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883A -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883A
KR20180063883A KR1020187010518A KR20187010518A KR20180063883A KR 20180063883 A KR20180063883 A KR 20180063883A KR 1020187010518 A KR1020187010518 A KR 1020187010518A KR 20187010518 A KR20187010518 A KR 20187010518A KR 20180063883 A KR20180063883 A KR 2018006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riter
meridian
asr
lacusub60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793B1 (ko
Inventor
벤자망 루소
멜라니 엘루이
세바스티앙 프히커
나세흐 락샤프
귈렘 에스칼리에
티에리 보냉
이자벨 폴랑
발레히 졸리베
줄리에 비에즈비키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8006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5Properties on the principal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 및 비영 처방된 가법(ADDp)을 갖는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렌즈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 평균 굴절력(PPO(α, β)),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 자오선(ML(α, β))을 가지며, 상기 (α, β) 함수들은 눈 회전 중심(CRE) 및 렌즈를 연결시키는 응시 방향들(α, β)에 대한 착용자에 의한 렌즈의 착용 시 조건들로 결정되며, 여기서 α는 도 단위의 하강각이고 β는 도 단위의 방위각이고, 렌즈 기준(A1/A2)은 이하의 필요 조건: A1/A2 ≥ 0.50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A1 = α100% - α85%이며; A2 = α100% - α60%이다.

Description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력 개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 또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 렌즈는 개별 착용자에게 고유한 사양에 따라 요청 시에 제조된다. 그러한 사양은 일반적으로 안과 의사 또는 눈 관리 의사에 의해 행해지는 의료 처방을 포함한다.
노안 착용자의 경우, 배율 교정의 값은 근거리 보기에서 원근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거리 보기 및 근거리 보기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처방은 원거리 보기 배율값 및 원거리 보기와 근거리 보기 사이의 배율 증분을 나타내는 가법을 포함한다. 가법은 처방된 가법(ADDp)으로서 적격화된다.
발명자는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 대한 현재의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가, 특히 70 ㎝ 이하의 거리에서의 시각 작업에 대해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강화시키도록 여전히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제는, 특히 70 ㎝ 이하의 거리에서의 시각 작업들에 대해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논제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 또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 및 비영 처방된 가법(ADDp)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이며, 상기 렌즈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 평균 굴절력(PPO(α, β)),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 자오선(ML(α, β))을 가지며, 상기 (α, β) 함수들은 눈 회전 중심(CRE) 및 렌즈를 연결시키는 응시 방향들(α, β)에 대한 착용자에 의한 렌즈의 착용 시 조건들로 결정되며, 여기서 α는 도 단위의 하강각이고 β는 도 단위의 방위각이고, 렌즈 기준(A1/A2)은 이하의 필요 조건:
A1/A2 ≥ 0.50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o A1 = α100% - α85%이며;
o A2 = α100% - α60%이며;
o α100%는:
o 처방된 가법의 100%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고,
o 자오선 상의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하강각 사이의 최소 양의 α 각도에 상응하는 하강각이며;
o α85%는 처방된 가법의 85%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며;
o α60%는 처방된 가법의 60%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며;
o (αFV, βFV)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FVGD)이다.
발명자들은 기준(A1/A2)의 임계값을 한정하는 것이, 특히 70 ㎝ 이하의 거리들에서의 시각 작업들에 대해 알려진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고려하여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강화되는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특성화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덕분으로, 시계들이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 대해 어큐어티(acuity)의 면에서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발견하였으며; 발명자들은 또한 주변 수차 피크들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강화될 수 있다.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 0.50 ≤ A1/A2 < 0.54 및 A1/A2 = 0.54 및 0.54 < A1/A2 < 0.60 및 A1/A2 = 60 및 A1/A2 > 0.60이며;
- 렌즈는 이하의 필요 조건:
0.48 ≤ CRITER ≤ 0.7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CRITER = (A1/A2) + (PPO(αFV, βFV) / (100.ADDp))이며;
- 0.48 ≤ CRITER < 0.54 및 CRITER = 0.54 및 0.54 < CRITER < 0.58 및 CRITER = 0.58 및 0.58 < CRITER < 0.60 및 CRITER = 0.60 및 0.60 < CRITER ≤ 0.70이며;
- CRITER ≥ 0.50 및/또는 CRITER ≤ 0.65이며;
- 렌즈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이고: CRITER ≥ 0.52이며;
- 렌즈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이고: 0.52 ≤ CRITER < 0.54 및 CRITER = 0.54 및 0.54 < CRITER < 0.60 및 CRITER = 0.60 및 0.60 < CRITER ≤ 0.70이며;
- 렌즈는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1).ADDp ≥ 75 deg2.D를 충족시키며, 여기서:
· LAcuSub60_85(0.1)은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1 logMAR인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ACU(α, β)는 logMAR로 표현되고 이하의 식: ACU(α, β) = - log (AC%(α, β)/100)에 따라 정의되는 어큐어티 손실값이며;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63 x P(α, β) - 44.3 x ASR(α, β) + 7.2 x P(α, β)2 + 19.5 x P(α, β) x ASR(α, β) + ASR(α, β)2이고;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44.3 x ASR(α, β) + ASR(α, β)2이며;
· P(α, β) = PPO(α, β) - PPO(α, β_α_mer)이며;
· β_α_mer은 하강각(α)에서의 자오선(ML(α, β)) 상의 방위각(β)의 값이며;
- 렌즈는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2).ADDp ≥ 135 deg2.D를 충족시키며, 여기서:
