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30A -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30A
KR20180060030A KR1020160159029A KR20160159029A KR20180060030A KR 20180060030 A KR20180060030 A KR 20180060030A KR 1020160159029 A KR1020160159029 A KR 1020160159029A KR 20160159029 A KR20160159029 A KR 20160159029A KR 20180060030 A KR20180060030 A KR 20180060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nack
motor
companion animal
tread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안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현 filed Critical 안종현
Priority to KR102016015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030A/ko
Priority to PCT/KR2017/006768 priority patent/WO2018097440A1/ko
Publication of KR2018006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벨트,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가 위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위를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파악수단; 및 상기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파악된 반려동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트레드밀{TREADMILL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 스스로 트레드밀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로 하여금 트레드밀을 이용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가구의 증가 및 고령인구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들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반려동물에게 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키우게 되는데, 주인이 외출을 하는 경우 대다수의 시간을 실내에서 혼자 보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반려동물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 및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주인이 외출 후 돌아와 반려동물과 함께 야외에서 산책을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줄 수 있는데, 외출 시간이 길거나 산책을 할 수 없는 날씨 또는 환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597673호에는 사람과 애완동물 겸용 런닝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것과 같은 기존의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은 사람이 이용하는 트레드밀의 축소판 또는 변형에 지나지 않으며, 반려동물이 스스로 트레드밀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에게 트레드밀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동기부여를 위한 요소와 반려동물이 혼자서도 안전하게 트레드밀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안전을 위한 요소를 갖춘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벨트,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가 위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위를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파악수단; 및 상기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파악된 반려동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 구간은 반려동물이 탑승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구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반려동물이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1속도로 회전시키고, 반려동물이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2속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제1속도는 상기 제2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위치파악수단은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 제1무게측정수단; 및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 제2무게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 각각은 반려동물이 해당 무게측정수단이 위치한 구간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반려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간식이 수납되는 간식수납통; 및 상기 간식수납통으로부터 간식을 취득하여 간식을 인출하기 위한 간식인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회전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누적시켜 저장하되, 누적된 회전수가 선정된(predetermined) 회전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간식수납통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간식수납통에 수납되어 있는 간식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킬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소시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간식인출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벨트의 회전이 정지될 경우, 누적된 회전수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선정된 시간 경과 후 다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위 공간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마련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다른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스스로 안전하게 트레드밀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위치에 맞게 벨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에게 트레드밀을 이용한 만큼 간식을 급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간식을 취식할 때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에게 적정량의 간식만을 인출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트레드밀을 이용하는 모습을 통신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을 다른 각도에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의 이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과 벨트(111)와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상기 벨트(111)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4) 내에는 상기 벨트(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01)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101)와 상기 벨트(111)는 풀리(102)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10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벨트(111) 역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4) 내에는 상기 모터(101)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과 크게 차이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위치파악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파악수단은 상기 벨트(111) 위를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파악된 반려동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101)의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1)의 회전속도는 제어부(130)에 의해 조절된다.
즉,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의 입구에 들어선 순간의 모터(101)의 회전속도와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에 완전히 올라선 순간의 모터(101)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적용되도록 하여,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11)의 길이방향 구간은 반려동물이 탑승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구간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반려동물이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101)의 회전속도를 제1속도로 회전시키고, 반려동물이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101)의 회전속도를 제2속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제1속도는 상기 제2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위치파악수단은 현재 특정 목표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반려동물의 크기가 제각각이고 반려동물의 행동 또한 예측하기가 어려워서 다량의 광센서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위치파악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제1무게측정수단(121) 및 제2무게측정수단(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은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111)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은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111)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 각각은 반려동물이 해당 무게측정수단이 위치한 구간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벨트(111)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에는 로드셀(load cell)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의 벨트(111) 사이에는 반려동물이 벨트(111) 위로 올라섰을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은 상기 지지판(112)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사람이 체중계를 이용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을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130)에 반려동물의 무게를 입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받은 반려동물의 무게에 선정된(predetermined)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범위를 적용한 보정값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 또는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을 통해 측정된 값이 상기 보정값 이내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반려동물이 해당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반려동물의 무게가 3kg이라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반려동물의 무게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선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범위를 적용하여 보정값인 2~4kg 을 저장한다.
