(201)는 원료투입부(210)에서 노즐(220)을 통해 압출기(240)로 플라스틱원료를 공급하게 되고, 압출기(240)의 히팅수단(230)에 의해 플라스틱원료를 용융물로 만든 후, 압출구금(250)을 통해 토출구(251)의 규격에 맞도록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출하여 비경화된 상태의 플라스틱시트(41)를 후속 공정인 압축단계(S300)로 연속하여 공급하게 된다.
3. 지지체 및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
표면에 착색층(20)이 형성되고 접착제(30)가 도포되어 안내롤(171)에 의한 이송장치(170)에 의해 공급되는 지지체(10)와, 압출장치(201)로부터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장치(301)에 의해 일체되도록 압축하되,
플라스틱 내부에 지지체(10)가 중간에 내장되도록 지지체(10)의 외부에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층(40)이 형성되도록 일체 압착하여 지지체(10)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압축장치(301)는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한쌍의 압축롤(310,310')이 상하방향에서 양 사이드 단부가 마주 닿도록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압축롤(310,310')에 의해 지지체(10)와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과 동시에 경화시키도록 냉각압축을 위해 압축롤(310,310')이 냉각수단(320)과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압축 과정에서 플라스틱층(40)으로 기포 발생을 방지하면서 수지변화를 줄이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롤(330)이 하부측 압축롤(3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롤(310,310')은 도 6에 보인바와 같이, 양측 사이드에서 내측방향으로 지지체(10)의 양단부가 안치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안치턱(311,3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턱(311,311') 사이로 플라스틱층(40)의 두께 형성을 위한 성형홈(3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치턱(311,311')은 상하 압축롤(310,310')이 마주닿게 되면 밀폐된 구조의 안치홈(313,313')을 형성하여 지지체(10)와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시 지지체(10)를 중간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홈(312)은 상하 압축롤(310,310')이 마주닿게 되면 지지체(10)가 중간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때 지지체(10)의 위아래로 플라스틱판의 두께를 형성하는 성형틀(314,314')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축장치(301)에 따른 지지체(10)와 플라스틱시트(41)의 압축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상하 압축롤(310,310')의 안치턱(311,311')에 의해 형성되는 안치홈(313,313')으로 지지체(10)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진행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압출기(240)의 압출구금(250)으로부터 미경화된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롤(310,310')의 성형틀(314,314')로 투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성형틀(314,314')로 투입되는 플라스틱시트(41)가 지지체(10)의 외부에서 압축되면서 플라스틱층(40)을 형성하게 되며, 냉각압축에 의해 압축과 동시에 경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롤(310,310')은 플라스틱판의 두께를 결정하는 성형홈(312)의 깊이가 다르도록 다양하게 구비하여 플라스틱판의 두께에 따라 압출구금(250)과 압축롤(310,310')을 교체하면서 다양한 두께로 제조하게 된다.
한편, 지지체(10) 및 플라스틱시트(41)의 압축시 지지체(10)의 공급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압축장치(301)의 전단부에는 2차 피딩제어단계(S310)를 구성하여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지지체(10)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2차 피딩제어단계(S310)는 1차 피딩제어단계(S120)의 피딩제어부(12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체(10)와 플라스틱시트(41)의 압축방법은 연속하여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압축성형장치(미도시)에 의한 낱장씩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로 변형할 수 있다.
즉, 하부금형에 플라스틱시트(41) 사이로 지지체(10)를 내장되도록 하여 프레스에 체결된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압축하여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4 교정 및 폴리싱단계(S400);
상기 지지체(10)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면서 수축된 부분을 교정하도록 교정부(401)를 거치게 되며, 냉각온열조절에 의한 수축방지 및 플라스틱판(1)의 평탄화 작업을 위한 폴리싱부(402)를 거치게 된다.
상기 교정부(401)는 상하부 교정롤(411,411')이 구비되고, 하부 교정롤(411')의 전단에 공기분사롤(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싱부(402)는 냉각및온열 조절이 가능한 폴리싱롤(421)을 구성하되, 상하부 폴리싱롤(421,421')을 구성하여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판의 평탄작업을 하게 된다.
10) 제품검사단계(S500);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11) 보호필름형성단계(S600);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를 부착하게 된다.
12) 제품재단(S700) 및 포장단계(S800);
다양한 규격대로 재단한 후 포장하여 제품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플라스틱판
10:지지체 11:익스펜디드 메탈
20:착색층 30:접착제
40:플라스틱층 41:플라스틱시트
S100:지지체 제조단계
S110:익스펜디드 메탈 제조단계
S120:1차 피딩제어단계
121: 피딩제어부 122:피딩롤 123:지지대 124:지지롤
S130:지지체의 표면가공단계
131:표면가공부 132,132‘압연롤 133,133’연삭롤
S140:지지체의 세척단계
141:세척부 142:세척챔버 143:공기분사노즐
S150:지지체의 착색층 형성단계
151:도장부 152:도료분사노즐 153:도장챔버 154:히팅수단 155:건조챔버
S160:접착제 도포단계
161:도포롤
170:이송장치 171:안내롤
S200: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
201:압출장치 210:원료투입부 220:노즐 230:히팅수단 240:압출기
250:압출구금 251:토출구
S300: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
301:압축장치 310,310‘압축롤 311,311’안치턱 312:성형홈 313,313‘안치홈
314,314‘성형틀 320:냉각수단 330:공기분사롤
S310:2차 피딩제어단계
S400:교정 및 폴리싱단계
401:교정부 411,411‘교정롤 412:공기분사롤
402:폴리싱부 421,421‘폴리싱롤
S500:제품검사단계
S600:보호필름형성단계
S700:제품재단단계
S800:포장단계

