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719A -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719A
KR20180059719A KR1020170024460A KR20170024460A KR20180059719A KR 20180059719 A KR20180059719 A KR 20180059719A KR 1020170024460 A KR1020170024460 A KR 1020170024460A KR 20170024460 A KR20170024460 A KR 20170024460A KR 20180059719 A KR20180059719 A KR 2018005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trest
vehicle
frame
telescopic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899B1 (ko
Inventor
박민흥
곽희만
김민호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주)진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합 filed Critical (주)진합
Publication of KR2018005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발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차량에 고정되는 프레임 유닛과,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부를 갖는 발판 유닛과, 발판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유닛과,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발판 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발판 유닛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 유닛을 갖는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포함하고,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차량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구를 향해 각각의 발판부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AUTOMATIC OPERATABLE FOOT STEP APPARATUS FOR VEHICLE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과 플랫폼 등 승강장 사이에 틈새가 크거나,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승강장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에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발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출입문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역에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 높이에 대응되는 플랫폼이 설치되고, 승객들은 플랫폼으로부터 철도 차량의 출입문을 통해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역에 설치되는 플랫폼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상 플랫폼과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상 플랫폼 2가지 종류가 있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에는 이러한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동 발판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철도 차량의 출입문이 형성된 실내에는 철도 차량의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플랫폼을 향해 내려갈 수 있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출입문 계단은 저상 플랫폼의 높이와 상응하도록 설치되어 철도 차량이 저상 플랫폼에 정차하는 경우, 승객이 출입문 계단을 통해 플랫폼으로 하차하는데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철도 차량이 고상 플랫폼에 정차하는 경우라면, 출입문 계단이 플랫폼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승객이 계단을 통해 플랫폼으로 하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출입문 계단에 설치되는 가동 발판 장치는 승객이 승하차하기 불편한 플랫폼에서 승객의 용이한 승하차를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플랫폼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철도 차량이 플랫폼에 정차하는 경우 철도 차량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전개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단순히 수작업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가동 발판 장치는 철도 차량 이외에도 승합차나 버스 등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차량 승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동차 등의 차량에도 그 장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 차량에 장착되는 가동 발판 장치는 차량 구조상 그 설치가 쉽지 않으며,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거나 사용이 불편하고 안전하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412087호 (2014. 07. 01) 등록특허공보 제1487402호 (2015. 01. 29) 등록특허공보 제1487398호 (2015. 01. 29) 등록특허공보 제1487403호 (2015. 01. 29)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강하고, 구조가 콤팩트하며, 사용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차량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플랫폼 등 승강장 간에 높이차가 있더라도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승강장 사이에서 단차 형성을 배제하는 구조를 취하여 승객의 탑승의 안전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발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부를 갖는 발판 유닛과, 상기 발판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발판 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발판 유닛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 유닛을 갖는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차량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구를 향해 각각의 발판부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움직여 상기 발판부를 이동시키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동시에 움직이되, 그 이동 속도가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보다 느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직선 이동하는 메인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와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은, 각각 상기 메인 캐리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직선 이동하는 서브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은 상기 서브 캐리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서브 캐리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서브 캐리어가 상기 메인 캐리어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의 이동력을 상기 서브 캐리어에 전달하는 서브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동력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상기 발판 유닛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랙 기어와, 상기 제 1 랙 기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에 상기 제 1 랙 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랙 기어와, 상기 제 1 랙 기어 및 상기 제 2 랙 기어와 동시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는, 발판 프레임과, 탑승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발판 프레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발판 프레임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에 탄성력을 가하는 발판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판의 상대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발판 유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발판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면과 상기 발판부 사이의 틈새를 덮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발판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단부에 구비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발판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판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는 발판 쇽업쇼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 위에 고정되는 프레임 바디부와, 탑승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부와, 상기 프레임 커버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 바닥 플레이트의 레일 홈에 삽입되는 클램프 블록을 갖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블록에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상기 클램프 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선을 중심으로 거울상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차량의 좌우 폭 방향 중앙점을 중심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프레임 유닛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을 서로 부분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구동 유닛을 서로 부분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을 길이 가변형 구조의 텔레스코픽 레일부가 지지함으로써, 발판 유닛이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발판 유닛에 연결되는 텔레스코픽 레일부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이 상호 상대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콤팩트한 구조로 발판 유닛의 이동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하나의 구동 유닛으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을 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어 구동 유닛의 최소화로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프레임 유닛과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 간에 경사 연속성을 이루어 단차 형성을 배제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프레임 유닛이 클램프 유닛을 통해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 위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차량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차량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구를 향해 각각 발판부를 인출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콤팩트한 구조로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발판 유닛이 프레임 유닛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차폐 커버가 프레임 유닛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여 프레임 유닛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이 차량으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프레임 유닛과 차량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프레임 유닛을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프레임 유닛을 제거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이 구동 유닛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캐리어부를 캐리어 레일부로부터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캐리어부를 캐리어 레일부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캐리어 레일부와 서브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캐리어부를 텔레스코픽 레일부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캐리어부를 텔레스코픽 레일부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텔레스코픽 레일부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텔레스코픽 레일부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쇽업쇼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쇽업쇼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 나타낸 발판 쇽업쇼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레일부와 발판 쇽업쇼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을 텔레스코픽 레일부로부터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텔레스코픽 레일부와 발판 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을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을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의 발판 지지 프레임과 텔레스코픽 레일부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6은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발판 유닛에 구비된 발판 유동 감지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21에 나타낸 A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의 발판부 연결 링크부와 단차 커버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의 발판부 연결 링크부와 단차 커버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1에 나타낸 발판 유닛의 단차 커버 플레이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이 차량으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은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은 차량 탑승자의 승하차를 돕기 위해 차량(10)의 출입구(14)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와 같은 일반 차량 또는 철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철도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와 승강장의 플랫폼(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철도 차량(10)의 출입구(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반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승강장의 보도 블록 또는 지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은 차량에 출입구에 대응하는 개수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양쪽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만 출입구가 마련되는 경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는 차량의 한쪽 측면 쪽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고, 차량의 양쪽 측면 모두에 출입구가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가 각각 차량의 양쪽 측면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은 철도 차량(10)의 한쪽 측면 쪽에 하나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가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는 프레임 유닛(200)과, 구동 유닛(300)과, 동력 전달 유닛(400)과, 발판 유닛(700)을 포함한다. 프레임 유닛(200)은 클램프 유닛(250)을 통해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 위에 장착되며, 구동 유닛(300)과 동력 전달 유닛(400) 및 발판 유닛(700)은 프레임 유닛(200)의 내측에 설치된다.
