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096A -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 Google Patents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096A
KR20180059096A KR1020160158263A KR20160158263A KR20180059096A KR 20180059096 A KR20180059096 A KR 20180059096A KR 1020160158263 A KR1020160158263 A KR 1020160158263A KR 20160158263 A KR20160158263 A KR 20160158263A KR 20180059096 A KR20180059096 A KR 2018005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bacillus subtilis
lrcc1002
present
helicobacter pylo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177B1 (ko
Inventor
이현지
윤석민
이경준
양시영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177B1/ko
Priority to JP2017226164A priority patent/JP6471210B2/ja
Publication of KR2018005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C12R1/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효소 생성능을 가지고, 우수한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능을 가지기 때문에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등 고기능성 식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가지기 때문에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에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이러한 건강식품은 혈전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Bacillus subtilis LRCC1002 strain having enzymatic profile, bile resistance, antimicrobial activity for Helicobacter Pylori, and thrombolysis activity}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흔히 고초균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토양에 서식하는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으로서 그람 양성의 포자를 형성하는 균이다. 이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호기성이며, 주모성 편모를 가지고 운동하며, 내열성이 있는 균이고, 포도당과 같은 다양한 당류나 전분 등을 에너지원으로 대사하며, 메주나 청국장과 같은 발효 식품 제조 시에 발효 균주로 이용되기도 하는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한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식물조직의 펙틴과 다당류를 분해하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단백질 및 녹말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또한, 병원성 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물질을 생성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도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생화학, 물리적인 특성을 가지며 균에 대한 안정성도 입증이 되었기 때문에 생물학적 제제로도 많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인에게는 청국장의 발효 미생물로서 관계가 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미생물 제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2, Vol. 48, No. 3, pp. 220-224. 에는 전통 장류에서 분리된 Biogenic Amines 분해 능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혈전용해능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혈전으로부터 기인되는 성인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각종 유용한 생리활성 기능이 보고됨에 따라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혈전은 Fibrinogen이 Thrombin에 의해 Fibrin으로 전환되어 형성되는 중합체로써, 뇌혈관이나 심장혈관에서 혈전이 형성되는 질환인 혈전증은 치명적이다. 따라서, 혈전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Urokinase, Streptokinase,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issue 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는 혈중 반감기가 낮고, 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혈전용해 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장기능(효소 분비능,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과 혈전용해능이 높으며 병원성 미생물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작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균주는 부재한 실정으로, 이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고부가가치 식품의 제조에 사용이 가능한 신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김용상 등,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2, Vol. 48, No. 3, pp. 220-224.
본 발명은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는, 우수한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효소는 아밀라아제 또는 프로테아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효소 생성능을 가지고, 우수한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능을 가지기 때문에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등 고기능성 식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가지기 때문에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에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이러한 건강식품은 혈전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의 효소 분비능 확인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의 장내 부착성 확인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의 