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530A -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530A
KR20180057530A KR1020170152213A KR20170152213A KR20180057530A KR 20180057530 A KR20180057530 A KR 20180057530A KR 1020170152213 A KR1020170152213 A KR 1020170152213A KR 20170152213 A KR20170152213 A KR 20170152213A KR 20180057530 A KR20180057530 A KR 2018005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fluid
heat
tube
tub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094B1 (ko
Inventor
세바스티안 발터 프로인트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filed Critical 제네럴 일렉트릭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8005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4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3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35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hind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08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side by side or with individual headers, e.g. section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6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engines, e.g. for gas turbines or for Stirling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4Vaporizers, e.g.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10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 F28F2250/106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with cros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의 유체 흐름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열교환기는 제1 열교환 구성요소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제1 방향의 유체의 제1 부분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제2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유체의 추가의 부분을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는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Description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분포가 개선된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를 채용하는 열교환 시스템이 난방, 냉방, 공조, 파워 플랜트, 화학물 처리 플랜트 및 여러 엔진, 기계, 차량 및 전기 디바이스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된다. 열교환기는 이러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매체들 간의 효율적인 열전달을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유체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온의 제1 유체가 제1 채널 또는 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한편, 저온의 제2 유체가 제2 채널 또는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로는 접촉하거나 밀접할 수 있으므로, 통과되는 제1 유체에서 제2 유체로의 열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유체의 온도는 감소될 수 있고, 제2 유체의 온도는 증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직교류식 열교환 시스템, 병류식 열교환 시스템, 향류식 열교환 시스템과 같이 그 흐름 구성에 따라 또는 특히 쉘 및 튜브형 열교환기,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및 핀형 튜브식 열교환기와 같이 그 형상 및 디자인의 관점에서 분류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구성에서 주 설계 목표들 중 하나는 열교환 전반에 걸쳐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을 최대화하는 데 집중한다. 일반적으로, 압력 손실 정도 및 열전달 인자는 작동비용과, 열교환기의 전반적인 에너지 손실 및 효율, 그리고 그 용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열교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압력 손실이 낮고 열전달이 비교적 높은 디자인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특별한 관심사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튜브 내의 튜브측 유체의 체적 유량이 너무 높아서 핀측 유체가 직교류식 구성으로 튜브의 단일 열을 통과할 수 없는 열교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튜브 열 또는 유사한 통로를 사용하는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이다.
예컨대, 배열 회수 장치(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RSG)에서의 과열기나 재열기 섹션, 공냉식 응축기를 위해 또는 가스 터빈(Gas Turbine; GT) 복열기를 위해 단일 경로 직교류식 구성으로 평행한 다수의 튜브 열을 지닌 열교환기를 설계할 때에 2가지 중요한 문제가 대두된다. 한가지 문제는 튜브측 유체 유출 온도와, 제1 열 내지 마지막 열 사이에서 상당히 다를 수 있는 개별 튜브들의 열 듀티(thermal duty)에 관한 것이다. 다른 문제는, 한쪽 측에서는 낮고 다른 측에서는 높은, 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핀측 유체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불균일한 가열 및 핫스팟 없이 튜브측 유체 유로를 빠져나가는 튜브측 유체의 균일한 유체 온도 분포와 핀측 유체 유로를 빠져나가는 핀측 유체의 균일한 유체 온도 분포를 제공하는 개선된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가 요망된다. 개선된 디자인은 보다 낮은 최대 튜브 온도와 보다 균일한 튜브측 유출 온도 분포를 제공하여, 낮은 등급의 재료와 열부하 및 응력 감소로 인한 수명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가스 대 가스, 가스 대 액체 또는 가스 대 증기의 다양한 열교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특별히 증기 과열기, 증기 재열기, 가스 터빈 복열기나 발전소의 공냉식 응축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의 유체 흐름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고 온도 분포가 개선된 열교환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직교류식 유로 구성으로 배치되고, 각각 제1 열교환 구성요소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의 제1 부분을 위한 제1 방향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제2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의 추가의 부분을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는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의 유체 흐름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고, 열전달 분포가 개선되며, 직교류식 유로 구성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 각각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평행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의 제1 부분이 통과하는 통로를 위한 제1 방향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 각각은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평행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의 추가의 부분이 통과하는 통로를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는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본 출원은 또한,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의 유체 흐름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고 온도 분포가 개선된 열교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열교환기는 교호하는 직교류식 유로 구성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 각각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는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평행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의 제1 부분을 위한 제1 방향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 각각은 유체 유입 헤더, 유체 유출 헤더 및 이들 사이에 평행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의 추가의 부분을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포함한다. 제1 튜브측 유체 흐름인 유체의 제1 부분은 유체 유입 헤더로부터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통과하도록 안내되고, 제1 열교환 구성요소의 유체 유출 헤더를 빠져나간다. 제2 튜브측 유체 흐름인 유체의 추가의 부분은 유체 유입 헤더로부터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를 통과하도록 안내되고, 제2 열교환 구성요소의 유체 유출 헤더를 빠져나간다.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는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본 출원의 이들 및 다른 피쳐(feature)와 개선점은 여러 도면과 첨부된 청구범위와 연계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양태, 피쳐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연계된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엔진의 개략도.