프레임 유닛(200)의 전단부, 즉 차량(10)의 출입구(14) 쪽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프레임 유닛(200)의 개방된 전단부를 통해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프레임 유닛(200)의 개방부는 이물질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차폐 커버(500)에 의해 차폐된다. 구동 유닛(300)은 발판 유닛(7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동력 전달 유닛(400)은 구동 유닛(300)의 동력을 발판 유닛(700)에 전달한다. 발판 유닛(700)은 구동 유닛(300)의 동작에 따라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발판 유닛(700)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면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와 플랫폼(20)을 연결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는다. 발판 유닛(700)을 이용한 탑승자의 승하차 시 발판 유닛(700)은 탑승자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때 발판 쇽업쇼바(600)가 발판 유닛(7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발판 유닛(7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 상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의 출입구(14)에는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로부터 플랫폼(20) 방향으로 내려가는 출입구 계단(15)이 설치되는데, 프레임 유닛(200)은 그 전단부가 출입구 계단(15)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프레임 유닛(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바디부(210)의 상부를 프레임 커버부(230)가 덮는 형태로 구성된다. 프레임 유닛(200)의 전단부에는 발판 유닛(700)의 출입을 위한 개구(240)가 마련된다. 프레임 유닛(200)은 프레임 바디부(210)에 발판 유닛(700)이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캐리어 레일부(420)가 장착됨으로써, 발판 유닛(700)의 수용 내지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 바디부(210)는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바닥 프레임(211)과, 바닥 프레임(211)의 중간에 배치되는 프레임 보강대(213)를 포함한다. 프레임 보강대(213)는 바닥 프레임(211)의 중간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 프레임(211)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여준다. 또한 프레임 보강대(213)는 프레임 바디부(2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프레임 바디부(210)를 덮는 프레임 커버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탑승자의 승하차 시 탑승자가 프레임 커버부(230)를 밟고 이동하게 되는데, 프레임 보강대(213)가 프레임 커버부(230)를 떠받침으로써 프레임 커버부(230)의 처짐 등 변형을 막을 수 있다. 프레임 보강대(213)의 구조나 설치 개수, 배치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211)의 전단부에는 가이드 롤러부(215)와,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지지면(219)과, 링크부 수용홈(221)이 구비된다. 가이드 롤러부(215)와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지지면(219)은 링크부 수용홈(221)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다.
가이드 롤러부(215)는 동력 전달 유닛(400)의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롤러(216)를 포함한다.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롤러(216)는 바닥 프레임(211)에 고정되는 롤러 지지 브라켓(2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롤러(216)는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인입될 때,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하측에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지지면(219)은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이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에 가해지더라도 텔레스코픽 레일부(430)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링크부 수용홈(221)은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발판 유닛(700)의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를 수용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부(230)는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231)가 차례로 결합되어 프레임 바디부(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231)는 상호 분리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조립식 구조의 커버 플레이트(231)는 프레임 바디부(210)에서 낱개로 분리될 수 있어 부품의 수리나 교체 등 유지 보수 작업에 유리하다. 즉, 프레임 바디부(21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개방할 필요가 없는 경우, 프레임 커버부(23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일부 커버 플레이트(231)만 프레임 바디부(2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다. 프레임 커버부(230)의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부(233)가 구비된다. 미끄럼 방지부(233)는 프레임 커버부(230)의 최전방 차폐 커버 플레이트(231) 상면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승하차 시 탑승자가 차량(10)의 출입구(14) 쪽에서 미끄러지는 위험을 줄여줄 있다. 미끄럼 방지부(233)는 탑승자가 디딜 때 탑승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폐 커버 플레이트(231)의 상면이 요철 구조로 가공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고무나 천 소재 등 고마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나 프레임 커버부(230) 각각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닛(2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바디부(210)를 프레임 커버부(230)가 덮는 구조 이외에, 발판 유닛(700)을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고, 구동 유닛(300)과 동력 전달 유닛(400) 등의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클램프 유닛(250)을 통해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프 유닛(250)은 클램프 블록(260)과, 클램프 블록(26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암(270)을 포함한다. 클램프 유닛(250)은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구비되는 바닥 레일(12)에 결합되어 프레임 유닛(200)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바닥 레일(12)의 변형을 막아주고,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와 프레임 유닛(200) 간의 결합력을 높여 준다. 또한 클램프 유닛(250)을 이용하면, 프레임 유닛(200)을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결합하는 작업이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원활하고 용이해질 수 있고, 프레임 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250)의 클램프 블록(260)은 블록 헤드부(261)와, 블록 헤드부(26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블록 숄더부(262)를 갖는다. 블록 헤드부(261)와, 블록 숄더부(262) 각각에는 프레임 바디부(21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280)가 결합되는 삽입구멍(263)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280)로는 나사나 볼트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클램프 암(270)은 클램프 블록(260)의 블록 숄더부(26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71)과, 체결부재(280)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272)을 갖는다. 클램프 암(270)은 그 결합홈(271)에 블록 숄더부(26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클램프 블록(260)과 결합되어 클램프 블록(260)과 교차 배치된다. 이때, 클램프 블록(260)의 삽입구멍(263)과 클램프 암(270)의 관통구멍(272)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체결부재(280)가 관통구멍(272)을 통과하여 삽입구멍(26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유닛(250)은 클램프 블록(260)의 양쪽 블록 숄더부(262)에 한 쌍의 클램프 암(270)이 각각 결합된 상태로 바닥 레일(12)의 레일 홈(13) 속에 삽입된다. 이때, 클램프 블록(260)의 블록 헤드부(261)에 형성된 삽입구멍(263)과 클램프 암(270)의 관통구멍(272)은 바닥 레일(12)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체결부재(280)의 끝단을 프레임 유닛(200)의 바닥 프레임(211)을 관통하여 클램프 블록(260)의 삽입구멍(263)과 클램프 암(270)의 관통구멍(272)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임 유닛(200)을 바닥 레일(12)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25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클램프 블록(260) 양측에 한 쌍의 클램프 암(270)이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결합되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와 프레임 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닛(200)은 클램프 유닛(250)을 이용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300)은 모터(310)와, 스크류축(320)과, 캐리어 브릿지(330)를 포함한다. 모터(310)와 스크류축(320)은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고정된다. 스크류축(320)은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캐리어 브릿지(330)는 스크류축(320)에 나사 결합되며, 스크류축(320)과의 나사 운동에 의해 스크류축(320)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 브릿지(330)는 동력 전달 유닛(400)의 메인 캐리어(411)에 결합되어 메인 캐리어(411)를 직접 움직인다. 모터(31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모터(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캐리어 브릿지(330)가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 쪽으로 전진하거나, 개구(240)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은 스크류축(320)과 캐리어 브릿지(330) 간의 나사 운동을 이용하는 구조 이외에, 동력 전달 유닛(400)의 캐리어부(410)를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유닛(400)은 캐리어부(410)와, 캐리어 레일부(420)와,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와, 서브 동력 전달부(470)와, 발판 이동 감지부(4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유닛(400)은 구동 유닛(300)의 구동력을 발판 유닛(700)에 전달함으로써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 유닛(200) 속으로 인입될 수 있게 한다.