- LAcuSub60_85(0.2)는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2 logMAR인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렌즈는 서로 향하는 2개의 주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주표면은 복합면들, 예를 들어 2개의 누진 표면 또는 2개의 누감 표면, 또는 누진 표면 및 누감 표면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 또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 및 비영 처방된 가법(ADDp)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게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컴퓨터 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하며, 평균 굴절력 재분할(PPO(α, β)),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 재분할의 모듈(ASR(α, β))을 계산하는 단계, 자오선(ML(α, β))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α, β) 함수들은 눈 회전 중심(CRE) 및 렌즈를 연결시키는 응시 방향들(α, β)에 대한 착용자에 의한 렌즈의 착용 시 조건들로 계산되며, 여기서 α는 도 단위의 하강각이고 β는 도 단위의 방위각이어서, 기준(A1/A2)의 이하의 필요 조건:
A1/A2 ≥ 0.50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o A1 = α100% - α85%이며;
o A2 = α100% - α60%이며;
o α100%는:
o 처방된 가법의 100%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고,
o 자오선 상의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하강각 사이의 최소 양의 α 각도에 상응하는 하강각이며;
o α85%는 처방된 가법의 85%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며;
o α60%는 처방된 가법의 60%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이며;
o (αFV, βFV)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FVGD)이다.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법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이하의 특징들을 더 포함한다:
- 기준(CRITER)의 이하의 필요 조건:
0.48 ≤ CRITER ≤ 0.7을 충족시키도록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CRITER = (A1/A2) + (PPO(αFV, βFV) / (100.ADDp))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CRITER ≥ 0.50 및/또는 CRITER ≤ 0.65이며;
- 기준(LAcuSub60_85(0.1))의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1).ADDp ≥ 75 deg2.D를 충족시키도록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 LAcuSub60_85(0.1)은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1 logMAR인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ACU(α, β)는 logMAR로 표현되고 이하의 식: ACU(α, β) = - log (AC%(α, β)/100)에 따라 정의되는 어큐어티 손실값이며;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63 x P(α, β) - 44.3 x ASR(α, β) + 7.2 x P(α, β)2 + 19.5 x P(α, β) x ASR(α, β) + ASR(α, β)2이고;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44.3 x ASR(α, β) + ASR(α, β)2이며;
· P(α, β) = PPO(α, β) - PPO(α, β_α_mer)이며;
β_α_mer은 하강각(α)에서의 자오선(ML(α, β)) 상의 방위각(β)의 값이며;
- 기준(LAcuSub60_85(0.2))의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2).ADDp ≥ 135 deg2.D를 충족시키도록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 LAcuSub60_85(0.2)는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2 logMAR인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방법은 적어도 타겟이: 기준(A1/A2), 기준(CRITER); 기준(LAcuSub60_85(0.1)); 기준(LAcuSub60_85(0.2))과 관련되는 필요 조건들의 목록 내에서 선택되는 최적화 루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의 여기서 앞서 재인용된 특징들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직접 바뀌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의 최적화 루틴에서의 하나이거나 복수의 타겟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는 점을 추가로 강조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앞선 방법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저장된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수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구조 및 본 발명의 작동에 관한 본 발명의 특징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 그 자체 둘 다가 수반하는 설명과 함께 취해지는 수반하는 비제한적인 도면들 및 예들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 도 1 및 도 2는 눈 및 렌즈의 광학계들 및 눈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광선 추적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 도 3은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시계 구역들을 도시한다.
-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체계 내에 사용되는 기준/데이터의 정의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 도면들을 도시한다.
-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5 내지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의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 도 11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도면들에서, 이하의 참조들은 이하의 것들에 상응한다:
· MER은 자오선이며;
· NVGD는 근거리 보기 응시 방향이며;
· FVGD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이며;
· FCGD는 피팅 크로스 응시 방향이다.
정의
이하의 정의들이 본 발명의 체계 내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처방 데이터”라 불리는 “착용자의 처방”이란 용어들이 관련 분야에 알려져 있다. 처방 데이터는 착용자에 대해 얻어지고 적어도 눈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눈에 대해, 착용자에 대한 각각의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데 적절한 처방된 구형(SPHp), 및/또는 처방된 비점 수차값(CYLp) 및 처방된 축(AXISp), 그리고 적절하다면, 착용자의 눈들 각각의 노안을 교정하는데 적절한 처방된 가법(ADDp)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지칭한다.
“누진 안과용 가법 렌즈들”이 관련 분야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는 표준 렌즈일 수 있지만 렌즈가 눈의 앞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안경에 대한 렌즈일 수도 있다. 렌즈는 선글라스에 적절하거나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안과용 렌즈는 한 쌍의 렌즈(좌측 눈(LE), 우측 눈(RE))를 형성하도록 쌍으로 될 수 있다.
