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822A -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822A
KR20180062822A KR1020160162943A KR20160162943A KR20180062822A KR 20180062822 A KR20180062822 A KR 20180062822A KR 1020160162943 A KR1020160162943 A KR 1020160162943A KR 20160162943 A KR20160162943 A KR 20160162943A KR 20180062822 A KR20180062822 A KR 2018006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rail
parking
bogi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346B1 (ko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행 대차를 수평 횡행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횡행 대차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횡행 대차의 제작 과정에서 구동 유닛이 횡행 대차에 장착된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모듈 형태로 제작된 횡행 대차를 횡행 가이드 레일 상에 간단하게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특히, 구동 유닛의 부품들을 제작 과정에서 모두 정렬 상태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시 별도의 부품 설치 작업이나 정렬 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횡행 대차에 결합되어 횡행 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부에 대해 트롤리 모듈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횡행 대차의 이동시에도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승강로와 주차실의 이동 과정에서 전원 공급의 차단 현상 없이 계속적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Transverse Transferring Apparatus of Vehicle for Lifting Type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유닛을 횡행 대차에 장착하여 모듈 형태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현장 설치 작업시 별도의 부품 설치 작업이나 정렬 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횡행 대차의 이동시에도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가능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마다 차량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반면에 이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주차시설 확충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대도시, 그 중에서도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 한복판의 사업용 고층 건물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다.
이러한 도심의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책으로서, 한정된 공간에 가능한 한 많은 차량을 주차시키고 이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을 채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방식의 주차 시스템은 건물의 일부나 또는 전용 건물에 수직 방향으로 주차 공간을 확보한 후 차량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 주차 공간에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 중에는 팰릿(pallet) 방식과 포크(fork) 방식이 있는데, 이중 포크 방식의 주차 시스템은, 포크 형태의 리프트(lift)에 차량을 입고시킨 후에, 정해진 주차 위치에서 포크 형태의 횡행 트레이(tray)와 교차하면서 차량을 주차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포크 방식은 팰릿 방식에 비해서 입출고 속도가 빠르고, 벡터 인버터 방식의 신제어 방식의 채택으로 입출고 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원회생제어, 역률제어로 소비 전력량을 줄이고, 고장 내용 모니터링 기능 등 각종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편리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저소음 및 저진동으로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며 각 층별로 횡행 모터를 설치하여 횡행 모터가 고장났을 때 고장층을 제외하고는 전층의 운행이 가능하게 되며, 건물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으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타워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중앙 부분에는 차량을 입출고하도록 승강 리프트(10)가 승하강하는 승강로 공간이 형성되고, 승강로 공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차량을 격납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실이 수직 적층되는 형태로 각 층마다 형성된다. 승강 리프트(10)는 별도의 승강 구동 장치(60)에 와이어(61)로 연결되어 승강 구동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주차실에는 별도의 횡행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차량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주차실에서 차량을 주차된 상태로 지지하는 횡행 대차(50)가 구비된다. 횡행 대차(50)에는 다수개의 포크 형상의 암(51)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승강 리프트(10)에도 이에 대응되는 포크 형상의 암이 형성되며, 이러한 포크 형상의 암 구조를 통해 승강 리프트(10)와 횡행 대차(50)가 서로 교차하며 차량을 서로 교환하게 된다. 승강로에는 승강 리프트(10)의 승하강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승하강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고, 주차실 및 승강로에는 횡행 대차(50)의 수평 횡행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주차실 횡행 가이드 레일(40)과, 승강로 횡행 가이드 레일(30)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차량이 차량 출입부(1)에 입고되면, 승강 리프트(10)에 적재된 상태로 특정 층까지 상승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해당 층의 횡행 대차(50)가 주차실에서 승강로 측으로 이동하며, 이후, 승강 리프트(10)가 횡행 대차(50)와 교차하며 하강 이동함으로써, 승강 리프트(10)의 차량이 횡행 대차(50)로 이동 적재된다. 이후, 횡행 대차(50)가 차량을 적재한 상태로 주차실로 수평 횡행 이동하여 주차 보관하게 된다. 해당 차량의 출고 과정은 이와 반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이때, 횡행 대차(50)가 수평 횡행 이동하는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실 횡행 가이드 레일(40) 및 승강로 횡행 가이드 레일(30)에는 다수개의 회전 롤러(31)가 일렬 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횡행 대차(50)는 일단의 가이드 프레임(52)이 "ㄷ"자 채널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52)이 회전 롤러(3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 롤러(31)가 회전하면, 회전 롤러(31)와 가이드 프레임(52)의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52)이 수평 횡행 이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횡행 대차(50)가 일체로 수평 횡행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횡행 가이드 레일(30,40)에는 다수개의 회전 롤러(31)에 대한 회전 구동을 위해 하나의 구동 스프라켓(33)과 다수개의 종동 스프라켓(32)이 장착되고, 이들은 다수개의 연결 체인(70)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별도의 횡행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 스프라켓(33)을 회전 구동하면, 구동 스프라켓(33)에 연결 체인(70)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종동 스프라켓(32)이 동시에 회전하고, 이에 결합된 다수개의 회전 롤러(31)가 회전하여 마찰력에 의해 횡행 대차(50)를 수평 횡행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횡행 구동 장치는 횡행 