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005A -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1005A KR20180061005A KR1020170156368A KR20170156368A KR20180061005A KR 20180061005 A KR20180061005 A KR 20180061005A KR 1020170156368 A KR1020170156368 A KR 1020170156368A KR 20170156368 A KR20170156368 A KR 20170156368A KR 20180061005 A KR20180061005 A KR 201800610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bucket
- sprocket
- sprockets
- bucke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65G17/1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and move in contact with a guid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1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gu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11)는 복수의 스프로킷(30)과, 복수의 스프로킷(30)에 권취된 무단형의 체인(60)과, 체인(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버킷(70)과, 복수의 스프로킷(30) 중 2개의 스프로킷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프로킷(30)을 따라서 체인(60)이 만곡하여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체인(60)을 각각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 부재(82)를 구비한다. 각 가이드 부재(82)는 그 가이드 부재에 인접하는 스프로킷에 대하여,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분립체 등의 반송물을 반송하는 버킷 컨베이어의 1종으로서, 복수의 스프로킷에 권취된 체인에 대하여 복수의 버킷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반송물을 버킷에 연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해,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 상하에서 서로 겹치도록 버킷이 체인에 설치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체인이 스프로킷을 따라서 만곡하면서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 간섭해 버려, 체인의 이동이 방해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는, 체인이 만곡하면서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랩 체인저를 구비하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랩 체인저는, 체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로서 설치되며, 복수의 스프로킷 중 2개의 스프로킷의 각각과 인접하는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랩 체인저는, 인접하는 스프로킷과 아울러 체인을 사행시키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체인이 다음 스프로킷에서 만곡하면서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 간섭하지 않도록 버킷의 모서리끼리의 겹침을 변경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체인에 있어서 스프로킷을 따라서 만곡하는 부분이 다각형으로 된다. 그 때문에,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주회 이동하는 체인은, 스프로킷을 따라서 다각형 운동(코덜 액션)을 한다. 그리고, 이 다각형 운동에 기인하여 체인이 스프로킷에 맞물릴 때, 체인에 현진동이 발생한다.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체인이 현진동하면, 버킷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다각형 운동에 의한 체인의 현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는, 복수의 스프로킷과,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에 권취된 무단형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버킷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한쪽 버킷의 후방측 모서리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버킷의 전방측 모서리가 상하로 겹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이며,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 중 2개의 스프로킷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따라서 상기 체인이 만곡하여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체인을 각각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각 가이드 부재는, 그 가이드 부재에 인접하는 스프로킷에 대하여, 상기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체인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스프로킷에 맞물릴 때 발생하는 체인의 현진동이, 그 체인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스프로킷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억제된다. 즉, 버킷의 모서리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체인의 현진동을 저감하는 역할도 갖는다. 그 때문에, 새로운 구성을 형성하지 않고, 원래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체인의 현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각형 운동에 의한 체인의 현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 각 버킷은, 설치 금속 부재를 통해 상기 체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버킷이 체인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체인에 대하여 버킷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금속 부재는,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상기 체인의 폭 방향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굴곡부를 가짐으로써, 설치 금속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 각 가이드 부재는,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화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체인이 크랭크형을 이루어 주회 이동하도록 스프로킷이 배치되는 구성의 경우,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의 양단부를 구성하는 헤드 부분과 테일 부분을 제외한 개소에 가이드 부재가 각각 배치된다. 그 때문에, 헤드 부분 및 테일 부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체인을 주회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회전하는 하나의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을 통함으로써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에 대하여 종동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 스프로킷을 갖고, 상기 체인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권취각이 180°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체인의 권취각이 90°인 구성과 비교하여, 체인에 대하여 큰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각형 운동에 의한 체인의 현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버킷 체인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버킷 체인의 상면도.
도 4는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되는 버킷 체인의 측면도.
도 5는 비교예로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버킷 체인의 측면도.
도 2는 버킷 체인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버킷 체인의 상면도.
도 4는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되는 버킷 체인의 측면도.
도 5는 비교예로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버킷 체인의 측면도.
