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461A -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461A
KR20180064461A KR1020187012515A KR20187012515A KR20180064461A KR 20180064461 A KR20180064461 A KR 20180064461A KR 1020187012515 A KR1020187012515 A KR 1020187012515A KR 20187012515 A KR20187012515 A KR 20187012515A KR 20180064461 A KR20180064461 A KR 2018006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cars
fibrosis
kinase inhibito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700B1 (ko
Inventor
다이앤 탕-리우
티파니 리우
Original Assignee
다이앤 탕-리우
티파니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앤 탕-리우, 티파니 리우 filed Critical 다이앤 탕-리우
Publication of KR2018006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필요한 대상에게 다중-단계 조정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단계 조정제는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파나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및 리오시구아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피부 섬유성 장애는 여드름 흉터, 켈로이드 및 비후성 흉터와 같은 피부 흉터, 주름, 셀룰라이트 및 피부 신생물성 섬유증, 흉터 탈모, 다양한 혈관병, 혈관염, 화상 상처 치유, 당뇨병성 발 증후군, 피부경화증, 관절섬유증, 페이로니병, 듀프이트렌 구축,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Description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0월 7일자 제출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No. 62/238,309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것의 내용은 그 전체가 여기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켈로이드 및 비후성 흉터와 같은 피부 흉터를 포함하는 섬유성 병소의 형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상처 치유는 지혈, 염증, 증식 및 조직 성숙의 몇몇 단계를 수반한다. 전체 과정은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과 같은 복잡하게 나열된 인자들에 의해 유도되고 조절된다.
초기 지혈은 활성화된 혈소판으로부터 다양한 성장인자 및/또는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제어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 지혈 단계 후에는 염증 단계가 뒤따른다.
염증 단계는 혈관확장을 유도하고 그 결과 림프구와 대식세포의 유입이 일어난다. 대식세포는 혈소판-유래 성장인자(PD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형질전환 성장인자-β(TGF-β), 표피 성장인자(EGF), 및 섬유아세포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증식 단계를 촉진하는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와 같은 성장인자들을 방출할 것이다.
증식 단계가 진행함에 따라, 이들 성장인자는 혈관형성 및 섬유증식을 자극하여 손상 후 조직에 혈류를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조직이 성숙되고 상처 치유 과정이 완료된다. 조직 성숙 단계도 역시 세포 분화를 제어하기 위해 성장인자를 필요로 한다.
상처 치유 과정은 상이한 시기에 상이한 인자를 필요로 하는 여러 단계를 수반하기 때문에, 임의의 단계에서 이들 인자의 임의의 부적절한 작용은 부적절한 상처 치유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섬유증은 바람직하지 않은 흉터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들 여러 인자와 이들의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상호작용을 가정하면, 적합한 약물 치료 전략을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피부 상처 치유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치료법은 둘 이상의 단계를 조정하고 긍정적인 상처 수선 성과를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상처 치유의 다양한 단계에서 과도증식 활성을 조정함으로써 비정상적 섬유성 조직 형성(예를 들어, 흉터 형성)을 예방 및/또는 완화할 수 있는 특정 범위의 약학적 효과를 지닌 화합물의 치료적 활용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처 치유 과정의 여러 단계(여러 표적)를 방해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한다. 이들 제제는 "다중-단계 조정제" 또는 "다중-표적 조정제"라고 언급될 것이다. "다중-단계 조정제" 또는 "다중-표적 조정제"는 다중 키나아제를 억제할 수 있는 멀티키나아제 억제제, 뿐만 아니라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의 활성을 자극할 수 있는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SGC) 자극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는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필요한 대상에게 다중-단계 조정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상은 포유류, 특히 사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다중-단계 조정제는 다중-키나아제("멀티키나아제") 억제제 또는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SGC) 자극제(예를 들어, 리오시구아트)일 수 있다. 여기 사용된 용어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다중 키나아제, 특히 다중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를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SGC) 자극제는 SGC의 활성을 자극할 수 있고, 이것은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에서 2차 메신저인 환형 GMP(cGMP)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예를 들어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또는 렌바티닙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예컨대 VEGFR 수용체(VEGFR-1, VEGFR-2, 및/또는 VEGFR-3) 및 PDGF 수용체(PDGFR1 및/또는 PDGFR2)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예를 들어,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및 렌바티닙)은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에 대해 다양한 정도의 억제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제한은 아니지만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파나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및 이들의 입체이성질체, 토토머, 프로드러그, 자유 염기, 유사체, 대사물질,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의 용매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항-멀티키나아제 활성, 예컨대 항-VEGFR, 항-PDGFR 및/또는 항-FGFR 활성을 가진다. 이 설명에서 나타낸 대로, 이들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과도증식 조직 섬유증 또는 흉터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흉터 형성을 낫게 하는데 효과적인데, 아마도 상처 치유의 다양한 단계에서 신호전달을 매개함으로써 여러 단계에서 상처 치유 과정을 조정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와 같은 다중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능력 때문일 것이다.
