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995Y1 - 지압용구 - Google Patents

지압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995Y1
KR200218995Y1 KR2020000030502U KR20000030502U KR200218995Y1 KR 200218995 Y1 KR200218995 Y1 KR 200218995Y1 KR 2020000030502 U KR2020000030502 U KR 2020000030502U KR 20000030502 U KR20000030502 U KR 20000030502U KR 200218995 Y1 KR200218995 Y1 KR 200218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acupressure
moving member
hol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식
Original Assignee
유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식 filed Critical 유대식
Priority to KR2020000030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995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용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신체가 삽입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부재(20)와,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회전하는 다수개의 지압구(33)와 플랙시블한 지지부재(32)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지압수단(3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20)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압수단(30)의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플랙시블하게 형성된 지지부재(32)와 회전하는 각 지압구(33) 및 상기 지지부재(32)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탄성부재(37)에 의해 신체의 다리, 허리의 앞뒤, 등, 가슴, 양측 옆구리와 같이 굴곡이 불규칙한 신체 요부 등의 경혈 및 근육 등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압용구{FINGER PRESSURE IMPLEMENT}
본 고안은 지압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 내측에 플랙시블한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에 지압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신체의 다리, 허리의 앞뒤, 등, 가슴, 양측 옆구리 등의 경혈 및 근육 등을 회전하는 지압구로 용이하게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압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압은 손가락이나 별도의 기구로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의 순환을 순조롭게 하거나 근육을 이완시켜 피로를 풀도록 하는 민간 치료법이다.
이러한 지압을 일반인이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여러종류의 지압용구가 일반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압용구는 단순하거나, 전원을 이용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긴 막대의 끝에 유동구를 설치하고, 이 유동구에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구로 신체의 일부분을 두들겨서 지압의 효과를 얻도록 한 제품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지압용구는 유동구가 신체에 닿을 때 아픔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압돌기가 형성된 지압부재 내부에 진동자를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에 의해 지압부재가 진등을 일으켜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한 제품이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제품은 경혈을 진동으로 자극하여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반드시 전원을 필요로 하였고,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시 지압부재가 닿는 부분의 경혈만 자극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신체의 다리, 허리의 앞뒤, 등, 가슴, 양측 옆구리와 같이 굴곡이 불규칙한 신체 요부 등의 경혈 및 근육 등을 회전하는 지압구로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는 지압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이동부재;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지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압수단은 플랙시블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설치공이 지지단을 구비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공에는 각각의 지압구가 장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각 일단 외주면에 환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각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봉; 상기 지지봉이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간섭되도록 내부 타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봉; 상기 지지봉가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탄성부재; 및 양단에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의 나사부는 상기 제 1탄성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의 나사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원형의 링형상 또는 사각형의 링형상 또는 육각형과 같이 다각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압용구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압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4b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압용구의 가변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는 도 도 9에 도시된 지압용구를 도시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이동부재 21 : 제 2지압돌기
24 : 이동요홈 25 : 볼
26 : 이동구 27 : 연결끈
28 : 회전구 29 : 회전부재
30 : 지압수단 32 : 지지부재
32A : 설치공 32B : 지지단
32C : 장축 33 : 지압구
33A : 제 1지압돌기 34 : 지지봉
34A : 걸림돌기 36 : 고정봉
36A : 걸림턱 37 : 제 1탄성부재
38 : 연결구 38A,38B : 나사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압용구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압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지압용구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10)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지압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각 지압수단(30)이지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이동부재(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등분으로 분리 제작한 후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이동부재(20) 조각은 상호 체결시켜 결합하거나, 끼움형식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에는 사용자의 손바닥 경혈을 자극할 수 있는 제 2지압돌기(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지압돌기(21)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연질 또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이동부재(20) 전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압수단(30)은 다수개의 지압구(33)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개 이상의 지압수단(30)이 상기 이동부재(20)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2개 이상의 지압수단(30)을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적절히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압수단(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아도 지압이 행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압수단(3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압수단(30)은 플랙시블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설치공(32A)이 지지단(32B)을 구비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설치공(32A)에는 각각의 지압구(33)가 장축(3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32)와, 각 일단 외주면에 환형의 걸림돌기(34A)가 형성되고, 각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32)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봉(34)과, 상기 지지봉(34)이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4A)가 간섭되도록 내부 타측에 걸림턱(36A)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봉(36)과, 상기 