도 2는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발전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의 3차원도.
도 4는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의 도 3의 선 4-4를 통과하도록 취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상면도.
도 6은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의 3차원도.
도 7은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의 도 6의 선 7-7을 통과하도록 취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상면도.
도 9는 여기에서 제시하거나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산 유체 역학 및 열전달계수를 예시하는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8의 열교환기의 그래픽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튜브측 유로가 교호하는 흐름 방향을 갖도록 구성된 열교환 튜브를 개시하는 개선된 열교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관련 열교환 시스템은 상당한 체적의 고온의 폐기 배출 유체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사용하여 대량의 흐름을 냉각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의 비제한적인 예는 화학물 처리 플랜트, 발전소 및 특별히 가스 터빈 엔진과 공기 냉각기를 포함한다. 열교환 시스템은 폐기 배출 유체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해 이들 어플리케이션 중 몇몇에 포함된다. 이들 열교환 시스템은 열전달 프로세스를 통해 폐기 배출 유체로부터 열을 회수한다. 열전달은, 배관 벽을 통해 상이한 온도의 유체들 사이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물리적 현상이다. 열교환 시스템은 폐기 배출 유체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해 열전달 현상에 작용한다. 열교환 시스템은 열교환 시스템의 디자인에 기초하여 상이한 작동 모드를 갖는다. 열교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열교환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분류된다. 유체는 열교환 시스템 내의 밀폐된 표면 내에서 흐르며, 밀폐된 표면은 유체로의 방향 및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면, 유사한 도면부호는 다수의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고, 도면에 도시된 요소는 실축척으로 도시된 것이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 및 거리로부터 어떤 치수도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1에는 여기에서 설명될 수 있는 가스 터빈 엔진(100)의 개략도가 예시된다. 가스 터빈 엔진(100)은 압축기(110)를 포함한다. 압축기(110)는 유입 공기 흐름(120)을 압축한다. 압축기(110)는 압축 공기 흐름(125)을 가스 터빈 복열기(130)로 이송한다. 가스 터빈 복열기(130)는 저온 압축 공기 흐름(135)을 연소기(140)로 이송한다. 연소기(140)는 압축 공기 흐름(120)을 압축 연료 흐름(145)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점화하여 연소 가스 흐름(150)을 생성한다. 단지 하나의 연소기(14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가스 터빈 엔진(100)은 임의의 개수의 연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 가스 흐름(150)은 결국 터빈(160)으로 이송된다. 연소 가스 흐름(150)은 터빈 샤프트(170)의 선회를 통해 기계적 일을 생성하도록 터빈(160)을 구동한다. 터빈(160)에서 생성되는 기계적 일은 터빈 로터(170)를 통해 압축기(100) 및 발전기(18) 등과 같은 외부 부하를 구동한다.
