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89A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89A
KR20180063589A KR1020160163511A KR20160163511A KR20180063589A KR 20180063589 A KR20180063589 A KR 20180063589A KR 1020160163511 A KR1020160163511 A KR 1020160163511A KR 20160163511 A KR20160163511 A KR 20160163511A KR 20180063589 A KR20180063589 A KR 20180063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refrigeration cycle
fan
condenser fa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946B1 (ko
Inventor
차경훈
정명진
채수남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9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70Adjusting of angle of incidence or attack of rota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23/00283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allowing rotation in re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용 압축기와 제 1 응축기를 포함하며, 냉동실의 냉각을 위하여 작동하는 냉동 사이클; 냉장실용 압축기와 제 2 응축기를 포함하고, 냉장실의 냉각을 위하여 작동하는 냉장 사이클;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와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응축기 팬을 구비하는 송풍 장치; 및 상기 각 압축기 및 송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한 공기 유동 방향과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해서 공기 유동 방향이 다르도록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로서, 저장실이 항상 일정한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저장실이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한 범위와 하한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저장실 온도가 상한 온도로 상승하면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저장실을 냉각하고, 저장실 온도가 하한 온도에 도달하면 냉동 사이클을 정지하는 방법으로 냉장고를 제어하고 있다.
근래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에 증발기와 팽창장치가 각각 설치된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 냉장고는 각 팽창장치를 제어하여 압축기에서 각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고내 온도를 냉장 온도 및 냉동 온도로 각각 유지시킨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7653호(공개일 2016.08.18.)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기계실에는, 제1압축기, 제2압축기, 제1응축기, 제2응축기 및 냉각팬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응축기와 제2응축기의 각 냉매관은 냉각핀을 공유하도록 배열된다. 즉, 핀 공유 응축기가 기계실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압축기, 핀 공유 응축기, 냉각팬, 제2압축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선행문헌과 같이 기계실에 두 개의 압축기가 존재하는 경우, 기계실 공간이 부족하므로, 하나의 압축기를 사용할 때의 응축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1응축기 및 제2응축기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핀 공유 응축기 전체로는 하나의 압축기를 사용할 때의 응축기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응축기 및 제2응축기 각각의 크기는 하나의 압축기를 사용할 때의 응축기의 크기 보다 작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켜 냉각 효율을 상승시키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작동 중인 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실 냉각 시 응축기의 응축 온도를 하강시켜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 냉각 시의 응축기 팬의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송풍 장치에 의해서 기계실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미작동 중인 압축기를 공기가 지난 후에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송풍 장치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 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을 통과한 공기가 작동 중인 압축기틀 통과할 수 있다.
응축기를 지난 공기가 작동 중인 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장실용 압축기와 냉동실용 압축기 사이에 응축기와 응축기 팬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팬 모터로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팬 모터를 사용하여 응축기 팬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팬 모터를 이용하여 응축기 팬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를 지난 후에 상기 응축기 팬을 지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경우, 팬 모터를 이용하여 응축기 팬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를 지난 후에 상기 응축기 팬을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각도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응축기 팬의 블레이드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기계실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냉장 사이클 작동 시 응축기의 응축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고, 냉동 사이클 작동 시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 보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빠르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하강에 따라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하강에 따라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사이클을 작동 시 미작동중인 압축기는 공기가 지난 후에 응축기를 통과하므로, 공기의 온도가 냉장고 외부의 온도가 유사하게 되므로, 응축기의 방열 성능을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용 압축기와 냉장실용 압축기 사이에 응축기 및 응축기 팬이 배치됨에 따라서, 작동 중인 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작동 중인 압축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 장치에 의해서 기계실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서, 응축기에 먼지가 끼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비하여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의 속도가 빠르므로,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의 응축 온도가 줄어들게 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 및 냉장 사이클 각각의 작동 시에 냉동실 온도 및 냉장실 온도에 따라서 응축기의 팬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되어 응축기 팬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응축기 팬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기계실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응축기 팬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기계실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 팬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은 구획벽(11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는, 냉동실(111) 및 냉장실(112)을 각각 냉각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사이클은, 상기 냉동실(111)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과, 상기 냉장실(112)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은, 냉동실용 압축기(11)(또는 제 1 압축기)와, 응축기(13)와, 제 1 팽창부재(14)와, 제 1 증발기(16)와, 냉동실 팬(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팬(18)은 상기 냉동실(111)의 냉기 순환을 위하여 제 1 증발기(16) 측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냉장 사이클은, 냉장실용 압축기(12)(또는 제 2 압축기)와, 응축기(13)와, 제 2 팽창부재(15)와, 제 2 증발기(17)와, 냉장실 팬(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팬(19)은 상기 냉장실(112)의 냉기 순환을 위하여 상기 제 2 증발기(17) 측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축기(13)는 