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835A -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835A
KR20180058835A KR1020187013506A KR20187013506A KR20180058835A KR 20180058835 A KR20180058835 A KR 20180058835A KR 1020187013506 A KR1020187013506 A KR 1020187013506A KR 20187013506 A KR20187013506 A KR 20187013506A KR 20180058835 A KR20180058835 A KR 2018005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alue
verification
record
en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647B1 (ko
Inventor
커피가 케이. 케트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8005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02M2001/0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C-DC 전압 컨버터는 초기에 유휴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1 인코딩된 값(encoded value)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1 값 및 제2 값을 더 결정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2 인코딩된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3 값 및 제4 값을 더 결정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값이 상기 제3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Description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가출원번호 제62/376,565호 및 2017년 7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정규출원번호 제15/651,005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에 대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DC-DC 전압 컨버터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전압과는 다른 레벨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DC-DC 전압 컨버터는 벅 동작 모드, 부스트 동작 모드 등 간에 모드 변경을 통해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모드 변경 간 지체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DC-DC 전압 컨버터의 모드 변경을 듀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개선된 제어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DC-DC 전압 컨버터가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고, DC-DC 전압 컨버터를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각각의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과 제2 동작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에 대한 장점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DC-DC 전압 컨버터는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제2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DC-DC 전압 컨버터는 초기에 유휴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통신 버스로부터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는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명령 받았음을 의미하는 제1 동작 모드 값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유휴 동작 모드가 아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1 인코딩된 값(encoded value)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1 값 및 제2 값을 더 결정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2 인코딩된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3 값 및 제4 값을 더 결정한다.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1 인코딩된 값과 다르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값이 상기 제3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4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모드 테이블, 제2 모드 테이블, 제1 확인 테이블(check table) 및 제2 확인 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encoded mode value)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check mode value)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다.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다.
상기 제3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다.
상기 제4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다.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 내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다.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 내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여부를 더 결정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면,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의 고전압단에 위치하는 제1 전압 센서로부터 제1 전압 신호를 더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면,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의 저전압단에 위치하는 제2 전압 센서로부터 제2 전압 신호를 더 수신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크면, 개방 동작 플래그를 참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 간의 해밍 거리는 2이다.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 간의 해밍 거리는 2이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DC-DC 전압 컨버터의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와 제1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접촉기(contactor)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DC-DC 전압 컨버터의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와 상기 접촉기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휴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폐쇄 동작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폐쇄 동작 상태인 벅 동작 모드(buck operational mode)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벅 특수 동작 모드(buck special operational mode)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부스트 동작 모드(boost operational mode)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종료 동작 모드(off operational mode)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통신 버스로부터 제2 동작 모드 메시지를 더 수신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메시지는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명령 받았음을 의미하는 유휴 동작 모드 값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휴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테이블 내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휴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유휴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과 제2 동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DC-DC 전압 컨버터에 요청된 동작 모드의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과 제2 동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DC-DC 전압 컨버터를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전압 컨버터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1 모드 테이블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1 확인 테이블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 시스템에서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2 모드 테이블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 시스템에서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2 확인 테이블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도시한 상태도다.
도 7은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도 1의 제어 시스템에에 의해 이용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7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은 도 7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의 DC-DC 전압 컨버터에서 사용되는 제1 양방향 모스펙 스위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유닛>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이 제공된다. 차량(10)은 배터리(40), 접촉기(42), 3상 커패시터 뱅크(48), 배터리 스타터 제너레이터 유닛(starter generator unit, 50), DC-DC 전압 컨버터(54), 배터리(56), 제어 시스템(58), 차량 컨트롤러(60), 통신 버스(62) 및 전기 라인(64, 66, 67, 68, 72, 74)을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58)의 장점은 DC-DC 전압 컨버터(54)가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각각의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과 제2 동작 어플리케이션(619)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9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노드란 전기 회로의 일 영역이거나 위치일 수 있다.