캐리어부(410)는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를 포함한다.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는 캐리어 레일부(420)에 의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메인 캐리어(411)는 구동 유닛(300)의 캐리어 브릿지(330)와 결합되어 캐리어 브릿지(330)에 의해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 쪽으로 전진하거나 개구(240)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서브 캐리어(413)는 서브 동력 전달부(470)를 통해 메인 캐리어(411)와 연결되어 메인 캐리어(411)와 연동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즉, 메인 캐리어(411)가 개구(240) 쪽으로 전진할 때 서브 캐리어(413)도 개구(240) 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메인 캐리어(411)가 개구(240)로부터 후퇴할 때 서브 캐리어(413)도 개구(24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의 이동 방향은 동일하지만 이동 속도는 차이가 있는데, 서브 캐리어(413)는 메인 캐리어(411)보다 이동 속도가 느리며, 결과적으로 구동 유닛(300)에 의한 이동 거리는 서브 캐리어(413)가 메인 캐리어(411)보다 짧다. 이러한 이동 속도의 차이는 서브 동력 전달부(470)에 의한 것으로, 서브 동력 전달부(47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캐리어(411)에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가 구비된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는 발판 유닛(700)의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를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 받침 롤러(416)와, 받침 롤러(416)를 지지하는 받침 롤러 지지대(417)를 포함한다. 받침 롤러(416)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의 하측으로부터 떠받치는 것으로 그 양단이 한 쌍의 받침 롤러 지지대(417)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받침 롤러 지지대(417)는 메인 캐리어(411)의 일면에 고정된다. 도면에는 한 쌍의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가 메인 캐리어(411)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는 받침 롤러(416)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의 하측으로부터 떠받침으로써, 발판 유닛(700)의 발판부(710)가 인출되면서 틸팅될 때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를 발판부(710)에 대해 기울어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의 보다 상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캐리어 레일부(420)는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가이드 레일(421)과, 서브 가이드 레일(423)을 포함한다. 메인 가이드 레일(421)은 발판 유닛(7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발판 유닛(700)의 양측에 배치되고, 서브 가이드 레일(423) 역시 발판 유닛(7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발판 유닛(700)의 양측에 배치된다. 메인 가이드 레일(421)과 서브 가이드 레일(423)은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메인 가이드 레일(421)은 서브 가이드 레일(423)과 이격되어 서브 가이드 레일(423)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메인 가이드 레일(421)은 메인 캐리어(411)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가이드 레일(421)에는 메인 이동 블록(42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이동 블록(425)은 메인 캐리어(411)의 일면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메인 가이드 레일(421)에 메인 캐리어(411)와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이동 블록(425)이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메인 이동 블록(425)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레일(423)은 서브 캐리어(413)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가이드 레일(423)에는 서브 이동 블록(42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이동 블록(427)은 서브 캐리어(413)의 일면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서브 가이드 레일(423)에 서브 캐리어(413)와 결합되는 한 쌍의 서브 이동 블록(427)이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서브 이동 블록(427)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레일부(420)는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 각각의 양측부를 지지함으로써,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를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캐리어 레일부(42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캐리어 레일부는 메인 캐리어(411)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서브 캐리어(413)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의 구조나 메인 캐리어(411) 또는 서브 캐리어(413)와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9,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는 캐리어부(410)와 발판 유닛(700)을 연결하는 것으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을 포함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메인 캐리어(411)와 발판 유닛(700)을 연결하고,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서브 캐리어(413)와 결합되어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을 부분적으로 덮는 방식으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과 결합되며, 메인 캐리어(411)가 움직일 때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발판 유닛(700)의 인출 완료 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대부분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에 놓인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서브 캐리어(413)가 움직일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지지한 상태로 움직인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발판 유닛(700)의 인출 완료 시 일부분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에 놓이게 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발판 유닛(700)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발판 유닛(7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역시 발판 유닛(7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내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레일 가이드홈(432)이 마련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레일 가이드홈(432)에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레일 가이드홈(432) 속에서 레일 가이드홈(432)을 따라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지지된 상태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레일 가이드홈(432) 일측에는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블록(433)이 구비된다.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블록(433)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모두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원위치 상태에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가이드 블록 수용홈(439)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블록(433)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가이드 블록 수용홈(439)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간의 상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블록(433)의 후단부에는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접촉부(434)가 마련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외측면에는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가 구비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가 발판 쇽업쇼바(6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발판 쇽업쇼바(600)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결합된 발판 유닛(700)을 지지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를 통한 발판 쇽업쇼바(600)의 발판 유닛(700) 지지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내측에는 가이드 블록 수용홈(439)이 마련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모두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원위치 상태에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블록(433)이 가이드 블록 수용홈(439)에 수용된다. 가이드 블록 수용홈(439)의 후방 측에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접촉부(434)에 대응하는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지지부(440)가 구비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모두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원위치 상태에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접촉부(434)와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텔레스코픽 레일 경사 지지부(440)가 상호 맞닿음으로써,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제 1 캐리어 힌지부(450)를 통해 메인 캐리어(411)와 힌지 결합된다. 제 1 캐리어 힌지부(450)는 제 1 캐리어 힌지핀(451)과, 제 1 힌지핀 블록(452)을 포함한다. 제 1 힌지핀 블록(452)은 메인 캐리어(4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 1 캐리어 힌지핀(451)을 지지한다.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후단부에 제 1 캐리어 힌지핀(451)이 결합됨으로써,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제 1 캐리어 힌지핀(45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메인 캐리어(4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제 2 캐리어 힌지부(460)를 통해 서브 캐리어(413)와 힌지 결합된다. 제 2 캐리어 힌지부(460)는 제 2 캐리어 힌지핀(461)과, 제 2 힌지핀 블록(462)을 포함한다. 제 2 힌지핀 블록(462)은 서브 캐리어(413)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 2 캐리어 힌지핀(461)을 지지한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후단부에 제 2 캐리어 힌지핀(461)이 결합됨으로써,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제 2 캐리어 힌지핀(46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서브 캐리어(4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메인 캐리어(411)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서브 캐리어(413)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틸팅되어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하측으로 틸팅됨으로써, 발판 유닛(700) 역시 기울어지면서 그 전단부가 프레임 유닛(200)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플랫폼(20)에 닿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상호 상대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콤팩트한 구조로 발판 유닛(700)의 이동 거리를 늘릴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됨으로써 그 길이가 가변하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에 구비되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개수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서브 동력 전달부(470)는 서브 캐리어(413)가 메인 캐리어(411)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를 연결한다. 