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871A - 물파스 자가 도포기 - Google Patents

물파스 자가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871A
KR20180062871A KR1020160163045A KR20160163045A KR20180062871A KR 20180062871 A KR20180062871 A KR 20180062871A KR 1020160163045 A KR1020160163045 A KR 1020160163045A KR 20160163045 A KR20160163045 A KR 20160163045A KR 20180062871 A KR20180062871 A KR 2018006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ngle adjusting
water
applic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23B1 (ko
Inventor
박철종
박대훈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물파스 자가 도포기는, 상단이 벌어지면서 물파스(10)가 삽입 후 고정되며, 양쪽 외측벽에 반지름 방향의 각도조절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각도조절홈(112)의 중심에 절곡 형성된 선단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110)가 상기 각도조절홈(112)에 대응하는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선단 대향면이 상기 각도조절홈(112) 내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연장된 후단에 파지를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파스 자가 도포기 {MEDICINAL WATER SELF APPLICATOR}
본 발명은 물파스 자가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포기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선단에 고정시킨 물파스를 자가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파스는 삠,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골절통, 요통, 어깨결림, 신경통, 류마티스통증 등과 같은 증상의 진통ㆍ소염이나, 피부 가려움 및 벌레 물린데 사용하는 일반 의약품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한 후 피부에 패드를 직접 접촉시킨 상태로 도포하게 된다.
따라서, 파스 액을 피부에 바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용기의 입구에 구비된 패드를 환부에 밀착시키면 밀착 압력에 의해 내부의 개폐구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저장된 파스 액이 패드에 일차적으로 공급되고, 패드를 피부에 접촉시켜 파스 액이 환부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파스와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2630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물파스는 팔이 닿지 않는 등 쪽에 물파스를 바르고자 할 때 스스로 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도포하지 못하고, 타인의 도움을 요청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2630호(공개일: 2010.12.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물파스를 고정부재 내부에 고정시키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환부에 파스 액을 도포 가능하며, 고정부재의 각도조절홈을 통해 물파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파스 자가 도포기는, 상단이 벌어지면서 물파스(10)가 삽입 후 고정되며, 양쪽 외측벽에 반지름 방향의 각도조절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각도조절홈(112)의 중심에 절곡 형성된 선단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110)가 상기 각도조절홈(112)에 대응하는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선단 대향면이 상기 각도조절홈(112) 내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연장된 후단에 파지를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하는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에서 이격되어 상기 물파스(10)를 상부로 가압하는 가압판(116)과, 상기 가압판(116)과 이와 대향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을 연결하여 상기 가압판(116)이 항시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파스를 고정부재 내부에 고정시키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환부에 파스 액을 도포함으로써 팔이 닿지 않은 등 부위에도 사용이 가능하면서 환부에 정확한 도포가 가능하고, 고정부재의 각도조절홈을 통해 물파스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파스 액이 묻는 패드 면과 피부가 닿는 면적을 최대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100)는 고정부재(110), 연결부재(120) 및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10)는 정면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파스(10)가 삽입될 때 개구된 상단이 벌어지고, 삽입 후 오므라지도록 자체적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각도조절홈(112)과 미끄럼 방지부재(114)를 세부적으로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재(110)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10)는 저면 선단에 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파스 액을 환부에 도포하기 전에 돌기(111)로 피부를 가압하여 환부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 가능하므로 원하지 않은 위치에 물파스(10)의 파스 액이 묻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도조절홈(112)는 고정부재(110)의 양쪽 외측벽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110a)의 외주면을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각도조절홈(112)은 돌출부 외주면에서부터 돌출부 중심까지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지면서 함몰된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후술할 연결부재(120)의 선단 대향면이 삽입되면 고정부재(1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부재(110)의 각도가 정해지면 연결부재(120) 선단의 간섭으로 고정부재(110)의 회전됨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각도조절홈(112)은 45°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도의 증감이 가능하다.
미끄럼 방지부재(114)는 고정부재(110)의 대향된 내벽면에 구비되어 물파스(10)의 고정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고무판 등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고정부재(110)의 내부에는 케이스가 작은 물파스(10)가 고정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가압판(116)과 탄성부재(1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압판(116)과 탄성부재(118)는 통상적으로 물파스(10) 용기가 타원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걸 감안하였을 때 물파스(10) 용기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용기가 고정부재(110) 내에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가압판(116)은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에서 이격되어 물파스(10)를 상부로 가압하며, 물파스(10)의 접촉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측면이 오목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18)는 가압판(116)과 이와 대향된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면에 상하단이 다수 연결되어 가압판(116)이 항시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결부재(120)는 양단으로 분할된 선단이 고정부재(110)의 양쪽 외측벽에 절곡된 상태로 각도조절홈(112)의 중심에 삽입되고, 후단은 후술할 손잡이(130)에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10)와 손잡이(130)를 연결한다.
즉, 연결부재(120)의 선단 단부가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고정부재(110)의 각도조절홈(112) 중심에 삽입되므로 고정부재(110)가 회전 가능하고, 회전되는 고정부재(110)가 각도조절홈(112)에 대응하는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게 선단 대향면이 각도조절홈(112) 내에 삽입된다.
더욱이, 연결부재(120)는 후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를 채택하여 환부의 위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손잡이(130)는 연결부재(120)의 후단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마감하여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물파스 자가 도포기(100)의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고정부재(11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물파스(10)를 고정시킨다. 이때, 물파스(10)는 고정부재(110)의 대향된 내벽면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부재(114)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고, 바닥면은 탄성부재(118)에 의해 상부로 가압하고 있는 가압판(116)을 통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물파스(10)가 고정되면 파스 액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고정부재(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고정부재(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110)의 각도조절홈(112)이 연결부재(120)의 선단 내면에 밀착하고 있다가 분리된 후 이웃한 각도조절홈(112)이 연결부재(120)의 선단 내면에 밀착되면서 물파스(1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물파스
100: 물파스 자가 도포기
110: 고정부재
110a: 돌출부
112: 각도조절홈
114: 미끄럼 방지부재
116: 가압판
118: 탄성부재
120: 연결부재
130: 손잡이