여기 사용된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그것의 염을 만들기 위해 산이나 염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화합물을 말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모 화합물, 또는 프로드러그, 유도체, 대사물질, 또는 모 화합물의 유사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액시티닙이다. 액시티닙은 VEGFR-1, VEGFR-2 및 VEGFR-3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이다. 액시티닙은 VEGF-매개 내피세포 증식 및 생존을 강력히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액시티닙은 PDFGR-1, PDGFR-2 및 KIT와 같은 밀접히 관련된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들(RTKs)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닌테다닙이다. 닌테다닙은 VEGFR, FGFR, PDGFR-α 및 PDGFR-β 및 FGF와 같은 다양한 수용체들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소라페닙이다. 소라페닙은 VEGFR-2, VEGFR-3 및 PDGFR2와 같은 몇몇 수용체들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서니티닙이다. 서니티닙은 VEGFR 및 PDGFR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렌바니팁이다. 렌바티닙은 EGFR-1, VEGFR-2, VEGFR-3, FGFR-1, FGFR-2, FGFR-3, FGFR-4 및 PDGFR-α와 같은 다양한 수용체들의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다중-단계 조정제는 리오시구아트와 같은 SGC 자극제이다.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 자극제인 리오시구아트는 상처 치유에서 증식, 섬유증 및 염증에 대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상처 치유의 다양한 단계에서 과도증식 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제는 상처 치유에 수반된 하나 이상의 단계를 방해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다른 제제는 항-혈관형성제, 항-염증제, 또는 항-혈관투과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항-혈관형성제는, 제한은 아니지만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특히 여기 더 상세히 설명된 것들과 같은 다중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혈관형성 코르티센; 기질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인테그린 억제제; PDGF 길항제; 항-증식제; 저산소증 유도 인자-I 억제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억제제; 상피 성장인자 억제제;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억제제의 조직 억제제;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억제제; 종양괴사인자 억제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항-VEGF 항체, VEGF 트랩, 항-VEGF 및/또는 항-PDGF 화합물, 및 이들의 입체이성질체, 토토머, 프로드러그, 자유 염기, 유사체, 대사물질,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의 용매화합물.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피부 섬유성 장애는, 제한은 아니지만 여드름 흉터, 켈로이드 및 비후성 흉터와 같은 피부 흉터, 주름, 셀룰라이트 및 피부 신생물성 섬유증, 흉터 탈모, 다양한 혈관병, 혈관염, 화상 상처 치유, 당뇨병성 발 증후군, 피부경화증, 관절섬유증, 페이로니병, 듀프이트렌 구축,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분자는 경구, 비경구, 협측, 질, 직장, 흡입, 통기, 설하, 근육내, 피내, 피하, 국소, 비내, 복강내, 흉곽내, 병소내, 병소주위, 정맥내, 경막외, 척추강내, 또는 뇌실내 경로에 의해, 또는 조직 및/또는 관절에 주사함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도 1은 돼지의 등 위의 치료되지 않은 비상처 부위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된 상처 부위에서 TGF-β1 mRNA 발현 수준을 도시한다.
