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577A -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577A
KR20180057577A KR1020180041226A KR20180041226A KR20180057577A KR 20180057577 A KR20180057577 A KR 20180057577A KR 1020180041226 A KR1020180041226 A KR 1020180041226A KR 20180041226 A KR20180041226 A KR 20180041226A KR 20180057577 A KR20180057577 A KR 20180057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stomer
image
beac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8004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577A/ko
Publication of KR2018005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피팅 장치로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매장내의 판매 상품을 가상으로 피팅하는 가상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태그, 비콘 단말기, 고객 단말기 및 매장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장치로서, 상기 태그는, 매장내에 판매되는 각 착용품에 부착되고, 착용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는,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의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착용품 이미지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비콘 단말기는, 상기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장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매장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하며,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fitting simulation and method for fit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피팅 장치로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매장내의 판매 상품을 가상으로 피팅하는 가상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품 추천 시스템과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제2005-0017534호, 아바타 의상 구매정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의류 추천시스템 및 그 추천 방법)(이하, "선행기술"라 한다.)를 포함하며 다수 출원 및 등록된 상태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이용자에게 아바타 꾸미기 서비스와 의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구동·관리하는 인터넷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다수의 인터넷 의류 쇼핑몰들에서 판매되는 의류에 대한 의류 상품정보를 수집하는 쇼핑몰 의류정보 수집 서버와 상기 아바타 꾸미기 서비스 이용에 따른 아바타 의상 구매정보를 수집하는 아바타 의상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아바타 의상 구매정보를 이용해 상기 아바타 꾸미기 서비스 이용자들의 의류 구매 선호도를 분석하고, 의류 구매 선호도와 연관성이 높은 의류들을 의류 상품정보에서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들의 취향에 맞는 실제 의류를 추천하는 의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류 추천서버와 상기 아바타 의상 구매정보, 의류 상품정보, 의류 구매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아바타를 자신과 같이 꾸미기 위해 아바타 의상을 구매하면, 아바타 의상 구매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아바타를 꾸민 후에 그에 따른 의류를 추천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의류의 폭이 아바타 의상으로만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사이버 공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아바타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을 대표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체형, 취향 또는 특징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액세서리 또는 의상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를 표현하게 되므로, 아바타 의상을 토대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의상을 추천받더라도 사용자(고객)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가 없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선호도에 의해서 의상을 구매하더라도 구매한 의상이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지를 미리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1753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아바타에 가상으로 피팅하는 가상 피팅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객 정보를 활용하여 맞춤형 가상 피팅을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이미지인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고객 단말기에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비콘 단말기;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표시하며,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는 매장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상기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매장 내의 비콘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는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용품 이미지 전송부;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별로 관련 착용품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한 고객 정보별 착용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을 포함한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 및 착용품의 판매가 이루어질 때 판매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기 착용품들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객 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차례로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매장 내에서 상기 비콘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가상 피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 피팅 장치는, 매장내에 판매되는 각 착용품에 부착되고, 착용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태그의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착용품 이미지를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상기 비콘 단말기는, 상기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장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매장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달하며,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매장 내에서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비콘 단말기, 고객 단말기 및 매장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고객 단말기가,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b)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로 고객의 주거 지역, 성별, 나이, 직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매장 서버가,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객 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된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d) 상기 비콘 단말기가,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중계 전송하는 과정; (e) 상기 고객 단말기가,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f) 상기 고객 단말기가,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g) 고객으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아바타 착용 이미지에서 착용된 착용품의 결제 금액을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비콘 통신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 및 (h)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주소록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등록된 지인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매장 내에 판매되는 착용품에는 식별정보가 포함된 태그가 부착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매장 내에 판매되는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된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매장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의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비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과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객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고객 이미지를 보정하는 과정; 및 보정된 고객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로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인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아바타 착용 이미지마다 추천 클릭 필드를 추가하여 전송하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지인들로부터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객은 비콘의 정보를 받아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의류를 입어볼 수도 있고, 신발 등의 잡화를 착용해 볼 수 있다. 나아가 양방향 비콘 통신을 통해 가상피팅에만 그치지 않고 직접 주문하고, 결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장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 생성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고객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장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가상 피팅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400), 비콘 단말기(200), 고객 단말기(100), 매장 서버(300)를 포함하며, 추가로 태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400)은, 매장 서버(300)에 저장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비콘 단말기(200)로 전송해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비콘 단말기(200)는, 매장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이미지인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매장 내에 있는 고객 단말기(100)에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말기이다. 매장은 착용품을 판매하는 장소로서, 옷집, 신발가게, 보석가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착용품이라 함은 의류, 잡화(보석,시계 등), 신발 등과 같이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물품을 말한다.
