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52B1 -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52B1
KR101780452B1 KR1020160124444A KR20160124444A KR101780452B1 KR 101780452 B1 KR101780452 B1 KR 101780452B1 KR 1020160124444 A KR1020160124444 A KR 1020160124444A KR 20160124444 A KR20160124444 A KR 20160124444A KR 101780452 B1 KR101780452 B1 KR 10178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divided
main body
outer body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필
Original Assignee
전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필 filed Critical 전상필
Priority to KR102016012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4Foldable elastic frame members automatically resuming their expanded state when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훌라후프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탄성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와 일부분만이 닿아 근육을 자극하는 효과의 저하와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다른 종래의 훌라후프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신축력을 제공하였으나, 원심력에 의해 신축되면서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가 스프링 사이에 집혀 훼손되거나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와 훌라후프를 단순동작으로 운동에 흥미를 잃게 되어 보관공간만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의 훌라후프를 여러 마디로 분할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분할된 본체를 피벗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할된 본체의 외부는 부드러운 연질로 형성하여 신체와 닿으면서 발생하는 통증을 줄이며 내부는 강도를 갖는 경질로 형성시켜 훌라후프의 내구성 및 생활방수 기능을 갖추고, 분할된 본체에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운동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시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게임을 즐기도록 하며, 분할된 본체에 저주파 및 진동을 발생시켜 운동 전,후 뭉쳐진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Split prefabricated multi-function hula hoop}
본 발명은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훌라후프를 여러 마디로 분할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분할된 본체를 피벗(pivot)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조립하고, 분할된 본체의 외부는 부드러운 연질로 형성하여 신체와 닿으면서 발생하는 통증을 줄이며 내부는 강도를 갖는 경질로 형성시켜 훌라후프의 내구성을 높이는 한편 생활방수로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분할된 본체에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운동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시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게임을 즐기도록 하며, 분할된 본체에 저주파 및 진동을 발생시켜 운동 전,후 뭉쳐진 근육을 이완시키도록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의 사전적 의미란 지름 1m 안팎의 합성수지의 테로서, 그 속에 들어가 허리둘레가 테의 내경 어느 부분에 닿은 상태로 몸을 흔들어 그 테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계속 돌게 하여 즐기는 놀이로써, 훌라는 하와이의 훌라춤, 후프는 테를 뜻한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허리를 돌려 얻는 회전력으로 허리 및 복부를 자극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유연성 및 근력을 키우는데 유용한 유희구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종래의 훌라후프는 대체로 외면이 매끄러우면서도 경량으로 형성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둥근 테를 제작하였다.
또한, 공개된 실용신안등록 제0471942호(명칭: 기능헝 훌라후프)와 같이, 훌라후프의 내측면에 허리 및 복부를 자극하도록 간헐적으로 지압돌기 또는 지압편이 구성하여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훌라후프는 휘어지는 탄성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와 일부분만이 닿아 근육을 자극하는 효과가 저하됨은 물론 몸이 허약한 어린이들이 큰 원심력을 발휘하도록 열중을 하다 보면 장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가 지속적으로 신체 허리부분을 압박하듯 누르면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다른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464284호(명칭: 훌라후프)가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중앙이 관통된 하나의 구슬과 대응하는 하나의 스프링이 일체로 이루어진 단위연결심체와, 상기 단위연결심체를 복수개 조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관통하여 엮어주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 단부에 체결된 숫결속클립과, 상기 숫결속클립과 대응하는 암결속클립이 결속된 탄성밴드의 일측단부에 체결된 결속고리와, 상기 결속고리에 근접 배치된 단위연결심체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팽창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결속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훌라후프는 구슬과 스프링이 반복연속하여 설치시켜 훌라후프에 신축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비사용시에는 늘어지거나 접어지도록 구성되어 휴대를 간편하도록 하였으나, 그 훌라후프를 돌리는 과정에서 스프링은 원심력에 의해 신축되면서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가 스프링 사이에 집혀 훼손되거나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훌라후프는 떨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단순동작으로 운동에 흥미를 잃게 되어 보관공간만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훌라후프를 여러 마디로 분할하여 휴대 및 보관성을 높이고 조립은 피벗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신체와 닿았을 때 거부감에 의한 트러블 및 통증을 방지하도록 유연성을 갖춘 동시에 생활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고, 훌라후프를 사용한 운동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 그리고 공유하여 흥미를 높여 즐기게 하며, 또한, 저주파 및 진동을 발생하도록 설치하여 훌라후프를 신체에 접촉한 후 근육을 