이하,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이하, 간단히 컨베이어라 칭함)(11)는, 예를 들어 분립체 등의 반송물을 반송하기 위한 버킷 체인(20)과, 버킷 체인(20)이 권취되는 복수의 스프로킷(30)과, 버킷 체인(20) 및 스프로킷(30)을 수용하는 케이스(4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40)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부 케이스(41) 및 하부 케이스(42)와, 수직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간 케이스(43)를 갖고 있다. 또한, 케이스(40)는 상부 케이스(41) 및 중간 케이스(43)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스(44)와, 하부 케이스(42) 및 중간 케이스(43)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케이스(45)를 갖고 있다. 즉, 케이스(40)는 도 1에 있어서 크랭크형을 이루도록 2단계로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41)는 하부 케이스(42)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스프로킷(30)은 상부 케이스(41) 및 하부 케이스(42), 제1 연결 케이스(44) 및 제2 연결 케이스(45)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41)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1 연결 케이스(44)가 연결되는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에 스프로킷(30)이 하나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42)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2 연결 케이스(45)가 연결되는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에 스프로킷(30)이 하나 배치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스(44) 및 제2 연결 케이스(45)에 있어서는, 스프로킷(30)이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11)의 케이스(40) 내에는, 합계 6개의 스프로킷(30)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41)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41) 내에 배치된 스프로킷(30)을 구동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5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51)는 구동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축(52)을 갖고 있다. 출력축(52)에는, 출력축(52)과 동기하여 회전 가능한 출력 스프로킷(53)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 스프로킷(53)에는, 상부 케이스(41) 내의 스프로킷(30)과 동일한 회전축(31) 상에 배치된 전달 스프로킷(54)과 함께, 전달 체인(55)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 내의 스프로킷(30)은 전달 스프로킷(54) 및 전달 체인(55)을 통함으로써, 구동 모터(51)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상부 케이스(41) 내에 배치되는 스프로킷(30)은 구동 회전 가능한 구동 스프로킷(32)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그 밖의 5개의 스프로킷(30)은 버킷 체인(20)을 통해 구동 스프로킷(32)의 구동 회전에 종동 회전 가능한 종동 스프로킷(33)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스프로킷(30)은 구동 스프로킷(32)과 종동 스프로킷(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스프로킷(32)은 도 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스프로킷(30)에 권취되는 버킷 체인(20)은, 도 1에 있어서 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40) 내를 순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주회 이동한다.
상부 케이스(41) 내 및 하부 케이스(42) 내에 배치되는 구동 스프로킷(32) 및 종동 스프로킷(33)은 컨베이어(11)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케이스(41) 내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32)이 위치하는 개소를 컨베이어(11)의 헤드 부분 H, 하부 케이스(42) 내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33)이 위치하는 개소를 컨베이어(11)의 테일 부분 T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연결 케이스(44) 내 및 제2 연결 케이스(45) 내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33)이 위치하는 개소를 컨베이어(11)의 중간 부분 M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 체인(20)은 복수의 스프로킷(30)에 권최되는 체인(60)과, 체인(6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버킷(70)을 갖고 있다. 버킷(70)은 체인(60)이 스프로킷(30)을 따라서 진행하는 진행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도록 배치되며, 반송물을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버킷(70)은 버킷(70) 자신의 중량에 의해 반송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42)에는, 반송물을 케이스(40) 외부로부터 케이스(40) 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6)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46)는 하부 케이스(42) 내에 있어서 상방을 이동하는 체인(60)에 설치된 버킷(70)과 대향하도록, 하부 케이스(42)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41) 내에는, 버킷(70)이 수용하는 반송물을 케이스(40) 내로부터 케이스(4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47)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1 연결 케이스(44)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41) 내에는, 버킷(70)을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배출용 레일(81)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용 레일(81)은 배출구(47)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출용 레일(81)은 체인(60)에 설치된 복수의 버킷(70)을 그것들이 상부 케이스(41) 내에 있어서 배출용 레일(81)의 상방을 이동할 때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버킷(70)에 수용된 반송물은, 배출용 레일(81)에 의해 버킷(70)이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배출구(47)를 향하여 낙하된다. 