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952A -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952A
KR20180062952A KR1020170160419A KR20170160419A KR20180062952A KR 20180062952 A KR20180062952 A KR 20180062952A KR 1020170160419 A KR1020170160419 A KR 1020170160419A KR 20170160419 A KR20170160419 A KR 20170160419A KR 20180062952 A KR20180062952 A KR 2018006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ng piece
jig
piec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101B1 (ko
Inventor
히데유키 다케다
히로키 이와타
히로토 야스에
야스노리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과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 가능한 작업성이 좋은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제1 접속부(21)를 갖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접속부(31)를 갖는 제2 유체 기기(3)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5)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있어서,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일단부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를 갖는 것,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6)은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1 접속부(21)부와 제2 접속부(31)가 접한다.

Description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COUPLING MEMBER, FLUID-DEVICE CONNECTING JIG AND FLUID-DEVIC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제조 공정이나 액정 제조 공정 등에 사용하는 약액의 제어에는, 유량 제어 밸브나 개폐 밸브 등의 밸브류나, 필터, 압력 센서나 유량 센서 등의 센서류, 조인트 블록이나 유로 블록 등의 배관 블록류 등, 유체 기기가 사용된다. 최근 들어, 장치의 콤팩트화를 위해, 이들 유체 기기의 접속부끼리를,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직접 연결하여, 유닛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도 33은,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연결 부재(106)의 통상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연결 부재(106)의 체결력 증대 상태의 단면도이다.
연결 부재(106)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의 양단부를 걸림 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107) 및 제2 연결편(108)의 일단부(제1 걸림 결합부)는 지지축(11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1 연결편(107) 및 제2 연결편(108)의 타단부(제2 걸림 결합부)는 제2 연결편(108)의 제1 연장 설치부(108c)에 돌출 설치한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제1 연결편(107)의 제2 연장 설치부(107c)에 형성한 삽입 관통 구멍(107e)에 탄성 변형시키면서 삽입 관통한 후,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복원시켜서 제2 연장 설치부(107c)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 접속 상태가 연결 부재(106)로 접속부끼리를 접속하는 통상 사용 상태이다.
접속부와 환상 시일 부재와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은, 수지를 재질로 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접속부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면, 접속부가 크리프 변형되어, 시일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시일력이 저하되면, 누액이 발생한다. 이러한 긴급 시에, 체결력 증대가 행해진다.
연결 부재(106)에는,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을 서로 근접시켜서 접속부끼리를 가까이 끌어당겨서, 시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체결력 증대 부재(110)가 설치되게 되어 있다.
체결력 증대 부재(110)를 제1 연결편(107)의 삽입 관통 구멍(107d)에 삽입 관통하여 제2 연결편(108)의 볼트 구멍(108d)에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연결편(107, 108)을 가까이 끌어당겨서, 접속부끼리를 근접시킨다. 따라서, 연결 부재(106)는 체결력 증대 부재(110)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시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제513457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7597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연결 부재(106)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연결 부재(106)에서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을 일체로 해 두기 위한 지지축(111)과, 연결 부재(106)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 제1 연장 설치부(108c)와 제2 연장 설치부(107c)를 설치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106) 자체가 커진다.
