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35A -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35A
KR20180062535A KR1020160161607A KR20160161607A KR20180062535A KR 20180062535 A KR20180062535 A KR 20180062535A KR 1020160161607 A KR1020160161607 A KR 1020160161607A KR 20160161607 A KR20160161607 A KR 20160161607A KR 20180062535 A KR20180062535 A KR 2018006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splay
mode
uni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영
김은수
안유정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535A/ko
Publication of KR2018006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04N5/2329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부가 기능에 대한 화상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기능부: 표시부에 근접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 및 근접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부가 기능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화면을 단일모드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을 배치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단말기란 차량 내에 장착하여 교통정보, 지도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 또는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항법 시스템) 위성을 통해 수신 받는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해 지도상에 표현하고, 찾고자 하는 위치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카(car)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를 기본으로 GPS 위성에서 받는 여러 가지 전파 그리고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현 위치와 가고자하는 목적지 등을 디지털 도로지도 상에 표시해주며, 음성으로 안내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현재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능 등을 갖추고 있고, 지도정보와 DMB 영상을 화면분할에 의해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화면분할 기능이란 디스플레이 창에 두 개 이상의 화면을 띄워놓는 것을 말하는데,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PBP(Picture By Picture ) 등이 있다.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은 NIP(Navigation In Picture)와 같이 네비게이션과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운영되는 멀티태스킹 기능의 한 형태이다.
PIP는 전체 화면으로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며, 화면의 일부를 다른 기능(DMB/AV IN/동영상)에 할당하여 실행하는 형태이고, NIP(Navigation In Picture)은 DMB 혹은 동영상을 보면서 화면의 일부분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나타내는 기능을 말한다. 통상 NIP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실행 중 DMB/AV IN/ 동영상 기능 수행시 해당 기능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면 수행된다.
PBP 기능은 각각의 화면이 정사각형의 비율을 갖거나 혹은 8:10의 화면비를 가지면서 화면 전체를 채우는 식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고, POP 기능은 두 화면을 동시에 보는 기능인데, 예컨대 화면을 반으로 나누어서 왼쪽은 네비게이션 정보가 오른쪽에는 DMB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49565호(2013.05.14.)인 "차량용 단말기의 화며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최근 들어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은 점점 넓어지고 크기도 커져 센터페시아 뿐만 아니라 계기판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이 커지면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터치 형식으로 조작하고자 할 경우,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팔 길이를 고려할 때 멀리 배치된 메뉴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몸이 움직이거나 시선이 이탈되어 조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화면을 단일모드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을 배치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부가 기능에 대한 화상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기능부: 표시부에 근접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 및 근접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부가 기능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근접 감지부는, 표시부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및 IR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서 화면모드는, 표시부에 하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일모드와, 표시부를 분할하여 다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다중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화면모드에 따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부가 기능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가 근접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물의 근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화면모드는, 표시부에 하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일모드와, 표시부를 분할하여 다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다중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다중모드에서 사물의 근접상태가 해제되면 단일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화면을 단일모드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을 배치함으로써, 멀리 배치된 메뉴들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운전자의 몸이 움직이거나 시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다중모드로 전환하면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터치 조작 중 주변의 위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에서 다중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에서 다중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부(40), 부가 기능부(20), 근접 감지부(10)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카메라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부가 기능부(20)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 예를 들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화면, 네비게이션 맵 화면 및 AV(Audio Video) 화면 등을 표시한다.
부가 기능부(20)는 표시부(40)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부가 기능에 대한 화상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AV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감지부(10)는 표시부(40)에 근접하는 사물 즉, 손을 감지하여 근접상태를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여기서, 근접 감지부(10)는 표시부(4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및 IR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근접센서는 광을 방사하여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비접촉으로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IR센서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 사물과의 거리를 통해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어부(30)는 근접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된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표시부(40)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부가 기능부(20)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화면모드는 표시부(40)에 하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일모드와, 표시부(40)를 2분할이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다중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손이 표시부(40)에 근접할 경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모드로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던 상태에서 메뉴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표시부(40)에 근접하게 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0)를 2분할하여 다중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인 네비게이션 화면을 운전자와 가까운 좌측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운전석이 우측에 있는 경우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우측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50)를 통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다중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좌측에 표시하고, 우측에는 카메라부(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5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우측에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화면을 단일모드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을 배치함으로써, 멀리 배치된 메뉴들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운전자의 몸이 움직이거나 시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터치 조작 중 주변의 위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30)가 부가 기능부(20)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부(40)를 통해 표시한다(S10).
예를 들어, 부가 기능부(20)는 네비게이션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AV(Audio Video) 기능 등을 구현함으로써 DMB 방송화면, 네비게이션 맵 화면 및 AV 화면 등의 화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화면모드를 단일모드로 설정하여 도 2의 (가)와 같이 표시부(40)의 전체 화면에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화상정보를 표시부(40)에 표시한 후 제어부(30)는 근접 감지부(10)를 통해 감지한 사물의 근접상태를 판단한다(S20).
여기서 제어부(30)는 근접 감지부(10)의 근접센서나 IR센서 등을 통해 비접촉으로 근접하는 운전자의 손의 근접상태를 판단한다.
S20 단계에서 근접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물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는 S10 단계로 리턴되어 화상정보를 단일모드로 표시한다.
반면, S20 단계에서 근접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물의 근접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30)는 표시부(40)의 표시 화면을 분할한다(S30).
예를 들어,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화면으로 2분할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다수의 화면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S30 단계에서 표시 화면을 분할한 후 제어부(30)는 화면모드를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한다(S40).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에서 표시되던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좌측에 배치하여 표시하고, 우측에는 카메라부(50)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주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5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우측에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석이 우측에 있는 경우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우측에 표시할 수도 있다.
S40 단계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40)에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어부(30)는 근접 감지부(10)를 통해 감지한 사물의 근접상태를 판단한다(S50).
S50 단계에서 근접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물의 근접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30)는 S40 단계의 다중모드를 유지한다.
그러나 S50 단계에서 근접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물의 근접이 해제된 경우, 제어부(30)는 표시부(40)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복귀한다(S60).
그리고 제어부(30)는 화면모드를 단일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40)의 전체 화면에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한다(S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이 접근할 경우 화면을 단일모드에서 다중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을 배치함으로써, 멀리 배치된 메뉴들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운전자의 몸이 움직이거나 시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터치 조작 중 주변의 위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근접 감지부 20 : 부가 기능부
30 : 제어부 40 : 표시부
50 : 카메라부

