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081A - 가변 압축비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압축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081A
KR20180058081A KR1020160156755A KR20160156755A KR20180058081A KR 20180058081 A KR20180058081 A KR 20180058081A KR 1020160156755 A KR1020160156755 A KR 1020160156755A KR 20160156755 A KR20160156755 A KR 20160156755A KR 20180058081 A KR20180058081 A KR 2018005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assage
plunger
check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335B1 (ko
Inventor
최명식
김원규
황규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335B1/ko
Priority to US15/649,245 priority patent/US10526962B2/en
Priority to DE102017219290.9A priority patent/DE102017219290B4/de
Publication of KR2018005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02B75/045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by means of a variable connecting rod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5/00Varying compression ratio
    • F02D15/02Varying compression ratio by alteration or displacement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oscillating-vane or curved-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10Bearings, parts of which are eccentr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7/00Connecting-rods or like links pivoted at both ends; Construction of connecting-rod heads
    • F16C7/06Adjustable connecting-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01M2001/066Connecting rod with passage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700/00Mechanical control of speed or power of a single cylinder piston engine
    • F02D2700/03Controlling by changing the compression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피스톤핀, 상기 커넥팅로드의 후단부와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크랭크핀, 및 상기 피스톤핀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팅로드의 선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편심캠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캠을 일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고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1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을 타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2챔버가 형성된 가변 압축비 장치는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를 팽창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제1스플밸브, 상기 제1스플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형성하는 제2스플밸브, 및 상기 제2스플밸브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일제어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크랭크핀 또는 상기 피스톤핀을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압축비 장치{VARIABLE COMPRESSION RATIO DEVICE}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행조건에 따라서 가변 시킴으로써 연료효율을 향상시키고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기관의 열효율은 압축비가 높으면 증가되며, 스파크 점화기관의 경우 일정 수준까지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열효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스파크 점화기관은 높은 압축비에서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이상 연소가 발생하여, 엔진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점화시기 진각에 한계가 있고, 이에 의해 출력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가변 압축비(variable compression ratio; VCR) 장치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변 압축비 장치에 따르면, 엔진의 저부하 운전 상태(low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높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엔진의 고부하 운전 상태(high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낮추어 노킹의 발생을 방지하고 엔진 출력을 향상시킨다.
현재 디젤엔진의 경우,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 맞추기 위하여 피스톤 연소실의 볼륨을 크게 하여 압축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저온 연소를 구현하고 있으며, 압축비 감소에 따라 냉시동 성능이 악화되기 때문에 글로우 시스템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그 강성을 강화하고 상기 글로우 시스템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 유닛을 추가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피스톤의 위치를 컨트롤하여 가변압축비를 구현하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유압을 통해서 편심캠을 회전시켜 피스톤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21485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운행조건에 따라서 혼합기의 압축비를 가변 시킴으로써 연료소모를 줄이고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압축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피스톤핀, 상기 커넥팅로드의 후단부와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크랭크핀, 및 상기 피스톤핀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팅로드의 선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편심캠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캠을 일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고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1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을 타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2챔버가 형성된 가변 압축비 장치는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를 팽창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제1스플밸브, 상기 제1스플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형성하는 제2스플밸브, 및 상기 제2스플밸브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일제어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크랭크핀 또는 상기 피스톤핀을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플밸브는 크랭크샤프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일제어밸브는 상기 제2스플밸브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플밸브와 상기 오일제어밸브는 별개로 구비되거나, 하나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플밸브는, 내부 일측과 타측에 제1,2플런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격벽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1 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제1토출구와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2 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제2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2플런저공간으로 오일을 공급받는 제1,2공급구가 각각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제1 플런저공간에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체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공간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된 제1 체크통로가 상기 제1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플런저, 상기 제2 플런저공간에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 체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크공간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된 제2 체크통로가 상기 제2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플런저, 및 상기 격벽통로를 통해서 상기 제1,2플런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2체크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통로를 가지며,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플런저유닛, 상기 제1체크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통로에서 상기 제1체크공간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체크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통로에서 상기 제2 체크공간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리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유닛이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크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1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통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유닛이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크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2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통로,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어 