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778A -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 Google Patents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778A
KR20240022778A KR1020220101232A KR20220101232A KR20240022778A KR 20240022778 A KR20240022778 A KR 20240022778A KR 1020220101232 A KR1020220101232 A KR 1020220101232A KR 20220101232 A KR20220101232 A KR 20220101232A KR 20240022778 A KR20240022778 A KR 2024002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gas
flow path
dispose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모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778A/ko
Priority to US18/354,324 priority patent/US20240052761A1/en
Priority to EP23191031.6A priority patent/EP4321801A1/en
Publication of KR2024002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0Arrangements of partition walls in flues of steam boilers, e.g. built-up from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65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a plurality of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01Controlling by flue gas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07Control systems for waste heat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01Tubes having fins or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76Adaptations or mounting of devices for observing existence or direction of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05B2240/122Vortex generators, turbulators, or the like, for mix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복수의 제1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EXHAUST GAS FLOW REGULATOR AN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가스 유동 편차 개선이 가능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발전시스템은 연료를 연소시켜 고압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고온고압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가스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가스터빈 시스템과, 가스터빈을 구동하고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배열회수 증기발생기과,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터빈을 구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증기터빈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배열회수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는 가스터빈에서 발생하는 열원을 가진 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다시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터빈을 회전시키는 복합사이클 설비이다.
구체적으로, 복합발전용으로 쓰이는 상기 배열회수 증기발생기나 배열회수보일러는 가스터빈의 출구에 연결되어 높은 온도로 방출되는 배가스를 우회시켜 가면서 그 열량을 회수할 목적으로 쓰이는 것으로, 포화액체를 포화증기로 만드는 증발기와, 포화증기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열기와, 응축기에서 유입되는 급수를 포화액체로 가열하는 절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열기는 설계시 증기터빈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조건까지 가열되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배열회수보일러는 배가스의 유동의 균일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상기 가스터빈의 출구배가스(Gas Turbine Exhaust, GTE)가 배열가스 증기발생기에 유입될 때는 완전하게 난류(Turbulent Flow)로 발달하여, 속도와 온도면에서 매우 불균일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압과열기의 전열관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배가스의 유동을 균일화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배열회수 증기발생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압과열기의 전열관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배가스의 유동을 균일화하기 위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복수의 제1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한 제1 파이프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배가스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중심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 측에서 유동되는 배가스를 상기 제1 파이프의 타측을 향해 방향을 전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의 배치되는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형성된 볼트홀 중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엣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엣지 플레이트는, 배가스가 유동되는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과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는, 가스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연소 배가스가 유동되어, 배열을 회수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택, 상기 스택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열관군, 가스터빈에서부터 상기 스택까지 배가스가 유동되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 상에 배치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복수의 제1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가스터빈에서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에서 연장되며, 높이 방향으로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로 연장되며 확장되는 폭의 양 단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파이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 방향으로 유동되는 배가스의 유동 방향이 제1 파이프 쪽으로 전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유로를 이루는 에어덕트의 면에서 먼 쪽으로 배가스를 유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유로에서 제3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에서 제3 유로로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의 양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배가스를 상기 제3 유로의 중앙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엣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엣지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과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제2 파이프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볼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장공을 따라 볼트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의 열에 의한 팽창이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유로의 폭이나 높이가 변경될 때 변경되는 면의 양 측에 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유로의 외곽측 면을 따라서 유동되는 배가스를 유로의 중심부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에어덕트의 유로의 단면적에 일부만 차지하여, 에어덕트 유로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배가스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유로를 이루는 면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유로를 이루는 면을 따라 흐르는 배가스의 유동만 조절할 뿐, 유로의 중앙부를 흐르는 배가스에 대한 저항이 없어 유로의 중앙부를 흐르는 배가스가 용이하게 통과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에어덕트의 유로의 단면적에 일부만 차지하므로, 배열회수보일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이 감소하는 등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통과하는 배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가열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가 팽창하는 모습을 설명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배열회수보일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없는 경우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있는 경우 배가스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의 엣지 플레이트에 의해 에어덕트의 면에 가까운 배가스의 유동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통과하는 배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가열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가 팽창하는 모습을 설명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배열회수보일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없는 경우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가 있는 경우 배가스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열회수보일러(A)는 가스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연소 배가스가 유동되어, 배열을 회수한다. 배열회수보일러(A)는 스택(100), 전열관군(200), 에어덕트(300)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를 포함한다.