서브 동력 전달부(470)는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고정되는 제 1 랙 기어(471)와, 메인 캐리어(411)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2 랙 기어(473)와, 서브 캐리어(4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475)를 포함한다. 제 1 랙 기어(471)와 제 2 랙 기어(473)는 상하로 마주하여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475)는 제 1 랙 기어(471) 및 제 2 랙 기어(473)와 각각 치합되도록 제 1 랙 기어(471)와 제 2 랙 기어(4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동력 전달부(470)는 메인 캐리어(411)의 이동력을 서브 캐리어(413)에 전달하여 서브 캐리어(413)를 움직인다. 즉, 메인 캐리어(411)가 구동 유닛(300)의 구동력을 받아 움직일 때, 제 2 랙 기어(473)가 피니언 기어(475)와 기어 연결된 상태로 움직여 피니언 기어(47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피니언 기어(475)는 회전과 동시에 제 1 랙 기어(471)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피니언 기어(475)의 움직임으로 서브 캐리어(413)가 메인 캐리어(411)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피니언 기어(475)의 직선 이동 속도는 제 2 랙 기어(473)의 직선 이동 속도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서브 캐리어(413)의 이동 속도 역시 메인 캐리어(411)의 이동 속도보다 느리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구동 유닛(300)의 구동에 의한 이동 거리는 메인 캐리어(411)보다 서브 캐리어(413)가 짧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간의 이동 거리도 차이가 난다. 발판 유닛(700)의 인출 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대부분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발판 유닛(700)을 그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반면,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일부만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지지하게 된다.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 간의 이동 속도의 비는 서브 동력 전달부(470)의 피니언 기어(475)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동력 전달부(470)는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캐리어(413)를 연동시키되 서브 캐리어(413)를 메인 캐리어(411)보다 느리게 이동시킴으로써, 하나의 구동 유닛(300)으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을 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동력 전달부(470)에 의한 구동 유닛의 최소화로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캐리어부(410) 또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위치는 발판 이동 감지부(48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 이동 감지부(480)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외측에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감지센서(481)를 포함한다. 복수의 이동 감지센서(481)는 프레임 유닛(200)의 적절한 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감지센서(481)가 캐리어부(410) 또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발판 유닛(700)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감지센서(481)에서 발생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면 발판 유닛(700)을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구동 유닛(300)을 정지시켜 발판 유닛(700)을 적절한 인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감지센서(481)를 이용하면 발판 유닛(700)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 시 캐리어부(410) 또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오작동을 검출할 수 있다. 이동 감지센서(481)로는 광센서 등 다양한 감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는 차폐 커버(500)가 설치된다. 차폐 커버(500)는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를 덮어 개구(240)를 통한 이물질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차폐 커버(500)는 회전 브라켓부(510)를 통해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브라켓부(510)는 차폐 커버 결합 브라켓(511)과, 탄성부재 결합 브라켓(512)을 포함한다. 차폐 커버 결합 브라켓(511)은 차폐 커버(500)의 일면에 결합되고, 탄성부재 결합 브라켓(512)은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브라켓부(510)는 차폐 커버(500)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과 탄성부재 결합 브라켓(51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530)가 배치된다. 탄성부재(530)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탄성부재 결합 브라켓(51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탄성부재(530)는 차폐 커버(500)를 개구(240)를 차폐하는 방향 즉, 차폐 커버(500)를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회전 브라켓부(510)와 회전축(520) 및 탄성부재(530)는 한 쌍의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어 차폐 커버(500)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차폐 커버(500)는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의해 밀려 기울어진다.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차폐 커버(500)를 밀고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차폐 커버(500)는 기울어지고 탄성부재(530)는 탄성 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원위치되면 차폐 커버(500)는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을 받아 원상 복귀된다.
차폐 커버(500)는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커버(500)는 발판 유닛(700)에 의해 가압되어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폐 커버(500)의 설치 위치는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 이외에 프레임 유닛(200) 등의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차폐 커버(500)는 코일 스프링 구조 이외의 다른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고, 또는 탄성부재 이외의 다른 개폐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움직여 발판 유닛(700)을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발판 쇽업쇼바(6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어 차량(10)의 발판 기능을 수행할 때, 발판 유닛(700)은 승하차하는 탑승자의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때 발판 쇽업쇼바(600)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 쇽업쇼바(600)에 의해 발판 유닛(7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발판 쇽업쇼바(600)는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한 쌍이 설치된다. 이들 한 쌍의 발판 쇽업쇼바(600)는 발판 유닛(700)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부(2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부(215)를 사이에 두고 개구(240)의 좌우로 배치된다.
도 5, 도 7 내지 도 8,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발판 쇽업쇼바(600)는 완충 받침대(610)와, 완충 받침대(610)를 지지하는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와,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쿠션 스프링(630)과,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와 쿠션 스프링(630)을 연결하는 스프링 압축부(640)와, 스프링 압축부(64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650)과, 가이드 축(650)을 지지하는 제 1 축 고정대(660)와 제 2 축 고정대(665)를 포함한다. 제 1 축 고정대(660)와 제 2 축 고정대(665)는 서로 마주하도록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가이드 축(650)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한다.
완충 받침대(610)는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핀 모양을 갖는다. 완충 받침대(610)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 하측에 접하여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를 떠받칠 수 있다. 완충 받침대(6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를 하측에서 떠받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는 완충 받침대(610)와 결합되어 쿠션 스프링(630)의 탄성력을 완충 받침대(610)에 전달함으로써 완충 받침대(6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는 완충 받침대(610)와 결합되는 입력 링크(621)와, 제 1 축 고정대(660)에 결합되어 입력 링크(621)를 지지하는 지지 링크(622)를 포함한다. 입력 링크(621)의 일단은 완충 받침대(610)와 결합되고, 입력 링크(621)의 타단은 스프링 압축부(640)의 링크 연결부재(6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입력 링크(621)는 링크 연결부재(641)의 양측부에 한 쌍이 배치됨으로써 완충 받침대(6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링크(622)는 그 일단이 제 1 축 고정대(6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입력 링크(621)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쿠션 스프링(630)은 제 1 축 고정대(660)와 제 2 축 고정대(665) 사이에서 가이드 축(6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쿠션 스프링(630)의 일단은 제 2 축 고정대(665)에 결합되고 쿠션 스프링(630)의 타단은 스프링 압축부(640)와 접한다. 쿠션 스프링(630)은 스프링 압축부(640)가 가이드 축(65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으며, 이때 쿠션 스프링(630)의 탄성력은 스프링 압축부(640)를 통해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에 전달될 수 있다.
스프링 압축부(640)는 가이드 축(6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축 고정대(660)와 쿠션 스프링(630)의 한쪽 끝단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축(650)을 따라 제 2 축 고정대(665)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쿠션 스프링(630)을 압축할 수 있다. 스프링 압축부(640)는 링크 연결부재(641)와, 슬라이드 부시(642)를 포함한다. 링크 연결부재(641)는 가이드 축(6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축(650)의 한쪽 끝단부에 결합된다. 링크 연결부재(641)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입력 링크(621)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완충 받침대(6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입력 링크(621)를 통해 링크 연결부재(641)에 전달될 수 있고, 쿠션 스프링(630)의 탄성력은 링크 연결부재(641)를 통해 입력 링크(621)로 전달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시(642)는 가이드 축(6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 연결부재(641)와 쿠션 스프링(63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드 부시(642)는 내측 부시(643)와, 외측 부시(644)를 포함한다. 내측 부시(643)는 가이드 축(65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링크 연결부재(641)를 관통하여 링크 연결부재(641)와 결합된다. 외측 부시(644)는 쿠션 스프링(630)의 끝단과 접할 수 있도록 내측 부시(643)를 둘러싼다. 링크 연결부재(641)와 내측 부시(643) 및 외측 부시(644)는 함께 움직인다.