이러한 착용품에는 각 물품을 구별시키기 위한 태그(500)가 부착된다. 각 태그(500)에는 태그(500)가 부착된 물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고객 단말기(100)가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리딩하면, 리딩된 식별정보가 비콘 단말기(200)로 전달되고, 비콘 단말기(200)는 매장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기(100)로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각 착용품들의 상세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태그(50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RF(radio frequemcy)ID를 내장한 태그, QR(Quick reference)코드가 인쇄된 태그,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태그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에는 RFID 태그를 리딩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QR코드를 해독하거나, NFC태그를 리딩함으로써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비콘(beacon)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기반으로 IT 기기 간에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비콘(beacon)은 블루투스를 활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즉,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대 100m 이내 비콘 단말기(200)가 설치된 장소에 가면 각종 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네비게이션에 사용하는 GPS는 실내에선 무용지물인 것에 반해, 비콘은 실내는 물론이고 어지간한 실외 환경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비콘 신호는 이러한 비콘 통신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에 사용되는 신호를 말한다.
비콘 단말기(200)는 비콘 통신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각 착용품들의 상세 정보(가격, 제조사, 모델명, 사이즈 등)를 매장 내에 있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착용품 이미지들과 각 착용품들의 상세 정보는 매장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들이다.
고객 단말기(100)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다.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피쳐폰(feature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비콘 단말기(200)나 매장 서버(300)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는 전술한 태그(500)에 담긴 식별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태그독출부(190)를 포함하며, 태그독출부(190)를 통해 RFID, QR코드, 및 NFC태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리딩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매장에서 판매하는 착용품을 아바타에 피팅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피팅 어플리케이션')이 고객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동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객 단말기(100)의 피팅 어플리케이션은,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비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며,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고객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160), 태그독출부(190), 데이터처리부(170), 오디오 처리부(180), 입력부(130), 표시부(120), 카메라(140), 아바타 생성부(150), 및 피팅 처리부(11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3세대(3G) 및 4세대(4G) 등과 같은 이동통신, Wi-Fi 통신, 근거리통신(블루투스), NFC 통신, RF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로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70)는,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거나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변조 및 부호화하여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처리부(17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패킷 등을 처리하여 음성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는,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17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며, 스피커는 오디오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아바타 이미지를 표시하며, 피팅되어 착용품 이미지와 합성된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창이다. 표시부(12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로도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문자 버튼, 기호 버튼, 특수 버튼 등의 다양한 자판을 배열시켜 유서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30)인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표시부(120)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자판 배열 입력창의 위치 및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참고로, 터치스크린 패널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고객 본인을 촬영하여 이미지(이하, '고객 이미지'라 함)를 획득한다. 카메라(140)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부톤을 보정하여 저장하면 사용자의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사용자의 외양 이미지를 묘사한 아바타가 생성된다. 이러한 카메라(140)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 모듈은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은 광전 변환 모듈(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고객 이미지를 획득한다.
태그독출부(190)는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담긴 식별정보를 리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QR코드를 해독하여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통신부(160)를 통해 감지한 NFC태그나 RFID태그에 담긴 식별정보를 독출해낸다.