배터리(40)는 양극 단자(78)와 음극 단자(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는 양극 단자(78)와 음극 단자(80) 사이에서 48Vdc를 생성한다. 양극 단자(78)는 접촉기(42)의 제1 측면 상의 제1 노드(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극 단자(80)는 접촉기(42)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촉기(42)는 접촉기 코일(81), 접점(82), 제1 노드(83) 및 제2 노드(84)를 포함한다. 제1 노드(83)는 배터리(40)의 양극 단자(7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노드(84)는 3상 커패시터 뱅크(48) 및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의 제1 노드(13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전압 구동기(76, 77)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접촉기 코일(81)이 통전되어 접점(82)이 폐쇄 동작 상태로 변경된다. 반대로,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전압 구동기(76, 77)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접촉기 코일(81)이 비통전되어 접점(82)이 개방 동작 상태로 변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제어 신호 및 제4 제어 신호는 각각 접지 전압 레벨일 수 있다.
3상 커패시터 뱅크(48)는 배터리 스타터 제너레이터 유닛(50), 배터리(40) 및 DC-DC 전압 컨버터(54)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데 이용된다.
3상 커패시터 뱅크(48)는 전기 라인(72)을 이용하여 노드(82) 및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30)의 제1 노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3상 커패시터 뱅크(48)는 전기 라인(66, 67, 68)을 이용하여 배터리 스타터 제너레이터 유닛(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 스타터 제너레이터 유닛(50)은 전기 라인(66, 67, 68)을 통해 3상 커패시터 뱅크(48)에 의해 수신되는 AC 전압을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전기 라인(120, 122) 및 하우징(124)을 포함한다. 하우징(124)은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를 내부에서 지지한다.
도 1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는 제1 노드(130), 제2 노드(132), 모스펫 스위치(133, 134) 및 다이오드(135, 136)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는 요청되는 전압과 전류 성능을 갖는 다른 유형의 양방향 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노드(130)는 접촉기(42)의 제2 노드(84) 및 3상 커패시터 뱅크(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노드(132)는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의 제1 노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에 의해 수신되는(또는, 컨트롤러 또는 스위치(11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DC-DC 전압 컨버터(54)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스위치(110)가 개방 동작 상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신호는 접지 레벨 제어 신호이다.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는 제1 노드(140) 및 제2 노드(142)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는 마이크로컨트롤러(190)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노드(140)에서 수신된 DC 전압을 제2 노드에서 출력되는 다른 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반대로,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는 마이크로컨트롤러(190)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노드(142)에서 수신된 DC 전압을 제1 노드(140)에서 출력되는 다른 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제1 노드(150) 및 제2 노드(152)를 포함한다. 제1 노드(150)는 전기 라인(122)을 이용하여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의 제2 노드(142)에 연결된다. 제2 노드(152)는 전기 라인(74)을 이용하여 배터리(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요청되는 전압과 전류 성능을 갖는 다른 유형의 양방향 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에 의해 수신되는(또는, 컨트롤러 또는 스위치(11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DC-DC 전압 컨버터(54)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로 변경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신호는 접지 레벨 제어 신호이다.
