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113A -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113A
KR20020076113A KR1020017013955A KR20017013955A KR20020076113A KR 20020076113 A KR20020076113 A KR 20020076113A KR 1020017013955 A KR1020017013955 A KR 1020017013955A KR 20017013955 A KR20017013955 A KR 20017013955A KR 20020076113 A KR20020076113 A KR 2002007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hula hoop
shaped
w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덕
Original Assignee
오동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덕 filed Critical 오동덕
Publication of KR2002007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6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enabling use in the dark, other than powered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형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절첩운동하고 절첩 운동시 스프링의 탄발력 작용하도록 하여 지압효과를 개선시키고 지압돌기에 의한 통증을 방지할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훌라후프의 내주면에 지압돌기 삽임홉과 지압돌기 삽입홈을 가로지르는 축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상에 지압돌기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절첩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지압돌기의 절첩운동시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각각의 지압돌기가 신체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지압과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훌라후프는 사용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몸에 밀착성이 우수하며, 지압돌기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지압돌기 부착시 발생하는 통증 없고, 몸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하여 지압효과와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Hulahoop fixed the winged finger-pressure projection}
훌라후프는 파이프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링형 관체로 되어 있고, 이를 허리 부분에 두른 상태에서 허리를 일정하게 회전시키면 훌라후프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허리 주위를 반복적으로 압박하여 허리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근력을 강화시키며, 복부비만을 방지하는 등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어 남녀 노소 폭넓게 이용하고 있다.
최근 일반적인 형태의 훌라후프에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훌라후프의 단순 기능 이외에 지압과 마사지 기능을 갖도록 하고, 근력 강화 및 복부 비만에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지압형 훌라후프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제시된 지압형 훌라후프는 링의 내주면에 지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거나 링 내주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반구형 지압돌기를 상기 요홈에 끼워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운동시 반구형 지압돌기와 허리둘레의 심한 마찰과 충격에 의해 통증을 유발하고, 허리둘레에 멍이 들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훌라후프를 정지시키기 위해 손으로 잡을 때 회전시키기 위해 돌릴 때 돌기 부분에 손가락이 걸려 충격이 가해지고 경우에 따라 부상을 입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훌라후프의 내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날개형 지압돌기를 창착한 구성의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날개형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절첩운동하고 절첩운동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도록하여 지압효과를 개선시키고 지압돌기에 의한 통증을 방지할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훌라후프의 전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이 적용된 훌라후프의 평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링형 관체의 지압돌기 결합부의 상세 구조도.
도 4는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링형 관체의 연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링형 관체의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 단면도로서 코일스프링과 지압돌기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의 지압돌기가 링형 관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훌라후프 11,11'. 링형 관체
12,12'. 물림턱 13,13'. 물림홈
14. 타원형 본체 15. 타원형 덮개
16, 16'. 축 17. 축공
18. 축결합공 19. 코일 스프링
20. 평스프링 21,21'. 날개형 지압돌기
22. 스위치 23. 나사못
24. 오목부 25. 볼록부
26. 삽입턱 28. 지압돌기 삽입홈
29a,29b,29c. 작용단 30. 공동
31. 걸림턱 32. 반구형 돌기
34. 삽입공 35. 돌출봉
36. 관통공 37. 스프링
38,38'. 이동축 39. 와셔
40. 자석