즉, 컨베이어(11)는 투입구(46)로부터 투입된 반송물을 배출구(47)를 향하여 반송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 체인(20)은 그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조의 체인(60)과, 2조의 체인(60)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버킷(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체인(60)의 진행 방향은, 도 3에 있어서 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체인(60)은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61)를 갖는 내부 링크(62)와,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63)를 갖는 외부 링크(6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63)는 한 쌍의 내부 링크 플레이트(61)를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물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체인(60)은 내부 링크(62) 및 외부 링크(64)가 직렬하도록 교대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내부 링크(62) 및 외부 링크(64)의 단부끼리 핀(65)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무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링크(62)를 구성하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61)의 단부끼리의 사이에는, 내부 링크 플레이트(61)끼리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부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시에 핀(65)이 삽입됨으로써, 내부 링크(62)와 외부 링크(64)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내부 링크 플레이트(61)의 단부끼리의 사이에는, 부시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66)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링크(6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63) 중, 폭 방향에 있어서 2조의 체인(60)과 대향하는 한쪽 외부 링크 플레이트(63)에는, 버킷(7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금속 부재(91)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 금속 부재(91)는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외부 링크 플레이트(63)에 설치된 기단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설치 금속 부재(91)의 선단 부분에는, 버킷(70)을 지지하기 위한 축(9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축(92)은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설치 금속 부재(91)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설치 금속 부재(9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버킷(70)은 이 축(92)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즉, 버킷(70)은 설치 금속 부재(91)를 통해 체인(60)에 설치되고, 설치 금속 부재(9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킷(70)은 설치 금속 부재(91)에 고정된 축(92)에 대하여 요동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설치 금속 부재(91)는 기단 부분과 선단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에, 버킷(70)이 위치하는 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93)를 갖고 있다. 즉, 버킷 체인(20)을 상면에서 본 경우, 설치 금속 부재(91)는 굴곡부(93)에 의해 대략 크랭크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굴곡부(93)에 의해, 설치 금속 부재(91)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버킷(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버킷(70)은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버킷(70)의 전단 및 후단에는, 플랜지형 모서리(7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11)는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7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한쪽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가 상하로 중첩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는,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겹쳐 있다. 인접하는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겹침으로써,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버킷(70)끼리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기 때문에, 투입구(46)로부터 반송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버킷(70)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그 양단에, 원기둥형 보스(72)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이 보스(72)는 상부 케이스(41) 내에 배치되는 배출용 레일(81)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보스(72)가 배출용 레일(81)에 가이드됨으로써, 버킷(70)이 기울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0) 내를 주회 이동하는 체인(60)은 스프로킷(30)에 권취됨으로써, 그 진행 방향이 스프로킷(30)을 따라서 변경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11)의 헤드 부분 H 및 테일 부분 T에 있어서는, 체인(60)이 스프로킷(30)을 따라서 만곡함으로써,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반전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스(41) 내의 구동 스프로킷(32) 및 하부 케이스(42) 내의 종동 스프로킷(33)에 대한 체인(60)의 권취각이 180°로 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11)의 중간 부분 M에 있어서는, 체인(60)이 스프로킷(30)을 따라서 만곡함으로써,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 중,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되는 2개소에는, 체인(6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의 일례인 가이드 레일(82)이 케이스(40)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가이드 레일(82)은 체인(60)의 진행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종동 스프로킷(33)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레일(82)은 그 가이드 레일(82)과 인접하는 종동 스프로킷(33)에 대해,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11)의 헤드 부분 H에 주목하면, 구동 스프로킷(32)을 따라서 체인(60)이 만곡하면서 이동함으로써,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의 중첩이 변경되고 있다. 