고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격벽통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격벽통로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플런저의 외경과 상기 제2 플런저의 외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구와 상기 제2공급구는 각각 상기 제1 플런저공간과 상기 제2 플런저공간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제1 플런저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제2 플런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리턴부재의 힘과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이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2 체크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1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통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되어 저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이 상기 리턴부재의 힘과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체크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2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통로,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어 고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제2 플런저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런저를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편심캠을 일방향으로 설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높이고,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편심캠을 타방향으로 설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2플런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통로는 상기 제1 플런저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2플런저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통로는 상기 제2 플런저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2,3,4실린더들과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2,3,4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제1,2,3,4피스톤과 대응하여 4개로 구비되고, 4개의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리턴부재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이 교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샤프트에는 상기 제1,2,3,4실린더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접촉하는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들에는 상기 제1스플밸브의 상기 제1공급구와 연결되는 제2제어유로 또는 상기 제2공급구와 연결되는 제1제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들 중 하나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 및 상기 제1제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 및 상기 제1제어유로 중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1제어유로만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 인접하는 다른 접촉부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유와 상기 제2제어유로의 일측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밸브하우징 또는 크랭크핀 내부에 유압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구조를 구성하고, 이러한 제어밸브로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서 피스톤의 상사점을 효과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밸브는 체크밸브와 플런저의 움직임을 통해서 저압부의 오일을 고압부로 신속하게 리턴시켜,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2채널 제1스플밸브의 저압축비 모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저압축비 모드에서 유압변동과 제2 챔버로 이동하는 오일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2채널 밸브하우징의 고압축비 모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고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고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저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피스톤과 피스톤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유압전달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제1스플밸브의 장착방향과 크랭크샤프트에 형성된 제1,2제어라인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 압축비 장치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크랭크핀(107), 커넥팅로드(145), 편심캠(110), 피스톤핀(105), 제1챔버(155), 제2챔버(157), 제1챔버연결통로(212a), 제2챔버연결통로(210a), 챔버분리벽(150), 및 실링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로드(145)의 상단부(소경부)에는 상기 피스톤핀(105)이 삽입되어 피스톤(500)과 상기 커넥팅로드(145)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피스톤핀(105)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팅로드(145)의 상단부 내주면 사이에 상기 편심캠(110)이 개재된다.
상기 편심캠(110)의 일측에는 챔버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분리벽(150)은 상기 챔버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을 제1챔버(155)와 제2챔버(157)로 나눈다.
여기서, 상기 챔버분리벽(150)은 상기 커넥팅로드(145)의 상단부 내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152)는 상기 챔버분리벽(150)의 선단부와 상기 편심캠(110)의 외주면 사이에 실링구조를 형성하여, 제1챔버(155)와 제2챔버(157) 사이에 실링구조를 구현한다.
상기 제1챔버연결통로(212a)은 상기 제1챔버(155)와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연결통로(212a)로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편심캠(1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핀(105)이 상승하여 고압축비를 구현하고, 상기 제2챔버연결통로(210a)은 상기 제2챔버(157)와 연결되어 상기 제2챔버연결통로(210a)으로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편심캠(11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핀(105)이 하강하여 저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2채널 제1스플밸브의 저압축비 모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스플밸브(109)는 밸브하우징(106)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하우징(106)의 내부 일측(도 2에서 왼쪽)에는 제1 플런저공간(292)이 형성되고, 내부 타측(도 2에서 오른쪽)에는 제2 플런저공간(29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과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 사이에는 격벽(298)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98) 중심부에는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과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을 연결하는 격벽통로(29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의 내측 일단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벤트홀(27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의 내측 타단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벤트홀(27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106)에는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으로 오일을 공급받는 제1공급구(210)가 하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으로 오일을 공급받는 제2공급구(212)가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구(210)와 상기 제2공급구(212)는 상기 격벽(298)에 가까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06)에는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에서 상기 제1 챔버(155)로 연결되는 제1토출구(205)와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에서 상기 제2 챔버(157)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토출구(205)와 상기 제2토출구(220)는 상기 제1공급구(210)와 상기 제2공급구(212)와 비교하여 상기 격벽(298)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에는 제1 플런저(255a)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런저(255a)의 외주면과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에는 제2 플런저(255b)가 배치되며,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플런저(255a)의 내부에는 제1체크공간(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크공간(260)에서 외주면 측으로 제1 체크통로(2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크통로(200)는 상기 제1 플런저(255a)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토출구(205)와 선택적으로 대응한다.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내부에는 제2 체크공간(23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크공간(235)에서 외주면 측으로 제2 체크통로(2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체크통로(225)는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토출구(220)와 선택적으로 대응한다.