하나의 열교환기를 이루되,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에서 배출된 냉매가 응축기(13) 중 제 1 부분(131)을 유동할 수 있고,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에서 배출된 냉매가 응축기(13) 중 제 2 부분(132)을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3)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분(131)을 위한 응축기 핀과 상기 제 2 부분(132)을 위한 응축기 핀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계실 내부에 별도의 2개의 응축기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응축기 설치 공간을 줄이면서도 응축기(13)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부분(131)을 "제 1 응축기(131)"라 하고, 상기 제 2 부분(132)을 "제 2 응축기(132)"라 이름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응축 용량은 상기 제 2 응축기(132)의 응축 용량 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13)에서 상기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2부분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증발기(16)의 증발 용량은 제 2 증발기(17)의 증발 용량과 동일하거나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후측에는 기계실(1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114)에는 냉동실용 압축기(11), 냉장실용 압축기(12), 응축기(13) 및 송풍 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장치(20)는, 응축기 팬(21)과, 상기 응축기 팬(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 모터(22)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회전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냉장 사이클 및 냉동 사이클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팬 모터(22)의 회전 방향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21)은 상기 제 1 응축기(131) 및 제 2 응축기(132)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기계실(114) 내에서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1)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2) 사이에 응축기(13)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 사이에 상기 응축기 팬(21)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응축기(131)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1)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응축기(132)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응축기(132)가 상기 제 1 응축기(132)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동실 온도센서(31)(또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장실 온도센서(32)(또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 각각의 목표 온도(또는 희망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3)와, 입력된 목표 온도와 온도센서(31, 33)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 사이클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1 냉동실 기준 온도라 하고,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2 냉동실 기준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동실 설정 온도 범위라 이름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는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온도와 제2 냉동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제1 냉장실 기준 온도라 하고,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온도를 제2 냉장실 기준 온도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사이의 범위를 냉장실 설정 온도 범위라 이름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는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온도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실(112)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키고,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제1 냉장실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동 사이클과 상기 냉장 사이클은 교번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면 상기 냉동 사이클은 정지하고, 상기 냉장 사이클이 정지하면 상기 냉동 사이클은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응축기 팬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기계실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응축기 팬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기계실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온된다(S1). 냉장고 전원이 온되면,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이와 반대로 냉장고 전원이 온되면 냉동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동 사이클과 상기 냉장 사이클은 교번하여 작동하므로,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일 예로 냉장실 온도센서(32)에서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제2 냉장실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이다.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온시키고, 냉장실 팬(19)을 온시킨다(S3).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온시킨다(S3). 이때,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와 상기 냉동실 팬(18)은 정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회전시키되,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팬 모터(22)를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 측에서 공기가 상기 응축기 팬(21) 측으로 유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는 기계실(114)의 제1통로(114a)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1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를 지난 후, 상기 응축기 팬(21)를 지난다.
상기 응축기 팬(21)을 지난 공기는 상기 제 2 응축기(132) 및 제 1 응축기(1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 후, 기계실(114)의 제2통로(114b)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14)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를 지나더라도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냉장고(1) 외기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기 응축기(13)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4) 내의 공기는 상기 제 2 응축기(132)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유동한다.
상기 제 1 응축기(131) 내에는 이전의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매가 잔류할 수 있다. 만약, 공기가 제 1 응축기(131)를 먼저 통과하는 경우 공기가 상기 제 1 응축기(131)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온도가 상승된 후에 제 2 응축기(132)를 통과하므로, 제 2 응축기(132)의 방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기계실(114) 내의 공기가 상기 제 2 응축기(132)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응축기(132)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잔류 냉매를 냉각하므로, 상기 제 1 응축기(131) 내의 잔류 냉매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응축기(132)의 방열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서 상기 제 2 응축기(132)의 응축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의 입력 일이 줄어들어 냉장실용 압축기(12)의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작동 중인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지나므로,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냉장실 온도센서(32)에서 냉장실(112)의 온도가 주기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냉장실 온도가 상기 제1 냉장실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이다.