본 발명의 종래의 지압형 훌라후프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구형 지압돌기 대신하여 만곡된 표면형을 갖는 장방형태의 날개형 지압돌기를 훌라후프 본체에 축으로 결합하여 각각의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절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훌라후프의 회전 운동시 신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지압돌기 부에 걸리는 압력에 따라 지압돌기가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형하여 부드럽게 신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날개형 지압돌기의 절첩운동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도록 하여 지압과 마사지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구성의 훌라후프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훌라후프 본체의 단면형을 타원 형태로 구성하여 회전이나 정지를 위하여 손으로 잡을 때 손가락이 돌기 부분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돌기에 의한 손가락 부상이나 충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훌라후프의 내주면에 지압돌기 삽입홈과 지압돌기 삽입홈을 가로지르는 축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상에 날개형 지압돌기를 결합함으로서 상기한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상 ·하방으로 절첩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압돌기의 절첩운동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각각의 지압돌기가 신체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지압과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훌라후프의 내주면의 축이 형성된 날개형 지압돌기 삽입홈에 날개형 지압돌기를 삽입 결합함으로서 상기한 지압돌기가 삽입홈의 축을 중심으로 상 ·하방으로 절첩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압돌기의 절첩운동시 지압돌기의 상부 또는 하부의 삽입홈에 구성된 자석과 지압돌기 삽입부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된 자석이 붙었다 떨어지므로서 신체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자석이 서로 붙을 때 나는 소리로 인하여 경쾌한 리듬 효과와 지압 및 마사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훌라후프 본체를 타원형태로 구성하여 신체와의 접지면적을 증가시키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면을 증가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철운동하는 훌라후프의 날개형 지압돌기 표면에 원형상의 돌기를 구성하여 신체와의 접촉시 지압과 마사지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날개형 지압돌기 표면에 원형상의 돌기를 갖는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훌라후프(10)의 전체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훌라후프는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개(11)가 조립되고 타원형의 단면형을 갖는 원호형태의 링형 관체(11)가 연속결합 되어 훌라후프 본체를 이루고, 링형 관체(11)의 일측에 형성된 물림턱(12)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물림홈(13)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원형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훌라후프(10,11')는 타원형 본체(14), 타원형 덮개(15),축(16,16'), 축공(17), 축결합공(18), 코일 스프링(19) 또는 판 스프링(20), 날개형 지압돌기(21,21'), 날개형 지압돌기에 형성된 돌출봉(35), 날개형 지압돌기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 돌기(32), 물림홈의 관통공(36), 물림턱의 스프링(37) 및 상하 이동축(38,38'), 자석(40), 건전지 및 온 ·오프 스위치(22)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링형 관체(11)와 날개형 지압돌기(21)의 결합부의 상세한 구조와 링형 관체의 연결부를 도시한다.
상기 훌라후프(10)는 파이프형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링형 관체(11)로 이루어지며, 링형 관체는 복수개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링형 관체는 양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링형 관체의 일측 단부에 구성된 물림턱(12)과 다른 일측 단부에 구성된 물림홈(13)을 결합하고, 견고하도록 하기위해 나사못(23)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는 훌라후프(10)를 구성하는 링형 관체(11')의 연결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링형 관체(11')의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관체(11')는 양측 단부가 내측에서 폐쇄되고 연장된 각각의 양측 끝단부에 물림턱(12')과 물림홈(13')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형관체(11')의 일측 끝단부의 물림홈 상부와 하부에 관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링형관체의 다른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물림턱(12')에는 스프링(37) 작용실을 구성하여 스프링(37) 상부에는 스프링과 접하는 십자형태의 이동축(37)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링형관체(11')를 관통이동 하도록 구성되어 스프링(37)의 작용에 의해 이동축(38)의 상 ·하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스프링(37)하부에는 스프링과 접하는 십자형태의 이동축(38')이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링형관체(11')를 관통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스프링 작용에 의해 이동축(38')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십자형태의 상부와 하부 이동축(38,38')은 스프링(38) 작용에 의해 각각 상·하 이동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링형관체(11')의 일측 끝단부의 물림홈(13')에 다른 링형 관체(11')의 일측 끝단부의 물림턱(12')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부의 십자형태의 이동축(38)과 하부의 십자형태의 이동축(38')이 스프링 작용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이동하고 상기의 링형관체 끝단부의 물림홈 상부와 하부의 관통공(36) 이르면 상기 상부 이동축(38)과 하부 이동축(38')이 각각 물림홈의 상부와 하부의 관통공(36)에 삽입되므로 상기의 물림홈(13')과 물림턱(12')은 견고히 연결 결합된다.
