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714A -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714A
KR20180064714A KR1020160164909A KR20160164909A KR20180064714A KR 20180064714 A KR20180064714 A KR 20180064714A KR 1020160164909 A KR1020160164909 A KR 1020160164909A KR 20160164909 A KR20160164909 A KR 20160164909A KR 20180064714 A KR20180064714 A KR 2018006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yaluronic acid
composition
caffeic
caff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욱
Original Assignee
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욱 filed Critical 강성욱
Priority to KR102016016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714A/ko
Publication of KR2018006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중 하나 혹은 각성분이 유효하게 함유되어 있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에 곤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체 내의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는 피부 수분 보충에 유용한 촉진 조성물을 제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encing hyaluronic acid production containing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as effe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결합 조직, 상피 조직, 피부조직 및 신경 조직에 널리 분포하는 음이온 성 비 황산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으로 분자량 20-100의 고분자 물질이다. 히알루론산은 세포 기질의 주요성분으로 세포 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화, 이동, 수분저장, 세포간격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S. I. Lamberg and A. C. Stoolmiller, J. Invest Dermatol., 63, 433 (1974))
사람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은 표피세포간의 간격과 진피 세포의 외기질에 분포 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주로 섬유아세포에 의해서 생성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 Ghersetich, T. Lotti, G. Campanile, C. Grappone,and G. Dini, Int. J. Dermatol., 33, 119 (1994) ) 이러한 피부의 히알루론산은 콜라겐, 엘라스틴 단백질과 함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생성량이 줄어들어 주름과 피부 탄력의 감소와 같은 피부 노화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R. Fleischmajer, J. S. Perlish, and R. I. Bashey, Biochim. Biophys. Acta., 279, 265 (1972)) 히알루론산은 또한 관절 연골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각 세포 (연골 세포) 주위에 외피로 존재한다. 히알루론산은 물을 흡수하고 연골의 복원력 일으키며, 인접한 조직 층들 사이의 슬라이딩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육 결합 조직에서의 윤활제 역할을 한다. ( Stecco C, Stern R, Porzionato A, Macchi V, Masiero S, Stecco A, De Caro R, pain in Surg Radiol Anat 33(10):891 (2011)) 따라서 히알루론산의 합성과 분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피부의 항노화 및 수분보충 , 관절 연골치료에 새로운 예방 및 치료법으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PDGF-BB),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와 같은 성장호르몬에 의해 증가된다는 보고와 피부에 도포된 여성호르몬(estradiol) 및 그 유사물질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으나,(R. Tammi, J. A. Ripellino, R. U. Margolis, H. I.Maibach, and M. Tammi,, J. Invest Dermatol., 92, 326 (1989)) 히알루론산의 합성 및 분해에 대한 자세한 기작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히알루론산의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에 의해 진행되며, 합성되는 동안 세포외기질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S. Karvinen, S. Pasonen-Seppanen, J. M. Hyttinen, J.P. Pienimaki, K. Toronen, T. A. Jokela, M. I.Tammi, and R. Tammi, J. Biol. Chem., 278 (49), 49495 (2003)) 지금까지 알려진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는 서열상의 유사성이 높은 HAS-1, HAS-2, HAS-3의 세가지 형태가 보고되었다. 이 중에서 HAS-2와 HAS-3가 각각 섬유아세포와 각질형성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S. H. Kim, G. W. Nam, H. K. Lee, S. J. Moon, andI. S. Chang, Arch. Dermatol. Res., 298, 273 (2006))
커피는 전 세계인의 기호 식품으로 널리 소비 되고 있으며 이를 다양하게 가공하여 만들어진 음료의 형태로 대부분 유통 되고 있다. 커피는 커피의 생두를 로스팅한 형태에서 추출하는데 커피의 생두에는 카페인 뿐 아니라 다양한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여러 가지 생리활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ashin A, Yashin Y, Wang JY, Nemzer B.Antioxidants., 2(4):230 (2013))
특히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은 원두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성분으로 생체내 과산화 지질의 합성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및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Olthof MR, Hollman PC, Katan MB . J. Nutr., 131 (1): 66( 2001); Anantharaju PG, Gowda PC, Vimalambike MG, Madhunapantula SV. Nutr J., 1;15(1):99 (2016))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주요한 폴리페놀로서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함께 비만 예방 및 항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 Armutcu F, Akyol S, Ustunsoy S, Turan FF. Exp Ther Med., 9(5):1582 (2015))
히알루론산 생합성 조절을 이용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기술은 히알루론산의 생체 내 다양한 용도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용한 기술이고, 히알루론산 생합성을 더욱 촉진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은 매우 필요하며, 그 필요성에 부응하여 아직까지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대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해서는 개시 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커피원두와 프로폴리스의 주요 구성성분인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기존의 알려진 효능이외에 인체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세포내의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 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 할수 있는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 하는 것으로서 피부 탄력개선, 피부 수분 함유량 개선, 피부 노화 방지를 달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식음료 첨가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본 발명의 목적은 안구 건조증 예방 및 치료 ,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이용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커피 원두의 다양한 활성성분의 기능성을 연구하던 중 로스팅 하지 않은 생두에서 추출한 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및 프로폴리스의 주요 구성 성분인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인체 세포의 히알루론산 생성을 담당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제공한다. 