이후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의 제1구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에는 2~4kg 이내의 무게가 측정되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터(101)를 제2속도보다 낮은 속도인 제1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반려동물이 상기 제1속도로 회전하는 벨트(111) 위를 이동하여 제2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에는 2~4kg 이내의 무게가 측정되게 된다. 여기서, 반려동물이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할 때 앞발만 위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122)의 보정값은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121)의 보정값과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예컨대, 1~3kg 이내).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터(101)를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적합한 속도인 제2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이 다시 제1구간에만 위치할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터(101)를 다시 제1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베트 위로 진입하거나 트레드밀(100)의 이용을 종료하고 상기 벨트(111)에서 나가려 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10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트레드밀(100)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이용하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간식수납통(140) 및 간식인출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간식수납통(140)에는 반려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간식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간식수납통(140)으로부터 간식을 취득하여 간식을 인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반려동물에게 트레드밀(100)을 이용하게 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이 상기 트레드밀(100)을 이용하여 선정된 양 만큼 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간식수납통(140)으로부터 간식이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상기 모터(101) 또는 상기 벨트(11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회전수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회전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모터(101) 또는 상기 벨트(11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누적시켜 저장하되, 누적된 회전수가 선정된 회전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수 측정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1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회전판(161)과 상기 회전판(161)의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도록 위치한 광센서(16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선정된 양만큼 이용하여 간식수납통(140)으로부터 간식이 인출될 경우, 간식이 과다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스크류 컨베이어(151) 및 스크류 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51)는 상기 간식수납통(140)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모터(152)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적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양의 간식을 급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식수납통(140)으로부터 간식이 인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이용하여 모터(101) 또는 벨트(111)의 회전수가 선정된 회전수에 도달하였는지를 회전수 측정부를 통해 제어부(130)에서 확인하게 된다.
상기 모터(101) 또는 벨트(111)의 회전수가 선정된 회전수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크류 모터(152)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51)가 회전하면서 간식수납통(140)에 수납되어 있는 간식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 컨베이어(151)에 의해 이송된 간식을 반려동물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51) 하부에 마련된 간식이송판(15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간식이송판(153)은 선정된 경사를 갖도록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104)을 관통하여 벨트(111) 위로 놓이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간식이송판(153)의 일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식거치부(154)가 마련되며, 상기 간식이송판(153)을 따라 내려간 간식은 상기 간식거치부(154)에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간식거치부(154)에 놓인 간식을 반려동물이 취식하려 할 때 상기 벨트(111)가 회전하고 있으면 간식의 취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킬 경우, 상기 모터(101)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소시켜 상기 벨트(111)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간식인출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벨트(111)의 회전이 정지될 경우, 누적된 회전수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선정된 시간 경과 후 다시 상기 모터(101)를 작동시켜 상기 벨트(1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로 인해, 간식수납통(140)으로부터 간식이 인출될 경우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간식을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로 하여금 트레드밀(100)을 이용하게 되면 간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할 수 있게 되어, 반려동물에게 트레드밀(100)을 이용할 수 있게하는 동기를 부여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스스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로 하여금 트레드밀(100)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동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주인이 조작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스스로 트레드밀(100)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트레드밀(100)은 상기 벨트(111) 위 공간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되도록 마련된 카메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모터(101)를 작동시킬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170)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1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다른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로 인해, 주인은 외출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트레드밀(100)을 이용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101: 모터
102: 풀리 103: 전원부
104: 하우징 110: 메인 프레임
111: 벨트 112: 지지판
121: 제1무게측정수단 122: 제2무게측정수단
130: 제어부 140: 간식수납통
151: 스크류 컨베이어 152: 스크류 모터
153: 간식이송판 154: 간식거치부
161: 회전판 162; 광센서
170: 카메라

Claims (9)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벨트,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가 위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위를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파악수단; 및
    상기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파악된 반려동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길이방향 구간은