가스 터빈 엔진(100)은 천연가스, 다양한 타입의 석유계 액체 연료, 합성 가스 및 다른 타입의 연료를 이용할 수 있다. 가스 터빈 엔진(110)은 뉴욕주 스케넥터디에 소재하는 General Electric Company나 달리 제공되거나 다른 상이한 임의의 개수의 터빈일 수 있다. 가스 터빈 엔진(100)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타입의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가스 터빈 엔진도 또한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가스 터빈 엔진(100), 다른 타입의 터빈 및 다른 타입의 발전기가 여기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가스 터빈 복열기(130)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 공기 흐름(125)이 덕트를 통과할 때에 냉각되도록 유체 유로가 내부에 개재된 대형 덕트 내에 배치된다. 다른 복열기 구성 및 다른 타입의 열교환 디바이스가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여기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결합형 사이클 발전소와 같은 발전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210)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세계의 물 부족 지역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결합형 사이클 발전소를 위해 또는 화학물 처리 플랜트에서는, 물의 이용불가성으로 인해 프로세스 또는 작동 유체를 위한 공냉 응축기가 설치될 수 있다. 발전소는 가스 터빈(220)과 같이 작동 중에 열(225)을 생성하는 에너지원과, 가스 터빈(220)에 커플링되는 복열기(230)와, 복열기(230)에 커플링되는 배열 회수 장치(HRSG)(240), 냉각탑(250) 및 하나 이상의 증기 터빈(260)을 포함한다. HRSG(240)는 가스 터빈(220)에 의해 생성되는 열에 의해 증기(245)를 생성하고, 그 축을 따라 배치된 과열기와 같은 열교환기, 증발기 및 예열기를 포함하며, 생성된 증기(245)의 일부는 열교환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증기 터빈(260)으로 전환되어, 전환된 증기에 의해 전기와 같은 파워를 생성하고 소비된 증기 공급물(265)을 출력한다. 공기 냉각기(270)는 적어도 증기 공급물(265)을 유동적으로 수용하고 공냉하도록 구성된다. 공냉식 응축기(260)는 전기 구동식 팬에 의해 작동하고, 공기 공급물(275)을 통해 증기 공급물(265)을 냉각한다.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복열기(230)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 흐름(225)이 덕트를 통과할 때에 냉각되도록 유체 유로가 내부에 개재된 대형 덕트 내에 배치된다. 다른 복열기 구성 및 다른 타입의 열교환 디바이스가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발전소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 발전소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여기에서 설명될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00)의 일부가 예시된다. 열교환기(300)는 도 1의 복열기(130), 도 2의 복열기(230), 도 2의 공기 냉각기(270)의 일부로서 또는 임의의 타입의 열교환기 또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로 이루어지고, 열교환 모듈 중 하나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 각각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은 단일 열(312)의 하나 이상의 열교환 통로(314)를 포함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열(312)은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14),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체 연통식으로 배치된 (지금 기술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로 이루어진다. 변형예에서, 열교환 통로(314)는 플레이트-핀 열교환기에서 직사각형 채널과 같은 다른 형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계속해서 참고하면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가 유체 유입 헤더(325), 유체 유출 헤더(330) 및 그 사이에 일렬(312)로 배치되고 고압 유체(예컨대, 공기, 증기)와 같은 유체(322)의 적어도 제1 부분(321)의 흐름 통과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가 유체 유입 헤더(345), 유체 유출 헤더(350) 및 그 사이에 일렬(312)로 배치되고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흐름 통과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55)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은 각각의 유체 유입 헤더(325, 345)와 유체 유출 헤더(330, 350)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개수의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 중 적어도 일부는 그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핀(420)은 단지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의 단일 열교환 튜브(335) 상에 배치된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열(312)은 임의의 개수의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핀(420)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핀(420)이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 355) 각각에 배치된다. 복수 개의 핀(4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직교류 유체(360)가 그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갭(422)을 통과하게 한다. 열교환기(300)는 기존의 튜브형 열교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콤팩트할 수 있지만, 임의의 소망하는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300)는 직교류식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등과 같은 직교류 유체(360)에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직교류 유체(360)는 대형 덕트(즉, 배열 회수 덕트) 내의 배기가스와 같은 저압 가스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0)는 덕트(도시하지 않음)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 튜브(335, 355)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의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은 열교환 튜브(355)의 대응하는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동등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외경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벽 두께는 유사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벽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열교환 튜브(335, 35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에 있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은 실선 화살표로 예시되어 있고,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에 있는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410)과 직교류 유체(360)는 점선으로 예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 튜브(335, 355)는 직교류 유체(360)가 분배되고 수집되도록 직교류식 구성으로 설치되고, 유체 유입 헤더(325, 345)와 유체 유출 헤더(330, 350)는 도 4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교류 유체(360)의 흐름 통과를 위해 열교환 튜브(335, 355)의 종축에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행한 튜브측 흐름(400, 410)을 단일 경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면적이 증가하고, 동일한 개수의 열을 지닌 대향류식 구성에 비해 압력 손실이 감소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의 유체 유입 헤더(325)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유체 유입 헤더(345)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이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410)과 반대되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반대되는 흐름 구성은 모듈(310)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와 유체 흐름(342)으로서 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튜브측 유체 흐름(400)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실시예에서, 완벽 조립된 열교환기가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다수 열 열교환기 모듈(310)과, 이에 따라 직교류 유체(360)와 교차하는 각각의 모듈(310) 내의 튜브측 흐름(400, 410)의 교호하는 흐름 방향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완벽 조립된 열교환기는 튜브측 유체 흐름(400, 410)에 대하여 직렬 구성이나 평행 구성 중 하나와 직교류 유체(360)에 대한 직렬 구성이 교호하는 구성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다수 열 열교환기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경로의 튜브측 흐름(400, 410)의 흐름 방향을 교호시킴으로써, 제1 열교환기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지고, 불균일한 가열 및 핫스팟 없이 임의의 후속하는 열교환기 단에 진입한다. 더욱이, 핀 높이 및 핀 밀도와 관련하여 각각의 열(312)에 대해 핀(420)을 조정하면, 더 낮은 최대 튜브 온도 및 보다 균일한 튜브측 유출 온도 분포가 제공되어, 보다 낮은 등급의 재료를 가능하게 하고 열 응력을 감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 355) 각각에 있는 복수 개의 핀(420)은, 교환되는 열의 총량에 대해 최소 열교환 튜브 온도 또는 최대 열교환 튜브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 355)를 유체 흐름(342)으로서 빠져나가는 튜브측 흐름(400, 410)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핀 높이 및 핀 밀도로 설계된다.