또한 커피원두 추출물 및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커피원두 추출물 및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하는 피부 수분 유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식품 첨가물, 음료, 음료 첨가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가 히알루론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커피 원두 추출물 및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인체 세포에 주입 할 경우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세포내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일으키는바, 히알루론산의 유용한 특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피부수분 보충 및 피부탄력유지 피부노화방지와 같은 피부개선용 또는 안구건조증 및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 및 예방과 같은 의학적 용도로 이용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천연 추출물 및 각 지표성분 물질의 기능성을 연구하던 중 커피 원두 추출물이 인간 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 시키고 세포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였다.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24시간 배양하여 커피 원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24시간 배양할 경우 ,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히알루론산 생성 유전자의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히알루론산의 생성량또한 현저히 증가 하였다. 커피 원두의 추출물중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하는 주요한 지표성분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 그리고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가 인체 세포의 히알루론산 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 시키고, 히알루록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였다.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위오 동일한 방식으로 배양하여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할 경우,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히알루론산 생성 유전자의 발현량과 히알루론산의 생성량이 현격히 증가 하였다.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효능을 갖는 클로로겐산 (분자량 354.31), 카페인산(분자량 180.16),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분자량 284.31) 는 과산화 지질의 합성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및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1-a) 클로로겐산 (Clorogenic acid, 분자량 : 354.31)
Figure pat00001
1-b) 카페인산 (Caffeic acid, 분자량: 180.16)
Figure pat00002
1-c)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Caffeic acid phenetyl ester, 분자량: 284.31 )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의 커피 원두 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인체의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생합성 효소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각종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등의 유효성분으로 이용 될 수 있다. 특히 피부 수분보충, 피부 탄력증진, 피부 장벽 강화 등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어 사용 되는 것은 아니며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다양한 다른 증상 및 질환의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의 약학적 유효성분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로 사용 될 경우, 그 사용 및 효과가 더욱 증진 되도록 화장료 및 약학적으로 사용이 유용한 담체, 희석제, 착색제, 착향제, 산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방부제 등을 포함 할 수 있으며 그 성상은 액상, 크림, 연고, 스틱, 팩, 유상 등 외피에 적용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형이 가능하다. 식품 및 음료의 원료로 사용 될 경우, 젤리, 액상, 고형 등 다양한 형태 및 과자, 빵, 떡, 정제수, 청량음료, 탄산음료, 우유, 커피, 라떼, 유산균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에 함유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제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의약품, 의약 보조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 부형제, 활택제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 환자의 연령, 성별, 나이, 체중, 증상,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해당 분야의 전문적 종사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피 원두 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토끼, 가축, 인간등 모든 포유동물의 경구, 직장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경막 또는 뇌혈관 내의 주사에 의해 투여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커피 원두 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 가 함유된 조성물은 인체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피원두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가 함유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은 피부 수분 함유량 감소, 피부 탄력저하 , 피부 주름 증가에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예방할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는 다양한 의학적 약학적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이용 될 수 있다.
도 1은 커피 원두로부터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도 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피원두 추출물을 투여한 인체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피원두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 섬유아세포의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커피 원두 추출물을 HPLC를 통해 분리된 클로로겐산 과 카페인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로겐산을 투여한 인체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로겐산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 섬유아세포의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페인산을 투여한 인체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페인산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 섬유아세포의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투여한 인체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10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 섬유아세포의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1>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커피원두 추출물의 분리 및 동정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효과가 있는 커피 원두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열처리하지 않은 원두 (생두)를 상온의 정제수에 1-2시간 침지한 후 회수하여 60-100 ℃ 의 정제수에 5-10 시간동안 중탕후에 , 정제수를 말끔히 제거하고 2번 세척하여 50-70 ℃ 에서 5-20 시간 동안 건조한다.