배터리(56)는 양극 단자(170)와 음극 단자(17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56)는 양극 단자(170)와 음극 단자(172) 사이에서 12Vdc를 생성한다. 양극 단자(17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노드(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극 단자(172)는 배터리(40)와 연결된 접지와 다를 수 있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58)은 DC-DC 전압 컨버터(54)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제어 시스템(58)은 접촉기(42), 마이크로컨트롤러(190) 및 전압 센서(192, 194)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12)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메모리 장치(2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 장치(212)에 값들을 저장하여 DC-DC 전압 컨버터(54)의 동작 모드를 제어(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기술됨)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메모리 장치(212),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DC-DC 컨버터 제어 회로(112), 전압 센서(192, 194) 및 접촉기(4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압 센서(192)는 스위치(114)의 고전압단에 위치하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제1 노드(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압 센서(192)는 마이크로컨트롤러(190)에 의해 수신되고, 제1 노드(150)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전압 센서(194)는 스위치(114)의 고전압단에 위치하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제2 노드(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압 센서(194)는 마이크로컨트롤러(190)에 의해 수시되고, 제2 노드(152)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DC-DC 전압 컨버터(54)의 동작 모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상태도(500)를 참조하면, DC-DC 전압 컨버터(54)는 유휴 동작 모드, 벅 동작 모드, 벅 특수 동작 모드, 부스트 동작 모드 및 종료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처음으로, DC-DC 전압 컨버터(54)는 유후 동작 모드이다. DC-DC 전압 컨버터(54)가 유휴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개방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따라서, 전류는 스위치(110, 114)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유휴 동작 상태로부터 임의의 다른 동작 상태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DC-DC 전압 컨버터(54)가 유휴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개방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개방 동작 상태이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벅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폐쇄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따라서, DC-DC 전압 컨버터(54)는 배터리(56)에 출력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DC-DC 전압 컨버터(54)는 벅 동작 모드로부터 변경될 때, 오직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벅 특수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폐쇄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개방 동작 상태이고, 따라서, 배터리(40)는 DC-DC 전압 컨버터(54)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DC-DC 전압 컨버터(54)는 벅 특수 동작 모드로부터 변경될 때, 오직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부스트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폐쇄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개방 동작 상태이고, 따라서, DC-DC 전압 컨버터(54)는 3상 커패시터 뱅크(48)를 충전시킨다. 또한, DC-DC 전압 컨버터(54)는 부스트 동작 모드로부터 변경될 때, 오직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DC-DC 전압 컨버터(54)는 종료 동작 모드일 때,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는 각각 개방 동작 상태이며, 접촉기(42)의 접점(82)은 개방 동작 상태이다. 또한, DC-DC 전압 컨버터(54)는 종료 동작 모드로부터 변경될 때, 오직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212)에 저장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특정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해 유효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데 있어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에 의해 이용되는 제1 모드 테이블(250), 제1 확인 테이블(280), 제2 모드 테이블(350) 및 제2 확인 테이블(480)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모드 테이블(250)은 차량 컨트롤러(60)로부터 수신된 동작 모드 메시지의 10진수 모드 값을 인코딩된 모드 값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에 의해 이용된다. 제1 모드 테이블(250)은 기록(251, 252, 253, 254, 255)을 포함한다.
기록(251)은 유휴 동작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51)은 10진수 값 "0"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FB"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0"을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0"을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0"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251)으로부터 인코딩 된 모드 값 "FB"를 획득한다.
기록(252)은 벅 동작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252)은 10진수 값 "1"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1D"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1"을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1"을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1"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252)으로부터 인코딩 된 모드 값 "1D"를 획득한다.
기록(253)은 벅 특수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253)은 10진수 값 "4"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7D"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4"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4"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4"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253)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7D"를 획득한다.
기록(254)은 부스트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254)은 10진수 값 "5"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BC"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5"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5"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5"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254)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BC"를 획득한다.
기록(255)은 부스트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255)은 10진수 값 "8"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A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8"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8"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8"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255)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A5"를 획득한다. 기록(251, 252, 253, 254, 255)를 참조하면, 16진수 값 "FB", "1D", "7D", "BC", "A5"는 각각 해밍 거리가 최소 2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모드 테이블(350)은 차량 컨트롤러(60)로부터 수신된 동작 모드 메시지의 10진수 모드 값을 인코딩된 모드 값으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의해 이용된다. 제2 모드 테이블(350)은 기록(351, 352, 353, 354, 355)을 포함한다.
기록(351)은 유휴 동작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351)은 10진수 값 "0"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01"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0"을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0"을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0"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351)으로부터 인코딩 된 모드 값 "01"를 획득한다.