이러한 발판 쇽업쇼바(600)는 쿠션 스프링(630)의 탄성력이 스프링 압축부(640) 및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를 통해 완충 받침대(610)로 전달됨으로써, 완충 받침대(610)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와 접할 때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경우, 발판 쇽업쇼바(600)는 완충 받침대(610)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와 이격되어 있어 쿠션 스프링(630)이 압축되지 않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의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436)가 완충 받침대(610)에 접하게 되며, 이때 탑승자가 발판 유닛(700)을 밟을 때 발판 유닛(7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통해 완충 받침대(610)에 가해진다. 하중을 받은 완충 받침대(610)는 하강하게 되며, 이때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의 입력 링크(621)가 스프링 압축부(640)를 쿠션 스프링(630) 쪽으로 가압하여 스프링 압축부(640)가 쿠션 스프링(630)을 압축시킨다. 이렇게 압축된 쿠션 스프링(630)의 탄성력은 스프링 압축부(640),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620), 완충 받침대(610)를 통해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전달됨으로써, 발판 유닛(70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9,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발판 유닛(700)은 차량(10)의 보조적인 발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레임 유닛(20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발판 유닛(700)은 구동 유닛(300)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 유닛(400)을 통해 제공받아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 유닛(200) 속으로 인입되도록 움직인다.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될 때 발판 유닛(700)은 그 전단부가 플렛폼(20)을 향하게 기울어짐으로써,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와 플렛폼(20) 사이를 단차지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발판 유닛(700)은 발판부(710)와, 발판 유동 감지부(750)와,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와,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를 포함한다.
발판부(710)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판(711)과, 발판 지지 프레임(720)과, 미끄럼 방지 패드(740)를 포함한다. 미끄럼 방지 패드(740)는 발판(711)의 상면을 덮도록 발판(711) 위에 결합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740)는 탑승자의 승하차 시 탑승자가 직접 밟게 되는 부분으로 고무나 천 소재 등 탑승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711)은 탑승자가 안정적으로 밟을 수 있도록 상면 대부분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발판(711)의 하면에는 발판 연결축(712)이 결합된다. 발판 연결축(712)은 발판(7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축 고정 브라켓(713)에 의해 지지된다. 발판 연결축(712)은 발판(711)의 하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가 구비된다. 이들 복수의 발판 연결축(712)은 발판(711)을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일정 간격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한다. 또한 발판(711)의 하면에는 복수의 발판 가이드 리브(715)가 결합된다. 이들 발판 가이드 리브(715)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발판(711)을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여기에서, 전후 방향은 발판(711)의 인출, 인입 방향을 의미한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발판 지지 프레임(720)은 복수의 가이드 프레임 바(721)와, 복수의 연결 프레임 바(722)가 연결된 격자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발판 지지 프레임(720)은 발판(711)의 가장자리부와 중간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하중을 받는 발판(711)의 변형을 방지한다. 발판 지지 프레임(720)은 회전 지지축(723)을 통해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지지축(723)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양측부에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 지지 프레임(720)은 회전 지지축(723)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에 대해 틸팅될 수 있다.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전단부 측에는 복수의 발판 구름 롤러(724)가 설치된다. 이들 발판 구름 롤러(724)는 발판 유닛(700)이 기울어진 상태로 프레임 유닛(200)에서 인출되거나 프레임 유닛(200) 속으로 인입될 때 플렛폼(20)이나 승강장의 바닥면에 접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발판 유닛(700)과 플렛폼(20) 간의 마찰을 줄여주고, 발판 유닛(700)의 안정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돕는다.
또한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는 발판(711)의 발판 연결축(712)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축 지지 브라켓(726)이 구비된다. 연결축 지지 브라켓(726)에는 발판 연결축(712)이 삽입되는 연결축 삽입홈(727)이 마련된다. 연결축 삽입홈(727)은 그 폭이 발판 연결축(712)의 직경보다 커서 발판 연결축(712)이 연결축 삽입홈(7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다. 연결축 삽입홈(727)은 발판 연결축(712)이 삽입된 상태에서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전후 방향 및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대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발판(711)은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결합된 상태로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고,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대각 방향으로도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발판(711)은 그 전단부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발판 유닛(700)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면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보다 먼저 장애물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발판 유닛(700)의 인출력에 의해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뒤로 밀리게 된다.
장애물이 승강장 바닥면에 있다면 장애물이 발판(711)의 전단부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판(711)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이 승강장 바닥면 위쪽에 있다면 장애물이 발판(711)의 중간 부분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판(711)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대각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밀릴 수 있다.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발판(711)의 발판 가이드 리브(715)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가이드 프레임 바(721)에 접촉하여 가이드 프레임 바(721)를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발판(711)을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내측에는 복수의 발판 지지 스프링(730)이 설치되어 발판(711)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발판 지지 스프링(730)은 발판(711)의 전단부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발판(711)에 탄성력을 가한다. 발판 지지 스프링(730)은 그 일단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 브라켓(732)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발판(7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 브라켓(734)에 결합된다. 발판 지지 스프링(730)은 발판(711)을 그 전단부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발판(711)을 지지하며, 발판(711)이 프레임 유닛(200)에서 인출되면서 플렛폼(20) 등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닿아 뒤로 밀리면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장애물 등에 의해 발판(71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발판 지지 스프링(730)은 발판(711)을 원상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발판 유닛(700)은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장애물에 부딪칠 때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에 의한 구성 부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발판 유닛(700)이 승강장에 있는 사람과 부딪치는 경우에도 발판(711)을 통해 사람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발판 유닛(700)은 발판(711)의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한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그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이나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발판(711)이 플렛폼(20) 등 승강장에 존재하는 고정된 장애물에 닿은 상태에서 구동 유닛(300)이 계속 작동하면 구동 유닛(300)이나 동력 전달 유닛(400) 등 구성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플렛폼(20) 등에 있는 사람을 향해 발판 유닛(700)이 전진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출되는 발판 유닛(7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이나 사람을 검출하여 발판 유닛(700)의 인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판부(710)에는 발판(711)의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한 상대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발판 유동 감지부(750)가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24,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발판 유동 감지부(750)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설치되는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와, 발판(711)에 결합되는 이동 감지부재(756)를 포함한다.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결합되는 센서 지지 플레이트(753)에 설치된다.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는 이동 감지부재(756)가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감지 홈(752)을 구비하며, 감지 홈(752)에 이동 감지부재(756)가 진입하면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좌우로 배치된다. 센서 지지 플레이트(753)에는 이동 감지부재(756)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릿(754)이 한 쌍 마련된다. 슬릿(754)은 이동 감지부재(756)가 삽입된 상태로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발판 유닛(70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동 감지부재(756)는 발판(711)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발판(711)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동 감지부재(756)는 한 쌍의 슬릿(754)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센서 감지부(757)를 갖는다.
도 24, 도 26 및 도 27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711)이 그 전단부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으로부터 돌출된 정상 상태에서 센서 감지부(757)는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의 감지 홈(752)에서 벗어나 위치한다. 이때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뒤로 밀리면, 센서 감지부(757)가 슬릿(754)을 따라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 쪽으로 이동한다. 도 27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감지부(757)가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의 감지 홈(752) 속으로 진입하면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가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면, 프레임 유닛(200)에서 인출되는 발판(711)이 장애물에 접촉할 때 발판(711)을 그 위치에 정지시키거나 원래 위치로 인입시킬 수 있어 구성 부품의 손상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발판 유동 감지부(750)의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로는 광센서 등 다양한 감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발판 유동 감지부(750)가 한 쌍의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발판 유동 감지부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한 발판(711)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연동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밖에, 발판(711)을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하고, 발판부(710) 또는 텔레스코픽 레일부(430)에 발판 유닛(700)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발판 유동 감지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4,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과 동력 전달 유닛(400)의 메인 캐리어(411)를 연결하여 메인 캐리어(411)의 이동력을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전달한다.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는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와, 커플러 링크(766)와, 발판부 고정 링크(775)를 포함한다.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는 메인 캐리어(41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메인 캐리어 고정부(762)와, 메인 캐리어 고정부(762)의 양측에 구비되는 커플러 링크 지지부(763)를 포함한다. 메인 캐리어 고정부(762)는 메인 캐리어(411)의 일면에 고정된다. 커플러 링크 지지부(763)는 커플러 링크(766)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링크 장홈(764)을 갖는다.