연결파이프(267)는 상기 제1 플런저(255a)의 타단면과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일단면을 서로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제1체크공간(260)과 상기 제2 체크공간(235)을 연결하는 파이프통로(21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파이프(267)에는 내주면에서 외주면 측으로 통하는 개방통로(215)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통로(215)는 상기 연결파이프(267)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플런저공간(292)과 통하거나,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과 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크공간(260)에는 제1 체크밸브(25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체크밸브(250)는 상기 제1체크공간(260)의 오일이 상기 파이프통로(214)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이프통로(214)에서 상기 제1체크공간(260)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체크공간(235)에는 제2 체크밸브(24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240)는 상기 제2 체크공간(235)의 오일이 상기 파이프통로(214)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이프통로(214)에서 상기 제2 체크공간(235)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267)의 외경은 상기 제1 플런저(255a)와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외경보다 더 작은 소경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255a)의 외경과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리턴부재(265)는 스프링 타입의 탄성부재로써,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에서 상기 제2 플런저(255b)의 타단면을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플런저(255a), 상기 연결파이프(267), 및 상기 제2 플런저(255b)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급구(2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의 힘(P1)과 상기 리턴부재(265)의 힘(F)의 합(P1+F)이 상기 제2공급구(212)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의 힘(P2)보다 더 크면, 상기 제1 플런저(255a), 상기 연결파이프(267), 및 상기 제2 플런저(255b)는 일방향(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구(212)는 폐쇄되고, 상기 제1공급구(2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215), 상기 파이프통로(214), 상기 제2 체크밸브(240), 상기 제2 체크통로(225), 및 상기 제2토출구(220)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157)로 공급되고, 상기 제1 챔버(155)의 오일은 상기 제1토출구(205), 상기 개방통로(215), 상기 파이프통로(214), 상기 제2 체크밸브(240), 상기 제2 체크통로(225), 및 상기 제2토출구(220)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157)로 리턴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00)이 상기 밸브하우징(106)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이의 상사점이 낮아져서, 저압축비가 구현된다.