아바타 생성부(150)는,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어 획득한 고객 이미지를 보정하여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 선택을 통해 피부톤 등의 다양한 이미지 항목들을 보정하여 최종적인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한다.
피팅 처리부(110)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각 착용품의 상세 정보를 비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며, 다수의 착용품 이미지들을 수신한 경우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고객은 착용품을 착용하지 않아도, 해당 착용품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안 어울리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합성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착용품의 상세정보에는, 착용품의 모델명, 판매가격, 사이즈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이 착용될 위치(예컨대, 신발인 경우 발, 모자인 경우 머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를 상세 정보에 등록된 신체 부위의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합성된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피팅 처리부(110)는, 고객의 주거 지역, 성별, 나이, 직업을 포함한 고객 정보를 비콘 단말기(200)에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비콘 단말기(2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고객 정보를 매장 서버(300)에 중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팅 처리부(110)는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자신의 지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NS 처리부(195)는 사용자의 SNS를 관리하고, 아바타 착용 이미지가 생성될 때마다 착용 이미지를 등록된 SNS로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피팅 처리부(110)는 사용자가 요청한 경우 카드정보나 결제계좌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매장서버(300), 외부의 웹서버 또는 금융서버와 연동하여 결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매장 서버(300)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상기 비콘 단말기(200)에 제공하며,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를 수행한다.
매장 서버(30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매장 서버(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10), 착용품 이미지 전송부(320), 고객 정보별 착용품 데이터베이스(330),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340), 및 결제 처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10)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각 착용품의 상세 정보를 각 착용품의 식별정보 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착용품 이미지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착용품(의류, 보석, 신발, 모자, 시계 등)의 이미지이다. 착용품의 상세 정보는, 착용품의 모델명, 판매가격, 사이즈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착용품이 착용될 위치(예컨대, 신발인 경우 발, 모자인 경우 머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1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착용품 이미지 전송부(320)는, 고객 단말기(100)가 비콘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매장 내의 비콘 단말기(200)와 비콘 통신하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용품 이미지 전송부(320)는, 비콘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직렬/병렬 통신 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객 정보별 착용품 데이터베이스(330)는,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별로 관련 착용품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이다.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34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을 포함한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매장이 의류 판매 매장인 경우, 매장에 입장하여 비콘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고객 단말기(100)에서 보내온 고객 정보가 남성인 경우 남성 의류의 착용품 이미지를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비콘 단말기(200)는 수신한 남성 의류의 착용품 이미지를 고객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350)는, 착용품의 판매가 이루어질 때 판매 결제를 수행한다. 즉, 고객으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 처리부(350)는, 아바타 착용 이미지에서 착용된 착용품의 결제 금액을 비콘 단말기(200)에 표시하고, 비콘 단말기(200)를 통해 양방향 비콘 통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 생성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고객 단말기(100)가,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아바타 이미지 생성 과정(S410)을 가진다. 아바타 이미지의 생성 과정(S4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고객 이미지를 획득(S412)한 후, 고객 이미지의 피부톤 등을 고객 선택을 통해 보정(S414)하여, 보정된 고객 이미지를 아바타 이미지로 최종 생성(S416)한다. 아바타 이미지는 고객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고객 단말기(100)에 설치된 피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호출되어 착용품 이미지의 합성 피팅에 이용된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 정보를 매장내에 설치된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과정(S420)을 가진다. 고객 정보는, 고객의 주거 지역, 성별, 나이, 직업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피팅 어플리케이션은, 고객으로부터 주거 지역, 성별, 나이, 직업 등의 고객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해 놓은 후, 매장내 비콘 단말기(200)와 접속이 이루어지면 저장된 고객 정보를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비콘 단말기(200)는 수신한 고객 정보를 매장 서버로 중계 전송(S430)한다.