반대로 분리시에는 상기 물림홈(13')의 관통공(36)에 위치한 상·하 이동축(38,38')을 누르면 스프링(37)이 내측으로 압축되므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물림홈(13')과 물림턱(12')이 구성된 복수개의 원호형상의 링형 관체(11')을 연결함으로서 훌라후프 본체를 조립한다.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11)는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개(15)로 구성되며, 타원형 본체(14)에는 볼록부(25)가 구성되고 타원형 덮개(15)에는 오목부(24)가 구성되어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4는 링형 관체(11) 양단부에 고정시킨 날개형 지압돌기(21)를 삽입하기 위한 축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2의 B-B의 단면도로서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11)는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개(15)로 구성되며, 타원형 본체(14)에는 볼록부(25)가 구성되고 타원형 덮개에는 오목부(25)가 구성되어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원형 덮개(15) 내주면에 복수개의 날개형 지압돌기 삽입홈(28)이 구성된다.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11)를 구성하는 상기 타원형 덮개(15)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원형 덮개와 접하는 타원형 본체(14)에는 코일 스프링(19)의 일개의 작용단(29a)이 고정되며, 축은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개(15)로 구성되는 링형 관체(11)의 양단부로부터 고정되고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나의 축(16)으로 연속구성되며, 상기 축은 지압돌기 삽입홈(28)에 위치하는 각각 날개형 지압돌기(21)의 축결합공(18)과 결합되고 상기의 코일 스프링(19)은 90°각도로 작용단(29a, 29b)을 갖는 2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몸통부분(29c)을 지압돌기의 축결합공과 함께 축에 삽입하고 일측 작용단(29a)은 훌라후프 본체에 걸어 고정하고 다른 일측 작용단(29b)은 지압돌기 내측 상 ·하부분에 각기 접지되도록 하여 코일스프링(19)의 상부와 하부의 작용단(29a,29b,29c)에 의해 날개형 지압돌기(21)를 접철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의 훌라후프(10)를 사용할 경우에 지압돌기 삽입홈(28)에 구성된 축(16)과 코일 스프링(19)의 상·하부 작용단의 작용으로 날개형 지압돌기(21)는 절첩운동을 하고 절첩운동시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이 작용하므로 지압효과를 개선시키고 지압돌기에 의한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훌라후프의 본체의 단면형은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타원형으로 구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11)의 단면형을 타원형으로 구성할 경우에 후술하는 지압돌기와 연속성을 갖는 선형을 구성할 수 있고, 무게 중심을 본체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원심력에 의한 효과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허리 둘레에 접하는 접촉면이 증대되어 지압돌기가 부드럽게 신체에 접촉될 수 있고, 회전이나 정지를 위해 손으로 잡거나 돌릴 때 내측의 지압돌기가 손가락에 걸리지 않게 되어 손가락 부상등을 방지할 수 잇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훌라후푸(10)의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을 형성하여 날개형 지압돌기(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절첩운동할 수 있는 공간은 제공하고, 날개형 지압돌기를 타원형 본체 측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훌라후프의 무게 중심이 내측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심력의 작용에 의한 회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형 관체(11)가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게(15)로 구성되며, 상기 타원형 덮개에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이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 중앙에 연속하는 축(16)을 구성하는 대신에 상기의 링형 관체(11)의 단면이 단일의 타원형상의 링형 관체(11')이고 링형 관체(11')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 양측부분에는 링형 관체 자체 내측으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축공(17)을 형성하여 각각의 축(16')이 날개형 지압돌기삽입홈(28)에 결합될 수 있도록하고, 상기 각각의 축(16')에 날개형 지압돌기의 양날개 중앙부에 양측으로 형성된 축결합공(18)을 코일 스프링19)과 결합시켜 축(16')을 중심으로 날개형 지압돌기21)가 코일 스프링의 작용단(29a,29b,29c)의 작동에 의해 상 ·하로 절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각각의 축(16')은 각각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의 양측에 형성된 축공(17)에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링형 관체(11,11')별로 단일축으로 상기 각각의 축공(17)과 날개형 지압돌기의 양측 날개에 형성된 축결합공(18)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각의 삽입홈(28)에 지압돌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링형 관체(11)의 일측으로부터 축을 삽입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각각의 날개형 지압돌기를 링형 관체(11,1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축(16')에 날개형 지압돌기의 축결합공(18)을 결합함으로서 날개형 지압돌기의 이탈에 따른 