또는, 안전 기구로서의 체결력 증대용의 제2 걸림 결합부를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했기 때문에, 연결 부재(106) 자체가 커진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106)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또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300)에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경우, 특히 중앙의 유체 기기의 작업 스페이스는 설치면(300)과는 반대측에 한정되어, 종래의 연결 부재(106)에서는, 양측의 유체 기기에 연결 부재(106)가 설치되어 있으면, 연결 부재(106)의 제1 연결편(107)과 제2 연결편(108)을 근접시켜서 폐쇄할 수 없다. 가령 연결 부재(106)를 설치했다고 해도, 삽입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부터 손을 넣어서 통상 사용 상태로 하기 때문에, 걸림 고정 갈고리(108e)를 걸림 결합시킬 수 없고, 또한, 체결력 증대 상태로 하기 때문에, 안쪽까지 손이 들어가지 않는 좁은 스페이스에서는 작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 가능한 작업성이 좋은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1)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와, 환상 시일 부재를 통하여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일단부에 회동 연결부를 갖는 것,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개구부의 크기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으로부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저항 발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제2 연결편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맞닿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7)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2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를 구비하고, 제2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는, 제1 걸림 고정부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연결 부재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9)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있어서,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제1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제1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와, 제2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고 있다.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에 걸림 결합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아, 연결 부재 자체가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관상부끼리나 벽면이 인접하여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개구부의 크기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외경)으로부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할 때에, 제1 연결편은 일정한 길이 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감입하여 임시 고정을 할 수 있으므로, 감입 후, 자중이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기 어려워, 작업성이 좋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편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에 장착할 때에, 박육부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개구부를 확장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개구부가 닫히기 때문에, 적당한 장착력으로, 또한 작업자는 적당한 장착감을 느끼면서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빠지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좋다.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저항 발생부와 제2 연결편의 내주면에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맞닿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편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있음과 동시에, 그곳에서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연결편을 장착 후,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킬 때까지의 동안, 제2 연결편의 위치를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외주에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 걸림 고정부를 집을 수 있고, 또한, 지그를 착탈 걸림 고정부와 걸림 결합시켜서 압박하거나,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를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작용부에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2 연결편을 회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상기 (7) 또는 (8)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제1 연결편의 제1 걸림 고정부의 선단부와, 제2 연결편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의 선단부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와 선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편의 제1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의 제2 접속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와 선단부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9) 또는 (10)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는 등에 의해, 시일력이 저하되어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등에,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는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함으로써,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 간의 접합력을 높여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유체 기기 접속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의 양쪽의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12)의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를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를 삽입하여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부터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상기 (13)의 구성에 의하면,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아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도 1은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의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와 유체 기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유체 기기 접속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분해도이다. (b)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유체 기기, 및 환상 시일 부재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제1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c)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걸림 결합하는 제2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d)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b)는 지그에 의해 연결 부재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유체 기기를 병렬로 설치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의 (a)는 연결 부재를 제거할 때에 지그를 연결 부재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는 지그를 빼서 연결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의 (a)는 연결 부재를 제거할 때에 지그를 연결 부재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b)는 지그를 빼서 연결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12의 (d)의 DD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K부 확대도이다.
도 25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6은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연결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연결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0은 연결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연결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제2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종래의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연결편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2 연결편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I부 확대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RR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J부 확대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TT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Q부 확대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UU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는 연결 부재(5)의 여러 각도에 있어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의 연결 부재(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연결 부재(5)와 제1 유체 기기(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병렬로 설치된 유체 기기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 중, (a)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b)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5)를 삽입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 및 환상 시일 부재(4)의 접속 상태에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c)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4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5)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통상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제2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체결력 증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과 대응하고 있고, 도 15의 (a) 내지 (c)는 도 13의 (a) 내지 (c)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E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와 대응하고 있고, 도 14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8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제1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c)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걸림 결합하는 제2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d)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9 중, (a)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하는 도중의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b)는 지그(8)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상태를 일부 단면도로 도시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9에서는, 연결 부재(5)와 지그(8)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제1 유체 기기(2), 제2 유체 기기(3), 환상 시일 부재(4)의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8, 도 19에서는, 지그(8)의 작용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 7a)의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도 20에서는, 유체 기기를 병렬로 설치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6 내지 도 31의 연결 부재(5)는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의 6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은 연결 부재(5)의 정면도이며, 도 27은 배면도이며, 도 28은 평면도이며, 도 29는 저면도이며, 도 30은 좌측면도이며, 도 31은 우측면도이다. 도 32의 연결 부재(5)는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단, 도 26 내지 도 32의 연결 부재(5)는 전체적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연결 부재(5)와 상이하다.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구성)
처음에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12의 (d)의 DD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K부 확대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기기 접속 구조(1)는 제1 유체 기기(2)의 제1 접속부(21)와, 제2 유체 기기(3)의 제2 접속부(31)를 환상 시일 부재(4)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주에 연결 부재(5)를 설치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에는 유로(29)가 형성되고, 제2 접속부(31)의 관상부(38)에는 유로(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상부(28, 38)는, 후술하는 플랜지부(25, 35)에 각각 인접한 플랜지 인접부를 포함한다.