도 2는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후 조직학 슬라이드로부터 돼지 피부 조직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물치료군에서 신생혈관화 및 섬유증에 감소가 있었다. 패널 (A) - 비상처 정상 피부. 패널 (B) - 치료되지 않은 상처 조직, 더 많은 신생혈관화와 섬유증을 보인다. 패널 (C) - 액시티닙 치료된 상처, 신생혈관화 및 감소된 섬유증을 보인다.
도 3은 토끼 귀의 비후성 흉처의 닌테다닙(AIV002로 표지됨) 치료의 결과를 도시한다. 닌테다닙 치료는 신생혈관화 및 피부 섬유증을 감소시켰다. 패널 (A)는 H&E 염색(왼쪽: 치료되지 않음; 오른쪽: 치료된 상처)을 도시하며, 여기서 치료되지 않은 부위는 치료된 부위(오른쪽)에 비해 실질적인 신생혈관화(왼쪽)를 가진다. 패널 (B)는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을 도시한다(왼쪽: 치료되지 않음; 오른쪽: 치료된 상처).
본 발명의 구체예는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조성물(다중-단계 조정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상처 치유는 지혈, 염증, 증식 및 조직 성숙의 몇몇 단계를 수반한다. 전체 과정은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과 같은 복잡하게 나열된 인자들에 의해 유도되고 조절된다. 상처 치유에서 과도증식 활성의 제어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은 아마도 여러 단계에서의 제어 및 조정을 필요로 할 것이다.
상처 치유에 수반되는 인자들은 그것의 각각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다양한 신호화 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한다. 이들 수용체는 티로신 키나아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특히 멀티키나아제 억제제)가 과도증식 상처 치유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상처 치유의 다양한 단계에서 과도증식 활성을 조정함으로써 비정상적 섬유성 조직 형성(예를 들어, 흉터 형성)을 예방 및/또는 완화할 수 있는 특정 범위의 약학적 효과를 지닌 화합물의 치료적 활용에 기초한다.
다양한 키나아제들이 상처 치유 과정의 상이한 단계에 수반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중 키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다중 키나아제-매개 신호화 경로를 방해할 수 있는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한다. 다중 키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단일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는 전체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처 치유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다중 키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증의 의미있는 제어라는 치료적으로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니팁, 파나티닙, 파조파닙, 및 레고라페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VEGFR 수용체(VEGFR-1, VEGFR-2, 및/또는 VEGFR-3) 및/또는 PDGF 수용체(PDGFR1 및/또는 PDGFR2)와 같은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를 강력히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들 화합물은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에 대해 상이한 범위의 억제 효능을 가진다. 다중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예를 들어, VEGFR, PDGFR, 및/또는 FGFR)를 억제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이들 화합물은 흉터 형성에서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증의 효과적인 제어를 야기할 수 있다.
멀티키나아제 억제제에 더하여,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SGC) 자극제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SGC 자극제는 또한 상처 치유의 여러 단계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오시구아트와 같은 SGC 자극제일 수 있다.
여기 사용된 용어 "피부 섬유성 장애"는 비정상적 섬유성 조직 형성(예를 들어, 흉터 형성)을 가져올 수 있는 상처 치유의 다양한 단계에서의 과도 증식 활성을 말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양이다.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 상태, 투여 경로, 투여 섭생 등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치료적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예시하기 위한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예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실험 #1
돼지 피부는 많은 측면에서 사람의 피부와 유사하다. 두 종은 모두 비교적 두꺼운 표피, 뚜렷한 망상돌출, 피부유두, 및 진피의 치밀한 탄성 섬유를 가진다. 또한, 설치류 및 토끼와 달리, 돼지 피부는 사람 피부와 유사하게 피하 구조에 유착한다. 이런 해부학적 유사성 및 상처 치유에서의 다른 유사점 때문에 돼지 모델은 비정상적 상처 치유의 병리생리학 및 잠재적인 치료 전형의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로서 대두되었다. 또한, 유카탄 미니피그에서 돼지 전체-두께 상처 치유에서 TGF-B1, PDGF 및 VEGF의 공간적 및 시간적 발현이 상기 설명된 성장인자들의 패턴과 유사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유카탄 미니피그에서 전체-두께 절제 모델은 사람 상처 치유 연구를 위한 모델이다.