기록(352)은 벅 동작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352)은 10진수 값 "1"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B8"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1"을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1"을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1"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352)으로부터 인코딩 된 모드 값 "B8"을 획득한다.
기록(353)은 벅 특수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353)은 10진수 값 "4"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D8"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4"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4"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4"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353)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D8"을 획득한다.
기록(354)은 부스트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354)은 10진수 값 "5"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14"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5"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5"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5"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354)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4"를 획득한다.
기록(355)은 부스트 모드와 관련된다. 기록(355)은 10진수 값 "8" 및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5A"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차량컨트롤러(60)로부터 10진수 값 "8"를 내부에 포함하는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애플리케이션(도 7의 590)은 10진수 값 "8"를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도 8 내지 19의 619)으로 송신한다.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값 "8"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355)으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5A"를 획득한다. 기록(351, 352, 353, 354, 355)를 참조하면, 16진수 값 "01", "B8", "D8", "14", "5A"는 각각 해밍 거리가 최소 2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확인 테이블(280)은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차량 컨트롤러(60)로부터 수신된 동작 모드 메시지의 10진수 모드 값에 의해 식별된 동작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에 의해 이용된다. 제1 확인 테이블(280)은 기록(281, 282, 283, 284, 285)을 포함한다.
기록(281)은 유휴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81)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FB"및 "01"을 포함한다.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이 제1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FB"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8)은 인코딩된 모드 값 "FB"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281)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FB"및 "01"을 획득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01"을 송신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281)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01"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01"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282)은 벅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82)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1D"및 "B8"을 포함한다.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이 제1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D"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8)은 인코딩된 모드 값 "1D"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282)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D"및 "B8"을 획득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B8"을 송신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282)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B8"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B8"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283)은 벅 특수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83)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7D"및 "D8"을 포함한다.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이 제1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7D"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8)은 인코딩된 모드 값 "7D"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283)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7D"및 "D8"을 획득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D8"을 송신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283)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D8"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D8"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284)은 부스트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84)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BC"및 "14"을 포함한다.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이 제1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BC"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8)은 인코딩된 모드 값 "BC"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284)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BC"및 "14"을 획득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14"을 송신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284)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14"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14"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285)은 종료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285)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A5"및 "5A"을 포함한다.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8)이 제1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A5"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8)은 인코딩된 모드 값 "A5"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285)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A5"및 "5A"을 획득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5A"을 송신한다. 또한,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285)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5A"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5A"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확인 테이블(480)은 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차량 컨트롤러(60)로부터 수신된 동작 모드 메시지의 10진수 모드 값에 의해 식별된 동작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의해 이용된다. 제2 확인 테이블(480)은 기록(481, 482, 483, 484, 485)을 포함한다.
기록(481)은 유휴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481)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01"및 "FB"를 포함한다.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이 제2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01"을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9)은 인코딩된 모드 값 "01"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481)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01"및 "FB"를 획득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FB"을 송신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481)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FB"와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FB"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482)은 벅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482)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B8"및 "1D"을 포함한다.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이 제2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B8"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9)은 인코딩된 모드 값 "1D"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482)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D"및 "B8"을 획득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1D"을 송신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482)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1D"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1D"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483)은 벅 특수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483)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D8"및 "7D"을 포함한다.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이 제2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D8"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9)은 인코딩된 모드 값 "D8"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483)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D8"및 "7D"을 획득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7D"을 송신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483)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7D"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7D"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484)은 부스트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484)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14"및 "BC"을 포함한다.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이 제2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4"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9)은 인코딩된 모드 값 "14"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484)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14"및 "BC"을 획득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BC"을 송신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484)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BC"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BC"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기록(485)은 종료 작동 모드와 연관된다. 기록(485)은 16진수 값인 인코딩된 모드 값 "5A"및 "A5"을 포함한다.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이 제2 모드 테이블(250)로부터 인코딩된 5A 값 "5A"를 획득하면, 어플리케이션(619)은 인코딩된 모드 값 "A5"를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기록(485)로부터 인코딩된 모드 값 "5A"및 "A5"을 획득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에 인코딩된 모드값 "A5"을 송신한다. 또한,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으로부터 기록(485)에서 인코딩된 모드 값 "A5"과 동일한 인코딩된 모드 값 "A5"을 수신하면(마이크로컨트롤러(190)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켜야 함을 확인하면),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은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킨다.