환상 시일 부재(4)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3)와, 본체부(43)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와, 돌출부(44)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파지부(45)를 구비한다. 본체부(43)에는, 환상 시일 홈(46, 47)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시일 부재(4)는 PFA, PTFE 등의 비교적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또한, 도 23, 24에 있어서의 환상 시일 부재(4)의 단면에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5)와는 다른 패턴의 해칭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1 접속부(21)의 환상 시일 부재(4)를 장착하는 면에는, 단부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에는, 제1 접속부(2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고정 볼록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환상 시일 부재(4)의 본체부(43)의 환상 시일 홈(46)에 장착되는 압입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1)에는, 유로(29)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단부면(22)과 반대측의 외주면에,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23)이 플랜지 인접부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22)과 장착 홈(23) 사이에는 플랜지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5)에는 접속측 테이퍼면(2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31)의 환상 시일 부재(4)를 장착하는 면에는 단부면(32)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 고정 볼록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본체부(43)의 환상 시일 홈(47)에 장착되는 압입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39) 방향의 외주면에는, 연결 부재(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33)이 플랜지 인접부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면(32)과 장착 홈(33) 사이에는 플랜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5)에는, 접속측 테이퍼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의 구성)
연결 부재(5)의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를 접속하는 접속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결 부재(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갖는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강도와 내부식성이 있는 불소 수지를 재질로 한다(또한, 도 6 등에 있어서의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단면에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통상 수지에서 사용되는 해칭(도 23)과는 다른 패턴의 사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되도록 내주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사이에 장착한 환상 시일 부재(4)의 유로(29, 39)의 축심 방향으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를 멀리 떨어지게 하도록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연결 부재(5)는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의 제1 돌기부(60)와 제2 연결편(7)의 제1 돌기부(70)를 장착 홈(23)에 배치하고, 제1 연결편(6)의 제2 돌기부(61)와 제2 연결편(7)의 제2 돌기부(71)를 장착 홈(33)에 배치한다.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에는, 제1 접속부(21)의 접속측 테이퍼면(26)과 제2 접속부(31)의 접속측 테이퍼면(36)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구조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제1 연결편(6)의 접속 구조를 설명함으로써, 제2 연결편(7)의 접속 구조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연결 부재(5)의 보다 상세한 외관적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한 쌍의 것에 대하여 A, B의 부호를 붙이고 있지만, 설명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적절히 A, B의 부호를 생략하고 있다.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룬다. 제1 연결편(6)은 연결 부재(5)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한 위치,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원형의 단면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한 위치로부터 제2 연결편(7)과 걸림 결합한다. 제2 연결편(7)은 제1 연결편(6)의 개구부(6a)를 덮는 형상을 이룬다.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축방향의 면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부(6b, 7a)가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는 단부(65)가 형성되고, 단부(65)의 축방향 양단에는 제1 힌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는 제2 힌지부(73)가 형성되고, 제1 힌지부(63)와 회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제1 힌지부(63)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외주에 표시 볼록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힌지부(73)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외주에 표시 볼록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볼록부(63a)와 표시 볼록부(73a)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직선 상에 있는 것을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함으로써 정상적인 걸림 결합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는 본원의 「회동 연결부」의 일례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에는, 연결 부재(5)의 축방향 양단에, 한 쌍의 제1 걸림 고정부(64(64A, 64B))가 제2 연결편(7)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고정부(64A, 64B)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걸림 고정부(64)로서 기재한다.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선단부(64a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중앙에는 일부 절결부(69a)가 있고, 제1 연결편(6)의 외주연에 얇게 형성된 박육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의 외주면에는, 박육부(69)에 대응하는 위치에 T자 형상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부(68(68A, 68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측의 외주면에는, 볼록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6)에는,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이며, 축방향 중앙에 오목해진 오목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6a)는 후술하는 제2 연결편(7)의 돌기부(76)와 중첩되는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볼록부(66)에는 착탈 걸림 고정부(68)를 향하여 완만한 곡면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66b)와 착탈 걸림 고정부(68) 사이에는 제2 지그 걸림부(66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지그 걸림부(66c)는 착탈 걸림 고정부(68)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지그 걸림부(66c)의 곡면부(66b)의 반대측에는 지그 걸림 결합면(66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편(6)이며, 축방향 양단에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c)는 볼록부(66)보다 한층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유체 기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오목부(6c)에 의해, 지그(8)를 보다 연결 부재(5)에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인접하는 연결 부재(5)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축방향 양단에,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64A, 64B))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75A, 75B))가 제1 연결편(6)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A, 75B)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로서 기재한다.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선단부(75a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맞닿지 않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7c)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접속부(21)의 플랜지부(25)와 제2 접속부(31)의 플랜지부(35)가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지그(8)가 걸리는 위치까지 원활하게 제2 연결편(7)을 제1 연결편(6)에 근접시킬 수 있다.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한다. 이것이, 제1 걸림 고정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에는, 항상 제1 걸림 고정부(64)측을 향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가 평면에서 걸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5)를 벗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가 각각 물려들어가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와 제1 걸림 고정부(64)의 사이에 간극(X)과,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사이에 간극(Y)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X)과 간극(Y)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는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A, 75B)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연장 설치부(78)가 직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78)의 선단이며 중앙에는, 제1 연결편 방향으로 돌기부(7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78)의 돌기부(76)의 반대측에는 제1 지그 걸림부(77)가 축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7)의 제2 힌지부(73)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동 작용부(74)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회동 작용부(7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개방했을 때, 제1 연결편(6)의 단부(65)에 걸림 결합하고, 제2 연결편(7)을 일정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때, 도 20의 우측으로부터 4개째의 연결 부재(5)(도 2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작용부(74)를 지그(8)로 일방향으로부터 누르는 것에 의해,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편(7)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편(6)의 제1 힌지부(63) 부근이며, 단부(65)의 내주측에는, 제1 저항 돌기(6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편(7)의 제2 힌지부(73) 부근에는, 제1 저항 돌기(6d)와 맞닿는 제2 저항 돌기(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문질러져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자중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임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는 본원의 「저항 발생부」의 일례이다.