    반려동물이 탑승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종료 시점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구간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반려동물이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1속도로 회전시키고, 반려동물이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2속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제1속도는 상기 제2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갖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수단은
    상기 제1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 제1무게측정수단; 및
    상기 제2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된 제2무게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무게측정수단 및 상기 제2무게측정수단 각각은 반려동물이 해당 무게측정수단이 위치한 구간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벨트 위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4. 제1항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간식이 수납되는 간식수납통; 및
    상기 간식수납통으로부터 간식을 취득하여 간식을 인출하기 위한 간식인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회전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벨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수를 누적시켜 저장하되, 누적된 회전수가 선정된(predetermined) 회전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식인출수단은
    상기 간식수납통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상기 간식수납통에 수납되어 있는 간식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모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식인출수단을 작동시킬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서서히 감소시켜 상기 벨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간식인출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벨트의 회전이 정지될 경우, 누적된 회전수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선정된 시간 경과 후 다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위 공간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마련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다른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KR1020160159029A 2016-11-28 2016-11-28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KR20180060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29A KR20180060030A (ko) 2016-11-28 2016-11-28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PCT/KR2017/006768 WO2018097440A1 (ko) 2016-11-28 2017-06-27 반려동물용 트레드밀과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29A KR20180060030A (ko) 2016-11-28 2016-11-28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30A true KR20180060030A (ko) 2018-06-07

Family

ID=6219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029A KR20180060030A (ko) 2016-11-28 2016-11-28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0030A (ko)
WO (1) WO201809744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08A (ko) * 2019-07-29 2021-02-08 이세린 반려동물용 접이식 런닝머신
KR20210083802A (ko) * 2019-12-27 2021-07-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의 건강 증진을 위한 인터벌 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레드밀
CN113287540A (zh) * 2021-05-13 2021-08-24 清华大学 基于移动平台的动物实验的移动观测系统及方法
KR102368443B1 (ko) * 2021-05-20 2022-03-02 (주)동아금속 반려동물용 런닝머신
KR102451323B1 (ko) * 2022-07-05 2022-10-07 (주)바이오데이즈 반려동물 건강 진단 장치(네오 펫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9901A (zh) * 2019-03-22 2019-05-31 上海新博路工业设计有限公司 宠物犬笼舍
EP3824973B1 (en) * 2019-11-21 2022-03-30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310997B2 (en) 2019-11-2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ttachment module
US11510395B2 (en) *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59041B2 (en) 2019-11-2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ensors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374B2 (ja) * 2005-09-20 2009-05-20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運動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75B1 (ko) * 2002-07-22 2005-02-07 박성원 애완동물 급식장치
JP2006129825A (ja) * 2004-11-09 2006-05-25 Toshiba Corp ペットランナー
KR100982222B1 (ko) * 2008-02-28 2010-09-14 한효정 동물 전용 런닝 머시인
KR20110000413U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374B2 (ja) * 2005-09-20 2009-05-20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運動支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08A (ko) * 2019-07-29 2021-02-08 이세린 반려동물용 접이식 런닝머신
KR20210083802A (ko) * 2019-12-27 2021-07-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의 건강 증진을 위한 인터벌 운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레드밀
CN113287540A (zh) * 2021-05-13 2021-08-24 清华大学 基于移动平台的动物实验的移动观测系统及方法
CN113287540B (zh) * 2021-05-13 2022-12-30 清华大学 基于移动平台的动物实验的移动观测系统及方法
KR102368443B1 (ko) * 2021-05-20 2022-03-02 (주)동아금속 반려동물용 런닝머신
KR102451323B1 (ko) * 2022-07-05 2022-10-07 (주)바이오데이즈 반려동물 건강 진단 장치(네오 펫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40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0030A (ko) 반려동물용 트레드밀
CN110462967B (zh) 具有多线圈扫描的无线充电系统
US10898758B2 (en) Measurement system for use in an exercise machine
US20170056711A1 (en)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JP6394541B2 (ja) 薬品撮影装置、薬品形状測定装置、薬品払出装置
DK2830719T3 (en) Method for movement in a physically configurable space and device for use with the method
CN107582031A (zh) 一种人体体温测量装置和方法
KR20130027393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JP2016176796A (ja) 重量計測装置
KR20200079106A (ko) 다기능 근력운동기기
KR20190001246A (ko) 반려동물용 트레드밀과 이의 제어 방법
KR20110105691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JP2018198553A (ja) 活動管理システム
US20230097826A1 (en) Limb exercise device
KR101565474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90065610A (ko) 홈 모니터링 로봇을 원격제어하여 펫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피딩시스템
KR101491774B1 (ko)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TW201722268A (zh) 寵物狀況監控方法及裝置
KR102255488B1 (ko) 애완동물용 트레드밀
JP2003232751A (ja) 球体の均質性判定方法及び装置
US10154650B2 (en) Aquatic race assembly for canines
CN211299916U (zh) 目标对象检测装置及系统
KR102411049B1 (ko) 반려견 비만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US11717182B2 (en) Abdominal measurement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KR102453856B1 (ko) 체성분정보 제공이 가능한 반려동물 먹이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