도 5를 특별히 참고하면, 도면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하는, 도 3의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한 도면부호 450으로 나타내는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상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한 도면부호는 다수의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열교환기(450)는 도 1의 복열기(130), 도 2의 복열기(230)의 일부로서 또는 임의의 타입의 열교환기 또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 각각은, 방향이 반대되는 (현재 설명되는) 튜브측 흐름 통과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이 2개 열(312)의 열교환 통로(314),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한다. 도 5의 예시된 실시예는 구성요소(320, 340)당 2개 열(312)만을 보여주지만, 임의의 개수의 열이 각 구성요소마다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 5의 실시예에는,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에 있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에 있는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410), 및 직교류 유체(360)가 예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핀(420)이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상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 튜브(335, 355)는 직교류 유체(360)와의 직교류식 구성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에 직교류 유체(360) 흐름을 위해 열교환 튜브(335, 355)의 종축에 거의 수직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형성한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평행한 튜브측 흐름(400, 410)을 단일 경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면적이 증가하고, 대향류식 구성에 비해 압력 손실이 감소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열교환 구성요소의 유체 유입 헤더(325)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유체 유입 헤더(345)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이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410)과 반대되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반대되는 흐름 구성은 모듈(310)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와 유체 흐름(342)으로서 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튜브측 유체 흐름(400, 410)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한다.
완벽 조립된 열교환기(450)가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다수 열 열교환기 모듈(310)과, 이에 따라 직교류 유체(360)와 교차하는 각각의 모듈(310) 내의 튜브측 흐름(400, 410)의 교호하는 흐름 방향을 포함한다. 완벽 조립된 열교환기(450)는 튜브측 유체 흐름(400, 410)에 대하여 직렬 구성이나 평행 구성 중 하나와 직교류 유체(360)에 대한 직렬 구성이 교호하는 구성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다수 열 열교환기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경로의 튜브측 흐름(400, 410)의 흐름 방향을 교호시킴으로써, 제1 유체 통로를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지고, 불균일한 가열 및 핫스팟 없이 임의의 후속하는 열교환기 단에 진입한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 높이 및 핀 밀도와 관련하여 각각의 열 (312)에 대해 핀(420)을 조정하면, 더 낮은 최대 튜브 온도 및 보다 균일한 튜브측 유출 흐름(342) 온도 분포가 제공되어, 보다 낮은 등급의 재료를 가능하게 하고 열 응력을 감소시킨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열교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며,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500으로 나타낸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한 도면부호는 다수의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열교환기(500)는 임의의 타입의 열교환기 또는 목적을 위해 도 1의 복열기(130), 도 2의 복열기(230)의 일부로서 또는 임의의 타입의 열교환 디바이스 또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50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로 이루어지고, 열교환 모듈 중 하나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 각각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은 유입 헤더, 유출 헤더 및 일렬(312)로 배치된 복수 개의 통로(314)에 의해 형성되며, 이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통로는 유체 연통식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가 유체 유입 헤더(325), 유체 유출 헤더(330) 및 그 사이에 일렬(312)로 배치되고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흐름 통과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가 유체 유입 헤더(345), 유체 유출 헤더(350) 및 그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흐름 통과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55)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은 각각의 유체 유입 헤더(325, 345)와 유체 유출 헤더(330, 35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는 앞서 설명한 핀(420)(도 3 내지 도 5)과 같은 임의의 핀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열교환기(500)를 빠져나가 임의의 후속하는 열교환기 단에 진입하는 직교류 유체(360)의, 불균일한 가열 및 핫스팟 없는 균일한 온도 분포는, 흐름 방향을 교호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현재 설명되는) 튜브측 유로 방향으로의 열전달계수를 증가시키도록 열교환 튜브(335, 355)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수정하는 것에 의해 핀형 튜브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 중 적어도 일부는 열교환 튜브 상에 위치 설정되는 핀(420)과 같은 다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열교환기(500)는 기존의 튜브형 열교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콤팩트할 수 있지만, 임의의 소망하는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500)는 직교류식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등과 같은 직교류 유체(360)에 거의 수직하게 배향된 열교환 튜브(335, 355)를 포함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는 11개의 열교환 튜브(335)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는 11개의 열교환 튜브(355)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교환 구성요소(320, 340)는 임의의 개수의 열(312)로 분포된 임의의 개수의 열교환 통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 튜브(335, 355)는 직교류 유체(360)와의 직교류식 구성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에 직교류 유체(360) 흐름을 위해 열교환 튜브(335, 355)의 종축에 거의 수직한 하나 이상의 채널(365)을 형성한다.