“응시 방향”은 2개의 각도값(α, β)에 의해 식별되며, 상기 각도값들은 통상적으로 “CRE”로 명명되는 눈 회전 중심 상에 중심 위치되는 기준축들에 대하여 측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은 응시 방향을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α 및 β)을 예시하는 그러한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파라미터(β)가 0과 동등한 경우에 착용자의 머리의 전후 방향 축에 평행하고 눈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면에서의 도면이다. 눈 회전 중심은 CRE로 라벨링된다. 쇄선으로 도 2에서 도시되는 축(CRE-F’)은 주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축(CRE-F’)인, 눈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착용자의 앞에서 연장되는 수평축이다. 렌즈는 안경사에 의한 프레임에서의 렌즈들의 위치 선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반적으로 렌즈들 상에 존재하는 피팅 크로스라 불리는 지점 상에서 렌즈의 전단면을 축(CRE-F’)이 새기도록 눈의 앞에 배치되고 중심 위치된다. 렌즈의 후방면 및 축(CRE-F’)의 교차점은 지점(O)이다. 중심이 눈 회전 중심(CRE)이고 반경(q’ = O-CRE)을 갖는 정점 구형은 수평축의 지점에서 렌즈의 후방면을 두 점으로 자른다. 25.5 ㎜의 반경(q’)의 값이 통상적 값에 상응하고 렌즈들을 착용할 때, 만족하는 결과들을 제공한다. 반경(q’)의 다른 값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주어진 응시 방향은 CRE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눈의 위치 및 정점 구형의 지점(J)(도 2 참조)에 상응하며; 각도(β)는 축(CRE-F’)과 축(CRE-F’)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의 직선의 투영(CRE-J)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이며; 이러한 각도는 도 1에서의 체계 상에서 나타난다. 각도(α)는 축(CRE-J)과 축(CRE-F’)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의 직선의 투영(CRE-J)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이며; 이러한 각도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체계 상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응시 관점은 정점 구형의 지점(J) 또는 쌍(α, β)에 상응한다. 하강하는 응시 각도의 값이 더 양일수록, 응시는 더 많이 하강하고 상기 값이 더 음일수록, 응시는 더 많이 상승한다. 주어진 응시 방향에서, 주어진 대상 거리로 위치되는 대상 공간에서의 지점(M)의 이미지는 최소 및 최대 거리들(JS 및 JT)에 상응하는 2개의 지점(S 및 T) 사이에서 형성되며, 최소 및 최대 거리들(JS 및 JT)은 시상 및 탄젠트 국부적 초점 길이들일 것이다. 무한원으로 대상 공간에서의 지점의 이미지는 지점(F’)에서 형성된다. 거리(D)는 렌즈의 후방 정면을 향한 평면에 상응한다.
각각의 응시 방향(α, β)의 경우, 평균 굴절력(PPO(α, β)),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 및 이러한 비점 수차의 축(AXE(α, β)), 및 결과로서 생기는(또한 잔여 또는 원하지 않는이라 불림)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이 정의된다.
“비점 수차”는 각각의 경우에, 각폭, 또는 각폭 및 축 둘 다에 대하여 렌즈에 의해 생성되는 비점 수차, 또는 처방된 비점 수차(착용자 비점 수차)와 렌즈 생성 비점 수차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잔여 비점 수차(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를 지칭한다,
“에르고라마(Ergorama)”는 대상 지점의 통상적 거리를 각각의 응시 방향과 연관시키는 함수이다. 전형적으로 주응시 방향을 따르는 원거리 보기에서, 대상 지점은 무한원으로 있다. 코측을 향하는 절댓값으로 본질적으로 35°의 정도의 각도(α) 및 5°의 정도의 각도(β)에 상응하는 응시 방향을 따르는 근거리 보기에서, 대상 거리는 30 내지 50 ㎝의 정도이다. 에르고라마의 가능한 정의에 관한 더 많은 상세에 대해, 미국 특허 US-A-6,318,859가 고려될 수 있다. 이 문서는 에르고라마, 에르고라마의 정의 및 에르고라마의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경우, 지점들은 무한원으로 있거나 무한원으로 있지 않을 수 있다. 에르고라마는 착용자의 굴절 이상의 함수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응시 방향에서 착용자 광학 배율 및 비점 수차를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르고라마에 의해 주어지는 대상 거리에서의 대상 지점(M)이 응시 방향(α, β)에 대해 고려된다. 대상 근접(ProxO)은 대상 공간에서의 상응하는 광선 상의 지점(M)에 대해 지점(M)과 정점 구형의 지점(J) 사이의 거리(MJ)의 역으로서 정의된다:
ProxO=1/MJ
이는 에르고라마의 결정에 사용되는 정점 구형의 모든 지점에 대해 얇은 렌즈 근사치 내에서 대상 근접을 계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 렌즈의 경우, 대상 근접은 상응하는 광선 상에서 대상 지점과 렌즈의 전단면 사이의 거리의 역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응시 방향(α, β)의 경우, 주어진 대상 근접을 갖는 지점(M)의 이미지는 (시상 및 탄젠트 초점 거리들일 것인) 최소 및 최대 초점 거리들에 각각 상응하는 2개의 지점(S 및 T) 사이에서 형성된다. 부호 ProxI는 지점(M)의 이미지 근접이라 불린다:
Figure pct00001
얇은 렌즈의 경우에서 유추하여, 그러므로, 이는 주어진 응시 방향 및 주어진 대상 근접에 대해, 즉 상응하는 광선 상의 대상 공간의 지점에 대해, 광학 배율(PPO)이 이미지 근접 및 대상 근접의 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PPO = ProxO + ProxI
광학 배율은 또한 굴절력이라 불린다.
동일한 표기법으로, 비점 수차(AST)는 모든 응시 방향 및 주어진 대상 근접에 대해 이하로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이러한 정의는 렌즈에 의해 생성되는 광선 빔의 비점 수차에 상응한다.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ASR)는 렌즈를 통한 모든 응시 방향에 대해 이러한 응시 방향에 대한 실제 비점 수차값(AST)과 동일한 렌즈에 대한 처방된 비점 수차 사이의 차이로서 정의된다. 잔여 비점 수차(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ASR)는 보다 정확하게는 실제 데이터(AST, AXE)와 처방 데이터(CYLp, AXISp) 사이의 벡터 차이의 모듈에 상응한다.
