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007A -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007A
KR20180059007A KR1020160158078A KR20160158078A KR20180059007A KR 20180059007 A KR20180059007 A KR 20180059007A KR 1020160158078 A KR1020160158078 A KR 1020160158078A KR 20160158078 A KR20160158078 A KR 20160158078A KR 20180059007 A KR20180059007 A KR 2018005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lifter
baskets
senso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호
홍주표
구자건
이민수
이현수
김기홍
유병권
차희정
송하린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007A/ko
Publication of KR2018005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52Lifting, hoisting, elevating mechanisms or the like for refuse recepta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65F2210/1443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겹치도록 비치된 복수의 쓰레기통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쓰레기통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른 쓰레기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을 높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에 들어가는 인적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 방향에 따른 하단이 바닥 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서로 겹쳐지게 비치되며, 상기 리프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부터 순차적으로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상기 리프터의 상단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WASTEBASKET OF AUTOMATIC SCALABLE CAPACITY}
본 발명은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서로 겹치도록 비치된 복수의 쓰레기통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쓰레기통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른 쓰레기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을 높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에 들어가는 인적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공공장소에 비치된 쓰레기통의 경우 쓰레기통의 용적량에 분명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인력을 이용해 비워줘야 했다.
그러나 인력을 이용한 쓰레기를 수거는 통상적으로 정해진 시간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실시간 관리에는 취약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인건비로 인한 비용의 소모가 불가피했다.
특히 도시의 번화가와 같이 인구 밀집 지역의 쓰레기통은 그 관리가 더욱 힘들었으며, 넘치는 쓰레기통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도시의 미관을 해침과 동시에 쓰레기를 버리려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초래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 비치시킬 경우 협소한 공간에도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용량을 확장시켜 주기적인 관리만으로도 운용이 가능한 공공장소용 쓰레기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겹치도록 비치된 복수의 쓰레기통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쓰레기통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른 쓰레기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을 높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에 들어가는 인적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높이 방향에 따른 하단이 바닥 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서로 겹쳐지게 비치되며, 상기 리프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부터 순차적으로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상기 리프터의 상단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터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은, 다른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겹쳐지는 하부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의 상단으로 상승되었을 때 바로 아래에 위치했던 상기 다른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바스켓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의 용적량이 한계치인 것이 제1 센서를 통해 확인되면 상단으로 상승시키고, 복수의 바스켓 중 먼저 상승된 바스켓에 구비된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다른 바스켓의 용적량이 한계치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다른 바스켓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프터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서로 겹치도록 비치된 복수의 쓰레기통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쓰레기통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른 쓰레기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을 높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에 들어가는 인적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리프터(100) 및 바스켓(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리프터(100)는 높이 방향에 따른 하단이 바닥 면에 고정되어, 바닥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이 설치될 장소의 바닥 면을 뜻한다.
이러한 리프터(100)는 복수의 바스켓(200)을 승강 운동시키기 위한 지주이자 몸체로서, 바닥 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므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도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리프터(100)의 하단에는 리프터(100)가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고 확장된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2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볼팅 결합을 통해 설치 장소의 바닥 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만약 외부 환경의 영향이 거의 없는 실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120)의 면적과 리프터(100)의 자중에 의한 자유고정 상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리프터(100)의 상단에는 지지플레이트(12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면적을 갖고 확장된 판 형상의 루프플레이트(130)가 구비되어, 외부에 설치될 경우 비 또는 눈 등이 바스켓(2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스켓(200)은 복수로 마련되어 리프터(100)의 하단에 서로 겹쳐지게 비치되며, 리프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리프터(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켓(200)은 리프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승강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프터(100) 내부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복수의 바스켓(200)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200a, 도 2 참조)부터 순차적으로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용적량이 한계치인 바스켓(200a)을 리프터(100)의 상단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요양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100)에는 바스켓(200)의 현재 용적량을 측정하는 제1 센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140)는 복수의 바스켓(200)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200a)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바스켓(200) 중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는 바스켓(200a)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40)는 초음파를 바스켓(200a)의 내부를 향해 발신하고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바스켓(200a) 내부에 쌓여있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회신 거리를 통해 바스켓(200a) 내부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바스켓(200a)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도달했음이 확인되면, 리프터(100) 내부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를 이용해 바스켓(200a)을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리프터(100)의 상단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아두이노 제어를 통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를 구동시키며,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리프터(100) 상부에 마련된 태양전지패널(150) 및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적이 꽉 찬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200a)의 대신하여, 바로 아래에 위치한 빈 바스켓(200b)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200)에는 다른 바스켓(200)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하여 다른 바스켓(200)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하는 제2 센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210)는 바로 아래 위치하는 다른 바스켓(200b)의 내부를 향해 겹쳐지는 하부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용적이 꽉 찬 것이 확인되어 리프터(100)의 상단으로 상승되었을 때 바로 아래 위치했던 다른 바스켓(200b)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다른 바스켓(200b)의 현재 용적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210)는 제1 센서(140)와 마찬가지로 초음파를 다른 바스켓(200b)의 내부를 향해 발신하고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다른 바스켓(200b) 내부에 쌓여있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회신 거리를 통해 다른 바스켓(200b) 내부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센서(210)를 통해 다른 바스켓(200b)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도달했음이 확인되면, 리프터(100)는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를 이용해 다른 바스켓(200b) 또한 리프터(100)의 상단으로 이송시킴으로써, 다른 바스켓(200b)의 바로 아래 위치한 또 다른 빈 바스켓(200c)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스켓(200)이 만약 세 개로 구비된다면, 복수의 바스켓(200)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200a)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맨 마지막에 위치하는 또 다른 바스켓(200c)의 경우는 리프터(100)의 하단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구성함에 있어서 바스켓(20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또한 본 실시에에 따른 리프터(100)는 앞서 언급했듯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150) 및 태양전지패널(150)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패널(150)은 리프터(100)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별도의 액추에이터 및 모터를 통해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이 외부에 설치되었을 경우, 외부 환경의 특성상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태양광의 조사 각에 맞춰 태양전지패널(15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태양전지패널(150)을 이용한 발전효율을 좀 더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서로 겹치도록 비치된 복수의 쓰레기통의 용적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쓰레기통의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른 쓰레기통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을 높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에 들어가는 인적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리프터
140: 제1 센서
200: 바스켓
210: 제2 센서