(지그의 구성)
이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이하, 간단히 지그라고 기재한다)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지그(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를 도시한다.
지그(8)는 박판상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지그(8)의 길이 방향 일단부(도 10에 있어서 상단)는 연결 부재(5)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는, 지그(8)의 폭 방향 양단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의 사이에는, 돌출부(81a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그(8)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의 사이에, 돌출부(81aa)를 넘는 스토퍼(81bb)가 형성되어 있다.
지그(8)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도 10에 있어서 하단)는 사각 형상의 제1 관통부(82)가 형성되고, 제1 관통부(82)이며, 지그(8)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공통 걸림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부(82)의 옆이며, 지그(8)의 중앙에는 사각 형상의 제2 관통부(83)가 형성되고, 제2 관통부(83)의 지지축 구멍(83a)에 회동 부재(84)와 일체의 지지축(86)이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회동 부재(84)의 일단부는 라운딩을 띄고 형성된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84)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보다도 폭이 작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의 선단으로부터 지지축(86)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L1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의 선단으로부터 지지축(86)의 중심축까지의 길이 L2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관통부(83)에는,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 지그(8)의 폭 방향 양단(도 22 참조)에 한 쌍의 볼록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3b)가 있는 것에 의해, 폭이 작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는 제2 관통부(83)의 내부(한 쌍의 볼록부(83b)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지만, 폭이 큰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볼록부(83b)에 맞닿아, 통과할 수 없어, 회동 부재(84)의 회전이 제어된다. 회동 부재(84)의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측에는, 분기부(84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관통부(82)와 제2 관통부(83)의 사이에는, 제거 가능한 브리지(85)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기기 접속 구조의 작용)
연결 부재(5)를 초기 상태로부터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한 통상 사용 상태에 대해서, 도 12 내지 13, 도 15 내지 16, 및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통상 사용 상태란,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말한다.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는,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먼저,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의 사이에, 환상 시일 부재(4)를 두고,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하여 환상 시일 부재(4)를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유체 기기(3)에 압입하여 임시 접속으로 한 뒤,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가 보이지 않게 되도록 감입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개구부(6a)의 크기 N은,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 및 제2 접속부(31)의 관상부(38)의 직경(외경) P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연결편(6)의 박육부(69)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의 관상부(28)에 장착할 때에, 관상부(28)의 직경 P로부터 개구부(6a)의 크기의 차 M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감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편(7)을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걸림 결합시켜,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을 완료한다. 이때 연결 부재(5)의 오목부(6b, 7a)가 보이지 않게 된다. 오목부(6b, 7a)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가려져서 외관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올바른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쪽까지 손이 들어가지 않는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연결 부재(5)의 설치에 대해서,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는 통상 사용 시의 접속 완료 상태이다. 그 접속 수순을 도 20의 (b) 내지 (h)까지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 접속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제2 연결편(7)을 인접하는 관상부(28) 사이에 차입한다.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편(7)을 미리 관상부(28)측에 회동시키고 있고, 제1 연결편(6)을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장착한다.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을 관상부(28)에 감입하면, 제2 연결편(7)은 설치면(300)에 맞닿고, 또한 관상부(28)측으로 회동한다. 도 2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지그(8)를 제1 힌지부(63)측의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지그(8)의 선단에서 제2 연결편(7)의 회동 작용부(74)를 압출할 때까지 진입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연결편(7)은 제2 힌지부(73)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를 제1 연결편(6)에 근접시켜서,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문질러져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도 20의 (f), (g),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지그(8)를 제1 걸림 고정부(64)측의 설치면(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차입하여, 인상하는 동작 중에, 제2 연결편(7)을 인상하면서 제1 연결편(6)에 걸림 고정한다.