단계 S4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킨다(S5).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 및 상기 냉장실 팬(19)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 및 상기 냉동실 팬(18)을 온시킨다(S6).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S6).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을 가변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팬 모터(22)를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 측에서 공기가 상기 응축기 팬(21) 측으로 유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는 기계실(114)의 제2통로(114b)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1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지난다.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지난 공기는 상기 제 1 응축기(131) 및 제 2 응축기(1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지나고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 후, 기계실(114)의 제1통로(114a)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14)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지나더라도 공기의 온도의 상승은 크지 않다. (물론, 냉장실용 압축기(12)가 작동하다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공기의 온도는 다소 상승할 수 있으나, 냉장 사이클이 작동 중에 냉장실용 압축기(12)가 냉각되므로, 공기의 온도 상승 폭은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냉장고(1) 외기의 온도와 유사하므로, 상기 응축기(13)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4) 내의 공기는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 2 응축기(132)를 유동한다.
상기 제 2 응축기(132) 내에는 이전의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매가 잔류할 수 있다. 만약, 공기가 제 2 응축기(132)를 먼저 통과하는 경우 공기가 일차적으로 상기 제 2 응축기(132)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된 후에 제 1 응축기(131)를 통과하므로, 제 1 응축기(131)의 방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기계실(114) 내의 공기가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먼저 유동한 후에 상기 제 2 응축기(132)를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상기 제 2 응축기(131)의 잔류 냉매를 냉각하므로, 상기 제 2 응축기(132)의 잔류 냉매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방열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서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응축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의 입력 일이 줄어들어 냉동실용 압축기(11)의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작동 중인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를 지나므로,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이 가변됨에 따라서 기계실(114)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가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는 공기가 제 2 응축기(132)를 먼저 통과한 후에 제 1 응축기(131)를 통과한다. 기계실(114)로 유입되는 공기는 냉장고 주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제 2 응축기(1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 응축기(132)에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만약, 제 2 응축기(132)에 쌓이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응축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냉각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서 기계실(114)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가변되면 상기 응축기(13)의 특정 부분에 쌓이는 이물질의 양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즉, 응축기 팬(2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공기가 제 2 응축기(132)를 먼저 통과하므로, 상기 제 2 응축기(132)에 이물질이 쌓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공기가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먼저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응축기(131)에 이물질이 쌓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공기는 상기 제 1 응축기(13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 2 응축기(132)를 통과하므로, 공기가 제 2 응축기(1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일부는 상기 제 2 응축기(132)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응축기 팬(21)이 다시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이물질의 일부가 상기 제 1 응축기(13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이 가변되는 경우 응축기(13) 전체로 볼때, 어느 한 부분에만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응축기(13)에 쌓이는 먼지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13)의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냉장실 온도가 상기 제2 냉장실 기준온도에 도달한 경우일 수 있다.
단계 S7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킨다(S7).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냉장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9), 단계 S3로 복귀하여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응축기 팬이 온된 상태에서 응축기 팬의 회전속도가 저장실의 온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전원이 온된다(S11). 냉장고 전원이 온되면,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2). 이와 반대로 냉장고 전원이 온되면 냉동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1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30)는,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온시키고, 냉장실 팬(19)을 온시킨다(S3).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온시킨다(S13). 이때,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와 상기 냉동실 팬(18)은 정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회전시키되,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팬 모터(22)를 제어한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냉장실 온도센서(32)에서 냉장실(112)의 온도가 주기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1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15).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 사이클의 작동 시작 시점에서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을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2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16). 이때,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는 상기 제2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RPM)보다 빠르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이상일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미만일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속도 가변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와 감지된 냉장실 온도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설정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기준온도는 입력부(33)에 의해서 입력된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공기 유동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
단계 S17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킨다(S18).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 및 상기 냉장실 팬(19)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 및 상기 냉동실 팬(18)을 온시킨다(S19).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S19).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응축기 팬(21)의 회전 방향을 가변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팬 모터(2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속도로 상기 응축기 팬(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냉동실 온도센서(31)에서 냉동실(111)의 온도가 주기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단계 S20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1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21).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 사이클의 작동 시작 시점에서는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냉동실의 목표 온도 보다 높을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단계 S20에서 판단 결과,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2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22). 이때,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는 상기 제2냉동실 기준 회전속도(RPM)보다 빠르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이상일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미만일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속도 가변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와 감지된 냉동실 온도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설정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기준온도는 입력부(33)에 의해서 입력된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2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공기 유동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