건조된 원두를 분쇄하여 20-60% 분쇄된 원두 : 주정 또는 에탄올을 중량비 1:3- 1:10 비율로 섞어 20- 50 ℃ 에서 5- 20시간 동안 50-100 rpm 의 속도로 로테이션 하면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다. 감압 농축된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분쇄 후 회수한다. 추출공정의 요약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 커피 원두 추출물의 인체 섬유아세포의 HAS2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 측정
사람 피부유래 섬유아세포를 10% FBS (Fetal Bovine serum), penicillin 50 U/mL, streptomycin 50μg/mL를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에서 5%의 CO2, 37 ℃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사람 피부유래 섬유아세포 3X 105 개를 6 well plate 에 분주하여 24hr 배양 후에 Serum free media로 교체하여 커피 원두 추출물을 0, 3, 6, 9 μg/ml 의 농도로 섞어준 후 24hr 배양 한다. 배양 후 수거한 세포들을 RNeasy mini kit (Qiagen 사) 를 이용하여 RNA 추출 하였다.
RNA를 정량하여 1μg 을 GeneAmp
Figure pat00004
RNA PCR kit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하여 cDNA 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cDNA를 HAS-2 , GAPDH 프라이머를 활용하여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고 Agarose gel 전기영동 후 FluoroS Multimanager Biorad사)를 이용하여 발현정도를 분석하였다. HAS-2 및 GAPDH 의 PCR 반응을 위한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HAS-2 Forward primer : 5'-CTGTGAAAAGGCTGACCTAC-3’
HAS-2 Reverse primer : 5'-TCAGTAAGGCACTTGGACCG-3’
GAPDH forward primer : 5'-CTGATGCCCCCATGTTCGT-3’
GAPDH reverse primer : 5'-TGTGAGGAGGGGAGATTCA-3’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를 도2, 도3에 나타내었다. 커피원두 추출물을 각각 3μg/ml, 6μg/ml, 9μg/ml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농도에 따른 HAS-2 유전자의 발현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2)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농도가 증가 할수록 100% 이상 발현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2) 이러한 결과는 커피원두 추출물이 인체 섬유아 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인 HAS-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추출물질임을 증명한다.
<실시예3> HPLC 분석을 통한 커피원두 추출물의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유효 성분의 동정
15mg 동결건조 커피원두 추출물을 4ml 의 아세틱산 용액 (2.5% v/v) 에 녹인 후에 Sep-pak C18 cartridge 에 흡착시켜 8ml 아세틱산 용액 (2.5% v/v) 으로 세척한 후 아세톤: 증류수 6:4 용액으로 용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1.5ml MeOH: H2O 7:3 용액에 녹여서 HPLC 분석을 수행하여 도4 와 같은 고순도 분획을 획득하여 주요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커피 원두의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성분이 클로로겐산 (도4 peak 1) 과 카페인산 (도4 peak2) 임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4>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인체 섬유아세포의 HAS2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 측정
인체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 HAS-2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커피원두 추출물에서 확인한 유효 물질인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2 와 같은 방법으로 인체 섬유아 세포를 배양하여 클로로겐산 과 카페인산을 각각 2.5μg/ml, 5μg/ml, 10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HAS-2의 발현정도를 클로로겐산 : 도5, 도6 , 카페인산 : 도7, 도8 에 나타내었다. 클로로겐산을 처리 한 섬유아세포를 24시간 배양 후에 클로로겐산의 농도에 따른 HAS-2 유전자의 발현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5) 클로로겐산에 의한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농도가 증가 할수록 100% 이상 발현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6) 카페인산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의 HAS-2 유전자의 발현 또한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7) 카페인산에 의한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또한 100% 이상 발현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7) 이러한 결과는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이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인 HAS-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유효성분임을 증명한다.
본 발명자는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 하였고, 유효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프로폴리스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인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의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정도를 확인하였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예 2 와 같은 방법으로 인체 섬유아 세포를 배양하여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각각 2.5μg/ml, 5μg/ml, 10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HAS-2의 발현정도를 도9, 도10 에 나타내었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처리 한 섬유아세포를 24시간 배양 후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농도에 따른 HAS-2 유전자의 발현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9)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의한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농도가 증가 할수록 100% 이상 발현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도10) 이러한 결과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인 HAS-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유효성분임을 증명한다.
<실시예5> 인체유래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생성 정도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확인된 커피원두 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의 섬유아세포내의 히알루론산 합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람 피부유래 섬유아세포 3X 105 개를 6 well plate 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에 Serum free media로 2번 세척하고 교체하여 커피원두 추출물을 3, 6, 9μg/ml 의 농도로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2.5, 5, 10μg/ml의 농도로 섞어준 후 24시간 배양 한다.
배양 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히알루론산의 양을 ELISA Kit 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다. 생성된 히알루론산의 정량된 결과는 표1, 표2, 표3으로 나타내었다.