Claims (2)

  1. 상단이 벌어지면서 물파스(10)가 삽입 후 고정되며, 양쪽 외측벽에 반지름 방향의 각도조절홈(1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가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각도조절홈(112)의 중심에 절곡 형성된 선단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110)가 상기 각도조절홈(112)에 대응하는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선단 대향면이 상기 각도조절홈(112) 내에 삽입되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연장된 후단에 파지를 위해 구비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하는 물파스 자가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에서 이격되어 상기 물파스(10)를 상부로 가압하는 가압판(116)과, 상기 가압판(116)과 이와 대향된 상기 고정부재(110)의 내벽 바닥을 연결하여 상기 가압판(116)이 항시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8)를 포함하는 물파스 자가 도포기.
KR1020160163045A 2016-12-01 2016-12-01 물파스 자가 도포기 KR10187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45A KR101871223B1 (ko) 2016-12-01 2016-12-01 물파스 자가 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45A KR101871223B1 (ko) 2016-12-01 2016-12-01 물파스 자가 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71A true KR20180062871A (ko) 2018-06-11
KR101871223B1 KR101871223B1 (ko) 2018-06-27

Family

ID=6260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045A KR101871223B1 (ko) 2016-12-01 2016-12-01 물파스 자가 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5682B1 (en) * 2002-05-03 2004-10-19 Mark C. Campbell Fluid applicator
JP2006280833A (ja) * 2005-04-05 2006-10-19 Osamu Ishitobi 孫の手
KR20100001498U (ko) * 2008-07-31 2010-02-10 김수정 파스첩부 용구가 구비된 효자손
KR20100132630A (ko) 2009-06-10 2010-12-20 송민규 색소가 첨가된 물파스
KR101470469B1 (ko) * 2013-07-10 2014-12-11 유진곤 롤 파스 첩부용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5682B1 (en) * 2002-05-03 2004-10-19 Mark C. Campbell Fluid applicator
JP2006280833A (ja) * 2005-04-05 2006-10-19 Osamu Ishitobi 孫の手
KR20100001498U (ko) * 2008-07-31 2010-02-10 김수정 파스첩부 용구가 구비된 효자손
KR20100132630A (ko) 2009-06-10 2010-12-20 송민규 색소가 첨가된 물파스
KR101470469B1 (ko) * 2013-07-10 2014-12-11 유진곤 롤 파스 첩부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23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9729A1 (en) Fascia tissue fitness devices
US200902592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Eye Drops
US9597488B1 (en) Apparatus for applying roll-on/rub-on medications
US20160045011A1 (en) Cosmetic product applicator including a massage element
KR101411990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20160056371A (ko) 유체 도포 롤러
CA3018854A1 (en) Pressur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US20160166459A1 (en)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tool
US20040015110A1 (en) Massaging device
KR101871223B1 (ko) 물파스 자가 도포기
JP3206001U (ja) マッサージ器具
KR102034969B1 (ko) 플렉시블한 마사지표면을 갖는 피부 관리 기구
JP3129267U (ja) 指圧による筋肉の調整道具
JP6155082B2 (ja) 化粧料塗布具
US20040230147A1 (en) Hand held massaging apparatus
KR200483714Y1 (ko) 화장 용구
KR200486981Y1 (ko) 피부 외용제 도포 기구
WO2019189921A1 (ja) 指刺激健康器具
KR200218995Y1 (ko) 지압용구
JP2004075165A (ja) 薬剤塗布容器
KR101873172B1 (ko) 손가락 도포 장치
JP3201333U (ja) 薬剤塗布兼掻き補助具
JP2015019835A (ja) 化粧料塗布具
US20230096695A1 (en) Applicator for Self-Contained Package
CN211271608U (zh) 一种眼外冷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