열교환 튜브(335, 355)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의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은 열교환 튜브(355)의 대응하는 치수, 형상, 길이, 직경, 둘레, 크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동등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외경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벽 두께는 유사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의 벽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에서 열교환 튜브(335, 355)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열교환 튜브(335, 355)를 형성할 수 있다.
특별히 도 6을 참고하면,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에 있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은 실선 화살표로 예시되어 있고,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에 있는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410)과 직교류 유체(360)는 점선으로 예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 튜브(335, 355)는 직교류 유체(360)와의 직교류식 구성으로 설치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열교환 구성요소의 유체 유입 헤더(325)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유체 유입 헤더(345)는,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튜브측 흐름(400)이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의 튜브측 흐름(610)과 반대되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반대 흐름 구성은 모듈(310)을 빠져나가는 유체 흐름(360)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고 튜브측 유출 흐름(342)의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를 제공한다.
완전한 열교환기(500)는, 각 모듈(310)의 반대 방향 튜브측 흐름(400, 410)이 직교류 유체(360)와 교차하도록, 교호하는 흐름 구성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완벽 조립된 열교환기(500)는 튜브측 유체 흐름(500, 510)에 대하여 직렬 구성이나 평행 구성 중 하나와 직교류 유체(360)에 대한 직렬 구성이 교호하는 구성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다수 열 열교환기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경로의 튜브측 흐름(500, 510)의 흐름 방향을 교호시킴으로써, 제1 유체 통로를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지고, 불균일한 가열 및 핫스팟 없이 임의의 후속하는 열교환기 단에 진입한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도 8의 열교환기(520)와 같은 개선된 열교환기는 도 9에서 튜브측 및 핀측 온도 분포를 예시하도록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520)는 대체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따라서 유사한 요소는 설명하지 않겠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열교환기(520)는 도 3의 모듈(310)과 같은 2개의 열교환 모듈로 이루어지는데, 이 열교환 모듈은 총 4개의 개별 열교환 구성요소(521, 522, 523, 524)를 포함하며, 이들 열교환 구성요소는 대체로 앞서 설명하고 교호하는 흐름 구성으로 배치되는 구성요소(320, 340)와 유사하다. 도 8은 구성요소(521, 522, 523, 524)가 서로 유체 커플링되는 것을 예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의 유체 유입 헤더(도시하지 않음)는 유체 유출 헤더와 같이 유체 연통됨을 이해해야만 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9를 참고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그래픽에서는 테스트되는 열교환기가 2개의 열교환 모듈로 이루어진 도 8에 예시한 열교환기와 유사하며, 열교환 모듈은 도 3의 모듈(310)과 같이 교호하는 흐름 구성으로 배치된 도 8의 구성요소(521, 522, 523, 524)와 같은 총 4개의 개별 열교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튜브 또는 덕트의 길이가 연장되는 거리는 X축(522) 상에 표시된다. 핀측 또는 튜브측의 유체 흐름의 온도는 Y축(544) 상에 표시된다. 직교류 가스(360)(도 8)의 온도가 556으로 플롯팅된다. 유체 흐름(360)은 모든 열교환 구성요소(521, 522, 523, 524)(도 8)에 걸쳐, 보다 구체적으로는 균일한 온도 분포로 덕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입력되며, 558로 플롯팅된 균일한 분포로 빠져나간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521)에서 열의 튜브측 흐름의 튜브 길이를 따른 온도 변화가 선 560으로 플롯팅된다, 제1 열교환 구성요소(521)에서의 열과 반대되는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열교환 구성요소(522)에서의 열의 튜브측 흐름의 튜브 길이를 따른 온도 변화가 선 562로 플롯팅된다. 제3 열교환 구성요소(523)에서의 열과 반대되는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열교환 구성요소(522)에서의 열의 튜브측 흐름의 튜브 길이를 따른 온도 변화가 선 564로 플롯팅된다. 제3 열교환 구성요소(523)에서의 열과 반대되는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열교환 구성요소(524)에서의 튜브측 흐름의 튜브 길이를 따른 온도 변화가 선 566으로 플롯팅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직교류 유체(360)와 같은 직교류 가스의 출력 온도는 선 558로 플롯팅되며, 선 558은 복수 개의 열교환 구성요소(521, 522, 523, 524) 및 덕트 전반에 걸친 온도 분포의 균일화를 예시한다.