이 실험에서, 다수의 전체-두께 절제 상처가 유카탄 미니피그의 등에 만들어졌고, 상처 부위는 충분히 재상피화되도록 방치되었다. 상처를 낸 지 4주 후에 상처 부위는 정상 내지 분홍색 혈색을 가졌고 부드러워졌다. 전체-두께 상처에서의 재생 반응에 대해 예상된 대로 상피 증생이 관찰되었다.
상처 후 28일 째에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및/또는 렌바티닙의 용량(예를 들어, 1%)을 상처 부위의 또는 주변의 피부 조직에 2주에 한번씩 2번 투여했다. 각 돼지마다 하나의 상처 부위는 대조군으로서 치료하지 않고 방치했다. 이 실시예에서 특정 변수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유념한다. 당업자는 투약량, 투여 방법, 치료 섭생, 및 투여 부위가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상처 후 59일 째에 미니피그를 죽이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및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을 사용한 정성 및 정량 평가를 위해 피부 조직을 수거했다. 피부 섬유증식은 상처에서 다양한 양의 콜라겐에 현탁된 진피에서 증가된 수의 섬유아세포를 특징으로 했다.
추가로, 돼지의 치료된 상처 부위와 치료되지 않은 비상처 부위의 피부 생검으로부터 총 mRNA를 분리했다. mRNA 샘플을 사용하여 cDNA를 제조했고 qRT-PCR을 통해서 분석했다. 기준 유전자로서 베타 액틴을 사용하여 TGF-β1 발현 수준을 평가했다.
염증 반응 후에 형질전환 성장인자(TGF)-β 발현은 세포외 기질(ECM) 성분의 증가된 생성, 뿐만 아니라 중간엽 세포 증식, 이주 및 축적을 가져온다. 따라서, TGF-β는 염증 질환의 만성 단계와 관련된 섬유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TGF-β1의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증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조직학적 평가 결과는 이들 화합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신생혈관 및 섬유증 형성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격주 2회 치료로서 투여된 다양한 시험 화합물 중에서 액시티닙 및 닌테다닙은 치료되지 않은 상처에 비해 치료된 상처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에 의해 평가된 대로 상응하는 감소된 피부 섬유증식과 함께 신생혈관화를 눈에 띄게 감소시켰다(표 1).
도 2는 치료된 상처 부위와 치료되지 않은 상처 부위로부터 돼지 피부 조직의 예시적인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을 도시한다. 패널 (A)는 대조군으로서 비상처 피부로부터의 염색을 도시한다. 패널 (B)는 본 발명의 임의의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상처 부위로부터의 샘플의 염색을 도시한다. 상처 조직은 실질적인 신생혈관화와 섬유증이 분명하다. 패널 (C)는 액시티닙으로 치료된 상처 부위로부터 샘플의 염색을 도시한다. 액시티닙 치료는 치료되지 않은 상처(패널 (B) 참조)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된 신생혈관화 및 감소된 섬유증을 가져온다.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처 부위에서 신생혈관화 및 섬유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흉터 형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회 용량 후 상처 부위에서 피부 섬유증식 및 신생혈관화의 정성 평가(최소 = 1, 경증 = 2, 중간 = 3, 현저 = 4, 및 중증 = 5)
결과 개별 점수 & 평균 점수 (굵은 글씨)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미치료
섬유증식;
진피
2,2,3
(2.33)
3,2,2
(2.33)
3,2,3
(2.67)
3,3,3
(3.00)
3,3,2
(2.67)
3,3,3
(3.00)
3,3,4
(3.33)
신생혈관화;
진피
1,2,2
(1.67)
2,2,1
(1.67)
3,2,3
(2.67)
2,2,3
(2.33)
2,3,2
(2.33)
2,3,2
(2.33)
3,1,3
(2.33)
표 2에 나타낸 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상처 정상 피부에서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여 치료된 상처에서 TGF-β1 mRNA 발현 수준의 감소를 가져왔고,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과도증식 섬유증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및 서니티닙이 가장 효과적이다.