Claims (7)

  1. 열연강판 또는 코일을 사용하여 철망 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11)을 제조하여 지지체(10)로 구성한 후 이송라인으로 따라 이송 공급하는 지지체 제조단계(S100);
    플라스틱원료를 용융하여 비경화된 시트형상으로 압출하여 공급하는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S200);
    이송라인을 따라 공급되는 지지체(10)와 비경화상태로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41)를 일체로 압축하여 지지체(10)의 외부에 소정 두께의 플라스틱층(40)이 일체 형성되도록 지지체(10)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을 형성하는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체 제조단계(S100)는 플라스틱 내부에서 색상표출에 의한 미적기능을 발휘하도록 익스펜디드 메탈(11)의 표면에 색상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착색층(20)을 형성하는 지지체(10)의 착색층 형성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체 제조단계(S100)는 익스펜디드 메탈(11)에 착색층(20)을 형성하는 착색층 형성단계(S1500)를 거친 후, 플라스틱시트(41)와 일체 압축시 접착밀도를 높히도록 표면에 접착제(30)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라스틱시트 압출단계(S200)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원료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는 플라스틱 중간에 지지체(10)가 형성되도록 압축시 압축롤(310,310')의 양 사이드 중심에 지지체(10)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체(10)의 위아래로 플라스틱층(40)이 일체 형성되도록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는 압축롤(310,310')에 의해 지지체(10)와 미경화된 상태로 압출되는 플라스틱시트(41)를 압축과 동시에 경화되도록 냉각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체와 플라스틱시트의 압축단계(S300)를 통해 제조된 지지체(10)가 내장된 플라스틱판(1)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면서 수축된 부분을 교정한 후, 냉각온열조절에 의한 수축방지 및 평탄화시키는 교정 및 폴리싱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KR1020160165359A 2016-12-06 2016-12-06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KR2018006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59A KR20180064913A (ko) 2016-12-06 2016-12-06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59A KR20180064913A (ko) 2016-12-06 2016-12-06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13A true KR20180064913A (ko) 2018-06-15

Family

ID=626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59A KR20180064913A (ko) 2016-12-06 2016-12-06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9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21397A (zh) * 2024-01-26 2024-03-01 甘肃三合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板成型装置及成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130A (ko) 2014-03-17 2015-09-25 임덕빈 내화학성을 강화시킨 폴리카보네이트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130A (ko) 2014-03-17 2015-09-25 임덕빈 내화학성을 강화시킨 폴리카보네이트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21397A (zh) * 2024-01-26 2024-03-01 甘肃三合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板成型装置及成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a coating upon a substrate surface
US6607798B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hollow structur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for
US9085104B2 (en) Sculpted extrusion die
KR102319797B1 (ko) 원통형 제품의 압출 및 라벨링 방법과 장치
CN110545981A (zh) 形成无应力多层pvc片材的方法
US3860383A (en) Sheet extrusion die opening restriction device
KR102496140B1 (ko) 공압출 장치, 단층 압출 장치 및 레트로피팅 키트 그리고 층 두께의 측정,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및 압출 장치의 레트로피팅을 위한 방법
JP4388686B2 (ja) 木目調模様を有す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025343A (zh) 避免镀层粘合至模具的热冲压设备和方法
KR101732167B1 (ko)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 및 그의 성형장치
KR0163771B1 (ko) 열가소성수지 성형물품의 제조방법
JP5493391B2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KR20180064913A (ko) 지지체가 내장된 플라스틱판의 제조방법
TWI674189B (zh) 擠壓機與用於擠壓簾線加強型輪胎構件的方法
US9707591B1 (en) Method of coating an extruded member
JPH11235731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4992675B2 (ja) プラスチック中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770230B2 (en) Surface finishing compression molding with multi-layer extrusion
KR101732805B1 (ko) 타일의 연속 성형장치
JP4959932B2 (ja) シール材の製造方法
JPH11523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3336246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及び方法
EP3215363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osite film for thermoformed product and thus obtained composite film.
KR100490129B1 (ko) 가구패널용 에지몰딩 스트립 제조장치
KR100625831B1 (ko) 합성수지 판재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