대차(50)가 마련되는 각각의 층마다 횡행 가이드 레일(30,40) 또는 골조 프레임 등에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회전 롤러(31) 및 스프라켓(32,33) 등 그 구성 부품이 많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에서 정렬 상태를 조절해야 하는 등 그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4148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유닛을 횡행 대차에 장착하여 모듈 형태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현장 설치 작업시 별도의 부품 설치 작업이나 정렬 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 체인과 스프라켓과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구동 유닛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행 대차의 이동시에도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승강로와 주차실의 이동 과정에서 전원 공급의 차단 현상 없이 계속적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을 입출고하도록 승강 리프트가 상하 이동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을 격납 주차시키는 주차실이 구비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로와 주차실 상호 간에 차량을 횡행 이송시키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횡행 대차; 상기 횡행 대차를 지지하며 상기 횡행 대차가 상기 승강로와 주차실 사이에서 횡행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횡행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횡행 대차에 장착되어 상기 횡행 대차를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상기 횡행 대차의 양측단 외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롤러;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횡행 대차에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 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회전 롤러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심원 형태의 2개의 주행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동 스프라켓은 상기 2개의 주행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체인의 최외곽면이 상기 2개의 주행면보다 상기 회전축을 향해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며, 상기 연결 체인은 하나의 일체형 체인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 중 중간 구간에 위치한 회전 롤러의 종동 스프라켓에는 일측 부위에서만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되고 타측 부위에서는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체인을 가이드하는 체인 가이드가 상기 회전 롤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차실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주차실 횡행 레일과,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로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승강로 횡행 레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트롤리 모듈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트롤리 모듈은,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별도의 외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트롤리 레일 전극과,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롤리 레일 전극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횡행 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전극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롤리 레일 전극은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승강로 횡행 레일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동 전극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2개 장착되며,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승강로 횡행 레일에 각각 장착된 트롤리 레일 전극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이동 전극의 이격 거리(D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행 대차를 수평 횡행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횡행 대차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횡행 대차의 제작 과정에서 구동 유닛이 횡행 대차에 장착된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모듈 형태로 제작된 횡행 대차를 횡행 가이드 레일 상에 간단하게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특히, 구동 유닛의 부품들을 제작 과정에서 모두 정렬 상태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시 별도의 부품 설치 작업이나 정렬 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행 대차의 회전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 롤러의 중간에 스프라켓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구동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결 체인과 스프라켓과의 결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구동 유닛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행 대차에 결합되어 횡행 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부에 대해 트롤리 모듈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횡행 대차의 이동시에도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승강로와 주차실의 이동 과정에서 전원 공급의 차단 현상 없이 계속적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동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회전 롤러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동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트롤리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트롤리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와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차 타워를 이루도록 기본 골조 프레임(100)이 설치되는데, 중앙부에는 차량을 입출고하도록 승강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승강 리프트(미도시)가 상하 이동하는 승강로(101)가 형성되고, 승강로(10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각 층마다 차량을 격납 주차시키는 주차실(10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승강로(101)와 주차실(102) 상호 간에 차량을 횡행 이송시키는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횡행 대차(500)와, 횡행 가이드 레일(200)과, 구동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행 대차(500)는 각 층의 주차실(102)마다 구비되며,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횡행 대차 프레임(510)과, 횡행 대차 프레임(510)에 포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크 암(520)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횡행 가이드 레일(200)은 횡행 대차(500)를 지지하며 횡행 대차(500)가 승강로(101)와 주차실(102)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횡행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횡행 가이드 레일(200)은 횡행 대차(500)의 횡행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횡행 대차(500)의 양측단 외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단순 평판형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대차(500)를 지지하며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 본체(201)와, 레일 본체(201)를 지지하도록 레일 본체(201)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앵글(202)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횡행 가이드 레일(200)은 주차실(102)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승강로(101)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승강로 횡행 레일(220)로 분리 형성된다.