스택(100)은 에어덕트(300)가 끝나는 부분인 배출통로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택(100)은 제5 유로(350)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택(100)은 1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열회수보일러(A)는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할 수 있고, 바이패스 덕트에도 스택(100)이 구비될 수 있다. 스택(100)은 배열회수보일러(A)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최종 배출되는 통로로서, 그 상부는 외기와 연통되는 개방부로 형성되어 있다.
전열관군(200)은 상기 스택(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열관군(200)은 제4 유로(340)에 배치될 수 있다. 전열관군(200)에 배치된 전열관을 통하여 배가스의 열들이 흡수될 수 있다. 즉, 전열관은 배가스의 폐열을 흡수한다. 전열관들은 높은 열흡수 효율을 갖기 위하여 핀(Fin) 형상의 흡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열관 주변의 핀들은 두께가 매우 얇은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가스의 불균형한 유동 등에 의하여 전열관의 표면에 실금이 발생하거나, 전열관이 뒤틀거나, 얇은 판형태로 박리되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에어덕트(300)는 가스터빈에서부터 스택(100)까지 배가스가 유동되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유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스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로(310), 제1 유로(310)로부터 연장되고 제1 유로(310)보다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제2 유로(320), 제2 유로(320)로부터 연장되고 제2 유로(320)와 높이 방향(H)으로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제3 유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상술한 제2 유로(320) 및 제3 유로(3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제2 유로(320)의 전단측, 제3 유로(330)의 전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유로의 폭이나 높이 방향(H)으로 단면적이 변경되거나, 유로의 방향이 변경될 때 해당 변경 유로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등을 참조하여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제1 파이프(410), 지지 플레이트(420) 및 제2 파이프(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41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410)는 5개로 구비되어 도면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가스는 제1 파이프(410) 사이로 유동되면서 제1 파이프(410)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유동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20)는 제1 파이프(410)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420)는 복수의 제1 파이프(41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420)는 제1 파이프(4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420)에 제1 파이프(410)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에 배가스의 유동에 의하여 제1 파이프(410)가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제2 파이프(430)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된다. 제2 파이프(430)는 지지 플레이트(420)와 결합되며, 제1 파이프(41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제1 파이프(410)와 제2 파이프(4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파이프(430)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양 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결합 플레이트(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440)는, 일 단이 제2 파이프(430)에 결합되고, 타 단은 지지 플레이트(4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 플레이트(440)는 지지 플레이트(420) 및 제2 파이프(43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420) 및 결합 플레이트(440)는 볼트(42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420)의 양 단에는 결합 플레이트(440)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볼트(425)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420)의 양 단에 형성된 볼트(425)홀 중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420)의 양 단에는 제1 볼트홀(428a) 및 제2 볼트홀(428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볼트홀(428a)은 장공으로 형성되지 않으나, 제2 볼트홀(428b)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온의 배가스가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은 갖는 지지 플레이트(420)는 열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제2 볼트홀(428b)이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420)의 열팽창에 의한 길이 증가가 제2 볼트홀(428b)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지지 플레이트(420)가 열팽창하기 이전의 모습이다. 도 5의 (a)에서 지지 플레이트(420)의 제2 볼트홀(428b)에 삽입된 볼트(425)는 제2 볼트홀(428b)의 하단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5의 (b)는 지지 플레이트(420)가 배가스의 열에 의하여 팽창된 모습이다. 도 5의 (b)에서 지지 플레이트(420)의 제2 볼트홀(428b)에 삽입된 볼트(425)는 제2 볼트홀(428b)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도 5의 (b)의 지지 플레이트(420)의 하단의 제2 파이프(430) 및 볼트(425)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나, 지지 플레이트(420)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여 제2 볼트홀(428b)에 삽입된 볼트(425)가 제2 볼트홀(428b)을 따라 이동하여 제2 볼트홀(428b)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제2 파이프(430)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440),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420)가 서로 볼트(425)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장공을 따라 볼트(425)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420)의 열에 의한 팽창이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파이프(430)는 제2 파이프(430)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제1 파이프(410)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등을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파이프(430)로부터 제1 파이프(410) 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제2 파이프(430) 및 단부에 배치된 제1 파이프(410) 사이를 통과하는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가스는 제1 파이프(410)를 중심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유동된다. 