여기서, 도 20의 (f), (g), (h)의 수순에 대해서, 도 18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지그(8)를 연결 부재(5)의 측면에 배치한다. 이때, 연결 부재(5)의 오목부(6c)를 따라서 지그(8)를 진입시키기 위해서, 유체 기기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인접하는 연결 부재(5)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그(8)의 공통 걸림부(82a)를 도 20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에 가까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된 제2 연결편(7)의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어서, 지그(8)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기울인다. 도 18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과 동시에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도 화살표 F 방향으로 누르면,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제1 연결편(6)의 지그 걸림 결합면(66d)을 따라서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근접하여 걸림 결합하고,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지그(8)의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화살표 F 방향의 반대측으로 누르고, 지그(8)를 제1 지그 걸림부(77)로부터 벗기고, 지그(8)를 벗겨서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때, 제1 연결편(6)의 볼록부(66)와 제2 연결편(7)의 연장 설치부(78)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 S가 형성된다. 또한,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76)의 선단 위치가 오목부(66a)의 단부 위치와 일치하고 있고, 이 위치를 눈으로 봄으로써 통상 사용 상태의 접속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지그(8)를 삽입하여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만으로부터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이어서,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부터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한 체결력 증대 상태에 대해서, 도 14, 도 17, 및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액체(약액)와 비정상적인 저온의 액체(순수)를 교대로 반복하여 흘리는 것이 장기에 걸치는 경우에 크리프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나,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사이에 이물을 물고 들어간 채 접속해버린 경우 등, 시일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시일력이 저하되면 누액이 발생한다. 이러한 긴급 시에, 연결 부재(5)의 체결력 증대가 행해진다.
이 체결력 증대에는, 연결 부재(5)를 제1 걸림 고정 위치로 할 때에 사용한 지그(8)의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보다도 지지축(86)과의 거리가 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사용한다.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사용하기 위하여 회동 부재(8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지그(8)의 브리지(85)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회동 부재(8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브리지(85)를 제거하는 수순을 가함으로써, 잘못하여 체결력 증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8)의 공통 걸림부(82a)를 제2 연결편(7)의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지그(8)를 화살표 G 방향으로 기울인다. 이것과 동시에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도 화살표 G 방향으로 누르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는 지그 걸림 결합면(66d)을 따라서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는 볼록부(83b)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된다.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쪽이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보다도 길기 때문에, 지레의 원리에 의해,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근접시키는 방향의 강한 힘이 작용한다. 이때, 제1 연결편(6)의 볼록부(66)와 제2 연결편(7)의 연장 설치부(78) 사이의 간극 S를 매립하면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의 제1 연결편(6)에는,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측 테이퍼면(26, 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하면, 연결측 테이퍼면(60a, 61a)을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이 압박하고,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환상 시일 부재(4)측으로 압박되어, 누액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편(7),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접속 구조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제1 연결편(6)과 동일한 것이 제2 연결편(7)측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여기까지의 수순에 의해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력 증대 상태인 제2 걸림 고정 위치에서의 연결 부재(5)의 위치 결정이 완료된다.
또한, 지그(8)가 연결 부재(5)에 대하여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에게 체결력 증대의 작업 완료를 알린다. 연결 부재(5)에 지그(8)가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므로,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관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고, 유체를 멈추게 하거나, 연결 부재(5)를 교환하거나 하는 등의 대응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연결 부재(5)의 제거에 대하여 도 21과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 중, (a)는 연결 부재(5)를 제거할 때에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b)는 지그(8)를 끌어 들여서 연결 부재(5)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 중, (a)는 연결 부재(5)를 제거할 때에 지그(8)를 연결 부재(5)에 건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b)는 지그(8)를 끌어 들여서 연결 부재(5)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연결 부재(5)의 제거에는, 지그(8)를 사용한다. 도 21의 (a) 및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8)의 돌출부(81aa)를 연결 부재(5)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 사이에 삽입하고, 지그(8)의 한 쌍의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를 연결 부재(5)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서 지그(8)의 스토퍼(81bb)에 맞닿을 때까지 걸림 결합시킨다. 착탈 걸림 고정 수용부(81A, 81B)와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를 확실히 걸림 결합시킨 후, 지그(8)를 화살표 H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5)의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제1 유체 기기(2) 및 제2 유체 기기(3)로부터 연결 부재(5)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수순과는 역의 수순에 의해, 연결 부재(5)를 설치할 수 있다.