체인(60)이 제1 연결 케이스(44)측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32)을 향하여 상부 케이스(41) 내의 상방을 이동할 때는,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7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겹쳐 있다. 한편,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으로부터 제1 연결 케이스(44)측을 향하여 상부 케이스(41) 내의 하방을 이동할 때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겹쳐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과 맞물리기 시작할 때,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과 맞물리기 전과 비교하여,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을 따라서 만곡함으로써, 설치 금속 부재(91)의 기단 부분이 약간 하방을 향하여 변위되는 한편 선단 부분이 약간 상방을 향하여 변위된다. 설치 금속 부재(91)의 선단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변위되면, 그 설치 금속 부재(91)에 지지되는 버킷(70)도 또한 상방을 향하여 변위된다. 이때, 설치 금속 부재(91)는 그 설치 금속 부재(91)가 설치된 외부 링크(64)와, 그 외부 링크(64)의 후방에 위치하는 내부 링크(62)를 연결하는 핀(65)을 축으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버킷(70)끼리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넓어져,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의 겹침이 해제된다. 즉, 버킷(70)은 인접하는 2개의 버킷(7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를 피하도록 이동한다.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버킷(70)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가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의 상방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다시 중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체인(60)이 구동 스프로킷(32)을 따라서 만곡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컨베이어(11)의 테일 부분 T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42) 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컨베이어(11)의 중간 부분 M에 주목한다. 체인(60)의 진행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는 종동 스프로킷(33)은 체인(60)의 권취각이 90°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체인(60)의 진행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종동 스프로킷(33)은 가이드 레일(82)에 가이드되는 체인(60)의 권취각이 90°보다도 큰 각도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2)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체인(60)을, 이 가이드 레일(82)과 인접하는 종동 스프로킷(33)을 향하여 가이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동 스프로킷(33)은 가이드 레일(82)과 함께 체인(60)을 사행시키도록 만곡시킴으로써, 체인(60)의 진행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고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11)의 중간 부분 M 중,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 M에 주목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되는 체인(60)에 있어서,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7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겹쳐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82)은 체인(60)이 종동 스프로킷(33)과 맞물리기 전에 체인(60)을 일단 끌어올리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의 겹침을 해제하고 있다. 즉, 체인(60)은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의 겹침이 해제된 상태에서 종동 스프로킷(33)을 따라서 만곡하면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된다.
도 5는 가이드 레일(82)을 설치하지 않고, 체인(60)의 권취각이 90°로 되도록 종동 스프로킷(33)이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체인(60)이 종동 스프로킷(33)을 따라서 만곡함으로써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될 때,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7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후방측 모서리(7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버킷(70)의 전방측 모서리(71)를 밀어올리도록 하여 모서리(71)끼리 간섭한다.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간섭해 버리면, 체인(60)의 이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컨베이어(11)는 가이드 레일(82)을 설치함으로써,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간섭하지 않도록 체인(60)이 케이스(40) 내를 주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11)의 중간 부분 M 중,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 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체인(60)이 종동 스프로킷(33)과 맞물리기 전에, 가이드 레일(82)이 체인(60)을 일단 끌어내리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경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프로킷(30)에 권취되는 체인(60)은 스프로킷(30)을 따라서 다각형을 이루도록 만곡하기 때문에, 스프로킷(30)의 회전에 수반하여 다각형 운동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체인(60)이 다각형 운동을 하면, 체인(6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종진동과, 체인(60)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횡진동으로 이루어지는 현진동이 체인(60)에 발생한다. 