즉, 배가스는 제1 파이프(410)를 중심으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1 파이프(410)의 일 측에서 유동되는 배가스를 제1 파이프(410)의 타측을 향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배가스 흐름(a)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가까운 곳에서 유동되는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유동 방향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유동 방향이 크게 전환된 배가스에 의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35)와 인접한 제1 파이프(410)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의 방향의 전환도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배가스가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진행될수록,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된 배가스에 의하여 제1 파이프(410) 사이를 통과하는 배가스의 흐름도 전체적으로 도 4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파이프(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배치되는 제2 파이프(430)와 제2 파이프(430)에 인접한 제1 파이프(410)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가 제1 파이프(410)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배가스가 유동된다. 이때, 유동되는 배가스는 제1 파이프(410)와, 제1 파이프(410) 및 제2 파이프(4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런데,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파이프(430)에서 제1 파이프(410)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이에,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형성된 제2 파이프(430) 및 상기 제2 파이프(43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파이프(410) 사이를 유동하는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유동의 방향이 전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유동되는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의하여 제1 파이프(410) 중심측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제2 파이프(43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가 배치된다.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배치되는 제2 파이프(430)의 위치 및 각도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 유사하다.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는 제1 유로(310)와 제2 유로(320)의 사이에 인접하게 제2 유로(320) 초입에 배치된다.
제2 유로(320)는 제1 유로(3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유로(310)보다 폭 방향(W)로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배가스는 폭 방향(W)으로 넓어지는 제2 유로(320)의 폭 방향(W)의 양 측 면을 따라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를 형성하는 면에 인접하게 흐르는 배가스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의 각 제2 파이프(430) 중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면과 인접한 제2 파이프(430)에서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유로(320)를 이루는 에어덕트(300)의 면에서 먼 쪽으로 배가스를 유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의 경우 배가스의 유동을 가이드할 필요성이 크지 않아 가이드 플레이트(435)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제1 유로(310)에서 제2 유로(3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유로(310)에서 제2 유로(320)로 연장되며 확장되는 폭의 양 단에 높이 방향(H)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파이프(4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는 제2 유로(320)를 이루는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파이프(430)에 가이드 플레이트(435)에 배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파이프(430)와 제2 파이프(430)에 인접한 제1 파이프(410) 사이를 유동하는 배가스를 제2 유로(320)를 이루는 면에서 먼 쪽으로 유동되도록 제2 파이프(430)에 고정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1 유로(310)에서 제2 유로(320) 방향으로 유동되는 배가스의 유동 방향이 제1 파이프(410) 쪽으로 전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유동되는 배가스가 가이드 플레이트(435)로부터 먼 쪽으로 유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유로를 이루는 면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유로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유동되도록 배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제2 유로(320)에서 제3 유로(33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유로(320)에서 제3 유로(330)로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의 양 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배가스를 제3 유로(330)의 중앙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제2 유로(320)와 제3 유로(330) 사이에 인접하게 제3 유로(330)의 초입에 배치된다.
제3 유로(330)는 높이 방향(H)으로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기 전인 제1 부분(331) 및 높이 방향(H)으로 유로가 전환되는 제2 부분(3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제3 유로(330)의 제1 부분(33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3 유로(330)가 제1 부분(331) 및 제2 부분(332)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제3 유로(330)가 형성되는 초입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는 제3 유로(330)의 높이 방향(H)의 위쪽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3 유로(330)의 높이 방향(H)의 위쪽면을 따라 유동되는 배가스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3 유로(330)의 위쪽 면에 가깝게 배치된 제2 파이프(430)에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배치된다.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를 따라 유로의 중앙부 쪽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제3 유로(330)의 높이 방향(H)의 아래쪽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3 유로(330)의 높이 방향(H)의 아랫쪽면을 따라 유동되는 배가스가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3 유로(330)의 아래쪽 면에 가깝게 배치된 제2 파이프(430)에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배치된다. 배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435)를 따라 유로의 중앙부 쪽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유로의 폭이 확장될 때, 확장되는 폭의 양 측에 배치된 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유로의 방향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방향의 양 측 면에 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310)에서 제2 유로(320)로 연장될 때, 유로는 폭 방향(W)을 따라 확장된다. 