도 1 및 도 7 내지 19를 참조하여 DC-DC 전압 컨버터(54)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도 8 내지 13의 618) 및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도 14 내지 19의 619)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60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초기에 유휴 동작 모드를 작동된다. 단계 600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02로 진행한다.
단계 60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통신 버스(62)로부터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는 DC-DC 전압 컨버터(54)가 변경되도록 명령 받음을 의미하는 제1 동작 모드 값을 내부에 포함한다. 단계 602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04로 진행한다.
단계 60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 및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을 실행한다. 단계 60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02로 복귀한다.
도 1 및 도 8 내지 13을 참조하여 제1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8)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62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1 모드 테이블(250)의 기록으로부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단계 620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22로 진행한다.
단계 62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모드 테이블(250)의 로부터 제1 인코딩 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 제1 및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단계 622 후에, 방법은 단계 624로 진행한다.
단계 62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을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으로 송신한다. 단계 62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26으로 진행한다.
단계 62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을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로 수신한다. 단계 62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28로 진행한다.
단계 62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부스트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62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3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648로 진행한다.
단계 63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63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3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640으로 진행한다.
단계 63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632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48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630를 참조하면, 단계 63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40으로 진행한다. 단계 64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64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4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648로 진행한다.
단계 64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642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44로 진행한다.
단계 64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644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4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648로 진행한다.
단계 64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646 후에, 방법은 단계 648로 진행한다.
단계 64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벅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64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5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0으로 진행한다.
단계 65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65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6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662로 진행한다.
단계 66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폐쇄 동작 상태인 벅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660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80으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650을 참조하면, 단계 65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62로 진행한다. 단계 66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66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6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680으로 진행한다.
단계 66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66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68로 진행한다.
단계 66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666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68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680으로 진행한다.
단계 66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668 후에, 방법은 단계 680으로 진행한다.
단계 68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벅 특수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68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2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2로 진행한다.
단계 68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68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6으로 진행한다.
단계 68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68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702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682를 참조하면, 단계 682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6으로 진행한다. 단계 68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686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68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702로 진행한다.
단계 68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688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690으로 진행한다.
단계 69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69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702로 진행한다.
단계 70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700 후에, 방법은 단계 702로 진행한다.
단계 70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종료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70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8으로 진행한다.
단계 70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704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708로 진행한다.
단계 70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70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708로 진행한다.
단계 70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값이 유휴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벅 동작 모드, 벅특수 동작 모드 및 부스트 동작 모드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결정한다. 단계 70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71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71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2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722로 진행한다.
단계 72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720 후에,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다시 단계 710을 참조하면, 단계 71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22로 진행한다. 단계 72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72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2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72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를 각각 개방 동작 상태로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72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726으로 진행한다.
단계 726에서,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72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728으로 진행한다.
단계 72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72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76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73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730 후에,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도 1 및 도 14 내지 19를 참조하여 제2 동작 모드 애플리케이션(619)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82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을 색인으로써 이용하여 제2 모드 테이블(350)의 기록으로부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한다. 단계 820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22로 진행한다.
단계 82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모드 테이블(250)의 로부터 제1 인코딩 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 제1 및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한다. 단계 822 후에, 방법은 단계 824로 진행한다.
단계 82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을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으로 송신한다. 단계 82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26으로 진행한다.