치료 후 유카탄 돼지 피부 상처 부위에서 TGF-β1 mRNA 발현
동물수 중복
세트
치료되지 않은 비상처 대조군에 대한 TGF-β1 mRNA 발현 배수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7369 1 0.37 0.56 0.39 0.43 0.45 0.38
2 0.68 0.63 0.49 0.55 0.64 0.69
7370 1 0.78 0.87 0.8 0.89 1.86 2.02
2 0.89 0.70 0.60 0.84 0.50 2.27
7371 1 0.68 0.66 0.76 0.60 0.53 0.62
2 0.64 0.55 0.87 0.53 0.48 0.89
실험 #2
토끼에서 피부 생검 펀치를 사용하여 귀의 앞쪽 표면의 노출된 연골 아래쪽으로 상처를 생성했다. 이들 상처는 수축에 의해 치유되지 않기 때문에 상피화가 지연되고 융기된 흉터가 형성된다. 외형 및 조직학적 분석에서 모두 이들 흉터는 비후성 흉터와 유사하다. 이 확립된 모델에서 감소된 TGF-β 발현은 감소된 흉터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과도한 흉터화/피부 섬유증의 병인론에대한 현재 이해와 일치한다. 또한, 과도한 혈관형성 및 혈관화는 이 모델에서 병리학적 비후성 흉터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토끼 모델을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평가하는데 또한 사용했다.
피부 펀치 생검을 사용하여 뉴질랜드 화이트 토끼의 각각의 귀의 앞쪽 표면에 8개의 상처를 생성한 다음, 상처를 대략 2주 동안 치유되도록 방치했다.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및/또는 렌바티닙의 용량(예를 들어, 1%)을 피부 조직에 2주에 한번씩 2번 투여했다. 한번 더 특정 용량, 치료 방법 및 일정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상처 후 42일 째에 토끼를 죽이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및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을 사용한 정성 및 정량 평가를 위해 피부 조직을 수거했다. 추가로, TGF-β1 mRNA 발현 수준을 qRT-PCR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을 위한 조직학 슬라이드를 상처 부위로부터 제조했다. 조직을 염증, 신생혈관화, 과립화 조직, 재-상피화 정도, 및 흉터화 정도(무혈관성 콜라겐)에 대해 정성 평가했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닌테다닙으로 치료된 상처는 훨씬 적은 신생혈관화 및 적은 흉터 조직을 가졌다.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평균 TGFb1 mRNA 수준은 닌테다닙으로 피내 치료 후 더 낮았다.
도 3은 토끼 귀 비후성 흉터의 닌테다닙(AIV002로 표지됨) 치료의 결과를 도시한다. 닌테다닙 치료는 신생혈관화 및 피부 섬유증을 감소시켰다. 패널 (A)는 H&E 염색(왼쪽: 치료되지 않음; 오른쪽: 치료된 상처)을 도시하며, 여기서 치료되지 않은 부위는 치료된 부위(오른쪽)에 비해 실질적인 신생혈관화(왼쪽)를 가진다. 패널 (B)는 메이슨 트리크롬 염색을 도시한다(왼쪽: 치료되지 않음; 오른쪽: 치료된 상처).
닌테다닙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들도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액시티닙으로 치료된 상처는 적은 신생혈관화, 적은 섬유증, 및 적은 흉터 조직을 가졌다.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평균 TGFb1 mRNA 수준은 액시티닙으로 피내 치료 후 더 낮았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리오시구아트로 치료된 상처는 약간 감소된 신생혈관화 및 섬유증을 가졌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소라페닙으로 치료된 상처는 약간 증가된 신생혈관화, 및 유사하거나 감소된 섬유증을 가졌다.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평균 TGFb1 mRNA 수준은 소라페닙으로 피내 치료 후 더 낮았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서니티닙으로 치료된 상처는 더 많은 신생혈관화, 및 유사한 섬유증을 가졌다.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평균 TGFb1 mRNA 수준은 서니티닙으로 피내 치료 후 더 낮았다.