Claims (12)

  1.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부가 기능에 대한 화상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기능부: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부; 및
    상기 근접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상기 부가 기능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및 IR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는, 상기 표시부에 하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일모드와, 상기 표시부를 분할하여 다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다중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8. 제어부가 부가 기능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근접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물의 근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는, 상기 표시부에 하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일모드와, 상기 표시부를 분할하여 다수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다중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를 전환하여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에 따라 상기 다중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와 함께 이전에 표시된 화상정보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중모드에서 상기 사물의 근접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단일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160161607A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2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07A KR20180062535A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07A KR20180062535A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35A true KR20180062535A (ko) 2018-06-11

Family

ID=6260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07A KR20180062535A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5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5820B2 (ja) 入力装置、車両周辺監視装置、アイコンスイッチ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650345B1 (en)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vehicle electronics device
US200900967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On-Screen Image Position, and Navig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562589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21293A1 (en) Display device
US10618528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20140107917A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navigation program
US8457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operation of a vehicle based electronic device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JP2007127993A (ja) 表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45168A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KR20190130517A (ko) Ar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내비게이션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증강 현실 페이드 인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자동차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CN103323019A (zh) 用于在导航设备中显示背景屏幕的方法
JP2007331692A (ja) 車載電子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WO2019016936A1 (ja) 操作支援装置および操作支援方法
JP2009216888A (ja) 画面表示装置
US20130106995A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8293098A (ja) 車両側方監視装置
JP2007024519A (ja) 車載用表示制御装置
JP200626461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709460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20180062535A (ko)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50134200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specific task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664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KR101856255B1 (ko)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15280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