렌즈의 특성화가 광학 유형일 때, 렌즈는 상술한 에르고라마-눈-렌즈 시스템을 지칭한다. 단순함을 위해, ‘렌즈’란 용어가 본 설명에 사용되지만, 렌즈는 ‘에르고라마-눈-렌즈 시스템’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광학 용어들의 값들이 응시 방향들에 대해 표현될 수 있다. 에르고라마-눈-렌즈 시스템을 결정하는데 적절한 조건들은 본 발명의 체계에서 “착용 시 조건들”이라 불린다.
본 설명의 나머지에서, ≪ 상단 ≫, ≪ 하단 ≫, ≪ 수평 ≫, ≪ 수직 ≫, ≪ 위의 ≫, ≪ 아래의 ≫같은 용어들, 또는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다른 단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렌즈의 착용 조건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렌즈의 “상부” 부분은 음의 하강각(α < 0°)에 상응하고 렌즈의 “하부” 부분은 양의 하강각(α > 0°)에 상응한다.
FVGD로 지칭되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은 평균 굴절력이 원거리 보기에서의 평균 처방된 배율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며, 평균 처방된 배율이 SPHp+(CYLp/2)와 동등한 원거리 보기(원거리의) 참조점 및 따라서 (αFV, βFV)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렌즈에 대해 정의된다. 본 발명 내에서, 원거리 보기는 또한 원거리의 보기로 지칭된다.
NVGD로 지칭되는 “근거리 보기 응시 방향”은 굴절력이 원거리 보기에서의 처방된 배율 플러스 처방된 가법(ADDp)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근거리 보기(판독) 참조점, 및 따라서 (αNV, βNV)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렌즈에 대해 정의된다.
FCGD로 지칭되는 “피팅 크로스 응시 방향”은 피팅 크로스 참조점 및 따라서 (αFC, βFC)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렌즈에 대해 정의된다.
누진 렌즈의 ML(α, β)로 지칭되는 “자오선”은 렌즈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한정되고 대상 지점을 분명히 볼 수 있는 피팅 크로스를 통과하는 라인이다. 상기 자오선은 (α, β) 영역에 걸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의 모듈(ASR)의 재분할에 기반하여 정의되고 값이 0.25 디옵터와 동등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2중심 등모듈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보다 더 구체적이도록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자오선은 이하의 방법에 따라 계산된다:
- 피팅 크로스(αFC, βFC)에 상응하는 응시 방향(FCGD)을 정의하며;
- 근거리 보기 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하강각(αNV)을 계산하며;
- αFC와 αNV 사이에 포함되는 각각의 하강각(α)에 대해, 값이 0.25 디옵터와 동등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2개의 중심 등모듈 사이의 중도 방향에 상응하는 방위각(β)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방향들은 (αi, βi)로 지칭되며; 이하의 식에 따라 직선(d2)에 대한 (αi, βi)의 편위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직선을 계산하며:
Figure pct00003
여기서, ≪ min ≫ 함수는 괄호들 사이의 식을 최소화하도록 a2 및 b2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며;
- 직선(d2)과 β = βFC에 상응하는 라인 사이의 교차점으로서 정의되는 중심축 방향(αpiv, βpiv)을 계산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04
이며;
- 직선(d1)을 계산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05
이며;
- αNV에 대한 직선(d2)의 방위각(β)인 것으로 βNV를 결정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06
이며;
- αNV 초과의 각각의 하강각(α)에 대해, 값이 0.25 디옵터와 동등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2개의 중심 등모듈 사이의 중도 방향에 상응하는 방위각(β)을 결정하며; 상기 계산된 방향들은 (αj, βj)로 지칭되며; 직선(d3)에 대한 (αj, βj)의 편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 방향(αNV, βNV)으로 지나는 상기 직선을 계산하며; 계산된 기울기가 음이면, 기울어진 것은 영이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d3은 이하의 식에 따라 정의되며:
Figure pct00007
- 자오선은 결국 3개의 선분(d1, d2, d3)을 추종할 때 구축되는 라인인 것으로서 정의된다.
- “복합면”은 비구형, 비원환체, 비구원환체인 안과용 렌즈의 비구면 표면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면은 누진 표면 및 누감 표면으로 구성되는 목록 내에서 선택된다.
또한 “정렬 참조 마킹”이라 불리는 “미세 마킹들”은 통일 규격 ISO 13666:2012(“정렬 참조 마킹: 렌즈 또는 렌즈 블랭크의 수평 정렬을 확립하거나, 다른 참조점들을 재확립하기 위해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영구적 마킹들”) 및 ISO 8990-2(“영구적 마킹: 렌즈는 적어도 이하의 영구적 마킹들을 제공해야 함: 피팅 크로스 또는 프리즘 참조점을 통과하는 수직면으로부터 등거리인, 서로의 것으로부터 34 ㎜ 떨어진 2개의 마킹을 포함하는 정렬 참조 마킹들”)에 의해 누진 렌즈들 상에 의무적으로 되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미세 마킹들은 또한 누진 또는 역진 전단면을 포함하는 전단면을 갖는 렌즈의 전단면과 같은 복합면들 상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진다.