지지봉(34)가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36)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탄성부재(37)와,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각 고정봉(36)을 이동부재(20)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양단에 나사부(38A,38B)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의 나사부(38A)는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36)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의 나사부(38B)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구(3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2)는 탄성이 양호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금속재로 된 지지부재(32)의 표면에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피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2)에는 다수개의 설치공(32A)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32A)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부재(3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지지단(32B)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각 지지단(32B)에는 각각의 지압구(33)가 장축(3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데, 상기 장축(32C)는 상기 지지부재(3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각 지지단(32B)과 각 지압구(3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각 지압구(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지지단(32B) 내측으로 돌출되는 출돌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4)은 상기 지지부재(32)를 지지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34A)가 상기 걸림턱(36A)에 간섭되도록 상기 고정봉(36)의 일측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32)에 너트로 고정되는 부분부터 상기 고정봉(36)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34A)가 걸림턱(36A)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봉(34)과 고정봉(36)이 결합되면 상기 지지봉(34)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부재(32)의 양단에 각각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제 1탄성부재(37)는 상기 고정봉(36)에 삽입 설치된 지지봉(34)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고정봉(36)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36)의 내부에 제 1탄성부재(37)가 설치되면, 상기 각 고정봉(36)의 타측 내경에 각 연결구(38)의 일측 나사부(38A)를 체결하여 상기 제 1탄성부재(37)가 고정봉(3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각 연결구(38)의 타측 나사부(38B)를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면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지압구(33)의 외주면에는 제 1지압돌기(33A)를 형성하여 경혈의 자극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형상을 갖는 이동부재(20)의 내측에, 다수개의 지압구(33)가 회전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지압수단(30)이 탄성을 구비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체부위 중에서 배를 지압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신체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일측의 지압수단(30)이 신체의 배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지압돌기(21)가 형성된 파지부를 파지하여 지압용구(10)를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경혈은 상기 제 2지압돌기(21)에 의해 자극되어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지압수단(30)을 배에 접촉시킨 후 접촉시킨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각 지압구(33)는 배에 접촉되면서 지지부재(32)가 배의 만곡면을 따라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상기 각 지지봉(34)은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탄성을 극복하여 상기 각 고정봉(36)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각 지압구(33)는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탄성과 사용자의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배의 굴곡부위를 자극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 지압구(33)는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신체의 배 부위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지압구(33)는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탄성과 플랙시블하게 형성된 지지부재(32)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시키는 힘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신체를 자극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부드럽게 신체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탄성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부드럽게 또는 강하게 경혈을 자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배 부위의 지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부재(20)를 초기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측에 위치한 지압수단(30)의 각 지압구(33)가 신체의 등 또는 허리 부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자극하도록 이동부재(20)에 하중을 가하거나 상.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원형의 링형상을 갖는 이동부재(20)의 내측에 회전하는 지압구(33)를 구비한 지압수단(3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신체 여러부위의 경혈과 근육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4b는 상기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면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제 1결합단(41)이 형성된 제 1연결부재(42)와, 상기 제 1결합단(41)에 힌지 결합되는 제 2결합단(43)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걸림환턱(4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36)에 체결되는 제 2연결부재(45)와, 상기 제 1연결부재(42)와 제 2연결부재(4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연결부재(42)와 제 2연결부재(45)의 꺽임을 단속하도록 된 괘해정부재(46)로 구성된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수단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연결부재(45)와 제 2연결부재(45)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봉(36)과 지지봉(34) 및 지압구(33)가 설치된 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 지압수단(30)이 상기 제 1,2결합단(41,43)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되도록(또는 꺽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괘해정부재(46)를 제 1연결부재(42)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힌지 결합부위의 꺽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괘해정부재(46)를 제 2연결부재(45) 측으로 이동시켜 그 단부가 상기 걸림환턱(44)에 걸리도록 하게 되면 힌지 결합부위의 꺽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괘해정부재(46)의 외주면에는 널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압수단(30)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 이동부재(20) 내부로 신체를 삽입시킬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32)가 신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10)는 상기 이동부재(20)가 사각형의 링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압수단(30)을 지지하는 이동부재(20)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부분과 지압수단(30)의 위치가 보다 명확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사각형상의 이동부재(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변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이동부재(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수단은 사각형상 뿐만 아니라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이동부재(20)에 적용된다.