항균력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의 혈전용해능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는,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진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정장기능(효소 분비능,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과 혈전용해능이 높으며 병원성 미생물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작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균주가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효소 생성능을 가지고, 우수한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능을 가지는 균주를 개발,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2016년 8월 12일자로 기탁하였다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기탁번호: KCCM11880P).
상기 균주는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효소는 소화 효소로써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리파아제(lipase)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밀라아제 또는 프로테아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 기능 개선 또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목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균주 건조 분말 또는 균주 배양액을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균주 건조 분말 또는 균주 배양액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0㎖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균주 건조 분말 또는 균주 배양액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상기 균주 건조 분말 또는 균주 배양액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상기 균주 건조 분말 또는 균주 배양액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 기능 개선 또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에서, 상기 식품은 유제품, 발효유,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시험예 1 : 분리 균주의 동정 및 효소 분비능 우수 균주 분리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한 후, 생육이 잘되고 콜로니 모양이 선명한 9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균주는 식품원료로 사용 가능한 미생물인지 확인을 위하여 (주)바이오팩트(BIOFACT Co. Ltd., Korea)에 의뢰하여 16s 리보좀 DNA 염기서열을 기초로 균주를 동정한 분석 결과를 얻었다. 동정을 실시한 결과 모두 Bacillus 속 미생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식용 가능한 미생물은 4종으로 모두 Bacillus subtilis 였으며 이 중 세포 외 효소 분비능을 확인한 결과 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에서 Amylase 및 Protease 효소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도 1). 실험의 대조군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은 Bacillus subtilis KCCM12512를 이용하였다.
시험예 2 : 인공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 평가
분리 균주의 인공위액에 대한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균주는 Tryptic Soy Broth 배지(Difco, Detroit, USA)에 전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균체만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는 멸균한 0.5% NaCl로 세척하고 세척 마지막 단계에서 0.5% NaCl에 분산시켜 균주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인공위액의 저항성 측정은 0.5% NaCl(pH 2.5)에 0.04%(w/v) 펩신을 첨가하여 제조한 인공위액에 균주 현탁액을 접종하여 3시간 반응하여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인공위액에 접종한 후 바로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측정하였다. 분리 균주의 인공위액에 대한 저항성은 초기 생균수와 3시간 동안 반응 후의 생균수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Log %로 나타내었다.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분리 균주는 액체 배지에 전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다음 멸균수로 세척하고 세척 마지막 단계에서 멸균수에 분산시켜 균주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담즙산의 저항성 측정은 0.5% NaCl(pH 7.0)에 0.3% 담즙염(Bile Ox gall salt)이 첨가된 액체 배지에 균주 현탁액을 접종하여 3시간 반응하여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답즙산액에 접종한 후 바로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측정하였다. 분리 균주의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은 초기 생균수와 3시간 동안 반응 후의 생균수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Log %로 나타내었다.
프로바이오틱 미생물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위장관의 낮은 pH 조건 및 소화 효소가 많은 담즙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생존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발된 Bacillus subtilis 중 인공위액과 담즙산의 저항성이 높은 균주를 찾고자 실험하였으며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의 대조군으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Bacillus subtilis KCCM12512 및 Bacillus subtilis KCCM12027, Bacillus subtilis KCCM12511을 이용하였다. 인공위액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Bacillus subtilis LRCC1002가 Log 67.6%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0.3% 담즙염을 이용하여 제조한 담즙산에 대한 내성은 균주 4종 모두 Log 99% 이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분류 균 주 생존율(Log%)