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승강로 횡행 레일(220) 사이에는 승강 리프트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레일(110)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 유닛(300)은 횡행 대차(500)에 장착되어 횡행 대차(500)를 횡행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대차(500)의 횡행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횡행 대차(500)의 일측단부에만 장착될 수 있으며, 횡행 대차(500)의 타측단부에는 횡행 가이드 레일(200)를 따라 회전하도록 단순한 아이들 롤러(530)만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횡행 대차(500)의 양측단부에 모두 구동 유닛(300)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는 횡행 대차(500)를 수평 횡행 이송시키는 구동 유닛(300)이 종래 기술과 달리 횡행 가이드 레일(200) 또는 골조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횡행 대차(500)에 장착되어 횡행 대차(50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횡행 대차(500)의 제작 과정에서 구동 유닛(300)이 횡행 대차(500)에 장착된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모듈 형태로 제작된 횡행 대차(500)를 횡행 가이드 레일(200) 상에 간단하게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설치 작업시 종래 기술에서는 횡행 가이드 레일(200)에 다수개의 구동 장치 관련 부품(다수개의 롤러, 스프라켓, 체인 등)들을 현장에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작업시 이러한 구성 부품들의 정렬 상태를 조절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설치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횡행 대차(500)에 구동 유닛(300)을 장착한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이러한 모듈을 설치 현장에 그대로 장착하면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품 설치 작업이나 정렬 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횡행 가이드 레일(200) 상에는 횡행 대차(500)가 주차실(102) 및 승강로(101) 상에서 정지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600)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세부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동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회전 롤러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구동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30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회전하도록 횡행 대차(50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롤러(310)와, 회전 롤러(310)를 회전 구동하도록 횡행 대차(500)에 결합되는 구동부(320)와, 구동부(320)의 회전 구동력을 회전 롤러(31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 유닛(300)이 결합되는 횡행 대차(500)의 일측단부 프레임(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또는 I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310)는 이러한 횡행 대차 프레임(5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310)가 횡행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수단(330)은 구동부(32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331)과, 회전 롤러(31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 롤러(310)의 회전축(312)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 스프라켓(332)과, 구동 스프라켓(331)과 종동 스프라켓(332)을 연결하는 연결 체인(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연결 체인(333)은 하나의 일체형 체인으로 구성되며, 중간 구간에는 체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텐셔너(340)가 횡행 대차(5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 전달 수단(330)은 예시적인 것으로, 구동부(320)의 회전 구동력을 다수개의 회전 롤러(310)에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의 기계 요소들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320)와 회전 롤러(310)를 연결하는 V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 롤러(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310)의 회전축(31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심원 형태의 2개의 주행면(31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종동 스프라켓(332)은 이러한 2개의 주행면(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 스프라켓(332)은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체인(333)의 최외곽면이 회전 롤러(310)의 2개의 주행면(311)보다 회전축(312)을 향해 더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롤러(310) 구조를 통해 구동 유닛(300)에 대한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결 체인(333)과 종동 스프라켓(332)과의 결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구동 유닛(300)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횡행 대차(500)에 장착된 회전 롤러(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횡행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 롤러(310)를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시키면, 회전 롤러(310)와 횡행 가이드 레일(200) 사이에는 횡행 대차(500)의 중량에 따른 마찰력이 발생하여 횡행 대차(500)가 수평 횡행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 롤러(310)와 종동 스프라켓(332)는 동일 회전축(312)을 갖는 형태로 동일 회전축(312) 상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종동 스프라켓(332)과 회전 롤러(310)가 각각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회전 롤러(310)의 회전축 길이도 상대적으로 길어져야 하는 등 공간적인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 롤러(310)와 종동 스프라켓(332)이 전술한 구조로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여 공간적인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 체인(333)은 하나의 일체형 체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제작 및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데, 이 경우, 연결 체인(333)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종동 스프라켓(332)으로부터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 해제되어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 롤러(310)의 2개의 주행면(311) 사이에 종동 스프라켓(332)이 위치하고, 연결 체인(333)이 종동 