상기 가변수단은 다수개의 걸림공(52)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고정관(51)과, 상기 고정관(51)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출몰공(53)이 형성된 이동관(54)과, 상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관(54)의 내부로부터 출몰공(53)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55)와, 상기 이동관(54)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치부재(56)와, 상기 안치부재(56)에 설치되어 성기 걸림부재(55)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2탄성부재(5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수단을 이용하여 이동부재(20)의 크기(직경)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치부재(56)에 걸림부재(55)와 제 2탄성부재(57)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54)을 고정관(51) 내부로 삽입시키되, 상기 출몰공(53)과 걸림공(52)이 일치되도록 하여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관(54)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 2탄성부재(57)의 탄성을 받는 걸림부재(55)가 상기 출몰공(53)으로부터 일치된 해당 걸림공(52)으로 삽입된다. 이로써 사익 이동관(54)과 고정관(51)은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공(52)에 삽입된 걸림부재(55)의 상단부를 눌러 상기 걸림부재(55)가 걸림공(5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이동관(54)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관(54)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55)의 상단부는 상기 제 2탄성부재(57)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관(5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관(54)의 이동으로 다음 걸림공(52)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 상기 고정관(51)과 이동관(54)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0)의 각 변을 이루는 관체들이 코너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갖는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볼트/너트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10)는 상기 이동부재(20)가 육각 또는 팔각형의 링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동부재(2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지압수단(30)이 설치된 위치와 사용자가 파지할 부분이 구획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2 내지 제 4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10)의 이동부재(20) 및 지압수단(30)의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 이동부재(20)의 파지부(사용자가 파지할 부분) 또는 그 전체에 제 2지압돌기(21)가 형성됨으로 사용자의 손바닥 경혈 자극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압용구(1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재(20)를 중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압용구를 도시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의한 지압용구(10)의 상기 이동부재(20)는 상,하면에 동심원으로 형성된 이동요홈(24); 및 상기 이동요홈(2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25)이 내측 상하면에 설치된 이동구(26), 상기 이동구(26)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끈(27), 상기 연결끈(27)의 타단에 설치된 회전구(28)를 구비한 회전부재(29)로 구성된다.
즉, 원형의 링형상을 갖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상,하면에 이동요홈(24)을 형성하고, 이 이동요홈(2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회전부재(29)를 상기 이동부재(20)에 설치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구(26)는 한쌍의 볼(25)에 의해 상기 이동요홈(24)을 따라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부재(20)의 내측에는 상기 지압수단(3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부에 신체(특히 허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20)를 훌라후프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상기 이동구(26)와 연결끈(27)으로 연결된 회전구(28)가 상기 이동요홈(24)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각 지압수단(30)의 지압구(33)는 신체의 허리주변을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기 지압수단(30)을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상을 갖는 이동부재(20)의 내측에 회전하는 지압구(33)와 플랙시블한 지지부재(32)를 구비한 지압수단(30)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이 닿지 않는 신체부위의 경혈 및 근육을 용이하게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압용구는 신체가 삽입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부재와,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회전하는 다수개의 지압구와 플랙시블한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압수단의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플랙시블하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회전하는 각 지압구 및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탄성부재에 의해 신체의 다리, 허리의 앞뒤, 등, 가슴, 양측 옆구리와 같이 굴곡이 불규칙한 신체 요부 등의 경혈 및 근육 등을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신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이동부재(20);
    신체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지압수단(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다각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에는 제 2지압돌기(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마주보는 각 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가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수단은 다수개의 걸림공(52)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고정관(51);
    상기 고정관(51)에 삽입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출몰공(53)이 형성된 이동관(54);