따라서,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는 4개, 6개, 8개 이상과 같은 2개 열보다 많은 열을 가질 수 있으며, 직교류 유체의 방향으로 2개의 연속하는 열마다 반대되는 튜브측 흐름 방향을 갖는다. 동일한 흐름 방향을 지닌 다수 또는 심지어는 모든 튜브 열은 각각의 단부 상에 공동 분배기 및 수집기 헤더(유입 헤더/유출 헤더)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핀측 유체(통상적으로 저압 가스)를 통과하는 튜브측 유체(통상적으로 고압 가스 또는 액체)의 단일 경로 구성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열교환 구성요소로부터의 튜브측 유출 온도는 전혀 다를 수 있으며, 튜브측 유체가 가열되는 경우에는 평균 온도가 추정되는 유출 헤더에서 혼합되기 전에 바람직한 최대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이것을 완화하고 제1 열교환기 구성요소의 유출 온도는 감소시키지만, 평균 유출 온도를 기본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류 열교환 구성요소의 유출 온도는 상승시키기 위해, 열전달계수는 핀측 또는 직교류 유체(360)의 방향으로 구성요소에 따라 더 낮은 값에서 높은 값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열전달계수의 변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 높이 및 밀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각각의 열교환 튜브 내면 상의 표면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HRSG의 배기 상류에서 압축 가스의 단일 경로 구성을 갖는 가스 터빈 복열기의 실시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교류 유체 경로를 가로지르는 튜브측 흐름의 교호하는 흐름 방향을 채택하는 열교환기는, 증발기에서의 증기 유량과 증기 과열기 및 재열기에서의 튜브 대 튜브 유출 온도에 간섭하는 일 없이 증기 섹션 바로 상류에 복열기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욱이, 핀형 튜브를 채용하는 실시예에서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열교환 구성요소에 대해 핀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낮은 최대 튜브 온도와 보다 균일한 튜브측 유출 온도 분포가 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열교환기의 다른 장점은 보다 낮은 등급의 재료에 대한 보다 낮은 비용과 감소된 열하중 및 응력으로 인한 보다 긴 수명을 포함한다. 1개보다 많은 그러한 단일 경로 열교환기가 HRSG 상류에 또는 스택 상류에 HRSG 없이 직교류의 핀측 유체를 지닌 튜브측 유체의 대향류식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후속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의 유체의 평행한 비혼합 흐름과 임의의 직교류식 열교환기에서의 튜브측 흐름의 흐름 방향의 교호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경우 핫스팟 없이 균일한 온도 분포가 요망된다.

Claims (10)

  1.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 유체 흐름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고 개선된 온도 분포를 갖는 열교환기(300, 450, 500, 520)로서,
    직교류식 유로(360) 구성으로 배치되고, 각각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하고,
    제1 열교환 구성요소(310)는 유체 유입 헤더(325), 유체 유출 헤더(35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을 위한 제1 방향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400)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335)를 포함하며,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는 유체 유입 헤더(345), 유체 유출 헤더(35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322)의 추가의 부분(323)을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410)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355)를 포함하고,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400)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410)는 모듈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것인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00, 450, 500, 520)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400)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410)에 대한 직렬 또는 병렬 구성 중 어느 하나와 직교류 유체(360)에 대한 직렬 구성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하는 것인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310)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335, 355)는 복수 개의 핀(420)이 배치된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핀(4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직교류 유체(360)가 그 사이의 갭(422)을 통과하게 하는 것인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 355) 각각에 있는 복수 개의 핀(420)은, 교환되는 열의 총량에 대해 최소 열교환 튜브 온도 또는 최대 열교환 튜브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복수 개의 열교환 튜브(335, 355)를 빠져나가는 튜브측 유체(342)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핀 높이 및 핀 밀도로 구성되는 것인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튜브측 유체 흐름(400)으로서의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의 유체 유입 헤더(325)로부터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의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335)를 통해 안내되고,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의 유체 유출 헤더(342)를 빠져나가며, 제2 튜브측 유체 흐름(410)으로서의 유체(322)의 추가 부분(323)은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유체 유입 헤더(345)로부터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 통로(355)를 통해 제1 튜브측 유체 흐름(400) 방향과 반대되는 흐름 방향으로 안내되고, 제2 열교환 구성요소(340)의 유체 유출 헤더(342)를 빠져나가는 것인 열교환기.