참고로, 상기 제1 플런저(255a), 상기 제2 플런저(255b), 및 상기 연결파이프(267)의 구조를 플런저유닛(도면부호 미표시)으로 부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저압축비 모드에서 유압변동과 제2 챔버로 이동하는 오일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유압을 나타내며, 엔진이 구동시 상기 피스톤(100)에 가해지는 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제1 챔버(155)와 상기 제2 챔버(157)의 압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주기를 가지고 변동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제2 챔버(157)로고급되는 오일의 양을 나타내며, 엔진이 구동시 상기 피스톤(100)에 가해지는 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제2 챔버(157)로 오일이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240)에 의해서 상기 제2 챔버(157)의 오일은 리턴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2채널 밸브하우징의 고압축비 모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와 비교하여 주요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급구(2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유압의 힘(P1), 상기 제2공급구(212)를 통해서 공급되는 유압의 힘(P2), 및 상기 리턴부재(265)의 탄성력(F)를 고려할 때, P1<P2+F인 조건에서, 상기 제1 플런저(255a), 상기 연결파이프(267), 및 상기 제2 플런저(255b)는 상기 리턴부재(265)를 압축시키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구(2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제1 플런저(255a)에 의해서 차단되고, 상기 제2공급구(212)를 통해서 상기 제2 플런저공간(294)으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215), 상기 파이프통로(214), 상기 제1 체크밸브(250), 상기 제1체크공간(260), 상기 제1 체크통로(200), 및 상기 제1토출구(205)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155)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압력변동에 의해서 상기 제2 챔버(157)의 오일은 상기 제2토출구(220), 상기 개방통로(215), 상기 파이프통로(214), 상기 제1 체크밸브(250), 상기 제1 체크통로(200), 및 상기 제1토출구(205)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155)로 리턴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00)이 상기 밸브하우징(106)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상사점이 높아져서, 고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1과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핀(107)은 상기 제1스플밸브(109)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상기 제1공급구(210)로 공급된 유압과 상기 리턴부재(265)의 유압의 합에 의해서 상기 제1,2플런저(255a, b)가 왼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챔버(157)가 팽창하여 저압축비가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상기 제2공급구(212)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상기 제1,2플런저(255a, b)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챔버(155)가 팽창하여 고압축비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핀(105)은 상기 제1스플밸브(109)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상기 제1공급구(210)로 공급된 유압과 상기 리턴부재(265)의 유압의 합에 의해서 상기 제1,2플런저(255a, b)가 왼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챔버(157)가 팽창하여 저압축비가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상기 제2공급구(212)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서 상기 제1,2플런저(255a, b)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챔버(155)가 팽창하여 고압축비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고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압축비 장치는 구성요소로써 피스톤(500), 편심캠(110), 커넥팅로드(145), 피스톤핀(105), 제1챔버연결통로(212a), 제2챔버연결통로(210a), 제1스플밸브(109),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제2스플밸브(510), 오일제어밸브(515), 체크밸브(517), 및 오일펌프(135)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펌프(135)는 오일을 펌핑하고, 상기 오일제어밸브(515)(오일컨트롤밸브)는 상기 제2스플밸브(510)를 제어하여 유압이 제1제어라인(521)으로 공급되거나, 제2제어라인(52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제어라인(521)은 상기 크랭크샤프트(505)를 통해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2공급구(212)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라인(522)은 상기 크랭크샤프트(505)를 통해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1공급구(210)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제어밸브(515)에 의해서 유압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단부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플런저가 우측으로 움직이고, 유압은 상기 제1제어라인(521)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유압은 상기 제1제어라인(521)과 연결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2공급구(212)로 공급되고, 도 2 및 도 4의 구조에 의해서 제1챔버(155)가 팽창하여, 고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고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와 비교하여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스플밸브(510)에서 상기 오일제어밸브(5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오일제어밸브(515)에 의해서 유압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단부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플런저가 우측으로 움직이고, 유압은 상기 제1제어라인(521)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유압은 상기 제1제어라인(521)과 연결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2공급구(212)로 공급되고, 도 2 및 도 4의 구조에 의해서 제1챔버(155)가 팽창하여, 고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저압축비모드에서 유압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과 비교하여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500), 편심캠(110), 커넥팅로드(145), 피스톤핀(105), 제1챔버연결통로(212a), 제2챔버연결통로(210a), 제1스플밸브(109),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제2스플밸브(510), 오일제어밸브(515), 체크밸브(517), 및 오일펌프(135)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펌프(135)는 오일을 펌핑하고, 상기 오일제어밸브(515)(오일컨트롤밸브)는 상기 제2스플밸브(510)를 제어하여 유압이 제1제어라인(521)으로 