커플러 링크(766)는 그 일단이 커플러 링크 지지부(763)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연결된다. 커플러 링크(766)의 타단에는 커플러 링크(76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링크 장홈(767)이 마련된다. 커플러 링크(766)는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의 두 커플러 링크 지지부(76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 캐리어 고정부(762)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된다. 이들 커플러 링크(766)는 제 1 링크 연결축(770) 및 제 2 링크 연결축(772)을 통해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 및 발판부 고정 링크(775)와 각각 연결된다.
제 1 링크 연결축(770)은 그 일단 및 타단이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구비된 두 개의 제 1 링크 장홈(764)에 각각 삽입되도록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결합되며, 제 1 링크 장홈(764) 속에서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제 1 링크 연결축(770)의 양쪽 끝단에 두 개의 커플러 링크(766) 각각의 일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커플러 링크(766)는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연결되되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제 2 링크 연결축(772)은 그 일단 및 타단이 두 개의 커플러 링크(766) 각각의 제 2 링크 장홈(767)에 삽입되어 두 개의 커플러 링크(766)와 결합되며, 제 2 링크 장홈(767) 속에서 커플러 링크(766)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제 2 링크 연결축(772)의 양쪽 끝단은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고정된 두 개의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플러 링크(766)는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연결되되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발판부 고정 링크(775)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고정된다. 발판부 고정 링크(775)는 복수가 상호 이격되어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 쪽으로 연장된다. 발판부 고정 링크(775)는 발판 지지 프레임(720)과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을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굽은 모양을 갖는다.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는 복수의 링크 구름 롤러(777)가 설치된다. 복수의 링크 구름 롤러(777)는 롤러 지지 링크(778)를 통해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결합된다. 롤러 지지 링크(778)는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고정되어 링크 구름 롤러(7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링크 구름 롤러(777)는 발판 유닛(700)이 움직일 때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접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발판 유닛(700)의 발판부(7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돕는다. 링크 구름 롤러(777)의 형상이나 개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는 발판부(710)를 동력 전달 유닛(400)의 메인 캐리어(411)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한다. 따라서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에서 인출될 때 발판부(710)는 메인 캐리어(411)에 대해 틸팅되어 플렛폼(20)을 향해 원활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판부(710)를 메인 캐리어(411)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 연결 링크(782)를 통해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결합된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 연결 링크(782)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 힌지축(783)과, 단차 커버 플레이트 힌지축(783)을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 브라켓(784)을 포함한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 힌지축(783)은 발판부 고정 링크(775)의 중간에 결합되며, 단차 커버 플레이트 연결 링크(782)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 힌지축(783)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으며,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될 때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또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전방 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를 단차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발판부(710)와 대략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발판부(710)는 메인 캐리어(411)에 결합된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와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메인 캐리어(411)에 결합된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415)의 받침 롤러(416)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발판부(710)는 프레임 유닛(2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보다 낮게 하강하게 된다.
도 3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부(710)가 인출되면서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761)에 대해 하강할 때, 메인 캐리어(411)에 구비된 받침 롤러(416)가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의 하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판부(710)에 고정된 발판부 고정 링크(775)가 하강함으로써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발판부 고정 링크(775)에 대해 회전하여 기울어진다. 이렇게 기울어진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 사이의 틈새를 막고,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를 단차 없이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승하차 시 탑승자가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 사이의 단턱을 디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바퀴달린 가방 등 끌고 다니는 짐의 경우에도 탑승자가 발판(711)과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를 거쳐 짐은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의 결합 구조나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가 차량(10)의 발판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때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는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가 차폐 커버(500)로 차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150)가 차량(10)의 발판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를 통해 인출되어 발판부(710)의 전단부가 플랫폼(20)에 도달한다. 발판부(710)의 인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판부(710) 인출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 유닛(300)이 발판부(710)를 프레임 유닛(200)의 외측으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때, 구동 유닛(300)의 캐리어 브릿지(330)가 메인 캐리어(411)를 프레임 유닛(200)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메인 캐리어(411)가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 쪽으로 전진한다. 메인 캐리어(411)의 움직임으로 메인 캐리어(411)와 발판부 연결 링크부(760)를 통해 연결된 발판부(710)와 메인 캐리어(411)에 힌지 결합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도 개구(240) 쪽으로 전진하고, 메인 캐리어(411)와 서브 동력 전달부(470)를 통해 연결된 서브 캐리어(413)도 메인 캐리어(411)의 움직임에 연동한다. 서브 캐리어(413)는 그 이동 방향이 메인 캐리어(411)와 같되 그 이동 속도는 메인 캐리어(411)보다 느리다. 따라서 서브 캐리어(413)에 힌지 결합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보다 느리게 전진하면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지지한다.
발판부(710)와 함께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 쪽으로 전진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보다 빠르게 이동하면서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에 결합된 차폐 커버(500)를 밀고 개구(240)로부터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발판부(710)가 인출되는 동안 프레임 유닛(200)의 가이드 롤러부(215)가 텔레스코픽 레일부(430)를 지지함으로써, 텔레스코픽 레일부(43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 유닛(700)은 그 링크 구름 롤러(777)가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바디부(210)에 접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프레임 유닛(2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은 발판 유닛(700)의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가 프레임 유닛(200)의 외부로 인출될 때까지 발판부(710)를 전진시킨다.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을 벗어날 때, 발판부(710) 및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은 각각의 전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메인 캐리어(411)로부터 틸팅되고,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도 그 전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서브 캐리어(413)로부터 틸팅되어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지지한다. 발판부(710)의 전단부가 플렛폼(20)에 도달할 때 발판부(710)의 발판 구름 롤러(724)가 플렛폼(20)에 접하여 구름 운동함으로써, 발판부(710)는 플렛폼(20)에 도달하더라도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다.