이완시켜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확관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삽입부가 형성되는 외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몸체에 내장되어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심지로 이루어진 분할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훌라후프 사용시 나타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운동 전,후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는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분할본체의 삽입부가 다른 분할본체의 삽입홈에 삽입 끼워져 원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는 부드럽게 휘어져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연질로 형성되고, 외부몸체에 내장된 심지는 외부몸체를 지지하여 휘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몸체보다 단단한 경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삽입홈 일단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턱이 구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내측부분의 일부 구간을 절개한 회전간섭방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삽입부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확관부 내부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제1자석이 구성되고, 삽입부 내부에는 상기 제1자석과 다른 극에 의해 인력으로 고정되는 제2자석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는 외부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훌라후프의 회전수, 속도, 운동시간 및 위치를 수집하는 6축자이로센서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6축자이로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는 저주파자극기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 6축자이로센서, 송신부 및 저주파자극기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엘이디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SB충전단자의 일단은 삽입홈 내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USB를 이용하여 전원부가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비충전시에는 노출된 상기 USB충전단자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USB충전단자를 폐쇄하는 폐쇄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외부몸체의 타단이 개방되도록 삽입부를 분할하여 개방된 상기 외부몸체의 타단을 폐쇄하도록 분할된 삽입부 내부로 외부몸체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USB충전단자의 일단은 개방된 상기 외부몸체의 타단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USB를 이용하여 전원부가 충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본체에 설치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편심회전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회전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훌라후프를 여러 마디로 분할된 분할본체로 형성하고, 그 분할본체의 일단 확관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조립함으로써, 훌라후프의 수에 따라 외경 즉 전체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본체에서 신체와 접촉하는 외부몸체는 연질로 형성하여 신체형상에 맞춰 유연하게 휘어져 종래보다 비교적 넓은 부분을 감싸 자극하는 효과와 더불어 내부 심지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비교적 강도가 높은 경질로 형성시켜 훌라후프가 임의로 휘어지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더불어 생활방수기능으로 내부에 설치된 디바이스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홈 내주연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타단 삽입부에는 걸려지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조립된 훌라후프가 큰 원심력을 발휘하더라도 임의로 해체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상기 걸림턱에서 내측 일부를 절개한 회전간섭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삽입부가 간섭없이 내측으로 휘어져 원형을 이루게 되어 펼쳐진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저항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상기 확관부 내부에 제1자석을 설치하고, 삽입부 내부에 제2자석을 설치함으로써, 삽입시 동일한 극으로 척력이 감득되면 분할본체를 돌려 다른 극에 의한 인력으로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와 더불어 디바이스가 항상 정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본체 내부에 디바이스를 설치함으로써, 6축자이로센서에 의해 훌라후프 회전수, 속도, 운동시간 및 위치를 수집하고, 불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순위를 겨루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할된 분할본체의 저주파자극기와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운동 전,후 뭉친 근육을 저주파 및 진동으로 이완시키는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에서 외부몸체를 단면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유연성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분할본체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에 결합턱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에 회전간섭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자석이 설치된 상태에서 척력(斥力)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사시도