치료되지 않은 상처 및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렌바티닙으로 피내 치료는 유사한 신생혈관화, 섬유증, 및 재상피화를 가졌다. 부형제-치료된 상처와 비교하여, 평균 TGFb1 mRNA 수준은 렌바티닙으로 피내 치료 후 더 낮았다.
피내 치료 후 토끼 귀 상처 부위에서 TGF-β1 mRNA 발현
그룹 N 치료되지 않은 상처에 대해 치료에 의한 토끼
TGFB1 mRNA 발현 배수 (평균 ± SD)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정상 피부 3 0.61 ± 0.15
미치료
(모든 토끼)
7 1.00
치료
(각 약물)
5
또는
6
0.87 ± 0.28 0.73 ± 0.13 1.14 ± 0.14 0.87 ± 0.13 0.76 ± 0.23 0.66 ± 0.25
부형제
(각 약물)
1
또는
2
1.09 1.03 ± 0.19 1.01 ± 0.22 0.87 ± 0.20 1.26 ± 0.79 0.73 ± 0.09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이익을 얻는 당업자는 여기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다른 구체예들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필요한 대상에게 다중-단계 조정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단계 조정제는 멀티키나아제 억제제 또는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 자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단계 조정제는 멀티키나아제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액시티닙, 닌테다닙, 리오시구아트,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파나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단계 조정제는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 자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 자극제는 리오시구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섬유성 장애는 여드름 흉터, 피부 흉터, 주름, 셀룰라이트 및 피부 신생물성 섬유증, 흉터 탈모, 혈관병, 혈관염, 과도증식 화상 상처 치유, 당뇨병성 발 증후군, 피부경화증, 관절섬유증, 페이로니병, 듀프이트렌 구축,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은 사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는 경구, 비경구, 협측, 질, 직장, 흡입, 통기, 설하, 근육내, 피하, 국소, 비내, 복강내, 흉곽내, 정맥내, 경막외, 척추강내 또는 뇌실내 경로에 의한, 또는 관절에 주사함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멀티키나아제 억제제 및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자극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중-단계 조정제를 포함하는, 피부 섬유성 장애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는 액시티닙, 닌테다닙, 소라페닙, 서니티닙, 렌바티닙, 파나티닙, 파조파닙, 레고라페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아제 자극제는 리오시구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섬유성 장애는 여드름 흉터, 피부 흉터, 주름, 셀룰라이트 및 피부 신생물성 섬유증, 흉터 탈모, 혈관병, 혈관염, 과도증식 화상 상처 치유, 당뇨병성 발 증후군, 피부경화증, 관절섬유증, 페이로니병, 듀프이트렌 구축,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협측, 질, 직장, 흡입, 통기, 설하, 근육내, 피하, 국소, 비내, 복강내, 흉곽내, 정맥내, 경막외, 척추강내 또는 뇌실내 경로에 의해, 또는 관절에 주사함으로써 투여하도록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7012515A 2015-10-07 2016-10-07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102317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8309P 2015-10-07 2015-10-07
US62/238,309 2015-10-07
PCT/US2016/055865 WO2017062694A1 (en) 2015-10-07 2016-10-07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skin fibrotic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461A true KR20180064461A (ko) 2018-06-14
KR102317700B1 KR102317700B1 (ko) 2021-10-26

Family