스프라켓(332)에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2개의 주행면(311)보다 회전축(312)에 더 근접하거나 동일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 롤러(310)가 횡행 가이드 레일(200) 상에서 주행하는 동안 연결 체인(333)은 횡행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의해 그 하부로 변형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종동 스프라켓(332)으로부터 연결 체인(333)의 이탈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복수개의 회전 롤러(31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며, 연결 체인(333)은 하나의 일체형 체인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회전 롤러(31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 롤러(310) 중 중간 구간에 위치한 회전 롤러(310)의 종동 스프라켓(332)에는 일측 부위에서만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되고 타측 부위에서는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되지 않도록 연결 체인(333)을 가이드하는 체인 가이드(350)가 회전 롤러(310)에 인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롤러(310)가 4개 일렬로 배치된 경우, 최외곽의 2개를 제외한 중간 구간에 위치한 2개의 회전 롤러(310)에 대해서는 종동 스프라켓(332)의 하단부에서만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되고 상단부에서는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되지 않도록 연결 체인(333)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체인 가이드(3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구간에 위치한 회전 롤러(310)의 종동 스프라켓(332)에 대해서는 연결 체인(333)의 배치 구조상 연결 체인(333)이 상단부 및 하단부 영역 모두에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종동 스프라켓(332)의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연결 체인(333)의 피치 간격과의 정렬 상태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어긋나게 되어 사용 중에 연결 체인(333)의 이탈 또는 소음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체인(333)과의 결합 관계를 고려하여 종동 스프라켓(332)의 상단부에서는 연결 체인(333)이 맞물림 결합되지 않도록 체인 가이드(35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300)의 구동부(3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20)는 횡행 대차(500)에 장착되어 횡행 대차(500)와 함께 주차실(102)과 승강로(101) 사이를 이동하게 되므로, 전선을 이용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트롤리 모듈(400: 410,4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구동부(3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중심으로 트롤리 모듈(40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트롤리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트롤리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횡행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모듈(400)은 전기 모터로 적용되는 구동부(3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횡행 가이드 레일(200)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 전선 와이어로 연결되는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트롤리 레일 전극(4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횡행 대차(5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접촉한 상태로 횡행 대차(50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전극(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이동 전극(420)은 서로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20)는 이동 전극(420)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트롤리 레일 전극(410)에 전원이 공급되고,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이동 전극(420)이 접촉함으로써, 이동 전극(420)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동 전극(420)으로부터 구동부(320)에 전선이 연결되어 구동부(320)에 전원이 공급된다.
트롤리 레일 전극(410)은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승강로 횡행 레일(220)에 각각 장착되고, 이동 전극(420)은 횡행 대차(5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2개 장착된다. 이때,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승강로 횡행 레일(220)에 각각 장착된 트롤리 레일 전극(410)의 이격 거리(D1)는 이동 전극(420)의 이격 거리(D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횡행 대차(500)가 주차실(102)로부터 승강로(101)로 이동하는 과정 동안 구동부(320)에 대한 전원 공급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횡행 대차(500)는 도 10의 (a),(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실(102)에서 승강로(101) 측으로 횡행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트롤리 레일 전극(410)이 주차실 횡행 레일(210)과 승강로 횡행 레일(220)에 각각 설치되며, 이격 간격 D1을 갖게 되므로, 횡행 대차(500)에 장착된 이동 전극(420)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트롤리 레일 전극(410)의 이격 간격 D1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이동 전극(420)이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구동부(32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전극(420)이 2개 구비되며, 그 이격 간격 D2는 트롤리 레일 전극(410)의 이격 간격 D1 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 대차(500)의 이동 과정에서 하나의 이동 전극(420)이 주차실 횡행 레일(210)의 트롤리 레일 전극(410)과 접촉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이동 전극(420)이 승강로 횡행 레일(220)의 트롤리 레일 전극(410)에 접촉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구동부(320)에 대한 전원 공급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도 10의 (c)에 도시된 상태로 횡행 대차(5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승강로 102: 주차실
110: 승강 가이드 레일
200: 횡행 가이드 레일
210: 주차실 횡행 레일 220: 승강로 횡행 레일
300: 구동 유닛
310: 회전 롤러 320: 구동부
330: 동력 전달 수단 331: 구동 스프라켓
332: 종동 스프라켓 333: 연결 체인
340: 텐셔너 350: 체인 가이드
400: 트롤리 모듈
410: 트롤리 레일 전극 420: 이동 전극
500: 횡행 대차
600: 리미트 스위치

Claims (11)

  1. 차량을 입출고하도록 승강 리프트가 상하 이동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을 격납 주차시키는 주차실이 구비된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로와 주차실 상호 간에 차량을 횡행 이송시키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횡행 대차;