발판부(710)가 플렛폼(20) 위로 전진할 때 발판부(710)의 전방에 장애물이나 사람이 있는 경우, 발판부(710)의 발판(711)이 발판 지지 프레임(720)보다 먼저 상대물에 접촉하여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발판(711)에 결합된 이동 감지부재(756)가 발판 지지 프레임(720)에 설치된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가 이동 감지부재(756)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발판 유동 감지 센서(751)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구동 유닛(300)이 정지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발판 유닛(700)을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부품의 손상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플렛폼(20)에 장애물이나 사람이 없는 경우,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된 발판부(710)는 프레임 유닛(200)에서 플렛폼(20) 쪽으로 기울어져 위쪽의 프레임 유닛(200)과 아래쪽의 플렛폼(20)을 단차 없이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부(710) 후단부의 단차 커버 플레이트(780)가 프레임 유닛(200)의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 사이의 틈새를 막고, 프레임 커버부(230)와 발판부(710)를 단차 없이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어 차량(10)의 발판 기능을 수행할 때, 발판 쇽업쇼바(600)가 발판부(710)를 지지하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탑승자가 발판부(710)를 밟을 때 발판부(7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발판부(710) 인입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 유닛(300)이 발판부(710)를 프레임 유닛(200)으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때, 메인 캐리어(411)가 발판부(710)를 프레임 유닛(200)으로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의해 서브 캐리어(413)와, 발판부(710)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 및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발판부(710)가 인입되는 동안 제 2 텔레스코픽 레일(438)은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보다 느린 속도로 후퇴하면서 제 1 텔레스코픽 레일(431)을 지지하게 된다. 발판부(710)가 프레임 유닛(2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면 차폐 커버(500)가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으로 원상 복귀되어 프레임 유닛(200)의 개구(240)를 차폐함으로써, 개구(24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은 프레임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전 차단바(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차단바는 발판 유닛(700)의 인출 상태에 따라 차량(10)의 출입구(14)를 통한 탑승자의 진입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안전 차단바는 별도의 케이스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발판 유닛(700)이 인출되는 경우, 인출 동작이 완료된 이후 안전 차단바가 차단 해제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고, 발판 유닛(700)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인입 동작이 시작되기 이전 안전 차단바가 차단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발판 유닛(700)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어 승객의 차량 출입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100)과 비교하여 프레임 유닛(200)의 설치 구조가 다소 변경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프레임 유닛(200)은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을 통해 차량(10)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클램프 유닛(250)과 결합된다. 클램프 유닛(25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클램프 블록(260)의 양쪽 블록 숄더부(262)에 한 쌍의 클램프 암(270)이 각각 결합된 상태로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구비되는 바닥 레일(32)의 레일 홈(33) 속에 삽입된다.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은 프레임 바디부(210)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어 체결부재(280)를 통해 바닥 레일(32)에 설치된 클램프 유닛(250)에 고정된다.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은 프레임 바디부(210)에 고정되는 측면 고정부(291)와, 클램프 유닛(250)에 고정되는 바닥 고정부(293)와, 강도 보강을 위해 측면 고정부(291)와 바닥 고정부(293)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295)를 포함한다.
측면 고정부(291)는 프레임 바디부(21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프레임 바디부(210)의 측면에 면접촉하도록 고정된다. 바닥 고정부(293)는 실내 바닥 플레이트(11)과 평행하게 측면 고정부(291)의 끝단에 연결된다. 도면에는 바닥 고정부(293)가 측면 고정부(291)의 끝단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바닥 고정부(293)와 측면 고정부(291)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측면 고정부(291)의 중간에는 체결부재(280)의 결합을 위한 측면 고정부 삽입구멍(292)이 마련되고, 바닥 고정부(293)의 중간에는 체결부재(280)의 결합을 위한 바닥 고정부 삽입구멍(294)이 마련된다. 측면 고정부 삽입구멍(292)은 체결부재(280)가 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홈 형태로 마련된다. 바닥 고정부 삽입구멍(294)은 체결부재(280)가 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 레일(32)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 레일(3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 측면 고정부(291)의 측면 고정부 삽입구멍(292)과 바닥 고정부 삽입구멍(294)의 형상은 상하 방향 또는 바닥 레일(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 형상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은 체결부재(280)가 측면 고정부(291)의 측면 고정부 삽입구멍(292)을 관통하여 프레임 바디부(210)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 바디부(210)에 고정되고, 또 다른 체결부재(280)가 바닥 고정부(293)의 바닥 고정부 삽입구멍(294)을 관통하여 바닥 레일(32)에 설치된 클램프 유닛(250)에 결합됨으로써 클램프 유닛(250)에 고정된다. 도면에는 바닥 고정부(29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80)가 클램프 블록(260)의 삽입구멍(263)에 삽입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경우에 따라 체결부재(280)가 클램프 암(270)의 관통구멍(272)에 삽입되어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을 클램프 유닛(25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의 프레임 바디부(210)는 바닥 레일(32)이 없는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의 바닥 중간에 놓인 상태에서 클램프 유닛(250)과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을 통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바디부(210)는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의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그 측면에 고정된 복수의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이 체결부재(280)에 의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의 클램프 유닛(250)에 고정됨으로써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닥 레일(32)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나, 클램프 유닛(250)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로부터 돌출되는 높이에 따라, 측면 고정부(29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80)를 측면 고정부 삽입구멍(292)에서 상대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프레임 바디부(210)의 측면에서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닥 고정부(29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80)를 바닥 고정부 삽입구멍(294)에서 상대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실내 바닥 플레이트(11) 상에서 프레임 바디부(2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프레임 유닛(200)이 바닥 레일(32)이 없는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의 바닥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어, 실내 바닥 플레이트(11)로부터 덜 돌출되도록 차량(1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29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프레임 바디부(210)와 실내 바닥 플레이트(11)에 설치된 클램프 유닛(250)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4에 나타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800)은 양쪽 측면 모두에 출입구(14)가 마련된 차량(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30)의 양쪽 출입구(14)를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는 앞서 설명한 것과 대부분의 구성이 같은 것으로, 구동 유닛(300)과, 동력 전달 유닛(400)과, 발판 유닛(700)이 프레임 유닛(830)의 내측에 설치되고, 발판 유닛(700)이 구동 유닛(300)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 유닛(400)을 통해 전달받아 프레임 유닛(83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 유닛(8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들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는 일부 구성 요소를 공유함으로써 차량(30)에 콤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800)은 하나의 프레임 유닛(830)을 갖는 것으로, 두 개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가 하나의 프레임 유닛(830)을 부분적으로 공유한다. 프레임 유닛(830)은 각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의 발판 유닛(700)이 차량(10)의 양측 출입구(14)를 향해 인출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개방된다. 각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의 캐리어 레일부(840)는 캐리어부(41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캐리어 레일부(840) 역시 각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의 캐리어부(410)가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길이가 더 연장되는 방식으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는 차량(30)의 좌우 폭 방향 중앙점(O)을 중심으로 점대칭을 이루어 하나의 프레임 유닛(830)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5에 나타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900)은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810)(820)가 차량(30)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선(C)을 중심으로 거울상 대칭을 이루어 하나의 프레임 유닛(830)에 콤팩트하게 배치된 것이다.