단계 82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을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619)로 수신한다. 단계 82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28로 진행한다.
단계 82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부스트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82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3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단계 83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83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3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840으로 진행한다.
단계 83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부스트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832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830를 참조하면, 단계 83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40으로 진행한다. 단계 84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84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4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단계 84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842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44로 진행한다.
단계 84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844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4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단계 84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846 후에, 방법은 단계 848로 진행한다.
단계 84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벅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84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5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0으로 진행한다.
단계 85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85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6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862로 진행한다.
단계 86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폐쇄 동작 상태인 벅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860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80으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850을 참조하면, 단계 85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62로 진행한다. 단계 86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86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6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880으로 진행한다.
단계 86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86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68로 진행한다.
단계 86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866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68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880으로 진행한다.
단계 86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868 후에, 방법은 단계 880으로 진행한다.
단계 88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벅 특수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88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2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2로 진행한다.
단계 88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88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6으로 진행한다.
단계 88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벅 특수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88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902로 진행한다.
다시 단계 882를 참조하면, 단계 882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6으로 진행한다. 단계 88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886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88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902로 진행한다.
단계 88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888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890으로 진행한다.
단계 89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89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단계 902로 진행한다.
단계 90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900 후에, 방법은 단계 902로 진행한다.
단계 90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 값이 종료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유휴 동작 모드인지 결정한다. 단계 90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8으로 진행한다.
단계 90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904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908로 진행한다.
단계 906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종료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90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908로 진행한다.
단계 90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동작 모드값이 유휴 동작 값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DC-DC 전압 컨버터(54)가 현재 벅 동작 모드, 벅특수 동작 모드 및 부스트 동작 모드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결정한다. 단계 90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91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한지 결정하고,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확인한다. 단계 910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2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 922로 진행한다.
단계 92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배터리(40)와 DC-DC 전압 컨버터(5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기(42)가 개방 동작 상태인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DC-DC 전압 컨버터(54)를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920 후에,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다시 단계 910을 참조하면, 단계 910의 값이 "아니오"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22로 진행한다. 단계 92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확인 테이블(2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제2 확인 테이블(480)의 기록으로부터의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결정한다. 단계 922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2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924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0) 및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를 각각 개방 동작 상태로 유도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924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926으로 진행한다.
단계 926에서,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연결된 전압 센서(192, 194) 각각으로부터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926 후에, 상기 방법은 단계 928으로 진행한다.