  6. 직교류식 구성으로 2개 유체 흐름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고 개선된 열전달 분포를 갖는 열교환기(300, 450, 500, 520)로서,
    직교류식 유로 구성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 각각은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340)를 포함하며,
    제1 열교환 구성요소(320)는 유체 유입 헤더(325), 유체 유출 헤더(330) 및 이들 사이에 평행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322)의 제1 부분(321)의 통과를 위한 제1 방향의 제1 튜브측 유체 유로(40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35)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열교환 구성요소(340) 각각은 유체 유입 헤더(345), 유체 유출 헤더(350) 및 이들 사이에 평행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유체(322)의 추가의 부분(323)이 통과하는 통로를 위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2 튜브측 유체 유로(41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55)를 포함하고,
    반대되는 제1 튜브측 유체 유로(400)와 제2 튜브측 유체 유로(410)는 각각의 모듈(310)을 빠져나가는 직교류 유체(360)의 단면에 걸친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것인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35, 355)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핀(420)을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핀(4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직교류 유체(360)가 그 사이의 갭(422)을 통과하게 하며,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35, 355) 각각에 있는 복수 개의 핀(420)은, 교환되는 열의 총량에 대해 최소 열교환 통로 온도 또는 최대 열교환 통로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복수 개의 열교환 통로(335, 355)를 빠져나가는 튜브측 유체(324)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핀 높이 및 핀 밀도로 구성되는 것인 열교환기.
  8. 제6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00, 450, 500, 520)는 제1 튜브측 유체 흐름(400)과 제2 튜브측 유체 흐름(410)에 대한 직렬 또는 병렬 구성 중 어느 하나와 직교류 유체(360)에 대한 직렬 구성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교환 모듈(310)을 포함하는 것인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튜브측 유체 흐름(400)과 제2 튜브측 유체 흐름(410)은 고압 유체 흐름이고, 직교류(360)는 저압 유체 흐름인 것인 열교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제1 튜브측 유체 흐름(400)과 제2 튜브측 유체 흐름(410)은 기체이고, 직교류(360)는 저압 공기인 것인 열교환기.
KR1020170152213A 2016-11-22 2017-11-15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 KR102506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58,310 US10502493B2 (en) 2016-11-22 2016-11-22 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
US15/358,310 201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530A true KR20180057530A (ko) 2018-05-30
KR102506094B1 KR102506094B1 (ko) 2023-03-06

Family

ID=6206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13A KR102506094B1 (ko) 2016-11-22 2017-11-15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2493B2 (ko)
KR (1) KR102506094B1 (ko)
DE (1) DE102017127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2493B2 (en) * 2016-11-22 2019-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
US10907821B2 (en) * 2019-03-07 2021-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HRSG with stepped tube restraints
US11339745B1 (en) * 2020-02-07 2022-05-24 Rolls-Royce North American Technologies Inc. Dual flowpath exhaust for fuel cooling in a hypersonic propulsion system
KR20240022778A (ko) * 2022-08-12 2024-02-20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890A (ja) * 2001-01-11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凍空調サイクル装置
JP2002340301A (ja) * 2001-05-16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貫流型排熱ボイラ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4778A (en) * 1928-05-16 1932-10-25 Babcock & Wilcox Co Steam reheater
US6378605B1 (en) * 1999-12-02 2002-04-30 Midwest Research Institute Heat exchanger with transpired, highly porous fins
DE10054158A1 (de) * 2000-11-02 2002-05-08 Behr Gmbh Mehrkammerrohr mit kreisförmigen Strömungskanälen
US6349761B1 (en) * 2000-12-27 2002-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n-tube heat exchanger with vortex generator
JP2003090690A (ja) * 2001-09-18 2003-03-28 Hitachi Ltd 積層型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
NZ532668A (en) * 2001-10-22 2004-09-24 Showa Denko K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process for produc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US7228885B2 (en) * 2003-11-26 2007-06-12 Proliance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package with split radiator and split charge air cooler
US20060130517A1 (en) * 2004-12-22 2006-06-22 Hussmann Corporation Microchannnel evaporator assembly
US6957630B1 (en) * 2005-03-31 2005-10-25 Alstom Technology Ltd Flexible assembly of once-through evaporation for horizontal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KR101192758B1 (ko) * 2005-06-30 2012-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20080078537A1 (en) * 2006-09-29 2008-04-03 Valeo, Inc. Multi-zone heat exchangers with separated manifolds
WO2009018150A1 (en) * 2007-07-27 2009-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channel heat exchanger
US7963097B2 (en) * 2008-01-07 2011-06-21 Alstom Technology Ltd Flexible assembly of recuperator for combustion turbine exhaust
JP4836996B2 (ja) * 2008-06-19 2011-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20220228811A9 (en) * 2008-07-21 2022-07-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itanium-based thermal ground plane
US20100043442A1 (en) * 2008-08-19 2010-02-25 General Electric Company Dimpled serrated fintube structure
US9163883B2 (en) * 2009-03-06 2015-10-20 Kevlin Thermal Technologies, Inc. Flexible thermal ground plane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243035A (ja) * 2009-04-03 2010-10-28 Sony Corp 熱輸送装置、電子機器及び熱輸送装置の製造方法
US8235096B1 (en) * 2009-04-07 2012-08-07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Hydrophilic particle enhanced phase change-based heat exchange
US9395127B2 (en) * 2009-05-04 2016-07-19 Spx Dry Cooling Usa Llc Indirect dry cooling tower apparatus and method
US20100282456A1 (en) 2009-05-06 2010-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Finned tube heat exchanger
IT1397145B1 (it) * 2009-11-30 2013-01-04 Nuovo Pignone Spa Sistema evaporatore diretto e metodo per sistemi a ciclo rankine organico.