지압돌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21')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의 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의 표면형을 갖고 후면이 날개형으로 양측이 돌출된 형상이며, 돌출부위 양측면을 축이 관통할 수 있는 축결합공(18)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21,21')는 금속, 돌이나 옥, 나무 또는 플라스틱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만곡된 표면형은 허리부위에 접촉 회전할 때 부드럽게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후면의 양측 날개형 돌출부위 중앙에는 축(16,16')과 결합될 수 있는 축결합공(18)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21,21')의 양측 날개에 형성된 축공(17)에 축(16,16')이 삽입결합될 때 삽입홈(28)상에서 절첩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날개형 지압돌기(21,21')를 길이 방향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축(16,16')상에 결합함으로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지압돌기 삽입홈(28)상에서 지압돌기의 상부 또는 하부가 삽입홈의 상하부에 접하는 운동양식으로 절첩운동이 이루어지며, 사용시 허리에 접하여 압력을 받는 부위가 삽입홈 쪽으로 접하게 됨으로서 지압돌기가 고정된 구조의 종래 훌라후프에 비하여 부드럽게 신체에 접하여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서 충격에 의한 통증이나 멍이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마사지와 지압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날개형 지압돌기(21)가 타원형 본체(14)와 타원형 덮개(15)로 이루어진 훌라후프(10)의 본체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을 받도록 한 구성을 아울러 제시한다.
즉,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절첩운동할 때 이에 저항하려는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도록 코일 스프링(19)을 결합하여 날개용 지압돌기(21,2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 코일 스프링이 이를 억제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작용압력의 크기에 따라 완만한 속도로 절첩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각각의 날개형 지압돌기(21,21'))가 순차적으로 허리둘레를 감고 돌 때 훌라 후프로 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완화되어 접촉부위를 지긋이 압박함으로서 지압과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21,21')에 적용되는 코일 스프링은 다양한 방식으로타원형 본체(14)와 날개형 지압돌기(21,21')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지압돌기의 상방에 탄발력이 걸리게 하는 작용을 하고 다른 하나의 스프링이 지압돌기의 하방에 탄발력이 작용을 하여 상방에서 압력이 작용할 때 상방의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접촉부위를 눌러 지압과 마사지를 행하고, 하방에서 압력이 작용할 때 하방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접촉부위를 눌러 지압과 마사지를 행하하게 된다.
도 9 및 10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링형 관체의 단면이 단일의 타원형상이고 내부가 공동인 일체형의 링형 관체(11')이고 링형 관체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이 구성된다. 상기의 링형 관체(11')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의 양측면은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링형 관체의 삽입홈 양측면에 형성된 격벽의 중앙부의 삽입공(34)에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형태의 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의 표면형을 갖고 후면이 날개형으로 양측이 돌출된 형상이며, 돌출부위 양측면에는 원형의 돌출봉(35)이 외측으로 구성된 날개형 지압돌기(21')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의 링형 관체(11') 내측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1)과 날개형 지압돌기의 상부 또는 하부 삽입턱(26)의 접촉면에 각각 자석(40)을 구성하여 훌라후프를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시는 눌림에 의해 벌어지고 비접촉시 탁소리를 내면서 붙게되며 사용에 따라 연속적으로 탁, 탁 소리와 같은 경쾌한 접촉 음을 낼수 있고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원할한 지압효과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날개형 지압돌기(21')의 표면의 상 ·하부에 반구형 돌기(32)를 형성함으로서 날개형 지압돌기(21')의 자체에 의한 지압과 마사지 효과 이외에 상기 반구형 돌기(32)에 의한 국부적인 지압효과를 거둘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의 지압돌기가 링형 관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로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링형 관체의 지압돌기 삽입홈(28)의 양측면은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는 삽입공(34)이 형성되어 날개형 지압돌기 후면의 돌출부위 양측에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봉(35)이 삽입결합됨으로서 상기 설명한 축, 축공 및 축결합공을 이용하지 않고 링형 관체(11')의 지압돌기 삽입홈(28)에 날개형 지압돌기(21')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42는 날개형 지압돌기의 접철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와셔이다.