“임시 마킹들”은 예를 들어, 원거리 보기에 대한 제어점, 근거리 보기에 대한 제어점, 프리즘 참조점 및 피팅 크로스와 같은 렌즈 상의 제어점들(참조점들)의 위치들을 나타내는 렌즈의 2개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적용될 수도 있다. 프리즘 참조점(PRP)은 미세 마킹들을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중점에 있는 것으로 여기서 고려된다. 임시 마킹들이 없거나 지워졌으면, 장착 차트 및 영구적 미세 마킹들을 사용함으로써 렌즈 상에 제어점들을 당업자가 위치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반마감된 렌즈 블랭크 상에서, 표준 ISO 10322-2는 적용될 미세 마킹들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반마감된 렌즈 블랭크의 비구면 표면의 중심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참조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30)의 시계 구역들을 도시하며, 상기 렌즈는 렌즈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는 원거리 보기(원거리의 보기) 구역(32), 렌즈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근거리 보기 구역(36), 그리고 원거리 보기 구역(32)과 근거리 보기 구역(36)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구역(34)을 포함한다. 자오선은 38로 언급된다.
복수의 기준/데이터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정의되었고 도 4 및 도 5에 의해 예시되는 정의들이 있다.
도 4 및 도 5의 배경에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동일한 예의 어큐어티 손실 등고선도가 나타내어진다.
어큐어티 손실 등고선은 어큐어티 손실값(ACU(α, β))의 (α, β) 영역에 걸친 변화들을 나타내며; 어큐어티 손실값은 logMAR로 표현된다.
어큐어티 손실값(ACU(α, β))은 이하의 식에 따라 정의되며:
ACU(α, β) = - log (AC%(α, β)/100);
AC%(α, β)는 평균 굴절력(PPO(α, β)), 및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 둘 다에 따라 정의되는 어큐어티 함수이며; 여기서:
· 평균 굴절력 차이 함수(P(α, β))를 정의하며, 여기서:
P(α, β) = PPO(α, β) - PPO(α, β_α_mer)이며;
β_α_mer은 하강각(α)에서의 자오선(ML(α, β)) 상의 방위각(β)의 값이며;
· P(α, β) ≥ 0이면, AC%(α, β)는 이하의 식에 따라 정의되며:
AC%(α, β) = {100 ? 63 x P(α, β) - 44.3 x ASR(α, β) + 7.2 x P(α, β)2 + 19.5 x P(α, β) x ASR(α, β) + ASR(α, β)2}
· P(α, β) < 0이면, AC%(α, β)는 이하의 식에 따라 정의된다:
AC%(α, β) = 100 - 44.3 x ASR(α, β) + ASR(α, β)2.
그러한 어큐어티 손실 정의의 서지학적 참조는 이하의 문서: Fauquier, C., 외 “시력에 대한 결합된 배율 오류 및 비점 수차의 영향(Influence of combined power error and astigmatism on visual acuity)” Vision Science and Its Applications, OSA Technical Digest Series. Washington, DC: 미국 광학 협회 (1995): 151-4에서 볼 수 있다.
예시적 렌즈의 어큐어티 손실값들(ACU(α, β))이 도 4 및 도 5의 배경에서 도표화되고 곡선들은 상이한 어큐어티 손실값들의 이웃하는 곡선들 사이에 0.1 logMAR의 증분이 있는 등어큐어티 손실값들을 나타낸다.
도 4는 기준(LAcuSub60_85(0.1))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하며; LAcuSub60_85(0.1)은 0.1 logMAR과 동등한 어큐어티 손실의 2개의 중심의 이웃하는 곡선 사이의 (도면 상의 회색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상기 각 규모는 α60% 이상의 하강각(α)에 대해(즉, α ≥ α60%에 대해) 그리고 α85% 이하의 하강각(α)에 대해(즉, α ≤ α85%에 대해) 계산된다.
α85%는 처방된 가법의 85%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으로서 정의된다. 처방된 가법의 85%가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자오선의 하강각이 평균 굴절력(PPO)(α85%)이 이하의 식을 충족시키는 하강각(α)인 것으로 본 발명의 체계에서 정의되고:
PPO(α85%) = PPO(FVGD) + 0.85 x ADDp,
여기서, PPO(FVGD)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FVGD)에 따른 평균 굴절력이다.
유사한 정의가 평균 굴절력(PPO)(α60%)이 이하의 식을 충족시키는 하강각(α)에 상응하는, 처방된 가법의 60%가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자오선의 하강각인 α60%에 이용된다:
PPO(α60%) = PPO(FVGD) + 0.60 x ADDp.
α100%는:
o 처방된 가법의 100%가 자오선 상에서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하강각,
o 자오선 상의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하강각 사이의 최소 양의 α 각도에 상응하는 하강각으로서 정의된다.
추가로 재인용되는 예들에서, α100%는 평균 굴절력(PPO)(α100%)이 이하의 식을 충족시키는 하강각(α)에 상응하는, 처방된 가법의 100%가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자오선의 하강각이다:
PPO(α100%) = PPO(FVGD) + ADDp.
자오선의 어떤 하강각도 앞선 식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α100%는 자오선 상의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하강각이다.
도 5는 기준(LAcuSub60_85(0.2))을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하며; LAcuSub60_85(0.2)는 0.2 logMAR과 동등한 어큐어티 손실의 2개의 중심의 이웃하는 곡선 사이의 (도면 상의 회색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상기 각 규모는 α60% 이상의 하강각(α)에 대해(즉, α ≥ α60%에 대해) 그리고 α85% 이하의 하강각(α)에 대해(즉, α ≤ α85%에 대해) 계산된다.