연결 부재(5)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36 내지 도 43에 도시하였다. 도 36은, 제1 연결편(6)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제2 연결편(7)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I부 확대도이며, 도 39는, 도 38의 RR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J부 확대도이며, 도 41은, 도 40의 TT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Q부 확대도이며, 도 43은, 도 42의 UU 단면도이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접속부(31)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 및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의 형상을 도 38, 도 39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는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와 동일한 형상이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의 형상을 도 40, 도 41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는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와 동일한 형상이다.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의 형상을 도 42, 도 43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는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에 있고, 내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결 부재(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어서, 각각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맞닿음면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결편(6)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2),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3), 및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4)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및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맞닿음면 간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5대의 볼록 형상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2대, 3대, 4대, 6대, 또는 7대의 볼록 형상 돌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의하면, (1) 제1 접속부(21)를 갖는 제1 유체 기기(2)와, 제2 접속부(31)를 갖는 제2 유체 기기(3)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를 접속하는 환상 시일 부재(4)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5)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1)에 사용하는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구비하고,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 일단부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를 갖는 것,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제1 연결편(6)은 개구부(6a)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제2 연결편(7)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연결 부재(5)의 반경 방향 외측에 걸림 결합부를 설치하고 있지 않아, 연결 부재 자체가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기기를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관상부(28, 38)끼리나 벽면이 인접하여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2) (1)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개구부(6a)의 크기 N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각 관상부(28, 38)의 직경 P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의 각 관상부(28, 38)의 직경 P로부터 개구부(6a)의 크기의 차 M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은 일정한 길이 분 외측으로 넓어지고,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감입하여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감입 후, 자중이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기 어려워, 작업성이 좋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에 절결부(69a)를 가진 박육부(6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은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장착할 때에, 박육부(69)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개구부(6a)를 확장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개구부(6a)가 닫히기 때문에, 적당한 장착력으로, 또한 작업자는 적당한 장착감을 느끼면서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에는 빠지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좋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의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형성되어 있는 것,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는 면에,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지 않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의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연결편(7)의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이 근접할 때에 문질러져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또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와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있음과 동시에, 거기까지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1 연결편(6)을 장착 후,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킬 때까지의 동안, 제2 연결편(7)의 위치를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를 집을 수 있고, 또한, 지그(8)를 착탈 걸림 고정부(68A, 68B)와 걸림 결합시켜서 압박하거나, 인장함으로써, 연결 부재(5)를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2 연결편(7)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회동 작용부(74)에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2 연결편(7)을 회동시켜져, 작업성이 좋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제1 접속부(2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6)의 제2 접속부(3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8) 제2 연결편(7)의 제1 접속부(2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7)의 제2 접속부(31)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또는 (8)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편(6)의 제1 걸림 고정부(64)의 선단부(64aa)와, 제2 연결편(7)의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의 선단부(75aa)가 통상 서로 맞닿아서 걸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의 공차에 의해,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맞물릴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상태는, 시일력에는 영향 없지만, 사용자가 본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제1 연결편(6)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1 연결편(6)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3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제2 연결편(7)의 플랜지부(2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 및 제2 연결편(7)의 플랜지부(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과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9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은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와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이 서로 변형되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선단부(64aa)와 선단부(75aa)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게 된다.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64)를 구비하고, 제2 연결편(7)의 둘레 방향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64)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5)는 제1 걸림 고정부(64)와 제1 걸림 고정 수용부(75)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연결 부재(5)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10)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에 비정상적인 고온의 약액과 비정상적인 저온의 순수가 교대로 장기간 가해지는 등에 의해, 시일력이 저하되어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등에,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는 제2 걸림 고정 위치로 함으로써,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 사이의 접합력을 높여서, 누액 발생 시에 시급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제1 연결편(6)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66c)가 형성되고, 제2 연결편(7)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77)가 형성되어 있는 것,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는 제1 지그 걸림부(77)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82a)와, 제2 지그 걸림부(66c)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a)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8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를 사용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제1 걸림 고정 위치와 제2 걸림 고정 위치의 양쪽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다.