단계 S23에서 판단 결과, 상기 냉동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킨다(S24).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냉장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25), 단계 S13으로 복귀하여 상기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냉동실의 목표 온도에 비하여 냉장실의 목표 온도가 높으므로,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동실용 증발기(16)의 증발 온도 보다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냉장실용 증발기(17)의 증발 온도는 높다. 이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17)의 증발 온도가 높으면, 상기 응축기(13)의 응축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의 응축 열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 속도 보다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 속도가 빠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 및 제2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 각각은 상기 제1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 보다 빠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설정됨에 따라서, 상기 응축기(13)의 응축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의 부하가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의 부하 보다 크므로, 본 발명에서는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응축 열량 증가를 위하여 상기 응축기 팬(21)이 상기 제1 냉장실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상기 냉장실(112)의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를 줄여 상기 응축기 팬(21)이 상기 제2 냉장실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6)의 증발 온도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17)의 증발 온도에 비하여 낮고, 상기 제 1 응축기(131)의 용량이 제 2 응축기(132)의 용량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 속도를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응축기(13)의 응축 용량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며 이는 응축기 팬(21)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가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 보다 느리도록 상기 응축기 팬(21)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응축기 팬(21)의 작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의 부하가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의 부하 보다 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 팬(21)이 상기 제1 냉동실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상기 냉동실(111)의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 팬(21)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21)의 회전속도를 줄여 상기 응축기 팬(21)이 상기 제2 냉동실 회전속도(RPM)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와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각각의 경우에 냉동실 온도 및 냉장실 온도에 따라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 응축기 팬이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로 회전되고(회전속도 일정),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 응축기 팬이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로 회전(회전속도 일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냉장실 기준 회전속도는 상기 냉동실 기준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 팬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 들과 동일하고, 다만, 냉각 사이클과 무관하게 응축기 팬의 회전 방향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송풍 장치는, 응축기 팬(23)과, 상기 응축기 팬(23)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 모터(24)는 일 방향 회전되는 모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팬 모터(24)가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라더라도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팬(23)은, 프레임(230)과, 상기 프레임(230)에 연결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32)와, 복수의 블레이드(232) 각각을 상기 프레임(23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4)는 상기 프레임(2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34)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부재(234)에 연결된 블레이드(232)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30)에 대해서 상기 블레이드(232)의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응축기 팬(23)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230)에 대한 상기 각 블레이드(232)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각도변경수단(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변경수단(236)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각 블레이드(232)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복수의 링크나 기어 들을 이용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각 블레이드(23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동력은 상기 연결부재(234)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234)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230)에 대한 블레이드(232)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프레임(230)과 상기 블레이드(232)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응축기 팬(23)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더라도 공기의 유동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먼저, 도 9을 참조하면,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각도변경수단(236)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230)에 대해서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1자세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232)는 흡입면(232a)과 압력면(232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1자세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232)의 흡입면(232a)이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를 바라보게 되고, 상기 압력면(232b)이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또는 응축기(13))를 바라보게 된다.
도 9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1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응축기 팬(23)이 회전되면,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는 기계실(114)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응축기 팬(23)를 지난다.
상기 응축기 팬(23)을 지난 공기는 상기 제 2 응축기(132) 및 제 1 응축기(1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기계실(114)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각도변경수단(236)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230)에 대해서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2자세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2자세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232)의 흡입면(232a)이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또는 응축기(13))를 바라보게 되고, 압력면(232b)이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를 바라보게 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232)가 제2자세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응축기 팬(23)이 회전되면,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는 기계실(114)로 유입된다. 상기 기계실(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다.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12)를 지난 공기는 상기 제 1 응축기(131) 및 제 2 응축기(1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 팬(23)을 지나고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11)의 외면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기계실(114)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각 사이클의 종류에 따라서 응축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가변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블레이드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제어부가 송풍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실시 예의 내용과 동일하게 응축기 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냉동실용 압축기 12: 냉장실용 압축기