도 6은 미국 특허 US-A-6,318,859를 고려하여 에르고라마를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하강각(α)에 따른 대상 근접(ProxO)의 변화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체계에서 사용되는 에르고라마는 대상 근접값들이 하강각들(α)에 대해 주어지는 이하의 데이터의 덕분으로 한정된다:
알파[deg] ProxO[D]
-50 0
-40 0
-30 0
-20 0
-10 0
0 0
10 1.65
20 2.54
30 2.78
40 2.93
50 2.98
실시예: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도 7 내지 도 10은 이후에 “PA_렌즈_근시”로 지칭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근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이후에 “INV_렌즈_근시”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근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상기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둘 다는 이하의 처방된 특징들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었다:
- 처방된 구형(SPHp) = -4 디옵터
- 처방된 비점 수차값(CYLp) = 0 디옵터
- 처방된 축(AXISp) = 0°
- 처방된 가법(ADDp) = 2 디옵터
도 7 및 도 11은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각각에 대한 자오선을 따른 하강각(α)에 따른 평균 굴절력 재분할 그래프(PPO)를 나타낸다. α60%, α85% 및 α100%에 상응하는 하강각들이 나타내어진다.
도 8 및 도 12는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평균 굴절력 재분할(PPO)을 나타낸다. 곡선들은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상이한 모듈의 이웃하는 곡선들 사이에 0.25 디옵터의 증분이 있는 등평균 굴절력 값들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3은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 재분할의 모듈(ASR)을 나타낸다. 곡선들은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상이한 모듈의 이웃하는 곡선들 사이에 0.25 디옵터의 증분이 있는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등모듈을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4는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어큐어티 손실값 재분할(ACU)을 나타낸다. 곡선들은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값들의 상이한 모듈의 이웃하는 곡선들 사이에 0.1 logMAR의 증분이 있는 등어큐어티 손실값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앞서 정의된 기준들이 상기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둘 다에 대해 계산되었다. 결과들이 여기서 이하에 기록된다:
렌즈 PA_렌즈_근시 INV_렌즈_근시
A1/A2 0.40 0.60
CRITER 0.38 0.58
LAcuSub60_85(0.1).ADDp 62 94
LAcuSub60_85(0.2).ADDp 108 160
LAcuSub60_85(0.1).ADDp 및 LAcuSub60_85(0.2).ADDp는 deg2.D로 표현된다.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도 15 내지 도 18은 이후에 “PA_렌즈_em”으로 지칭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도 19 내지 도 22는 이후에 “INV_렌즈_em1”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제1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도 23 내지 도 25는 이후에 “INV_렌즈_em2”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제2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의 광학 특성들을 부여한다.
상기 3개의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는 이하의 처방된 특징들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었다:
- 처방된 구형(SPHp) = 0 디옵터
- 처방된 비점 수차값(CYLp) = 0 디옵터
- 처방된 축(AXISp) = 0°
- 처방된 가법(ADDp) = 2 디옵터
도 15, 도 19 및 도 23은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INV_렌즈_em1 및 INV_렌즈_em2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각각에 대한 자오선을 따른 하강각(α)에 따른 평균 굴절력 재분할 그래프(PPO)를 나타낸다. 여기서 위의 도 7 및 도 11로 지향되는 언급들이 본 도면들로 전해진다.
도 16, 도 20 및 도 24는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INV_렌즈_em1 및 INV_렌즈_em2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평균 굴절력 재분할(PPO)을 나타낸다. 여기서 위의 도 8 및 도 12로 지향되는 언급들이 본 도면들로 전해진다.
도 17, 도 21 및 도 25는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INV_렌즈_em1 및 INV_렌즈_em2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 재분할의 모듈(ASR)을 나타낸다. 여기서 위의 도 9 및 도 13으로 지향되는 언급들이 본 도면들로 전해진다.
도 18 및 도 22는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INV_렌즈_em1로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각각에 대한 (α, β) 영역에 걸친 어큐어티 손실값 재분할(ACU)을 나타낸다. 여기서 위의 도 10 및 도 14로 지향되는 언급들이 본 도면들로 전해진다.
여기서 앞서 정의된 기준들이 상기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들 둘 다에 대해 계산되었다. 결과들이 여기서 이하에 기록된다:
렌즈 PA_렌즈_em INV_렌즈_em1 INV_렌즈_em2
A1/A2 0.45 0.54 0.60
CRITER 0.45 0.54 0.60
LAcuSub60_85(0.1).ADDp 90 112 80
LAcuSub60_85(0.2).ADDp 150 196 144
발명자들은 CRITER의 선택된 임계값, 그리고 선택적으로 LAcuSub60_85(0.1).ADDp 및/또는 LAcuSub60_85(0.2).ADDp의 선택된 임계값들이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이 알려진 종래 기술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고려하여 강화되는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트들을 행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CRITER의 필요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누진 가법 렌즈의 자오선을 따른 평균 굴절력의 변화를 처리하는데, 즉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에 대한 70 ㎝ 구형 내의 시각 작업들에 유익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편안함이 따라서 즉, 상기 시각 작업들에 대해 상당히 강화되고, 70 ㎝ 구형 내의 시각 작업들에 대한 시력 만족이 전반적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 및 만족에서 매우 상당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Claims (13)

  1.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 또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 및 비영 처방된 가법(ADDp)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로서, 상기 렌즈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 평균 굴절력(PPO(α, β)),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의 모듈(ASR(α, β)), 자오선(ML(α, β))을 가지며, 상기 (α, β) 함수들은 눈 회전 중심(CRE) 및 상기 렌즈를 연결시키는 응시 방향들(α, β)에 대한 상기 착용자에 의한 상기 렌즈의 착용 시 조건들로 결정되며, 여기서 α는 도 단위의 하강각이고 β는 도 단위의 방위각이고, 렌즈 기준(A1/A2)은 이하의 필요 조건:
    A1/A2 ≥ 0.50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o A1 = α100% - α85%이며;
    o A2 = α100% - α60%이며;
    o α100%는:
    o 상기 처방된 가법의 100%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고,
    o 상기 자오선 상의 상기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상기 하강각 사이의 최소 양의 α 각도에 상응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85%는 상기 처방된 가법의 85%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60%는 상기 처방된 가법의 60%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FV, βFV)는 상기 원거리 보기 참조점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FVGD)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렌즈 기준(CRITER)은 이하의 필요 조건:
    0.48 ≤ CRITER ≤ 0.7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CRITER = (A1/A2) + (PPO(αFV, βFV) / (100.ADDp))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CRITER ≥ 0.50 및/또는 CRITER ≤ 0.65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 대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이고:
    CRITER ≥ 0.52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1).ADDp ≥ 75 deg2.D를 충족시키며, 여기서:
    · LAcuSub60_85(0.1)은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1 logMAR인 상기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ACU(α, β)는 logMAR로 표현되고 이하의 식: ACU(α, β) = - log (AC%(α, β)/100)에 따라 정의되는 어큐어티 손실값이며;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63 x P(α, β) - 44.3 x ASR(α, β) + 7.2 x P(α, β)2 + 19.5 x P(α, β) x ASR(α, β) + ASR(α, β)2이고;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44.3 x ASR(α, β) + ASR(α, β)2이며;
    · P(α, β) = PPO(α, β) - PPO(α, β_α_mer)이며;
    · β_α_mer은 상기 하강각(α)에서의 상기 자오선(ML(α, β)) 상의 상기 방위각(β)의 값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2).ADDp ≥ 135 deg2.D를 충족시키며, 여기서:
    · LAcuSub60_85(0.2)는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2 logMAR인 상기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서로 향하는 2개의 주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주표면은 복합면들, 예를 들어 2개의 누진 표면 또는 2개의 누감 표면, 또는 누진 표면 및 누감 표면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8. 마이너스 1 디옵터 이하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을 갖는 근시 및 노안 착용자, 또는 마이너스 1 디옵터 초과이고 플러스 1 디옵터 미만의 처방된 원거리 보기 평균 굴절력, 및 비영 처방된 가법(ADDp)을 갖는 정시 및 노안 착용자에게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컴퓨터 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평균 굴절력 재분할(PPO(α, β)), 결과로서 생기는 비점 수차 재분할의 모듈(ASR(α, β))을 계산하는 단계, 자오선(ML(α, β))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α, β) 함수들은 눈 회전 중심(CRE) 및 상기 렌즈를 연결시키는 응시 방향들(α, β)에 대한 상기 착용자에 의한 상기 렌즈의 착용 시 조건들로 계산되며, 여기서 α는 도 단위의 하강각이고 β는 도 단위의 방위각이어서, 기준(A1/A2)의 이하의 필요 조건:
    A1/A2 ≥ 0.50을 충족시키며, 여기서:
    o A1 = α100% - α85%이며;
    o A2 = α100% - α60%이며;
    o α100%는:
    o 상기 처방된 가법의 100%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고,
    o 상기 자오선 상의 상기 평균 굴절력이 최대(PPOmax(αML, βML))인 상기 하강각 사이의 최소 양의 α 각도에 상응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85%는 상기 처방된 가법의 85%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60%는 상기 처방된 가법의 60%가 상기 자오선 상에서 상기 착용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하강각이며;
    o (αFV, βFV)는 원거리 보기 참조점에 상응하는 보기 응시 방향으로서 정의되는 원거리 보기 응시 방향(FVGD)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기준(CRITER)의 이하의 필요 조건:
    0.48 ≤ CRITER ≤ 0.7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CRITER = (A1/A2) + (PPO(αFV, βFV) / (100.ADDp))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CRITER ≥ 0.50 및/또는 CRITER ≤ 0.65인 상기 기준(CRITER)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렌즈를 계산하는,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LAcuSub60_85(0.1))의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1).ADDp ≥ 75 deg2.D를 충족시키도록 상기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 LAcuSub60_85(0.1)은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1 logMAR인 상기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이며;
    · ACU(α, β)는 logMAR로 표현되고 이하의 식: ACU(α, β) = - log (AC%(α, β)/100)에 따라 정의되는 어큐어티 손실값이며;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63 x P(α, β) - 44.3 x ASR(α, β) + 7.2 x P(α, β)2 + 19.5 x P(α, β) x ASR(α, β) + ASR(α, β)2이고;
    · P(α, β) < 0일 때; AC%(α, β) = 100 - 44.3 x ASR(α, β) + ASR(α, β)2이며;
    · P(α, β) = PPO(α, β) - PPO(α, β_α_mer)이며;
    β_α_mer은 상기 하강각(α)에서의 상기 자오선(ML(α, β)) 상의 상기 방위각(β)의 값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LAcuSub60_85(0.2))의 이하의 필요 조건:
    LAcuSub60_85(0.2).ADDp ≥ 135 deg2.D를 충족시키도록 상기 렌즈를 계산하며, 여기서:
    · LAcuSub60_85(0.2)는 α60% ≥ α ≥ α85%인 ACU(α, β) ≤ 0.2 logMAR인 상기 렌즈의 구역의 각 규모(deg2 단위)인,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타겟이: 기준(A1/A2), 기준(CRITER);기준(LAcuSub60_85(0.1)); 기준(LAcuSub60_85(0.2))과 관련되는 필요 조건들의 목록 내에서 선택되는 최적화 루틴을 포함하는,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87010518A 2015-10-15 2016-10-11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80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06655.0 2015-10-15
EP15306655 2015-10-15
EP15306646 2015-10-15
EP15306644 2015-10-15
EP15306644.4 2015-10-15
EP15306646.9 2015-10-15
EP16305312.7 2016-03-21
EP16305312 2016-03-21
PCT/EP2016/074304 WO2017064041A1 (en) 2015-10-15 2016-10-11 An oph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myopic or emmetropic presbyopic wearer; method for providing such a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83A true KR20180063883A (ko) 2018-06-12
KR102580793B1 KR102580793B1 (ko) 2023-09-20