도 8b는 도 8b에서 분할본체가 회전하여 제1,2자석이 서로 인력(引力)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을 갖는 원형의 훌라후프를 돌려 타원형으로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USB충전단자를 폐쇄커버로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USB충전단자를 분할된 삽입부가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 내측에 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모터가 분할본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틀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를 이용하여 저주파자극 및 전동마사지를 받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훌라후프(1)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크게, 각각으로 분할되어 원형으로 조립되는 분할본체(10)와 그 분할본체(10)에 설치되는 디바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본체(10)는 각각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서로의 단부를 연결하면 원형의 훌라후프(1)를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분할본체(10)의 외부는 적정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유연성을 갖도록 연질로 형성되는 외부몸체(11)가 형성되되, 상기 외부몸체(11)의 일단은 삽입홈(13)이 구비된 확관부(12)로 구성되고, 타단은 다른 분할본체(10)의 삽입홈(13)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삽입부(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11)의 내부에는 연질의 외부몸체(11)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되도록 비교적 강도를 갖는 경질의 심지(15)가 길이빙향으로 길게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본체(10)는 최초 곧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할본체(10)의 삽입홈(13)에 다른 분할본체(10)의 삽입부(14)를 이어서 연결하면 원형으로 조립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연질의 외부몸체(11)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됨으로써, 표면이 부드러워야 하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때 허리 또는 복부에 통증이 없어야 사용자가 쉽게 질리지 않고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몸체(11)의 재질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후술할 디바이스(30)를 구성하는 전원부(31)가 각각의 분할본체(10)에 별도의 전선없이도 전기를 통할 수 있도록 전도성을 갖춘 실리콘카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질의 심지(15)는 유연성을 갖는 외부몸체(11)가 임의로 흐느적거리지 않도록 내구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강도를 높인 실리콘이거나 또는 우레탄폼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실리콘과 우레탄을 혼합한 우레탄실리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관부(12)는 그 부분이 외부몸체에서 돌출됨으로써, 훌라후프(1)를 돌릴 때 간헐적으로 신체의 허리 및 복부를 긴장과 완화되도록 지압하듯 자극하는 작용으로 높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상기 분할본체(10)를 조립하여 훌라후프(1)를 돌리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그 원형이 원심력에 의해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넓은 허리 및 복부와 접촉 자극하여 확관부(12)와 함께 높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부몸체(11)와 심지(15)는 그 재질이 부드러우면서도 생활방수성을 갖추어 외부몸체에 내장된 디바이스(30)에 물기가 유입됨을 차단하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할된 분할본체(10)를 조립은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확관부(12)의 삽입홈(13)에 다른 분할본체(10)의 삽입부(14)를 비교적 깊게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비교적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삽입부(14)의 내주연에 볼록한 걸림턱(16)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는 삽입부(14) 위치에는 오목한 걸림턱(16)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1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홈(13)에 삽입부(14)를 밀어 넣으면 연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는 걸림턱(16)이 삽입부(14)의 외주연을 따라 벌어진 후, 외경이 작은 걸림홈(17)에서 다시 오므려지는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게 고정되어 훌라후프(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해체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상기 걸림턱(16)의 내측 일부 구간을 절개하여 회전간섭방지부(18)를 형성하여 분할본체(10)를 조립하여 원형을 이룰 때 삽입부(14)가 걸림턱(16)의 간섭저항에 의해 휘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여 훌라후프(1)가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상기 확관부(12)의 내부에 제1자석(21)을 매립하고, 삽입부(14)의 내부에는 제1자석(21)과 인력(引力)으로 항상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2자석(22)이 매립 설치된다.
즉, 상기 제1,2자석(21)(22)이 서로 당기는 인력(引力)과 밀어내는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립할 때 손에 감득되는 느낌으로 고정의 완료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제1,2자석(21)(22)의 인력은 항상 동일 위치에서 발생함으로써, 분할본체(10)에 구비된 디바이스(30)가 항상 정위치 즉, 조립된 분할본체(10)의 상부 또는 외측에 배치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신체에 자력이 전달되면 인체 내의 정체된 철분이 활기를 띠면서 기혈을 움직이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2자석(21)(22)은 어느 일측 방향에 한 쌍의 단수가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양측방향에 한 쌍의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30)는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외부체 내부에 설치되어 훌라후프(1)를 사용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USB로 고속충전되는 USB충전단자(31-1)가 구비되는 원부(31)가 설치되고, 그 전원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33)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훌라후프(1)의 수평회전상태, 회전수, 회전속도, 운동시간 및 운동하고 있는 위치를 수집하는 6축자이로센서(34)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6축자이로센서(34)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36)으로 전송하는 송신부(35)가 구비되어, 개인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훌라후프(1)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어플리케에션(36)으로 접속하여 순위를 겨룰 수 있는 게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동 전,후 뭉친 근육을 풀어 이완시키도록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자극기(37)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31), 6축자이로센서(34), 송신부(35) 및 저주파자극기(37)의 작동 및 충전상태를 외부몸체 외부로 나타내는 엘이디모듈(39)이 구비된다.