ID=5848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515A KR102317700B1 (ko) 2015-10-07 2016-10-07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736885B2 (ko)
EP (1) EP3359258A4 (ko)
JP (1) JP7153331B2 (ko)
KR (1) KR102317700B1 (ko)
CN (1) CN108367165B (ko)
AU (1) AU2016335675B2 (ko)
CA (1) CA3001489C (ko)
WO (1) WO2017062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814A (ko) * 2017-02-12 2019-10-07 아이비바 바이오파마, 인크. Vegf 및 tgf 베타의 멀티키나제 저해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546B2 (en) * 2016-07-22 2022-03-22 Aiviva Biopharma, Inc. Multikinase inhibitors and uses in ocular fibrosis
JP2020521812A (ja) * 2017-05-26 2020-07-27 ホイットカップ, スコットWhitcup, Scott 酒さを治療するための外用薬組成物および酒さ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KR102448705B1 (ko) * 2017-08-12 2022-09-28 아이비바 바이오파마, 인크. 멀티키나아제 억제제, 및 생식관 및 소화관 섬유증에서의 용도
US11376252B2 (en) 2017-12-30 2022-07-05 Aiviva Biopharma, Inc. Multikinase inhibitors and uses in prostatic hyperplasia and urinary track diseases
US20200345637A1 (en) * 2018-01-19 2020-11-05 Aiviva Biopharma, Inc. Suspension compositions of multi-target inhibitors
AU2019321429B2 (en) * 2018-08-15 2022-12-08 Aiviva Biopharma, Inc. Multi-kinase inhibitors of VEGF and TGF beta and uses thereof
WO2021207380A1 (en) * 2020-04-08 2021-10-14 The Trustees Of Indiana University Therapeutic strategies to manage facial contractures post injury
WO2022234593A1 (en) * 2021-05-02 2022-11-10 Zenvision Pharma Llp Sublingual compositions comprising nintedanib or salt thereof
CN113679722A (zh) * 2021-09-27 2021-11-23 张国华 尼达尼布治疗新生血管形成的皮肤疾病组合物和方法
WO2025007166A1 (en) * 2023-06-29 2025-01-02 University Of Cape Town Bcr-abl inhibitors for use in treating keloid dise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603A (ko) * 2010-04-27 2013-06-26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종양 및 섬유증 질환 치료에서의 신규 병용 치료
WO2015005985A1 (en) * 2013-07-11 2015-01-15 Precision Dermatology, Inc. Topical treatment of localized scleroderm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010306A1 (es) * 1999-07-02 2001-03-29 Agouron Pharma Compuestos de indazol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utiles para la inhibicion de proteina kinasa
PE20060777A1 (es) * 2004-12-24 2006-10-06 Boehringer Ingelheim Int Derivados de indolinona para el tratamiento o la prevencion de enfermedades fibroticas
US20080003219A1 (en) * 2005-09-26 2008-01-03 Minu, L.L.C. Delivery of an ocular agent
JP2011519951A (ja) * 2008-05-07 2011-07-14 アブラクシス バイオサイエン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miRNAによる薬物治療の増強
CN102711799A (zh) * 2009-11-10 2012-10-03 纽约市哥伦比亚大学理事会 用于创伤治疗的组合物和方法
JP2013518810A (ja) * 2009-11-27 2013-05-23 プロテオロジクス リミテッド キナゾリン−4(3a)−オン誘導体とその使用方法
CA2955143C (en) 2010-05-26 2020-02-11 Claudia Hirth-Dietrich The use of sgc stimulators, sgc activators, alone and combinations with pde5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ssc).