13: 응축기
16: 냉동실용 증발기 17: 냉장실용 증발기
18: 냉동실 팬 19: 냉장실 팬
20: 송풍 장치
21, 23: 응축기 팬 22, 24: 팬 모터
30: 제어부

Claims (12)

  1. 냉동실용 압축기와 제 1 응축기를 포함하며, 냉동실의 냉각을 위하여 작동하는 냉동 사이클;
    냉장실용 압축기와 제 2 응축기를 포함하고, 냉장실의 냉각을 위하여 작동하는 냉장 사이클;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와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응축기 팬을 구비하는 송풍 장치; 및
    상기 각 압축기 및 송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한 공기 유동 방향과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해서 공기 유동 방향이 다르도록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팬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와 냉동실용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경우, 공기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를 지난 후에 상기 응축기 팬을 유동하도록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경우, 공기가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를 지난 후에 상기 응축기 팬을 유동하도록 상기 송풍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축기는 상기 냉장실용 압축기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응축기는 상기 제 1 응축기와 상기 냉동실용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응축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방향 회전 가능한 팬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팬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이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팬 모터를 제어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팬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응축기 팬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팬 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각도변경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팬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응축기 팬의 블레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제1자세가 되도록 상기 각도변경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 상기 응축기 팬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팬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응축기 팬의 블레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제2자세가 되도록 상기 각도변경수단을 제어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 보다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할 때의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빠르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하강에 따라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중에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가 상기 냉동실의 온도에 하강에 따라 줄어들도록 상기 응축기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축기와 상기 제 2 응축기는 하나의 열교환기를 이루되, 두 개의 부분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냉동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는 상기 제 1 응축기로 유동하고, 상기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는 상기 제 2 응축기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응축기를 위한 응축기 핀과 상기 제 2 응축기를 위한 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장실 냉각을 위하여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키고 응축기 팬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키고, 냉동실 냉각을 위하여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키며, 상기 응축기 팬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냉장실 냉각을 위하여 냉장 사이클을 작동시키고, 응축기 팬의 블레이드가 제1자세가 되도록 블레이드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상기 응축기 팬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장 사이클의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장 사이클을 정지시키고, 냉동실 냉각을 위하여 냉동 사이클을 작동시키되, 상기 응축기 팬의 블레이드가 제2자세가 되도록 블레이드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상기 응축기 팬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60163511A 2016-12-02 2016-12-02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7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11A KR102177946B1 (ko) 2016-12-02 2016-12-02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11A KR102177946B1 (ko) 2016-12-02 2016-12-02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89A true KR20180063589A (ko) 2018-06-12
KR102177946B1 KR102177946B1 (ko) 2020-11-12

Family

ID=6262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511A KR102177946B1 (ko) 2016-12-02 2016-12-02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9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07B1 (ko) * 2019-07-22 2019-09-02 주식회사 엘케이에스 양방향 차압 쇼크 냉각 시스템
CN112055801A (zh) * 2018-12-07 2020-12-0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7450695A (zh) * 2023-12-22 2024-0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器散热除尘装置、冰箱及散热、除尘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747A (ja) * 1995-01-13 1996-07-2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352536B1 (ko) * 1999-11-30 2002-09-1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냉장고
KR20040089620A (ko) * 2002-02-26 2004-10-21 타일러 레프리저레이션 코포레이션 가변 에어 커튼 속도 제어
KR20110052834A (ko) * 2009-11-13 2011-05-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KR20130050700A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공비 혼합냉매를 이용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653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747A (ja) * 1995-01-13 1996-07-2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352536B1 (ko) * 1999-11-30 2002-09-1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냉장고
KR20040089620A (ko) * 2002-02-26 2004-10-21 타일러 레프리저레이션 코포레이션 가변 에어 커튼 속도 제어
KR20110052834A (ko) * 2009-11-13 2011-05-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냉각장치
KR20130050700A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공비 혼합냉매를 이용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653A (ko) * 2015-02-09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5801A (zh) * 2018-12-07 2020-12-0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102016607B1 (ko) * 2019-07-22 2019-09-02 주식회사 엘케이에스 양방향 차압 쇼크 냉각 시스템
CN117450695A (zh) * 2023-12-22 2024-0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器散热除尘装置、冰箱及散热、除尘控制方法
CN117450695B (zh) * 2023-12-22 2024-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器散热除尘装置、冰箱及散热、除尘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946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5364B (zh) 冰箱
JP5472391B2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US20190178559A1 (en) Refrigerator
JP5826317B2 (ja) 冷蔵庫
CN108885047B (zh) 冰箱的控制方法
KR10219895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U2014341390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30010977A (ko) 냉장고
JP5832705B1 (ja) 冷蔵庫
KR102177946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2255631A (ja) 冷凍装置
EP2132504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3037750A1 (en) Refrigerator
JP6803217B2 (ja) 冷蔵庫
KR10215181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201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897215B1 (ja) 冷蔵庫
JP5505385B2 (ja) 冷凍装置
JP5931329B2 (ja) 冷蔵庫
JP5783790B2 (ja) 冷凍装置
KR102011828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7082756B2 (ja) 空気調和装置
JP5579290B1 (ja) 冷蔵庫
KR2021006936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7037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