단계 928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1 전압 신호와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928의 값이 "예"이면, 상기 방법은 단계 96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며,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단계 930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190)는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와 관련된 개방 동작 플래그를 제2 양방향 모스펫 스위치(114)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참 값으로 설정한다. 단계 930 후에, 상기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590)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설명된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 및 방법보다 실적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제어 시스템은, DC-DC 전압 컨버터가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고, DC-DC 전압 컨버터를 요청된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각각의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과 제2 동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허 청구된 발명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특허 청구된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부합되는 범위 내에서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변형예, 대안예, 대체예 또는 등가예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특허 청구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 중에서 오직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특허 청구된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제2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하고, 초기에 유휴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가 아닌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명령 받았음을 의미하는 제1 동작 모드 값을 내부에 포함하는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를 통신 버스로부터 수신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1 인코딩된 값(encoded value)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1 값 및 제2 값을 더 결정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제2 인코딩된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에 기초하여 제3 값 및 제4 값을 더 결정하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1 인코딩된 값과 다르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값이 상기 제3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값이 상기 제4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모드 테이블, 제2 모드 테이블, 제1 확인 테이블(check table) 및 제2 확인 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encoded mode value)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check mode value)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3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4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 내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 내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한지 여부를 더 결정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면,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의 고전압단에 위치하는 제1 전압 센서로부터 제1 전압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면,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의 저전압단에 위치하는 제2 전압 센서로부터 제2 전압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의 하위 니블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전압 신호와 상기 제2 전압 신호 간의 차이가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는 제1 임계 전압 레벨보다 크면, 개방 동작 플래그를 참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 간의 해밍 거리는 2인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 간의 해밍 거리는 2인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전압 컨버터의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와 제1 배터리 사이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접촉기(conta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DC-DC 전압 컨버터의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 및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와 상기 접촉기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폐쇄 동작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폐쇄 동작 상태인 벅 동작 모드(buck operational mode)에 해당하는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벅 특수 동작 모드(buck special operational mode)에 해당하는 제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폐쇄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부스트 동작 모드(boost operational mode)에 해당하는 제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제2 양방향 스위치가 개방 동작 상태이고, 상기 접촉기가 개방 동작 상태인 종료 동작 모드(off operational mode)에 해당하는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제1 모드 테이블, 제2 모드 테이블, 제1 확인 테이블 및 제2 확인 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1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3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4 값은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고,
    상기 제1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제1 기록 내의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고,
    상기 제2 인코딩된 값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제1 기록 내의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1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 동작 모드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명령 받았음을 의미하는 유후 동작 모드 값을 내부에 포함하는 제2 동작 모드 메시지를 통신 버스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은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은
    제1 확인 모드 값과 제2 확인 모드 값을 포함하는 제2 기록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휴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테이블 내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유휴 동작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모드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인코딩된 모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유휴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확인 모드 값이 상기 제2 확인 테이블의 상기 제2 기록으로부터의 상기 제2 확인 모드 값과 동일하면 상기 DC-DC 전압 컨버터가 상기 유휴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도록 유도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87013506A 2016-08-18 2017-08-18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KR102089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6565P 2016-08-18 2016-08-18
US62/376,565 2016-08-18
US15/651,005 US9935552B2 (en) 2016-08-18 2017-07-17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al modes of a DC-DC voltage converter
US15/651,005 2017-07-17
PCT/KR2017/009061 WO2018034550A1 (ko) 2016-08-18 2017-08-18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35A true KR20180058835A (ko) 2018-06-01