상기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전원부(31)에 구비된 USB충전단자(31-1)의 일단이 확관부(12)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13) 내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USB를 쉽게 꽂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원부(31)의 충전이 완료되면 노출된 상기 USB충전단자(31-1)를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폐쇄커버(31-2)로 폐쇄하여 USB충전단자(31-1)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외부몸체(11)의 타단이 개방되도록 삽입부(14)를 분할하여 외부몸체(11)의 타단과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외부몸체(11)의 개방된 부분에 USB충전단자(31-1)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시켜 USB를 이용하여 전원부(31)가 충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분할된 삽입부(14)는 비충전시 노출된 USB충전단자(31-1)를 폐쇄하는 마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전술한 폐쇄커버(31-2)와 마찬가지로 USB충전단자(31-1)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여 디바이스(30)가 파손됨을 방지하는 것이고, 더불어 분할본체(10)에서 USB충전단자(3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홈(13) 내부 또는 삽입부(14) 내부에 감추도록 하여 훌라후프(1)의 전체형상을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2)는 전원부(31), 6축자이로센서(34), 송신부(35) 및 저주파자극기(37)를 제어하면서도 분할본체(10)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크기가 소형인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CU는 반도체 내의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서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상기 저주파자극기(37)에서 발생한 저주파는 훌라후프(1)를 사용하거나 또는 분할된 분할본체(10)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켜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분할본체(10)의 내측면에 저주파를 신체에 전달하는 패드(3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할본체(10) 내부에는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진동을 이용하여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소형의 진동모터(40)가 설치되고, 그 진동모터(40)의 축에 편심회전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편힘회전구(4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30)는 조립되는 분할본체(10) 중 어느 한 분할본체(10)에만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전원분의 전원을 공급은 그 외부몸체(11)의 재질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카바로 형성하여 각각의 분할본체(10)에 설치되는 저주파자극기(37)와 진동모터(4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전도성이 없는 실리콘으로 외부몸체(1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본체(10)에 디바이스(30)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저주파자극기(37)와 진동모터(40)가 구비된 분할본체(10)는 참고도면 15와 같이, 신체부위의 부피 예를 들어 종아리, 허벅지 또는 팔뚝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작은 부분은 디바이스(30)가 설치된 하나의 분할본체(10)로 감아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부피가 큰 허리나 등부분을 감싸도록 복수의 분할본체(1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신체에 감아지는 분할본체(10)는 그 유연성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두 팔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자유로운 두 팔로 다른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훌라후프(1)는 분할본체(10)의 휴대 및 조립이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학교, 가정 또는 공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고, 디바이스(30)를 이용하여 운동량을 전용 어플리케인션(36)에 전송시켜 개인이나 또는 운동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을 하듯이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운동 전,후 분할본체(10)를 분할하여 뭉치고 피곤한 근육을 저주파자극기(37)와 진동모터(40)를 이용하여 이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훌라후프: 1 분할본체: 10
외부몸체: 11 확관부: 12
삽입홈: 13 삽입부: 14
심지: 15 걸림턱: 16
걸림홈: 17 회전간섭방지부: 18
제1,2자석: 21, 22 디바이스: 30
전원부: 31 USB충전단자: 31-1
폐쇄커버: 31-2 제어부: 32
작동버튼: 33 6축자이로센서: 34
송신부: 35 어플리케이션: 36
저주파자극기: 37 패드: 38
엘이디모듈: 39 진동모터: 40 편심회전구: 41

Claims (12)

  1. 여러 마디로 분할되어 원형으로 조립되는 훌라후프에 있어서,
    일단에 삽입홈(13)이 형성된 확관부(12)가 구비되고, 타단은 삽입부(14)가 형성되는 곧은봉 형태의 외부몸체(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몸체(11)에 내장되는 심지(15)로 이루어진 분할본체(10)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모터(40)의 편심축에 설치되는 편심회전구 및 훌라후프(1) 사용시 나타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디바이스(30)로 구성되어, 상기 분할본체(10)의 삽입부(14)가 다른 분할본체(10)의 삽입홈(13)에 끼워지되 상기 삽입홈(13) 일단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턱(16)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6)이 걸려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의 삽입부(14)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17)이 구성되어, 피봇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삽입홈(13) 일단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걸림턱(16)이 구성되되, 상기 삽입홈(13)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내측 일부 구간을 절개한 회전간섭방지부(18)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6)이 걸려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삽입부(14)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17)이 구성되어, 훌라후프(1) 조립시 절개된 회전간섭방지부(18)로 삽입부(14)가 