커피원두 추출물
(μg/ml)

con(0)

3

6

9

히알루론산
(ng/ml)

220.3

289.9

298.3

335.5
커피원두 추출물의 처리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히알루론산 의 생성 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클로로겐산
(μg/ml)

con(0)

2.5

5

10

히알루론산
(ng/ml)

230.2

269.1

358.1

435.2
클로로겐산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에도 클로로겐산의 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5 -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카페인산
(μg/ml)

con(0)

2.5

5

10

히알루론산
(ng/ml)

223.5

241.1

306.1

383.5
카페인산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에도 카페인산의 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5 -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μg/ml)

con(0)

2.5

5

10

히알루론산
(ng/ml)

234.5

289.4

368.9

408.4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에도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5 -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커피원두 추출물,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는 인체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의 합성 정도를 강력히 증가 시켜 뛰어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제이다.

Claims (6)

  1.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겐산 ,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는 커피원두나 프로폴리스로부터 추출 분리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함량은 총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 커피 원두 추출물은 건조된 원두를 분쇄하여 20-60% 분쇄된 원두 : 주정 또는 에탄올을 중량비 1:3- 1:10 비율로 섞어 20- 50 ℃ 에서 5- 20시간 동안 50-100 rpm 의 속도로 로테이션 하면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음료 첨가제, 기능성 식품, 화장품, 피부 외용제, 의약 보조제,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160164909A 2016-12-06 2016-12-06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8006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09A KR20180064714A (ko) 2016-12-06 2016-12-06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09A KR20180064714A (ko) 2016-12-06 2016-12-06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14A true KR20180064714A (ko) 2018-06-15

Family

ID=6262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909A KR20180064714A (ko) 2016-12-06 2016-12-06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402A (ko) * 2019-09-11 2021-03-19 (주) 메드빌 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402A (ko) * 2019-09-11 2021-03-19 (주) 메드빌 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구건조증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0755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US1095998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limacteric symptoms comprising soybean extract comprising coumestrol as an active ingredient
JP5223083B2 (ja) 血管新生抑制剤
TW201302242A (zh) 膠原產生促進劑、玻尿酸產生促進劑、纖維母細胞增殖促進劑及抗皺紋劑
AU2010205125B2 (en) GIP-increase inhibitor
JP5171097B2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ヘパリン結合性上皮増殖因子様増殖因子遺伝子発現促進剤
JP2006199678A (ja) 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20180064714A (ko)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14058487A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CA2810641A1 (en) Skin collagen production-promoting agent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3234140A (ja) 発毛促進剤
JP2008137976A (ja) 脂肪蓄積抑制剤
JP2008260700A (ja) 脂肪蓄積および脂肪細胞分化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EP2387406B1 (en) Postprandial hyperglycemia-improving agent
EP2271308B1 (en)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WO2009110495A1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剤およびそれを含む飲食品
EP312754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pine wormwood
KR102035281B1 (ko)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JP2019202967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JP5946636B2 (ja) イソフムロン類を含む自律神経調節剤
KR102293454B1 (ko) 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20230127213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skin ulcer and the use thereof
US20230103514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skin regeneration and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skin wound and the use thereof
JP6121595B2 (ja) イソフムロン類を含む自律神経調節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