도 11은 타원형이고 내부가 공동(30)인 링형 관체(11')의 날개형 지압돌기 삽입홈(28)의 상·하방향으로 평 스프링(20)을 고정설치하고, 축상에 결합되는 지압돌기의 후면 돌출부위 중앙부를 평편하게 구성하여 상기 평 스프링(20)과 접하도록 구성하여 날개형 지압돌기의 상방 또는 하방에 압력이 작용할 때 축을 중심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평 스프링(20)의 탄발력이 상기 회전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원심력에 의한 훌라후프의 회전압력과 평 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날개형 지압돌기(21')에 접촉되는 부위의 피부를 부드럽게 압박하여 지압과 마사지효과를 갖게 한다.
상기 날개형 지압돌기의 표면부 형상은 사각, 원형 등의 당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훌라후프의 외측면에는 여러 가지 문양의 홀로그램과 예를 들면 산, 동물, 사람, 꽃 또는 구름 등의 그림문양으로 그려넣을 수 있고,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에 건전지와 온 ·오프 스위치(22)을 장착하여 어두운 곳에서 사용시 전원을 온하여 불빛을 발광함으로서 보다 미려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지압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타원형태의 단면선형을 유지하여 손으로 잡고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고 몸에 밀착성이 우수하며, 각각의 지압돌기는 축에 의해 절첩되도록 이루어지고, 절첩시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지압돌기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지압돌기 부착시 발생하는 통증 없이 남녀노소 사용이 가능하며, 몸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하여 지압효과와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링형 관체의 내주면에 지압돌기 삽입홈과 지압돌기 삽입홈을 가로지르는 축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상에 날개형 지압돌기를 결합함으로서 상기한 지압돌기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으로 절첩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압돌기의 절첩운동시 스프링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각각의 지압돌기가 신체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지압과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2. 제1항에 있어서, 훌라후프는 타원형 단면형을 갖는 복수개의 링형 관체가 일측에 물림턱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물림홈에 의해 원호형태로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3. 제1항에 있어서, 훌라후프는 타원형 단면형을 갖는 링형 관체의 일측의 물림홈에는 상부와 하부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물림턱에는 스프링 작용실을 구성하고, 스프링 상부와 하부에 상·하방향 이동축을 장치하여 링형 관체의 일측 물림홈에 다른 링형 관체의 일측 물림턱을 삽입함으로서 상기 상부와 하부의 상 ·하방향 이동축이 상기 스프링 작용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상기 물림홈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4. 제1항에 있어서, 날개형 지압돌기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의 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의 표면부을 갖고 후면에는 날개형으로 돌출되고, 후면 돌출부위의 양측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결합공이 형성된 구조이며, 훌라후프의 링형 관체의 지압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축결합공과 상기 링형 관체를 이루는 타원형 덮개의 지압돌기 삽입홈의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축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을 각각의 축결합공과 축공에 관통시킴으로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90°각도로 작용단을 갖는 2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몸통부분을 날개형 지압돌기의 결합공과 결합된 축에 삽입하여 한쪽 작용단은 훌라후프의 타원형 본체에 결합 고정하고 다른 한쪽 작용단은 지압돌기의 내측 상 ·하 부분에 각각 접지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지압돌기 삽입홈의 상 ·하 방향으로 평스프링을 설치하고, 날개형 지압돌기의 후면 돌출부위의 중앙부를 평편하게 구성하여 축상에 결합되는 지압돌기 후면 돌출부위가 평 스프링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7. 