이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은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동력 전달 유닛이나 구동 유닛을 서로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형태로 하나의 프레임 유닛에 콤팩트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30 : 차량 11 : 실내 바닥 플레이트
12 : 바닥 레일 13 : 레일 홈
14 : 출입구 20 : 플렛폼
100, 800, 900 :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50, 810, 820 :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00 : 프레임 유닛 210 : 프레임 바디부
211 : 바닥 프레임 213 : 프레임 보강대
215 : 가이드 롤러부 216 : 텔레스코픽 레일 가이드 롤러
230 : 프레임 커버부 231 : 커버 플레이트
233 : 미끄럼 방지부 240 : 개구
250 : 클램프 유닛 260 : 클램프 블록
261 : 블록 헤드부 262 : 블록 숄더부
270 : 클램프 암 280 : 체결부재
290 : 프레임 유닛 고정 브라켓 291 : 측면 고정부
293 : 바닥 고정부 295 : 보강 리브
300 : 구동 유닛 310 : 모터
320 : 스크류축 330 : 캐리어 브릿지
400 : 동력 전달 유닛 410 : 캐리어부
411 : 메인 캐리어 413 : 서브 캐리어
415 : 단차 커버 플레이트 받침부 416 : 받침 롤러
420 : 캐리어 레일부 421 : 메인 가이드 레일
423 : 서브 가이드 레일 425 : 메인 이동 블록
427 : 서브 이동 블록 430 : 텔레스코픽 레일부
431 : 제1 텔레스코픽 레일 436 : 텔레스코픽 레일 걸림돌기
438 : 제2 텔레스코픽 레일 450, 460 : 제 1, 2 캐리어 힌지부
470 : 서브 동력 전달부 471, 473 : 제 1, 2 랙 기어
475 : 피니언 기어피 480 : 발판 이동 감지부
481 : 이동 감지센서 500 : 차폐 커버
510 : 회전 브라켓부 520 : 회전축
530 : 탄성부재 600 : 발판 쇽업쇼바
610 : 완충 받침대 620 : 받침대 지지 링크 기구
621 : 입력 링크 622 : 지지 링크
630 : 쿠션 스프링 640 : 스프링 압축부
641 : 링크 연결부재 642 : 슬라이드 부시
643 : 내측 부시 644 : 외측 부시
650 : 가이드 축 660, 665 : 제 1, 2 축 고정대
700 : 발판 유닛 710 : 발판부
711 : 발판 712 : 발판 연결축
715 : 발판 가이드 리브 720 : 발판 지지 프레임
721 : 가이드 프레임 바 722 : 연결 프레임 바
723 : 회전 지지축 724 : 발판 구름 롤러
726 : 연결축 지지 브라켓 727 : 연결축 삽입홈
730 : 발판 지지 스프링 740 : 미끄럼 방지 패드
750 : 발판 유동 감지부 751 : 발판 유동 감지 센서
753 : 센서 지지 플레이트 754 : 슬릿
756 : 이동 감지부재 757 : 센서 감지부
760 : 발판부 연결 링크부 761 : 메인 캐리어 고정 링크
764, 767 : 제 1, 2 장홈 766 : 커플러 링크
770, 772 : 제 1, 2 링크 연결축 775 : 발판부 고정 링크
777 : 링크 구름 롤러 778 : 롤러 지지 링크
780 : 단차 커버 플레이트 782 : 단차 커버 플레이트 연결 링크

Claims (18)

  1.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발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부를 갖는 발판 유닛과, 상기 발판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상기 발판 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발판 유닛과 연결되는 동력 전달 유닛을 갖는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차량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구를 향해 각각의 발판부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움직여 상기 발판부를 이동시키는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과 동시에 움직이되, 그 이동 속도가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직선 이동하는 메인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와 상기 제 1 텔레스코픽 레일은, 각각 상기 메인 캐리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으로 직선 이동하는 서브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텔레스코픽 레일은 상기 서브 캐리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서브 캐리어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서브 캐리어가 상기 메인 캐리어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의 이동력을 상기 서브 캐리어에 전달하는 서브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동력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상기 발판 유닛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랙 기어와,
    상기 제 1 랙 기어와 마주하도록 상기 메인 캐리어에 상기 제 1 랙 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랙 기어와,
    상기 제 1 랙 기어 및 상기 제 2 랙 기어와 동시에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발판 프레임과,
    탑승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발판 프레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발판 프레임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에 탄성력을 가하는 발판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판의 상대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발판 유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발판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면과 상기 발판부 사이의 틈새를 덮는 단차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발판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단부에 구비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발판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판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는 발판 쇽업쇼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 위에 고정되는 프레임 바디부와,
    탑승자가 디딜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부와,
    상기 프레임 커버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상기 차량의 실내 바닥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 바닥 플레이트의 레일 홈에 삽입되는 클램프 블록을 갖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블록에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상기 클램프 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차량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선을 중심으로 거울상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차량의 좌우 폭 방향 중앙점을 중심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프레임 유닛을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을 서로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가 상기 구동 유닛을 서로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20170024460A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1889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8581 2016-11-25
KR1020160158581 201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719A true KR20180059719A (ko) 2018-06-05
KR101889899B1 KR101889899B1 (ko) 2018-08-22

Family

ID=621874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60A KR101889899B1 (ko)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20170024458A KR101854811B1 (ko)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20170024459A KR101889898B1 (ko)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58A KR101854811B1 (ko)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20170024459A KR101889898B1 (ko) 2016-11-25 2017-02-24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88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23B1 (ko) 2020-12-04 2021-04-29 케이알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선박용 냉난방 시스템
CN113069044A (zh) * 2021-03-25 2021-07-0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越障装置及组件
CN115089038A (zh) * 2022-07-25 2022-09-23 佛山市南海贺泺卫浴有限公司 一种vr现实沉浸式体验的浴缸泳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88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재떨이의 담배불 자동소화장치
KR20090063191A (ko) * 2009-05-04 2009-06-17 김성곤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101048476B1 (ko) * 2008-10-31 2011-07-11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슬라이딩 램프
KR101412087B1 (ko) 2012-09-07 2014-07-01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398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3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2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530521B1 (ko) * 2013-12-23 2015-06-23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20160050237A (ko) * 2014-10-29 2016-05-11 (주)코윈테크 래크와 피니언이 다단으로 구비되는 물품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9516B2 (ja) * 2005-09-28 2010-09-08 オムロン株式会社 機器
KR20130053669A (ko) * 2011-11-16 2013-05-24 박수경 밀림방지용 요철 표면을 갖춘 체결 브라켓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88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 재떨이의 담배불 자동소화장치
KR101048476B1 (ko) * 2008-10-31 2011-07-11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슬라이딩 램프
KR20090063191A (ko) * 2009-05-04 2009-06-17 김성곤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101412087B1 (ko) 2012-09-07 2014-07-01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398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3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2B1 (ko) 2013-06-10 2015-01-29 (주)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530521B1 (ko) * 2013-12-23 2015-06-23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슬라이드 방식의 승강장 발판장치
KR20160050237A (ko) * 2014-10-29 2016-05-11 (주)코윈테크 래크와 피니언이 다단으로 구비되는 물품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898B1 (ko) 2018-08-22
KR101854811B1 (ko) 2018-05-08
KR101889899B1 (ko) 2018-08-22
KR20180059718A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99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JPS5849539A (ja) 乗物用可動フ−トステツプ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20110099552A (ko)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CN107856678B (zh) 运输乘客的缆绳系统
KR1014873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10218800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1412087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2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KR101487403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CN211809604U (zh) 轨道车辆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JPH08507342A (ja) 機械的駐車装置
KR20120118317A (ko) 어린이통학 버스용 보조발판장치
KR10148740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423887B1 (ko)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