인공위액
LRCC1002 67.6
KCCM12512 53.2
KCCM12027 62.5
KCCM12511 44.8

담즙산

LRCC1002 99.9
KCCM12512 99.4
KCCM12027 99.6
KCCM12511 99.9
시험예 3 : 장내 부착성 평가
본 실험에 사용된 Caco2 Cell은 사람의 대장암에서 유래되는 장관 상피세포로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Caco2 Cell(HTB-37, ATCC) 세포는 10% FBS (Fetal bovine serum, Welgene co., Daegu, Kore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NY, USA)을 첨가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EMEM, Welgene co., Daegu, Korea)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가 공급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단일층(Monolayer)을 형성하게 되면 계대 배양하여 격일로 배지를 교환해 주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장내 점착성 실험을 위해 Caco2 Cell은 24 Well Plate에 Well당 1?105 cells/m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분리 균주는 Tryptic Soy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37에서 전배양한 다음, 균주를 회수하여 0.1 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3회 세척하여 FBS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되지 않은 EMEM 배지에 분산하였다. Caco2 세포를 배양한 24 Well Plate에 분리된 균주 배양액을 500㎕씩 접종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부착되지 않은 균주를 제거하기 위해 0.1M PBS로 세척하였다. 이를 회수하여 희석한 후 Tryptic Soy Agar 배지에 평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생균수를 확인하였다. 장내 부착성(Log%)은 접종한 초기 균수 대비 Caco2 Cell에 처리하여 부착된 균수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소화기관을 통과하여 최종 목적 부위인 장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장내 상피세포에 정상적으로 부착하여 생존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분리한 균주와 비교군으로서 KCCM12512, KCCM12027, KCCM12511의 장내 부착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Bacillus subtilis LRCC1002와 Bacillus subtilis LRCC12511이 각각 Log 80.3%, Log 7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4 :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능 평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ATCC 40449)는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 (KTCC;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서 분양을 받았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10% Sheep Blood를 포함하는 BAP(Blood Agar Plate, 한일코메드, Korea) 배지에 접종하여 10% CO2 배양기에서 증균하였다. 3일 내지 4일간 배양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0.85%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준비하였다. 실험용 배지는 Bottom Agar(Agar 1.2% 함유) 및 Top Agar(Agar 0.3% 함유)로 구분하여 제조하였다. BBL™ Brucella Broth(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SA)를 멸균하여 40까지 식히고 전체의 10%의 부피로 FBS(Fetal Bovine Serum)을 추가 하였다. Bottom Agar 10mL을 Petri Dish에 먼저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가량 굳혔다. 멸균한 Top Agar는 40까지 식히고 전체의 10%의 부피로 FBS와 준비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접종하여 굳힌 Bottom Agar위에 3mL 분주하여 30분간 굳힌 후 10mm 페이퍼 디스크(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상기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았다. LRCC 1002 균주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8,000rpm, 10분) 상등액과 균체액을 분리한 다음 각각의 시료를 30μL씩 페이퍼 디스크에 투여하고 37, 10% CO2 배양기에서 3일 내지 4일 동안 배양하여 억제 환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도 3).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LRCC 1002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적용을 위한 유해균의 억제력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5 : 혈전 용해능 활성 평가
Astrup, T. and Mullertz 방법[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ivesbiochem. Biophysics, 1952]을 변형하여 Fibrinogen 용액(0.17M 붕산완충용액, 0.3% Fibrinogen 10mL)을 Petri Dish에 분주하고 여기에 Thrombin 용액(0.17M 붕산완충용액, 500U/mL Thrombin)을 0.5mL 첨가 후 1분간 교반하여 1시간 이상 굳혔다. 굳어진 피브린 플레이트에 페이퍼 디스크를 얹고 측정 시료 20μL을 분주한 후, 3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투명한 부위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정제된 혈전용해 효소인 플라스민(Plasmin, 1.0 units/mL)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으로 혈전 용해능을 계산하였다. 분리한 균주 LRCC1002와 비교군으로서 KCCM12512, KCCM12027, KCCM12511의 혈전용해 효소 활성도의 측정결과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 혈전용해능(Fibrinolytic activity) (%) = (Sample Clear Zone/Nattokinase Clear Zone) X 1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효소 생성능을 가지고, 우수한 담즙 저항성, 장 점막 부착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능을 가지기 때문에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등 고기능성 식품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는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가지기 때문에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에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이러한 건강식품은 혈전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880P 20160812

Claims (4)

  1.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아밀라아제 또는 프로테아제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3. 제1항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4. 제1항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CCM11880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60158263A 2016-11-25 2016-11-25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R10186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63A KR101865177B1 (ko) 2016-11-25 2016-11-25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JP2017226164A JP6471210B2 (ja) 2016-11-25 2017-11-24 酵素生成能、胆汁抵抗性、及び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に対する抗菌能及び血栓溶解能を有するバチルスサブチリス(Bacillus subtilis)LRCC1002菌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63A KR101865177B1 (ko) 2016-11-25 2016-11-25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96A true KR20180059096A (ko) 2018-06-04
KR101865177B1 KR101865177B1 (ko) 2018-06-08