그리고 나서, 고객은 매장에 들어서면, 매장에 진열된 각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고객 단말기(100)를 접근시키거나 촬영함으로써 각 착용품의 식별정보를 비콘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이 가상 피팅하고자 하는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담긴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식별정보를 비콘 단말기(200)로 전송(S432)한다. 그리고 나면, 비콘 단말기(200)는 수신한 식별정보를 매장 서버(300)로 전달(S434)한다
매장 서버(300)는, 전달받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의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36). 착용품의 상세정보에는, 착용품의 모델명, 판매가격, 사이즈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이 착용될 위치(예컨대, 신발인 경우 발, 모자인 경우 머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비콘 단말기(200)는, 매장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중계 전송(S440)한다. 비콘(beacon)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기반으로 IT 기기간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beacon)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양방향 통신할 수 있어, 별도의 통신망 구축없이도 최소의 비용으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매장내에 들어선 고객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 단말기(200)가 설치된 매장내에 고객이 들어서면 고객이 선택한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가 자동으로 고객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비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표시(S450)한다. 따라서 고객은 매장에서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자신의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착용품 모델명, 판매 가격, 사이즈 등의 관련 정보들과, 착용품의 모델명, 판매가격, 사이즈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이 착용될 위치(예컨대, 신발인 경우 발, 모자인 경우 머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착용품 이미지 중에서 마음에 드는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S460)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착용품을 착용하지 않아도, 해당 착용품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안 어울리는지를 본인의 아바타 이미지에 피팅된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합성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착용품의 상세정보에는, 착용품의 모델명, 판매가격, 사이즈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착용품이 착용될 위치(예컨대, 신발인 경우 발, 모자인 경우 머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를 상세 정보에 등록된 신체 부위의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합성된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에 피팅되어 표시되는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본 후, 자신에게 어울리는지를 판단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고객으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매장 서버(300)는, 상기 아바타 착용 이미지에서 착용된 착용품의 결제 금액을 상기 비콘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200)를 통해 양방향 비콘 통신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S482)을 가진다.
한편, 착용품 정보 전송 과정(S440)에서, 고객이 각 착용품에 부착된 태그(500)에 담긴 식별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를 통해 독출하여 매장 서버(300)로 전달함으로써 원하는 착용품의 가상 피팅을 수행하는 대신에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으로 자동으로 고객에게 적합한 착용품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매장 서버(300)는, S430 단계 이후에, 수신한 고객 정보를 기초로 추출된 착용품들의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매장내에 설치된 비콘 단말기(20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비콘 단말기(20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매장의 경우, 의류 매장에 들어선 고객이 남성으로서 고객 정보로서 '남성'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남성 의류와 관련된 착용품 이미지들을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착용품 정보 전송 과정(S440)은, 각 고객 정보마다 우선순위를 두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차례로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중에서 성별을 제1우선순위로 둔 경우, 고객 정보가 서울 거주, 남성, 40대로 수신될 때, 제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남성'이라는 성별에 맞추어, 남성 의류의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천 이미지로서 비콘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비콘 단말기(200)는 이를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중에서 나이를 제1우선순위로 둔 경우, 고객 정보가 서울 거주, 남성, 40대로 수신될 때 40대가 사용할 수 있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매장 입장에서는 매장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 정보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어, 판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S460)이 있은 후, 고객 단말기(100)가, 고객 단말기(100)내의 주소록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등록된 지인들의 단말기인 지인 단말기(600)에 아바타 착용 이미지들을 전송(S470)하는 지인 전송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아바타 착용 이미지마다 추천 클릭 필드를 추가하여 지인들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추천 클릭 필드가 각각 마련된 제1의류를 착용한 아바타 착용 이미지, 제2의류를 착용한 아바타 착용 이미지, 제3의류를 착용한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지인들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지인 단말기(S472)는, 수신한 아바타 착용 이미지들을 본 후에 가장 어울리는 아바타 착용 이미지의 추천 클릭 필드를 클릭하여 추천할 수 있다. 클릭이 이루어지면 지인 단말기(S472)는 고객 단말기(100)에 클릭된 아바타 착용 이미지의 고유 식별 번호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100)는, 지인들로부터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S472)한다. 따라서 고객은 지인들로부터 추천받은 아바타 착용 이미지에서 사용된 착용품을 구매할 수 있다. 고객 자신이 아닌 주변의 객관적인 관점에서 착용품이 어울리는지 판단할 수 있어 착용품 구매시에 효과적인 구매를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고객 단말기
200:비콘 단말기
300:매장 서버
310: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320:착용품 이미지 전송부
330:고객 정보별 착용품 데이터베이스
340:착용품 이미지 추천부
500:태그
600:지인 단말기

Claims (2)