    상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관(54)의 내부로부터 출몰공(53)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55);
    상기 이동관(54)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치부재(56);
    상기 안치부재(56)에 설치되어 성기 걸림부재(55)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 2탄성부재(5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하면에 동심원으로 형성된 이동요홈(24); 및
    상기 이동요홈(2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25)이 내측 상하면에 설치된 이동구(26), 상기 이동구(26)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끈(27), 상기 연결끈(27)의 타단에 설치된 회전구(28)를 구비한 회전부재(2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지압용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수단(30)은 플랙시블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설치공(32A)이 지지단(32B)을 구비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공(32A)에는 각각의 지압구(33)가 장축(3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32);
    각 일단 외주면에 환형의 걸림돌기(34A)가 형성되고, 각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32)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봉(34);
    상기 지지봉(34)이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4A)가 간섭되도록 내부 타측에 걸림턱(36A)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봉(36);
    상기 지지봉(34)가 탄력지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36)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탄성부재(37); 및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각 고정봉(36)을 이동부재(20)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수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구(33)의 외주면에는 제 1지압돌기(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양단에 나사부(38A,38B)가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나사부(38A)는 상기 제 1탄성부재(37)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고정봉(36)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측의 나사부(38B)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내측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구(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면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제 1결합단(41)이 형성된 제 1연결부재(42);
    상기 제 1결합단(41)에 힌지 결합되는 제 2결합단(43)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걸림환턱(4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36)에 체결되는 제 2연결부재(45);
    상기 제 1연결부재(42)와 제 2연결부재(4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연결부재(42)와 제 2연결부재(45)의 꺽임을 단속하도록 된 괘해정부재(4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구.
KR2020000030502U 2000-11-01 2000-11-01 지압용구 KR200218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502U KR200218995Y1 (ko) 2000-11-01 2000-11-01 지압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502U KR200218995Y1 (ko) 2000-11-01 2000-11-01 지압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995Y1 true KR200218995Y1 (ko) 2001-04-02

Family

ID=7309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502U KR200218995Y1 (ko) 2000-11-01 2000-11-01 지압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9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91A (ko) * 2001-04-13 2002-10-19 유대식 지압용구
WO2002083054A1 (en) * 2001-04-13 2002-10-24 Dae-Sik You Healthful entertainment and exercise instrument with digital-compression like function
KR20030088581A (ko) * 2002-05-13 2003-11-20 유대식 진동수단이 구비된 운동용구
KR20150099492A (ko) * 2015-08-11 2015-08-31 장종현 손가락용 지압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91A (ko) * 2001-04-13 2002-10-19 유대식 지압용구
WO2002083054A1 (en) * 2001-04-13 2002-10-24 Dae-Sik You Healthful entertainment and exercise instrument with digital-compression like function
KR20030088581A (ko) * 2002-05-13 2003-11-20 유대식 진동수단이 구비된 운동용구
KR20150099492A (ko) * 2015-08-11 2015-08-31 장종현 손가락용 지압기구
KR101657946B1 (ko) 2015-08-11 2016-09-20 장종현 손가락용 지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2081A (en) Limb massager
IL147655A (en) A device for use in reflexology
US20180093127A1 (en) Tethered Physically-Therapeutic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Flexible Cord
US20050187498A1 (en) Vibrating roller ball massage device
KR101346032B1 (ko) 다단 지압 볼을 갖는 견착 안마기
KR200218995Y1 (ko) 지압용구
CN210991572U (zh) 手部复健训练器的腕关节作动结构
KR100680572B1 (ko) 안마기
KR200393008Y1 (ko) 지압기구
US20060224092A1 (en) Massaging apparatus
JP2002331009A (ja) 空圧式施療機
KR101688498B1 (ko) 지압기구
KR101878126B1 (ko) 벨트 진동마사지장치
CN111281773A (zh) 用于治疗人体的治疗装置和手柄
KR101640760B1 (ko) 피부미용 마사지기
KR101457123B1 (ko) 휴대용 지압기구
KR100365570B1 (ko) 훌라후프
KR20020076113A (ko)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365822Y1 (ko) 맛사지 기구
KR101211268B1 (ko) 지압용 맛사지 기구
JP3398180B2 (ja) 携帯用足の揉み解し装置
CN209661678U (zh) 一种机械手夹具
KR200414730Y1 (ko) 지압구
CN209405213U (zh) 一种按摩器
WO2004034949A1 (fr) Instrument de massage elas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