Family

ID=6223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63A KR101865177B1 (ko) 2016-11-25 2016-11-25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71210B2 (ko)
KR (1) KR101865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79B1 (ko) * 2019-07-04 2020-09-2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5873748A (zh) * 2022-08-18 2023-03-31 浙江省农业科学院 枯草芽孢杆菌、枯草芽孢杆菌发酵物及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365B1 (ko) * 2018-11-09 2019-11-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균 물질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보유하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db 29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61286B1 (ko) * 2019-05-13 2020-09-2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스타터용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727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163660A2 (en) * 2022-02-24 2023-08-3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probiotic alcoholic beve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82B1 (ko) * 1992-12-08 1995-08-04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러스 채널(plus channel) 자동 설정 방법
KR20020055958A (ko) * 2000-12-29 2002-07-10 조성근 위·장 점막 부착성과 증식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대장균 0157:h7에 대한 항균성이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패시즈 파라카제이csk 01
KR20150072015A (ko) * 2013-12-19 2015-06-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아밀라제 효소를 분비하고, 유해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58236A (ko) * 2014-11-11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청국장에서 분리한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을 가지면서 혈전용해 및 효소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2rl2-1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4121B2 (ja) * 2003-01-20 2004-09-08 タカノフーズ株式会社 納豆菌及び納豆の製造方法
JP4918173B1 (ja) * 2011-09-13 2012-04-18 あづま食品株式会社 新規納豆菌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納豆
KR101370942B1 (ko) * 2012-04-05 2014-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82B1 (ko) * 1992-12-08 1995-08-04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러스 채널(plus channel) 자동 설정 방법
KR20020055958A (ko) * 2000-12-29 2002-07-10 조성근 위·장 점막 부착성과 증식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대장균 0157:h7에 대한 항균성이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서브스패시즈 파라카제이csk 01
KR20150072015A (ko) * 2013-12-19 2015-06-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아밀라제 효소를 분비하고, 유해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58236A (ko) * 2014-11-11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청국장에서 분리한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을 가지면서 혈전용해 및 효소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2rl2-1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용상 등,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2, Vol. 48, No. 3, pp. 220-22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79B1 (ko) * 2019-07-04 2020-09-2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1371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5873748A (zh) * 2022-08-18 2023-03-31 浙江省农业科学院 枯草芽孢杆菌、枯草芽孢杆菌发酵物及应用
CN115873748B (zh) * 2022-08-18 2023-07-07 浙江省农业科学院 枯草芽孢杆菌、枯草芽孢杆菌发酵物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1210B2 (ja) 2019-02-13
JP2018082701A (ja) 2018-05-31
KR101865177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177B1 (ko) 효소 생성능, 담즙 저항성,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능을 가지면서 혈전 용해능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LRCC1002 균주
KR101054631B1 (ko) 에쿠올 생산 유산균 함유 조성물
KR102028744B1 (ko) 면역증강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화액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7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734367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6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05863B1 (ko) 신바이오틱 발효 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신바이오틱 발효산물
KR101960352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효소 분비능,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베리류 발효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bb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68678B1 (ko) 한국 장수마을에서 개발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bi9988
KR10196824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104308A (ko) 유산균의 균체외 다당 및 그 용도
KR20190063795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234921B1 (ko)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 저해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0855B1 (ko) 단백질 분해능을 갖는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i200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81269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가 생산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지닌 세포외다당류 및 그 생산방법
KR101669580B1 (ko) 단백질 분해 활성 및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36255B1 (ko) 전지활성생대두미세분말 또는 탈지대두분말의 고초균 및젖산균 발효에 의한 기능성 액상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1489569B1 (ko) 혈전 용해능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혈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7790B1 (ko)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gfc_1220(gfc_ejr_joy)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136832B1 (ko) 당근박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377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50106303A (ko) 혈전용해능과 면역세포 활성기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hkj1339균주
KR20220011937A (ko) 숙취 해소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fc_gfv5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08089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
KR20170098554A (ko) 내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08 균주, 상기 균주의 내산 안정성 향상방법, 이를 이용하여 상기 균주가 함유된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In vitro simulated digestion and fecal fermentation of exopolysaccharides from Lacticaseibacillus paracasei GL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