(12)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는 연결 부재(5)를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편(6)과 제2 연결편(7)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일방향만으로부터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 기기가 병렬로 다수 설치된 좁은 스페이스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13)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결 부재(5)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8)에 있어서, 유체 기기 접속 지그(8)가 연결 부재(5)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한눈에 체결력 증대 상태의 유체 기기를 찾아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연히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개량,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제1 연결편(6)의 외주에, T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68)가 형성되어 있는데, 착탈 걸림 고정부(68)의 형상은, 지그(8)가 걸리면 되고, L자 형상, 또는 1개소만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제2 연결편(7)의 내주면이며, 제1 접속부(21) 및 제2 접속부(31)와 맞닿는 면에는 모따기부(7c)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 맞닿지 않는 릴리프 형상이면 되고, 모따기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지그(8)의 재질은, 일반적인 수지 외에, PTF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나, 금속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찰 저항은, 제1 저항 돌기(6d)와 제2 저항 돌기(7b)가 접촉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이외에, 제1 힌지부(63)와 제2 힌지부(73)에 설치된 유로(29, 39)의 축심 방향으로 수직인 면끼리의 접촉에 의해 발생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는, 각각, 제1 연결편(6) 및 제2 연결편(7)에 있어서, 플랜지부(25, 35)의 외주부인 접속측 테이퍼면(26, 36)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플랜지부(25, 35)의 외주부인 외주면(25a, 35a)(도 24에 있어서 환상 시일 부재(4)의 파지부(45)의 양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는, 각각,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번갈아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와 접속측 테이퍼면(26, 36)은, 서로 변형 가능한데,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경도를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볼록 형상 돌기부(91, 92, 93, 94, 95)의 변형량을 접속측 테이퍼면(26, 36)보다 작게 해도 된다.
1: 유체 기기 접속 구조
2: 제1 유체 기기
21: 제1 접속부
3: 제2 유체 기기
31: 제2 접속부
4: 환상 시일 부재
5: 연결 부재
6: 제1 연결편
6a: 개구부
6d: 제1 저항 돌기
64: 제1 걸림 고정부
66a: 오목부
69: 박육부
7: 제2 연결편
7b: 제2 저항 돌기
7c: 모따기부
75: 제1 걸림 고정 수용부
76: 돌기부
8: 유체 기기 접속 지그
82a: 공통 걸림부
84a: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
84b: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
91, 92, 93, 94, 95: 한 쌍의 볼록 형상 돌기부

Claims (14)

  1.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유체 기기와,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유체 기기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환상 시일 부재와, 상기 환상 시일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의 일단부에 회동 연결부를 갖는 것,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외형은 원 형상인 것,
    상기 제1 연결편은, 개구부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전체 둘레의 180도를 초과하여 상기 제2 연결편과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제1 연결편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 관상부의 직경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크기의 차분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변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에 절결부를 가진 박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과 제2 연결편의 상기 회동 연결부에는, 자중 회동 방지를 위한 저항 발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제2 연결편의 내주면이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와 맞닿는 면에,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와 맞닿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의 외주에는 T자 또는 L자 형상의 착탈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편의 외주에는 회동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의 상기 제1 접속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 및 상기 제1 연결편의 상기 제2 접속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에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편의 상기 제1 접속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 및 상기 제2 연결편의 상기 제2 접속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에, 각각, 볼록 형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의 타단부는, 제1 걸림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 걸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 고정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고정부와 상기 제1 걸림 고정 수용부가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는 것,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고정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상기 환상 시일 부재 방향으로 근접한 제2 걸림 고정 위치가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고정 위치는 통상의 사용 상태이며,
    상기 제2 걸림 고정 위치는 체결력 증대 상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2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은, 외주면에 제1 지그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상기 제1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공통 걸림부와, 상기 제2 지그 걸림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와 제2 걸림 고정 위치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는,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에 삽입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편과 상기 제2 연결편을 걸림 결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에 사용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 접속 지그가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된 상태인 것에 의해, 체결력 증대 상태를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기 접속 지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체 기기 접속 구조.