체인(60)에 현진동이 발생하면, 진동하는 체인(60)[구체적으로는, 롤러(66)]이 스프로킷(30)에 대하여 충돌해 버려, 체인(60) 및 스프로킷(30)이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한다. 특히, 체인(60)이 스프로킷(30)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될 때보다도 맞물릴 때가 체인(60)에 큰 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현진동은, 체인(60)이 스프로킷(30)과 맞물릴 때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컨베이어(11)는 가이드 레일(82)이 스프로킷(30)과 맞물리기 직전에 체인(60)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체인(60)이 스프로킷(30)과 맞물릴 때 발생하는 체인(60)의 현진동이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82)은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의 간섭을 피하는 역할에 더하여, 체인(60)에 발생하는 현진동을 저감하는 역할도 갖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스프로킷(30)에 맞물릴 때 발생하는 체인(60)의 현진동이, 그 체인(60)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스프로킷(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억제된다. 즉, 버킷(70)의 모서리(71)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82)이 체인(60)의 현진동을 저감하는 역할도 갖는다. 그 때문에, 새로운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원래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체인(60)의 현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각형 운동에 의한 체인(60)의 현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2) 버킷(70)이 설치 금속 부재(91)를 통해 체인(60)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킷(70)이 체인(60)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체인(60)에 대하여 버킷(70)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3) 설치 금속 부재(91)가 굴곡부(93)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설치 금속 부재(9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각 가이드 레일(82)이 컨베이어(11)에 있어서 체인(60)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화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즉, 체인(60)이 크랭크형을 이루어 주회 이동하도록 스프로킷(30)이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11)의 단부를 각각 구성하는 헤드 부분 H와 테일 부분 T를 제외한 개소에 가이드 레일(82)이 각각 배치된다. 그 때문에, 헤드 부분 H 및 테일 부분 T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5) 구동 스프로킷(32)에 대한 체인(60)의 권취각이 180°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 스프로킷(32)에 대한 체인(60)의 권취각이 90°인 구성과 비교하여, 체인(60)에 대하여 큰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ㆍ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레일(82) 이외에, 예를 들어 주위면이 가이드 기능을 갖는 드럼으로 구성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82)이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수평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선을 갖는 드럼을 배치한다. 그리고, 그 드럼의 주위면에 체인(60)에 있어서의 하나의 링크[내부 링크(62) 또는 외부 링크(64)]이 걸리도록 하고, 그 체인(60)을 도 4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82)에 의해 스프로킷(30)측을 향하여 가이드될 때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해도 된다.
ㆍ구동 스프로킷(32)에 대한 체인(60)의 권취각은, 180°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ㆍ컨베이어(11)는 스프로킷(30)이 합계 6개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11)의 헤드 부분 H와 테일 부분 T에 각각 스프로킷(30)을 2개씩 설치하여, 스프로킷(30)이 합계 8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ㆍ설치 금속 부재(91)를 설치하지 않고, 버킷(70)이 체인(60)의 외부 링크 플레이트(63)에 직접 설치되어도 된다.
ㆍ설치 금속 부재(91)에 굴곡부(93)를 설치하지 않고, 설치 금속 부재(91)를 체인(6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11 :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컨베이어)
30 : 스프로킷
32 : 구동 스프로킷
33 : 종동 스프로킷
60 : 체인
70 : 버킷
71 : 모서리
82 : 가이드 레일(가이드 부재)
91 : 설치 금속 부재
93 : 굴곡부
30 : 스프로킷
32 : 구동 스프로킷
33 : 종동 스프로킷
60 : 체인
70 : 버킷
71 : 모서리
82 : 가이드 레일(가이드 부재)
91 : 설치 금속 부재
93 : 굴곡부
Claims (5)
- 복수의 스프로킷과,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에 권취된 무단형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버킷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한쪽 버킷의 후방측 모서리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버킷의 전방측 모서리가 상하로 겹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이며,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 중 2개의 스프로킷과 각각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따라서 상기 체인이 만곡하여 이동할 때, 인접하는 버킷의 모서리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체인을 각각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각 가이드 부재는, 그 가이드 부재에 인접하는 스프로킷에 대하여, 상기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각 버킷은 설치 금속 부재를 통해 상기 체인에 설치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금속 부재는,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상기 체인의 폭 방향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를 갖고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각 가이드 부재는, 상기 체인의 진행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화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체인을 주회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회전하는 하나의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을 통함으로써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에 대하여 종동 회전하는 복수의 종동 스프로킷을 갖고,