제1항에 있어서, 링형 관체의 단면이 단일의 타원형상의 링형 관체이고 링형관체의 날개형 지압돌기 삽입홈의 양측면은 격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벽의 중앙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날개형 지압돌기 후면의 날개형 돌출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봉이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에 건전지와 온 ·오프 스위치를 장치하여 온시 불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의 외주면에 홀로그램 문양 또는 그림을 그려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10.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압돌기의 표면 상 ·하부에 반구형의 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1020017013955A 2000-10-21 2001-10-11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20076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391U KR200221265Y1 (ko) 2000-10-21 2000-10-21 훌라후프에 구비된 곡선형 지압돌기
KR2020000029391 2000-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13A true KR20020076113A (ko) 2002-10-09

Family

ID=196708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391U KR200221265Y1 (ko) 2000-10-21 2000-10-21 훌라후프에 구비된 곡선형 지압돌기
KR1020017013955A KR20020076113A (ko) 2000-10-21 2001-10-11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391U KR200221265Y1 (ko) 2000-10-21 2000-10-21 훌라후프에 구비된 곡선형 지압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221265Y1 (ko)
AU (1) AU2001294325A1 (ko)
WO (1) WO20020325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33B1 (ko) * 2006-04-12 2007-12-24 김혜중 훌라후프
KR100922997B1 (ko) * 2009-04-29 2009-10-22 이상희 표면 전사 처리된 훌라후프의 제조방법과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훌라후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09B1 (ko) * 2006-05-29 2008-08-12 정진구 허리 지압구
JP2011024987A (ja) * 2009-06-26 2011-02-10 Ns Kikaku:Kk フラフー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0054A (ko) * 1989-05-02 1992-02-19 엥게세트 노르낭거 시뇌배 접을 수 있는 훌라후프
KR100289032B1 (ko) * 1998-04-16 2001-05-02 서종수 훌라후프
KR20020003684A (ko) * 2000-06-26 2002-01-15 오권택 지압용 훌라후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33B1 (ko) * 2006-04-12 2007-12-24 김혜중 훌라후프
KR100922997B1 (ko) * 2009-04-29 2009-10-22 이상희 표면 전사 처리된 훌라후프의 제조방법과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4325A1 (en) 2002-04-29
KR200221265Y1 (ko) 2001-04-16
WO2002032508A1 (en)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876A (en) Hand held massager
JP2007082990A (ja) 指圧突起を備えたマッサージ器
US20040015110A1 (en) Massaging device
KR20020076113A (ko)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US4191179A (en) Body massaging apparatus
US20060224092A1 (en) Massaging apparatus
US20040230147A1 (en) Hand held massaging apparatus
KR101780452B1 (ko)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KR100365570B1 (ko) 훌라후프
KR200232385Y1 (ko) 훌라후프
JPH0211093Y2 (ko)
KR200228226Y1 (ko) 체인식 훌라후프
KR200210368Y1 (ko) 훌라후프
KR200247189Y1 (ko) 안마봉
CN209405213U (zh) 一种按摩器
KR200183565Y1 (ko) 다기능 손지압기
JPH0749951Y2 (ja) 指圧、マッサージ具
KR200265400Y1 (ko) 다목적 맛사지구
JP3170366U (ja) 指圧突起を備えたマッサージ器
KR200260801Y1 (ko) 지압구
KR102017681B1 (ko)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KR200395175Y1 (ko) 사용이 용이한 안마기
RU2183445C2 (ru) Шарик массажный
KR200243872Y1 (ko) 지압기
KR0120370Y1 (ko) 악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