KR1020170160419A 2016-12-01 2017-11-28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KR102481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3961 2016-12-01
JP2016233961 2016-12-01
JP2017211516A JP7078379B2 (ja) 2016-12-01 2017-11-01 連結部材、流体機器接続治具及び流体機器接続構造
JPJP-P-2017-211516 2017-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52A true KR20180062952A (ko) 2018-06-11
KR102481101B1 KR102481101B1 (ko) 2022-12-27

Family

ID=6256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419A KR102481101B1 (ko) 2016-12-01 2017-11-28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78379B2 (ko)
KR (1) KR102481101B1 (ko)
TW (1) TWI7466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0278B2 (ja) * 2018-07-18 2022-10-2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配管連結具の装着確認具
CN110735979B (zh) * 2018-07-18 2022-12-09 淀川惠德株式会社 管道连结件的安装确认件
JP7340925B2 (ja) * 2018-12-11 2023-09-08 Ckd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システム、及び連結部材
JP7431416B2 (ja) * 2021-06-17 2024-02-1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流体機器連結具及び流体機器連結構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573B2 (ko) 1971-08-13 1976-09-27
JPH11166677A (ja) * 1997-12-04 1999-06-22 Hitachi Chem Co Ltd フランジ締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接続部構造
JP4575973B2 (ja) 2007-10-05 2010-11-0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構造及び流体機器ユニット
KR101505972B1 (ko) * 2012-06-14 2015-03-25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 클램프
US20160084420A1 (en) * 2013-11-08 2016-03-24 Thc Chile S.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pex tubing to a fitting which includes a clamp
JP3205452U (ja) * 2016-05-13 2016-07-28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806A (en) * 1953-09-09 1957-01-01 Kac Ltd Adjustable girth clamping ring
JPS6443289U (ko) * 1987-09-11 1989-03-15
JP3205452B2 (ja) * 1994-02-10 2001-09-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JP3107189B2 (ja) 1994-10-31 2000-11-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のオフセット補正方法
FR2920496B1 (fr) * 2007-09-05 2009-12-04 Saint Gobain Pont A Mousson Ensemble pour collier a griffes, collier et liaison tubulaire correspondants.
US8069547B2 (en) * 2008-03-05 2011-12-06 Victaulic Company Installation-ready pipe coupling method of manufacture
DE202012104769U1 (de) * 2012-12-07 2014-03-11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JP6446629B2 (ja) 2014-03-18 2019-01-09 丸一株式会社 管体の接続構造
KR101575896B1 (ko) 2014-06-09 2015-12-08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압착체결구
JP6163632B1 (ja) 2016-06-16 2017-07-19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573B2 (ko) 1971-08-13 1976-09-27
JPH11166677A (ja) * 1997-12-04 1999-06-22 Hitachi Chem Co Ltd フランジ締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接続部構造
JP4575973B2 (ja) 2007-10-05 2010-11-0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構造及び流体機器ユニット
KR101021892B1 (ko) * 2007-10-05 2011-03-18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기구접속구조 및 유체기구유닛
KR101505972B1 (ko) * 2012-06-14 2015-03-25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 클램프
US20160084420A1 (en) * 2013-11-08 2016-03-24 Thc Chile S.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pex tubing to a fitting which includes a clamp
JP3205452U (ja) * 2016-05-13 2016-07-28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8379B2 (ja) 2022-05-31
KR102481101B1 (ko) 2022-12-27
TW201821726A (zh) 2018-06-16
JP2018091482A (ja) 2018-06-14
TWI746686B (zh) 202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1515B (zh) 连结部件、流体设备连接夹具及流体设备连接构造
KR20180062952A (ko)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US7377553B2 (en) Quick connector
JP3988180B2 (ja)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6292166A (ja) コネクタ装置及びチェッカー
KR20090128501A (ko) 접속부 실구조 및 그에 이용하는 실 부재
JP2003343782A (ja)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6118714A (ja) 接続要素
JPH11201355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その保持部材
JP2007139139A (ja) 管継手及び管継手内の移動体の移動方法
JP5030494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5166173B2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RU27038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изации обжатия для обжим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20080070085A (ko) 이음새 구조
JP5089487B2 (ja) 管体の継手構造、これを備えた管継手及びます
JP2016056928A (ja) 管部材を連結対象に連結するための連結構造
JP5030493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US2018024572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sion coupling for pipes with sheathed grooves
JP2017172785A (ja) 流体機器接続構造
JP2011002070A (ja) 配管の接続装置
JP2011122698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H08178163A (ja) ヘッダー
JP2002276868A (ja) 配管用継手
JP6174919B2 (ja) コネクタ
JP2024028098A (ja) フレキシブル管と管継手の接続構造、管継手及び目印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