US20130020059A1 (en) * 2010-04-01 2013-01-24 Chanwoo Park Device having nano-coated porous integral fins
US9770794B2 (en) * 2011-06-03 2017-09-26 Holtec International Vertical bundle air cooled heat exchang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generation plant implementing the same
US10371456B2 (en) * 2011-10-25 2019-08-06 Kentuckiana Curb Company, Inc. Method using heat pipes with multiple evaporator/condenser zones and heat exchangers using same
KR101902017B1 (ko) * 2011-11-18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5796564B2 (ja) * 2011-11-30 2015-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US9188369B2 (en) * 2012-04-02 2015-11-17 Whirlpool Corporation Fin-coil design for a dual suction air conditioning unit
EP2713132A1 (en) * 2012-09-26 2014-04-02 Alcatel Lucent A vapor-based heat transfer apparatus
US9803929B2 (en) * 2012-12-03 2017-10-31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Indirect heat exchanger
KR101802748B1 (ko) * 2013-08-14 2017-1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JP2017516660A (ja) * 2014-03-28 2017-06-22 モーディーン・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カンパニーModine Manufacturing Company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60341481A1 (en) * 2015-05-19 2016-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Submersible heat exchanger and methods of operating and assembling same
JP2017026281A (ja) * 2015-07-28 2017-02-0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交換器
US10161683B2 (en) * 2015-08-20 2018-12-25 Holtec International Dry cooling system for powerplants
RU2721956C2 (ru) * 2016-01-08 2020-05-25 Эвапко, Инк. Улучшение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по теплообмену оребренног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с эллиптической рабоч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CA3031201A1 (en) * 2016-07-22 2018-01-25 Evapco, Inc. Ultra narrow channel ultra low refrigerant charge evaporative condenser
US20180066548A1 (en) * 2016-09-07 2018-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ed cycle power plant having an integrated recuperator
US10502493B2 (en) * 2016-11-22 2019-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
US10048024B1 (en) * 2017-04-26 2018-08-14 Joshua D. Sole Two-phase fluid flow distributor and method for parallel microchannel evaporators and condens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890A (ja) * 2001-01-11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凍空調サイクル装置
JP2002340301A (ja) * 2001-05-16 2002-11-27 Mitsubishi Heavy Ind Ltd 貫流型排熱ボ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7005A1 (de) 2018-05-24
US10502493B2 (en) 2019-12-10
KR102506094B1 (ko) 2023-03-06
US20180142956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313B2 (en) Plate fin type heat exchanger for high temperature
AU2009289762B2 (en) Heat exchanger in modular design
KR102506094B1 (ko) 단일 경로 직교류식 열교환기
EP2229572B1 (en) Recuperator
US11248850B2 (en) Heat exchanger with interspersed arrangement of cross-flow structures
US5004044A (en) Compact rectilinear heat exhanger
US201002189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heat exchanger
EP1834153A1 (en) Heat exchanger
KR102559356B1 (ko) 콤팩트형 가스-가스 열교환 튜브 및 이의 제조와 사용 방법
US20210231383A1 (en) Fractal heat exchanger
EP2131131A1 (en) Heat exchanger
JP4681528B2 (ja) 熱交換器のヘッダ構造
KR101795039B1 (ko) 핀 및 튜브 열교환기
Moisseytsev et al. Heat exchanger options for dry air cooling for the sco2 brayton cycle
US11879691B2 (en) Counter-flow heat exchanger
US20180066548A1 (en) Combined cycle power plant having an integrated recuperator
EP2530420A2 (en) Fin and tube heat exchanger
JP2008032354A (ja) 熱交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焼装置
WO2020095572A1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ボイラ、並びに熱交換方法
Xie et al. Thermal design of heat exchanger with fins inside and outside tubes
RU2790537C1 (ru)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937988B1 (ja) 熱交換器
RU2419034C2 (ru) Сеточный рекупе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