공급되거나, 제2제어라인(52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제어라인(521)은 상기 크랭크샤프트(505)를 통해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2공급구(212)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라인(522)은 상기 크랭크샤프트(505)를 통해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1공급구(210)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제어밸브(515)에 의해서 유압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단부로 공급되면, 상기 제2스플밸브(510)의 플런저가 좌측으로 움직이고, 유압은 상기 제2제어라인(522)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유압은 상기 제2제어라인(522)과 연결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1공급구(210)로 공급되고, 도 2 및 도 4의 구조에 의해서 제2챔버(157)가 팽창하여, 저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피스톤과 피스톤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스플밸브(109)가 상기 피스톤핀(105)으로 대체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플밸브(510)와 연결된 상기 제1제어라인(521)의 제1제어압이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2공급구(212)로 공급되고, 도 2 및 도 4의 구조에 의해서 제1챔버(155)가 팽창하여, 고압축비가 구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스플밸브(510)와 연결된 상기 제2제어라인(522)의 제2제어압이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제1공급구(210)로 공급되고, 도 2 및 도 4의 구조에 의해서 제2챔버(157)가 팽창하여, 저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유압전달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캠(110)의 내주면에 상기 제1챔버(155)와 상기 제2챔버(157)로 연결된 유압 연결통로가 형성된다. 이는 편심캠(110)의 가공과 동시에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캠(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155)와 상기 제2챔버(157)로 연결된 유압 연결통로가 형성된다. 이는 편심캠(110)의 중간을 관통하여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분리벽(15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152)는 상기 편심캠(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접촉부재(10)와 상기 접촉부재(11)를 상기 편심캠(110)의 홈의 바닥면으로 탄성적으로 밀고 있는 판형 탄성부재(1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제1챔버(155)와 상기 제2챔버(157) 사이에서 유압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서 제1스플밸브의 장착방향과 크랭크샤프트에 형성된 제1,2제어라인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와 상기 커넥팅로드(145)를 연결하는 크랭크핀(107)이 상기 제1스플밸브(109)로 대체되고,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에 각각 대응하여 4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에서 상기 리턴부재가 오른쪽에 배치된 구조가 정방향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와 대응하여 정방향, 역방향,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에서 베어링과 접하는 각 접촉부(다섯 개의 접촉부가 형성됨)에는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및 제1제어라인(52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설치방향이 정방향 및 역방향이 교대로 형성되는 단점과, 접촉부에 하나의 제어라인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와 상기 커넥팅로드(145)를 연결하는 크랭크핀(107)이 상기 제1스플밸브(109)로 대체되고,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에 각각 대응하여 4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에서 상기 리턴부재(265)가 오른쪽에 배치된 구조가 정방향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와 대응하여 정방향, 정방향, 정방향, 및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에서 베어링과 접하는 각 접촉부(다섯 개의 접촉부가 형성된)에는 제1제어라인(521), 제2,1제어라인(522, 521), 제1,2제어라인(521, 522), 제1,2제어라인(521, 522), 및 제1제어라인(52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설치방향이 정방향으로 형성되는장점과, 접촉부에 두 개의 제어라인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와 상기 커넥팅로드(145)를 연결하는 크랭크핀(107)이 상기 제1스플밸브(109)로 대체되고,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에 각각 대응하여 4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에서 상기 리턴부재(265)가 오른쪽에 배치된 구조가 정방향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스플밸브(109)는 제1,2,3,4실린더와 대응하여 정방향, 정방향, 정방향, 및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505)에서 베어링과 접하는 각 접촉부(다섯 개의 접촉부가 형성된)에는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제1제어라인(521), 제2제어라인(522), 및 제1제어라인(521)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라인(521)과 상기 제2제어라인(522)에서 상기 제1스플밸브(109)에 가까운 부분을 엇갈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플밸브(109)의 설치방향이 정방향으로 형성되는 장점과, 접촉부에 한 개의 제어라인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500: 피스톤 106: 밸브하우징
105: 피스톤핀 107: 크랭크핀
109: 제1스플밸브 510: 제2스플밸브
110: 편심캠 135: 오일펌프
140: 크랭크핀 145: 커넥팅로드
150: 챔버분리벽 155: 제1 챔버
157: 제2 챔버 160: 홈
165: 소단부 200: 제1 체크통로
205: 제1토출구 210: 제1공급구
212: 제2공급구 214: 파이프통로
210a: 제2챔버연결통로 212a: 제1챔버연결통로
215a: 제1 개방통로 215b: 재2 개방통로
215: 개방통로 220: 제2토출구
225: 제2 체크통로 235: 제2 체크공간
240: 제2 체크밸브 250: 제1 체크밸브
252: 소경부 255a: 제1 플런저
255b: 제2 플런저 260: 제1체크공간
265: 리턴부재 267: 연결파이프
270: 벤트홀 292: 제1 플런저공간
294: 제2 플런저공간 296: 격벽통로
298: 격벽 505: 오일제어밸브
517: 체크밸브

Claims (21)

  1.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피스톤핀, 상기 커넥팅로드의 후단부와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크랭크핀, 및 상기 피스톤핀의 외주면과 상기 커넥팅로드의 선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편심캠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캠을 일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고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1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캠을 타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피스톤이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제2챔버가 형성된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고압축비와 저압축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를 팽창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는 제1스플밸브;