    상기 횡행 대차를 지지하며 상기 횡행 대차가 상기 승강로와 주차실 사이에서 횡행 이동하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횡행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횡행 대차에 장착되어 상기 횡행 대차를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상기 횡행 대차의 양측단 외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롤러;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횡행 대차에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회전 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회전 롤러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종동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회전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심원 형태의 2개의 주행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동 스프라켓은 상기 2개의 주행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체인의 최외곽면이 상기 2개의 주행면보다 상기 회전축을 향해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며,
    상기 연결 체인은 하나의 일체형 체인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회전 롤러 중 중간 구간에 위치한 회전 롤러의 종동 스프라켓에는 일측 부위에서만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되고 타측 부위에서는 상기 연결 체인이 맞물림 결합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체인을 가이드하는 체인 가이드가 상기 회전 롤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은
    상기 주차실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주차실 횡행 레일과,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로 구간에 수평 배치되는 승강로 횡행 레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트롤리 모듈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트롤리 모듈은
    상기 횡행 가이드 레일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별도의 외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트롤리 레일 전극과, 상기 횡행 대차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롤리 레일 전극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횡행 대차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전극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레일 전극은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승강로 횡행 레일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이동 전극은 상기 횡행 대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2개 장착되며,
    상기 주차실 횡행 레일과 승강로 횡행 레일에 각각 장착된 트롤리 레일 전극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이동 전극의 이격 거리(D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KR1020160162943A 2016-12-01 2016-12-01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KR10196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943A KR101967346B1 (ko) 2016-12-01 2016-12-01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943A KR101967346B1 (ko) 2016-12-01 2016-12-01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22A true KR20180062822A (ko) 2018-06-11
KR101967346B1 KR101967346B1 (ko) 2019-04-09

Family

ID=6260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943A KR101967346B1 (ko) 2016-12-01 2016-12-01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0429A (zh) * 2018-08-20 2018-12-04 许昌奥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行车式梳齿交换车库
CN108979242A (zh) * 2018-06-13 2018-12-11 杭州壕车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道中置式立体车库
CN109881950A (zh) * 2019-04-04 2019-06-14 湖州师范学院 小区道路立体停车模块
CN110259222A (zh) * 2019-05-22 2019-09-20 南昌大学 一种快速变轨式立体停车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2A (ja) * 1996-06-14 1998-01-06 Nissei Ltd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台車駆動装置
KR19980033671U (ko) * 1996-12-09 1998-09-05 이종수 평면 왕복식 주차설비용 주행대차의 레일 고정장치
KR20000015386A (ko) * 1998-08-28 2000-03-15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이송장치
KR200222223Y1 (ko) * 2000-11-15 2001-05-02 김성진 포크식 주차타워
KR100841487B1 (ko) 2006-12-05 2008-06-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2A (ja) * 1996-06-14 1998-01-06 Nissei Ltd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台車駆動装置
KR19980033671U (ko) * 1996-12-09 1998-09-05 이종수 평면 왕복식 주차설비용 주행대차의 레일 고정장치
KR20000015386A (ko) * 1998-08-28 2000-03-15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팰리트 이송장치
KR200222223Y1 (ko) * 2000-11-15 2001-05-02 김성진 포크식 주차타워
KR100841487B1 (ko) 2006-12-05 2008-06-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242A (zh) * 2018-06-13 2018-12-11 杭州壕车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道中置式立体车库
CN108930429A (zh) * 2018-08-20 2018-12-04 许昌奥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行车式梳齿交换车库
CN109881950A (zh) * 2019-04-04 2019-06-14 湖州师范学院 小区道路立体停车模块
CN110259222A (zh) * 2019-05-22 2019-09-20 南昌大学 一种快速变轨式立体停车库
CN110259222B (zh) * 2019-05-22 2024-02-09 南昌大学 一种快速变轨式立体停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346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346B1 (ko)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JP4708955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KR100944405B1 (ko)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KR101419356B1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JP5110051B2 (ja) 昇降機構付き軌道走行台車
JP2002087576A (ja) パレット搬送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立ライン
ITTO20130452A1 (it) Navetta di un magazzino automatizzato
US7959396B2 (en)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KR101530028B1 (ko) 이송대차 시스템
CN102400582A (zh) 一种多层单动力横移系统
TWI254695B (en) Carrying apparatus
CN2454488Y (zh) 多层平面移动式停车设备
JP200204680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105421843B (zh) 一种多层循环立体车库中自动开合的搬运座台
CN102530752A (zh) 一种可脱轨转载的两立柱皮带升降机
KR101396226B1 (ko) 반송시스템
WO2017010929A1 (en) Elevator drive and elevator system
CN205743166U (zh) 一种垂直升降类停车设备塔库中间通道横移联合传动系统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WO1997048865A1 (fr) Systeme de parking a etages multiples et procede permettant d'y faire entrer ou d'en faire sortir des voitures
JPH07106848B2 (ja) 循環式エレベータのハッチ構造
KR100445351B1 (ko)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CN105927009A (zh) 一种垂直升降类停车设备塔库中间通道横移联合传动系统
JP2004277017A (ja) 機械式搬送装置
JP2007119196A (ja) 搬送台車の経路変更用トラバ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