EP2582682B1 (en) * 2010-06-17 2015-01-14 Cytokinetics, Inc. Mitotic kinesin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tn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WO2012012404A1 (en) * 2010-07-19 2012-01-26 Bayer Healthcare Llc Drug combinations with fluoro-substituted omega-carboxyaryl diphenyl urea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and conditions
WO2013188273A1 (en) * 2012-06-12 2013-12-19 Bayer Healthcare Llc Topical ophthalmolog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xitinib
JP2015523995A (ja) * 2012-06-25 2015-08-20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Bayer HealthCareLLC パゾパニブを含んでいる眼科用局所医薬組成物
WO2014028595A1 (en) * 2012-08-14 2014-02-20 Concert Pharmaceuticals, Inc. Deuterated ponatinib
CN105051043B (zh) * 2012-11-16 2017-05-10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作激酶活性调节剂的新颖的杂环类衍生物
WO2014086102A1 (zh) * 2012-12-06 2014-06-12 山东亨利医药科技有限责任公司 作为酪氨酸激酶抑制剂的吲哚满酮衍生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603A (ko) * 2010-04-27 2013-06-26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종양 및 섬유증 질환 치료에서의 신규 병용 치료
WO2015005985A1 (en) * 2013-07-11 2015-01-15 Precision Dermatology, Inc. Topical treatment of localized scleroderm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814A (ko) * 2017-02-12 2019-10-07 아이비바 바이오파마, 인크. Vegf 및 tgf 베타의 멀티키나제 저해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35675A1 (en) 2018-05-24
AU2016335675B2 (en) 2022-04-28
KR102317700B1 (ko) 2021-10-26
US10736885B2 (en) 2020-08-11
EP3359258A1 (en) 2018-08-15
CN108367165B (zh) 2022-03-04
CA3001489C (en) 2024-01-16
JP2018534356A (ja) 2018-11-22
US20200330446A1 (en) 2020-10-22
CA3001489A1 (en) 2017-04-13
EP3359258A4 (en) 2019-08-21
CN108367165A (zh) 2018-08-03
WO2017062694A1 (en) 2017-04-13
US20190070160A1 (en) 2019-03-07
JP7153331B2 (ja)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461A (ko) 피부 섬유성 장애를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Anscher et al. Antitransforming growth factor–β antibody 1D11 ameliorates normal tissue damage caused by high-dose radiation
Hedayatyanfard et al.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cutaneous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formation
Oishi et al. Halofuginone treatment reduces interleukin-17A and ameliorates features of chronic lung allograft dysfunction in a mouse orthotopic lung transplant model
ES2949627T3 (es) Axitinib, nintedanib o lenvatinib para el tratamiento de rosácea y dermatitis atópica
Bignold et al. Effects of cytokine signaling inhibition on inflammation-driven tissue remodeling
Fafeur et al. Basic FGF treatment of endothelial cells down-regulates the 85-kDa TGFβ receptor subtype and decreases the growth inhibitory response to TGF-β1
JP2021534153A (ja) Vegfおよびtgfベータのマルチキナ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
Ozkan et al. The effect of bevacizumab and 5-Fluorouracil combination on epidural fibrosis in a rat laminectomy model.
Bu et al. The roles of chemokine CXCL13 in the development of bone cancer pain and the regulation of morphine analgesia in rats
Bye et al. Rho kinase inhibi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in mice promotes functional improvement and acute neuron survival but has little effect on neurogenesis, glial responses or neuroinflammation
Xu et al. The role of cytokines in modulating vocal fold fibrosis: a contemporary review
Han Growth factor therapy
ES2784213T3 (es) Oligonucleótido TGF-beta modificado para uso en un método de prevención y/o tratamiento de una enfermedad oftálmica
CN111278463A (zh) 多激酶抑制剂及其在生殖道和消化道纤维化中的用途
KR20120018761A (ko)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pi-3 키나제 억제제의 조성물
Prasad et al. Effects of the adenosine A2A receptor antagonist KW6002 on the dopaminergic system, motor performance, and neuroinflammation in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Firmansyah et al. Unraveling the significance of growth factors (TGF-β, PDGF, KGF, FGF, Pro Collagen, VEGF) in the Dynamic of Wound Healing
US9061047B2 (en)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conditions and compositions and materials therefor
Jia et al.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β‐adrenoceptor blockers in soft tissue wound healing
Buysschaert et al. Clinical and fundamental aspects of angiogenesis and anti-angiogenesis
Wang et al.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and Hydromorphone Hydrochloride Alleviates Postoperative Pain in Rats
Elder The role of cytokines in chronic progressive conjunctival cicatrisation
Lali et al. Advances in biopharmaceutical agents and growth factors for wound healing and scarring
Jin et al. Tranilast alleviates skin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rosacea-like mice induced by long-term exposure to LL-3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