Claims (5)

  1. 높이 방향에 따른 하단이 바닥 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서로 겹쳐지게 비치되며, 상기 리프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터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부터 순차적으로 용적량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상기 리프터의 상단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다른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겹쳐지는 하부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의 상단으로 상승되었을 때 바로 아래에 위치했던 상기 다른 바스켓의 내부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바스켓의 현재 용적 상태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 중 가장 위에 위치한 바스켓의 용적량이 한계치인 것이 제1 센서를 통해 확인되면 상단으로 상승시키고, 복수의 바스켓 중 먼저 상승된 바스켓에 구비된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다른 바스켓의 용적량이 한계치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다른 바스켓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KR1020160158078A 2016-11-25 2016-11-25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180059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78A KR20180059007A (ko) 2016-11-25 2016-11-25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78A KR20180059007A (ko) 2016-11-25 2016-11-25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07A true KR20180059007A (ko) 2018-06-04

Family

ID=6262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78A KR20180059007A (ko) 2016-11-25 2016-11-25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00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09A (ja) * 1994-11-10 1996-05-28 Asuberu Kk 分別収集ごみ箱
JP2869278B2 (ja) * 1993-01-22 1999-03-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ゴミ容器反転装置
JPH1179311A (ja) * 1997-09-17 1999-03-23 Fuji Heavy Ind Ltd 仕分けごみ収集用昇降システム
JP2004307159A (ja) * 2003-04-08 2004-11-04 Kurimoto Ltd 廃棄物投入装置
KR101528298B1 (ko) * 2014-04-24 2015-06-11 주식회사 이큐브랩 쓰레기 수거용 모듈 장치 및 상기 모듈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9278B2 (ja) * 1993-01-22 1999-03-1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ゴミ容器反転装置
JPH08133409A (ja) * 1994-11-10 1996-05-28 Asuberu Kk 分別収集ごみ箱
JPH1179311A (ja) * 1997-09-17 1999-03-23 Fuji Heavy Ind Ltd 仕分けごみ収集用昇降システム
JP2004307159A (ja) * 2003-04-08 2004-11-04 Kurimoto Ltd 廃棄物投入装置
KR101528298B1 (ko) * 2014-04-24 2015-06-11 주식회사 이큐브랩 쓰레기 수거용 모듈 장치 및 상기 모듈 장치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2869278호(1999.03.10.)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973B2 (en) Electrical powered weight and fullness level system
CN105292847B (zh) 智能垃圾分类回收箱
CN110525825A (zh) 一种生活垃圾智能监控分类收集装置
NL1039541C2 (nl) Huisvuilcontainer en inbouweenheid daarvoor.
CN202208487U (zh) 智能垃圾桶
KR101185152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162528B1 (ko) 쓰레기통 및 그 제어 방법
CN205187031U (zh) 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CN109760975A (zh) 一种智能回收垃圾的系统
CN202117291U (zh) 楼宇垃圾处理系统
CN107954128A (zh) 自动压缩垃圾桶及控制系统
CN209973373U (zh) 一种智能垃圾桶
KR20180059007A (ko) 자동 용량 확장이 가능한 쓰레기통
CN111498336A (zh) 一种四分类下沉地埋式垃圾收集站
CN210456028U (zh) 一种垃圾分类地下装置
CN210635126U (zh) 垃圾桶
CN116307986A (zh) 用于物流派送、垃圾回收的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11109168U (zh) 一种垃圾箱用的称重装置
CN207079872U (zh) 一种高层住宅的生活垃圾专用外附式运输工具
CN206939576U (zh) 一种能够检测垃圾存放量并报警的垃圾箱
RU865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бытового мусора в жилом доме
CN212486022U (zh) 一种驱鼠电缆桥架
CN214453851U (zh) 基于人工智能的垃圾分类装置
CN211767977U (zh) 一种地埋式节能自动升降垃圾存储设备
CN212830604U (zh) 一种四分类下沉地埋式垃圾收集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