Family

ID=571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518A KR102580793B1 (ko) 2015-10-15 2016-10-11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90938B2 (ko)
EP (1) EP3362842B1 (ko)
JP (1) JP2018538562A (ko)
KR (1) KR102580793B1 (ko)
CN (1) CN108139604B (ko)
AU (1) AU2016338467B2 (ko)
BR (1) BR112018006688B1 (ko)
CA (1) CA3001645C (ko)
WO (1) WO2017064041A1 (ko)
ZA (1) ZA201803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3122B1 (de) 2017-06-08 2020-03-0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zum bestimmen eines nah-durchblickpunktes
CN108828771A (zh) * 2018-06-12 2018-11-16 北京七鑫易维信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参数调整方法、装置、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08646434A (zh) * 2018-06-29 2018-10-12 重庆视力派眼镜连锁有限公司 一种用于矫正老花眼的镜片
BR112021008327A2 (pt) * 2018-12-21 2021-08-03 Essilor International lente oftálmica progressiva
EP3974892A1 (en) * 2020-09-25 2022-03-30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determining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a spectacle lens
CN112882254B (zh) * 2021-02-10 2022-04-01 苏州科技大学 一种适用于近视转老花人群的渐进多焦点眼用镜片及其设计方法
CN113253482B (zh) * 2021-06-01 2022-05-13 苏州科技大学 一种渐进多焦点眼镜片两段式子午线设计方法
CN115268108A (zh) * 2021-09-23 2022-11-01 菲特兰有限公司 一种渐变多焦眼科镜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986A1 (fr) * 2005-02-08 2006-08-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cede de definition d'une face supplementaire pour lunettes
EP1791014A1 (fr) * 2005-11-29 2007-05-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Lentille ophtalmique
EP2211159A1 (en) * 2007-10-31 2010-07-28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evaluating method, spectacle lens designing method using same,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system, and spectacle lens
WO2011042504A1 (en) * 2009-10-07 2011-04-1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n optical function determining method
EP2506063A1 (en) * 2011-03-31 2012-10-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Progressive ophthalmic lens
EP2752703A1 (en) * 2013-01-07 2014-07-0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Ophthalmic lens having at least a stable zone
WO2015074777A1 (en) * 2013-11-25 2015-05-2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for providing to a wearer a customized progressive spectacle ophthalmic le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3805B1 (fr) 1996-09-20 1998-11-13 Essilor Int Jeu de lentilles ophtalmiques multifocales progressives
WO1999064919A1 (fr) * 1998-06-12 1999-12-16 Seiko Epson Corporation Verre a puissance de refraction progressive
JP3882764B2 (ja) * 2003-02-19 2007-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
CN1831582A (zh) * 2005-03-09 2006-09-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渐进屈光力镜片组的设计方法
CN102043258B (zh) * 2010-11-19 2012-09-26 苏州科技学院 一种渐进多焦点眼用镜片像散的优化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986A1 (fr) * 2005-02-08 2006-08-1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cede de definition d'une face supplementaire pour lunettes
EP1791014A1 (fr) * 2005-11-29 2007-05-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Lentille ophtalmique
EP2211159A1 (en) * 2007-10-31 2010-07-28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evaluating method, spectacle lens designing method using same,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system, and spectacle lens
WO2011042504A1 (en) * 2009-10-07 2011-04-1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n optical function determining method
EP2506063A1 (en) * 2011-03-31 2012-10-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Progressive ophthalmic lens
EP2752703A1 (en) * 2013-01-07 2014-07-0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Ophthalmic lens having at least a stable zone
WO2015074777A1 (en) * 2013-11-25 2015-05-2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 method for providing to a wearer a customized progressive spectacle ophthalmic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6688A2 (pt) 2018-10-09
JP2018538562A (ja) 2018-12-27
EP3362842B1 (en) 2024-01-17
US10690938B2 (en) 2020-06-23
US20180307059A1 (en) 2018-10-25
WO2017064041A1 (en) 2017-04-20
CA3001645A1 (en) 2017-04-20
AU2016338467A1 (en) 2018-04-26
AU2016338467B2 (en) 2020-10-08
CN108139604A (zh) 2018-06-08
CA3001645C (en) 2024-01-09
ZA201803164B (en) 2019-07-31
BR112018006688B1 (pt) 2022-11-08
KR102580793B1 (ko) 2023-09-20
CN108139604B (zh) 2019-12-06
EP3362842A1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793B1 (ko) 근시 또는 정시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US8579436B2 (en) Single vision ophthalmic lens
US10712590B2 (en) Op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presbyopic wearer; method for providing such a lens
US10451894B2 (en) Method for comparing a first ophthalmic lens with a second ophthalmic lens
KR102572585B1 (ko) 근시 및 노안 착용자를 위한 안과용 누진 가법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JP6920288B2 (ja) 遠視で老眼の装用者のための累進屈折力レンズと、かかるレンズを提供する方法
AU2014280078B2 (en) Method for optimizing a measured contour of a spectacle frame
JP7055097B2 (ja) 正視で老眼の装用者のための累進屈折力レンズと、かかるレンズを提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