    상기 제1스플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형성하는 제2스플밸브; 및
    상기 제2스플밸브를 온/오프 제어하는 오일제어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크랭크핀 또는 상기 피스톤핀을 대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플밸브는 크랭크샤프트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오일제어밸브는 상기 제2스플밸브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플밸브와 상기 오일제어밸브는 별개로 구비되거나, 하나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플밸브는,
    내부 일측과 타측에 제1,2플런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격벽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1 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제1토출구와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2 플런저공간을 연결하는 제2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2플런저공간으로 오일을 공급받는 제1,2공급구가 각각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제1 플런저공간에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체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크공간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된 제1 체크통로가 상기 제1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플런저; 상기 제2 플런저공간에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 체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크공간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된 제2 체크통로가 상기 제2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플런저; 및 상기 격벽통로를 통해서 상기 제1,2플런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2체크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통로를 가지며,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플런저유닛;
    상기 제1체크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통로에서 상기 제1체크공간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2 체크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통로에서 상기 제2 체크공간으로 오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 및
    상기 제2 플런저를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리턴부재;
    를 포함하는 스플밸브를 포함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유닛이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크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1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통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유닛이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크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2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통로,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어 고압축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격벽통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격벽통로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8. 제7항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의 외경과 상기 제2 플런저의 외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구와 상기 제2공급구는 각각 상기 제1 플런저공간과 상기 제2 플런저공간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제1 플런저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제2 플런저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의 힘과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이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2 체크통로와 상기 제2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1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2 체크밸브, 상기 제2 체크통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되어 저압축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이 상기 리턴부재의 힘과 상기 제1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오일압력의 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체크통로와 상기 제1토출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된 오일과 상기 제2 챔버의 오일은 상기 개방통로, 상기 파이프통로, 상기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체크통로,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어 고압축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제2 플런저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플런저를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편심캠을 일방향으로 설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높이고,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편심캠을 타방향으로 설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피스톤의 상사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런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통로는 상기 제1 플런저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2플런저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통로는 상기 제2 플런저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2,3,4실린더들과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2,3,4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제1,2,3,4피스톤과 대응하여 4개로 구비되고,