KR102089647B1 KR102089647B1 (ko) 2020-04-24

Family

ID=6119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506A KR102089647B1 (ko) 2016-08-18 2017-08-18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35552B2 (ko)
EP (1) EP3376656B1 (ko)
JP (1) JP6552747B2 (ko)
KR (1) KR102089647B1 (ko)
CN (1) CN108475987B (ko)
WO (1) WO2018034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9993B2 (en) * 2017-07-24 2019-06-04 Lg Chem, Ltd. Voltage monitoring system utilizing first and second banks of channels and exchanged encoded channel numbers for taking redundant safe action
US10261115B2 (en) * 2017-07-24 2019-04-16 Lg Chem, Ltd. Voltage monitoring system utilizing a common channel and exchanged encoded channel numbers to confirm valid voltage values
US10338145B2 (en) * 2017-07-24 2019-07-02 Lg Chem, Lt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10153698B1 (en) * 2017-07-31 2018-12-11 Lg Chem, Ltd. Control system for transitioning a DC-DC voltage converter from a buck operational mode to a safe operational mo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9689A2 (en) * 1994-12-28 1996-07-03 Hitachi, Ltd. Controller having a fail safe function, automatic train controll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7176667B2 (en) * 2005-06-20 2007-02-13 Aimtron Technology Corp. Buck-boost voltage converter
EP2566027A1 (en) * 2010-04-28 2013-03-06 Panasonic Corporatio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486A (ja) * 1997-11-28 1999-06-18 Denso Corp 計測誤差補償用不揮発メモリを有する計測装置
US6137280A (en) * 1999-01-22 2000-10-24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Universal power manager with variable buck/boost converter
JP2001195804A (ja) * 2000-01-07 2001-07-19 Nippon Chemicon Corp 外部記憶媒体駆動装置
US7317265B2 (en) * 2003-03-05 2008-01-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JP3985002B2 (ja) * 2005-07-15 2007-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JP4630173B2 (ja) 2005-11-14 2011-0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バータ装置およびその出力制御方法
US7923865B2 (en) 2008-06-27 2011-04-12 Medtronic, Inc. Multi-mode switched capacitor dc-dc voltage converter
US8164932B2 (en) 2009-02-12 2012-04-24 Apple Inc. Power converter with automatic mode switching
FR2942555B1 (fr) * 2009-02-20 2011-02-18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Calculat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elevateur de tension et procede de commande
JP5731398B2 (ja) 2009-11-25 2015-06-10 ローム株式会社 電源アダプタ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
JP5905393B2 (ja) 2009-12-01 2016-04-20 スカイワー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kyworks Solutions, Inc. 連続的に可変なスイッチドキャパシタdc−dc電圧コンバータ
US9106201B1 (en) 2010-06-23 2015-08-11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C-to-DC converter control
US8516355B2 (en) * 2011-02-16 2013-08-20 Invensy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ult tolerant computing using generic hardware
US8587283B2 (en) 2011-04-20 2013-11-19 Analog Devices, Inc. DC-DC voltage converter system with a high-efficiency pulse-skip operational mode
JP5902975B2 (ja) * 2012-03-26 2016-04-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車載型電子制御装置
US9635723B2 (en) * 2013-08-30 2017-04-25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s and methods for low-power lamp compatibility with a trailing-edge dimmer and an electronic transformer
JP5619253B1 (ja) * 2013-10-15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性負荷の給電制御装置
CN203827185U (zh) * 2014-05-07 2014-09-10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兼容多种通信指令和支持多级升降压的开关电源电路
US9711192B2 (en) * 2014-11-03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having different data-size access modes for different power m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9689A2 (en) * 1994-12-28 1996-07-03 Hitachi, Ltd. Controller having a fail safe function, automatic train controll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7176667B2 (en) * 2005-06-20 2007-02-13 Aimtron Technology Corp. Buck-boost voltage converter
EP2566027A1 (en) * 2010-04-28 2013-03-06 Panasonic Corporatio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niel F. et al. "An asynchronous finite-state-machine-based buck-boost converter for on-chip adaptive power supply". AICSP. 20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656A1 (en) 2018-09-19
JP6552747B2 (ja) 2019-07-31
CN108475987A (zh) 2018-08-31
JP2019503638A (ja) 2019-02-07
US9935552B2 (en) 2018-04-03
US20180054123A1 (en) 2018-02-22
KR102089647B1 (ko) 2020-04-24
EP3376656B1 (en) 2020-07-29
CN108475987B (zh) 2020-02-14
WO2018034550A1 (ko) 2018-02-22
EP3376656A4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835A (ko)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KR20120005746A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충전장치
US11065963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DC-DC voltage converter
JP6973739B2 (ja) Dc−dc電圧コンバータをブースト動作モードから安全動作モードに切り換える制御システム
KR102080271B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US9742338B2 (en) Dual power mode drive
US10170259B2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ntactor using a high side sense circuit and a low side sense circuit
US10122317B2 (en) Electric compressor for vehicle
JP6564869B2 (ja) 充電制御装置
KR102159264B1 (ko) Dc-dc 전압 컨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JP6375977B2 (ja) 電源装置
KR102053962B1 (ko) 유효한 전압값을 확인하기 위해 공통 채널 및 교환된 인코딩된 채널 번호를 이용하는 전압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72520B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벅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JP6177276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204835630U (zh) 车载电器的供电控制系统
CN216772226U (zh) 一种电源开关电子装置
US11143684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vehicle electrical system
CN111398782B (zh) 供电电路、电路故障检测方法、线路板及车载空调器
CN105467894A (zh) 一种具有总线型智能开关的控制系统
CN108964002A (zh) 一种电动车防误启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