  1.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이미지인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고객 단말기에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비콘 단말기;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표시하며,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는 매장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용품 이미지와 상세 정보를 상기 착용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매장 내의 비콘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는 고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용품 이미지 전송부;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별로 관련 착용품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한 고객 정보별 착용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거주 지역, 성별, 나이, 직업을 포함한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 및
    착용품의 판매가 이루어질 때 판매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품 이미지 추천부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기 착용품들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객 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을 차례로 추출하여 상기 비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 및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매장 내에서 상기 비콘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장치.
  2. 매장 내에서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비콘 단말기, 고객 단말기 및 매장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피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고객 단말기가, 아바타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b)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상기 비콘 단말기로 고객의 주거 지역, 성별, 나이, 직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매장 서버가,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착용품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고객 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매장 내에 설치된 상기 비콘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d) 상기 비콘 단말기가,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에 중계 전송하는 과정;
    (e) 상기 고객 단말기가,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착용품 이미지들과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f) 상기 고객 단말기가, 착용품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착용품 이미지를 선택받아 상기 아바타 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g) 고객으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매장 서버는, 상기 아바타 착용 이미지에서 착용된 착용품의 결제 금액을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비콘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비콘 통신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 및
    (h)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아바타 착용 이미지를 주소록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등록된 지인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가상 피팅 방법.
KR1020180041226A 2018-04-09 2018-04-09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7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26A KR20180057577A (ko) 2018-04-09 2018-04-09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26A KR20180057577A (ko) 2018-04-09 2018-04-09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66A Division KR20170091803A (ko) 2016-01-07 2016-01-07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577A true KR20180057577A (ko) 2018-05-30

Family

ID=623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26A KR20180057577A (ko) 2018-04-09 2018-04-09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26A (ko) * 2018-06-18 2019-12-27 유승상 오프라인 매장의 잠재고객을 위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상품추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26A (ko) * 2018-06-18 2019-12-27 유승상 오프라인 매장의 잠재고객을 위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상품추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498B2 (en) Real-time video image analysis for providing virtual interior design
JP4203502B2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ユーザメモ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等
US8743145B1 (en) Visual overlay for augmenting reality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CN106462979A (zh) 时尚偏好分析
JP6120467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4634B2 (ja) コーディネートシステム、コーディネー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91803A (ko)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2506090A (ja) 移動通信デバイスのnfc検索
JP6516849B2 (ja) 検索装置、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方法
CN102982472A (zh) 终端自动推荐相似商品的方法及装置
JP2019204431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1606675B1 (ko) Sns상의 사용자별 가상 옷장을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및 방법
CN110647688A (zh) 信息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585156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057577A (ko) 가상 피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02893A (ko) Qr 코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228278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5866A (ko) 증강현실을 통한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033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photography
KR20160145961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위치기반의 사용자 컨텐츠를 전자상거래로 연결하는 방법
KR20190070452A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JP4720093B2 (ja) 試着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サーバ装置、ユーザ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JP2019101494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構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3660677B1 (ja) 服飾品販売システム及び服飾品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