이동하여 원형으로 간섭없이 휘어지는 동시에 고정된 훌라후프(1)가 임의로 해체됨을 방지하며, 상기 외부몸체는 실리콘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디바이스(30)를 작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도성을 갖는 실리콘카바로 이루어지고, 경질로 이루어지는 심지(15)는 상기 외부몸체(11)의 실리콘보다 비교적 강도를 높인 실리콘이거나, 또는 강도가 높은 우레탄폼이거나, 또는 실리콘과 우레탄폼을 혼합한 우레탄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2) 내부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제1자석(21)이 구성되고, 삽입부(14) 내부에는 상기 제1자석(21)과 다른 극에 의해 인력으로 고정되는 제2자석(22)이 구성되어, 훌라후프(1) 조립시 각각의 분할본체(10)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동시에 조립 완료 후 디바이스(30)의 방향이 항상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0)는 외부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USB충전단자(31-1)로 충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1)와, 상기 전원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버튼(33)으로 동작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훌라후프(1)의 회전수, 속도, 운동시간 및 위치를 수집하는 6축자이로센서(34)와,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6축자이로센서(34)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36)으로 전송하는 송신부(35)와,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는 저주파자극기(37)와,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31), 6축자이로센서(34), 송신부(35) 및 저주파자극기(37)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엘이디모듈(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충전단자(31-1)의 일단은 삽입홈(13) 내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USB를 이용하여 전원부(31)가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비충전시에는 노출된 상기 USB충전단자(31-1)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USB충전단자(31-1)를 폐쇄하는 폐쇄커버(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11)의 타단이 개방되도록 삽입부(14)를 분할하여 개방된 상기 외부몸체(11)의 타단을 폐쇄하도록 분할된 삽입부(14) 내부로 외부몸체(11)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USB충전단자(31-1)의 일단은 개방된 상기 외부몸체(11)의 타단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USB를 이용하여 전원부(31)가 충전되도록 구성되며,
    비충전시에는 분할된 삽입부(14)로 개방된 외부본체의 타단을 폐쇄하여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자극기(37)에서 발생한 저주파는 분할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신체와 접촉하는 패드(38)로 전달되어 신체를 자극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30)는 각각의 분할본체(10)에 구성되거나, 또는 분할된 분할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분할본체(10)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12. 삭제
KR1020160124444A 2016-09-28 2016-09-28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KR10178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444A KR101780452B1 (ko) 2016-09-28 2016-09-28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444A KR101780452B1 (ko) 2016-09-28 2016-09-28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52B1 true KR101780452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444A KR101780452B1 (ko) 2016-09-28 2016-09-28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052A (ko) * 2018-11-30 2020-06-09 김정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76Y1 (ko) * 2000-10-06 2001-03-15 최병무 지압용 훌라후프
KR100832598B1 (ko) * 2007-04-02 2008-05-27 정문일 전자식 훌라후프
JP2010253180A (ja) * 2009-04-28 2010-11-11 Ehara:Kk フラフ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76Y1 (ko) * 2000-10-06 2001-03-15 최병무 지압용 훌라후프
KR100832598B1 (ko) * 2007-04-02 2008-05-27 정문일 전자식 훌라후프
JP2010253180A (ja) * 2009-04-28 2010-11-11 Ehara:Kk フラフ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052A (ko) * 2018-11-30 2020-06-09 김정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392B2 (en) Sexual stimulation device
CA2964059C (en) Dual-penetration sex toy for heterosexual couples
AU2018274935B2 (en) Method and Devices to Hydraulic Consumer Devices
US20080082028A1 (en) Massaging Apparatus
CA2491249A1 (en) Electro-mechanical sexual stimulation device
EP3925588B1 (en) Massage device integrated with electrical pressing, tapping and vibration functions
KR100526058B1 (ko) 침대겸용 허리운동용 매트리스
KR101780452B1 (ko) 분할조립식 다기능 훌라후프
JP7337355B2 (ja) 圧力部を備えるマッサージ器具、この器具を使用する方法、及びこの器具の製造方法
CN211658709U (zh) 肌肉按摩玩具
JP3240032U (ja) Ems付き頭部用マッサージ装置
KR20020076113A (ko)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WO2018112583A1 (pt) Dispositivo de automassagem para braço ou perna
CN203694537U (zh) 手指锻炼器
CN109394508A (zh) 一种按摩装置
CN218922961U (zh) 一种提高眼眶四周的血液循环电脉冲护眼仪
CN213251066U (zh) 一种一字缝按摩专用衣裤和纽扣式按摩器
CN219250902U (zh) 一种拆装式按摩器
CN208770358U (zh) 一种乳房按摩仪
KR200464284Y1 (ko) 훌라후프
CN220002303U (zh) 一种新型震动按摩球
CN217908620U (zh) 一种ems按摩带
RU207367U1 (ru) Масс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тремя вибраторами
CN215938252U (zh) 一种颌部理疗仪
KR200427438Y1 (ko) 신체 밀착형 훌라후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