상기 체인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권취각이 180°로 되어 있는,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31504 | 2016-11-29 | ||
JP2016231504A JP6298142B1 (ja) | 2016-11-29 | 2016-11-29 |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1005A true KR20180061005A (ko) | 2018-06-07 |
KR102073040B1 KR102073040B1 (ko) | 2020-02-04 |
Family
ID=6162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368A KR102073040B1 (ko) | 2016-11-29 | 2017-11-22 |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298142B1 (ko) |
KR (1) | KR102073040B1 (ko) |
CN (1) | CN1081168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09121A (zh) * | 2019-01-14 | 2019-05-28 | 上海电机学院 | 药液输送系统 |
CN110789943A (zh) * | 2019-11-22 | 2020-02-14 | 湖南飞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链式循环吊篮运行轨迹换向结构 |
CN111747081B (zh) * | 2020-07-06 | 2020-12-22 | 汕头市陀斯包装机械有限公司 | 自动包装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39605A (ja) | 1982-08-30 | 1984-03-05 | Sumitomo Heavy Ind Ltd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JPH02147510A (ja) * | 1988-07-19 | 1990-06-06 | Refac Internatl Ltd | コンベアシステムおよび物質運搬方法 |
JP2017216807A (ja) * | 2016-05-31 | 2017-12-07 | 株式会社明電舎 | 誘導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補償方法とベクトル制御装置 |
JP2017216808A (ja) * | 2016-05-31 | 2017-12-07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16808A (ja) * | 1982-06-11 | 1983-12-16 | Sumitomo Heavy Ind Ltd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JPS58216807A (ja) * | 1982-06-11 | 1983-12-16 | Sumitomo Heavy Ind Ltd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
2016
- 2016-11-29 JP JP2016231504A patent/JP6298142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368A patent/KR1020730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7 CN CN201711206338.2A patent/CN10811683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39605A (ja) | 1982-08-30 | 1984-03-05 | Sumitomo Heavy Ind Ltd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JPH02147510A (ja) * | 1988-07-19 | 1990-06-06 | Refac Internatl Ltd | コンベアシステムおよび物質運搬方法 |
JP2017216807A (ja) * | 2016-05-31 | 2017-12-07 | 株式会社明電舎 | 誘導電動機のベクトル制御補償方法とベクトル制御装置 |
JP2017216808A (ja) * | 2016-05-31 | 2017-12-07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116837A (zh) | 2018-06-05 |
JP2018087071A (ja) | 2018-06-07 |
KR102073040B1 (ko) | 2020-02-04 |
JP6298142B1 (ja) | 2018-03-20 |
CN108116837B (zh) | 2019-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61005A (ko) | 피봇식 버킷 컨베이어 | |
EP1849725B1 (en) |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nd accumulating discrete products | |
JP2006027905A (ja) | コンベヤ | |
US3627109A (en) | Conveyor construction | |
US20090133989A1 (en) | Work Carrier Apparatus in Assembly Line | |
JP4480776B2 (ja) | コンベヤチェーンおよびコンベヤチェーン搬送装置 | |
CN209922175U (zh) | 一种缝隙紧密的输送结构 | |
US20090223779A1 (en) | Conveyor Diverter | |
AU2008294561B2 (en) | Conveyors and transmission belts | |
JP4829603B2 (ja) | ベルトコンベア式搬送装置 | |
EP0608103B1 (en) | Packaging machine with flight bar carton conveying system | |
KR101291534B1 (ko) | 원료내 이물질 제거장치 | |
US11186451B2 (en) |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 |
JPS5939605A (ja)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
JP2006298571A (ja) |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 | |
JP2006111394A (ja) | バケットコンベヤ | |
JPS5932363B2 (ja) | 連続移動する製品処理装置で製品を搬送する無端チエ−ン | |
JP5439829B2 (ja) | 整列搬送装置 | |
JP4826734B2 (ja) | カーブコンベア装置 | |
JP3605593B2 (ja) | 穀粒用横送り搬送装置 | |
KR101027245B1 (ko) | 벨트 컨베이어 | |
JP4041285B2 (ja) | フィルタープレート及び塵芥除去装置 | |
JP2008105848A (ja) | ピボテッド式コンベヤ | |
JPS58216808A (ja) | ピボテツドバケツトコンベア | |
JP2018100161A (ja) | 傾斜搬送コンベ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