    4개의 상기 제1스플밸브는 상기 리턴부재가 배치된 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이 교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는 상기 제1,2,3,4실린더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접촉하는 접촉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들에는 상기 제1스플밸브의 상기 제1공급구와 연결되는 제2제어유로 또는 상기 제2공급구와 연결되는 제1제어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 중 하나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 및 상기 제1제어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 및 상기 제1제어유로 중 하나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1제어유로만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중 하나에 인접하는 다른 접촉부에는 상기 제2제어유로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와 상기 제2제어유로의 일측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KR1020160156755A 2016-11-23 2016-11-23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9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5A KR101896335B1 (ko) 2016-11-23 2016-11-23 가변 압축비 장치
US15/649,245 US10526962B2 (en) 2016-11-23 2017-07-13 Variable compression ratio apparatus
DE102017219290.9A DE102017219290B4 (de) 2016-11-23 2017-10-27 Einrichtung mit variablem verdichtungsverhältn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5A KR101896335B1 (ko) 2016-11-23 2016-11-23 가변 압축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81A true KR20180058081A (ko) 2018-05-31
KR101896335B1 KR101896335B1 (ko) 2018-09-07

Family

ID=6206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55A KR101896335B1 (ko) 2016-11-23 2016-11-23 가변 압축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6962B2 (ko)
KR (1) KR101896335B1 (ko)
DE (1) DE1020172192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305A (ko) * 2018-08-03 202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20200015304A (ko) * 2018-08-03 202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US11421588B2 (en) 2020-04-02 2022-08-23 Soon Gil Jang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
CN113530693B (zh) * 2020-04-15 2022-06-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阀、控制油路及可变压缩比发动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2434A (ja) * 1990-02-17 1991-10-29 Honda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機構
KR20110062143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975A (en) * 1987-07-03 1989-09-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mpression ratio-chang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772515B2 (ja) * 1987-07-30 1995-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圧縮比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69108572T2 (de) * 1990-01-17 1995-08-17 Mitsubishi Motors Corp Vorrichtung zum Ändern des Kompressionverhältnisses für Brennkraftmaschine.
KR100980863B1 (ko) 2008-12-02 2010-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용 가변 압축비 장치
WO2015179112A1 (en) 2014-05-20 2015-11-26 Borgwarner Inc. Variable compression ratio connecting rod system with rotary actuator
US10167776B2 (en) * 2014-06-27 2019-01-01 G. B. Kirby Meacham Variable compression connecting rod
US20170204784A1 (en) * 2014-07-24 2017-07-20 Borgwarner Inc. Single supply port activated connecting rod for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s
JP2016118277A (ja) * 2014-12-22 2016-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長コンロッド及び可変圧縮比内燃機関
EP3311015B1 (de) * 2015-06-18 2020-02-05 AVL List GmbH Längenverstellbare pleuelstange
AT517217B1 (de) 2015-06-18 2016-12-15 Avl List Gmbh Längenverstellbare pleuelstange
KR20170069601A (ko) * 2015-12-11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765638B1 (ko) * 2016-03-16 2017-08-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26565B1 (ko) * 2016-04-01 2018-03-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20190018822A (ko) * 2017-08-16 2019-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2434A (ja) * 1990-02-17 1991-10-29 Honda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機構
KR20110062143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335B1 (ko) 2018-09-07
DE102017219290A1 (de) 2018-05-24
US10526962B2 (en) 2020-01-07
US20180142615A1 (en) 2018-05-24
DE102017219290B4 (de)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35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799956B1 (ko) 엔진
JP6137341B2 (ja) クロスヘッド型エンジン
KR101509664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9512836B2 (en)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116957A2 (en) Reciprocating pump
KR101765638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26565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CN107532509B (zh) 油压产生装置及十字头型发动机
JP2017015256A (ja) 切替弁および内燃機関
US10125749B2 (en) Pump, in particular a high-pressure fuel pump
KR101683515B1 (ko) 가변 압축비 엔진
KR10187564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7955058B1 (en) Reciprocating piston to piston energy pump
KR101510352B1 (ko) 가변 압축비 엔진
FI122862B (fi) Mäntäpumppu, jossa on kerrostumasuojaus
KR20120118367A (ko) 엔진의 실린더 휴지 장치 및 실린더 휴지 방법
KR20150132016A (ko) 내연기관용 연료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 특히 연료 펌프
US7048516B2 (en) High pressure fuel pump with multiple radial plungers
RU2443906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насос
JP2020060110A (ja) 注水ポンプ
CN113530693B (zh) 一种控制阀、控制油路及可变压缩比发动机
RU2528238C1 (ru) Газ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KR101510324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51032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