이에,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는 폭 방향(W)의 양 측면에 면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유로(320)에서 제3 유로(330)로 연장될 때, 유로는 높이 방향(H)을 따라 위쪽으로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는 제3 유로(330)의 높이 방향(H)의 양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유로의 폭이나 높이가 변경될 때 변경되는 면의 양 측에 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유로의 외곽측 면을 따라서 유동되는 배가스를 유로의 중심부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에어덕트(300)의 유로의 단면적에 일부만 차지하여, 에어덕트(300) 유로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배가스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유로를 이루는 면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유로를 이루는 면을 따라 흐르는 배가스의 유동만 조절할 뿐, 유로의 중앙부를 흐르는 배가스에 대한 저항이 없어 유로의 중앙부를 흐르는 배가스가 용이하게 통과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에어덕트(300)의 유로의 단면적에 일부만 차지하므로, 배열회수보일러(A)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이 감소하는 등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제2 파이프(430)에 대하여 상대회전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435)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파이프(430)와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이루는 직선과 제2 파이프(430) 및 제1 파이프(410)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제2 파이프(430)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는 경우에도,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으로 유동되는 배가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가이드 플레이트(435)가 제1 파이프(410)를 중심으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전방(F) 방향이 아닌,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후방(R)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A)는 에어덕트(300)가 이루는 유로의 전체면적을 덮는 것이 아니라, 에어덕트(300) 유로의 일 측 또는 양 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의 전체면적을 덮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와 비교하여 크기가 작고, 부품수도 줄어들며, 배가스의 유동을 방해하는 부분도 사라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배치되는 경우의 배가스의 유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에어덕트(300) 내부에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배치되는 않은 경우이다. 이때, 제1 유로(310), 제2 유로(320) 및 제3 유로(330)를 흐르는 배가스의 분포도인 RMS(root mean square)는 약 47.3%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에어덕트(300) 내부에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배치되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에어덕트(300) 내부에 상술한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가 배치된다.
이때, 제1 유로(310), 제2 유로(320) 및 제3 유로(330)를 흐르는 배가스의 분포도인 RMS(root mean square)는 약 33.1%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조건에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있는 경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RMS가 약 13.2%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즉, 배가스 유동의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A)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A)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배열회수보일러(A) 및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와 비교하여 제2 파이프(430)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35)의 수와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는 제2 유로(320)의 초입에 제2 유로(320)의 폭 방향(W)의 양 측면에 면의 높이 방향(H)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유로(320)의 양 측에 각각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로(320)의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지지 플레이트(420) 양 측에 배치된 제2 파이프(430)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35)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로를 이루는 면을 따라 흐르는 배가스가 유로의 중앙측을 향해 전달되는 배가스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b’) 및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c’) 또한, 양 측의 제2 파이프(430) 모두에 가이드 플레이트(4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로 방향이 변경됨에도 유로의 중앙부를 향해 배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배가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의 엣지 플레이트에 의해 에어덕트의 면에 가까운 배가스의 유동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배열회수보일러에 포함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엣지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상술한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와 동일, 유사하므로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제2 파이프(430)는, 제2 파이프(430)에 결합되고, 제2 파이프(430)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엣지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400)의 제2 파이프(430)에 가이드 플레이트(435) 이외에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엣지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엣지 플레이트(450)는, 배가스가 유동되는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엣지 플레이트(450)는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서 유동하는 배가스가 제2 파이프(430)와 제1 파이프(410) 사이로 유동하도록 배가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엣지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않는 경우의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 배가스가 유동을 살펴보면,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서 배가스는 빠른 속도로 제2 파이프(430)와 에어덕트(300) 벽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이프(430)가 엣지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하는 도 10의 (b)를 살펴보면,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서 유동하는 배가스 중 일부(c)가 제2 파이프(430)와 제1 파이프(410) 사이로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에어덕트(300)를 이루는 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 배치되는 엣지 플레이트(450)는 에어덕트(300)의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의 유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덕트(300)의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엣지 플레이트(450)는 에어덕트(300)의 벽면과 제2 파이프(430)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 중 일부를 제2 파이프(430)와 제1 파이프(410) 사이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이프(430)와 제1 파이프(410) 사이로 유도된 배가스는 에어덕트(300)의 중앙부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각 구성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택 200 전열관군
300 에어덕트 310 제1 유로
320 제2 유로 330 제3 유로
331 제1 부분 332 제2 부분
340 제4 유로 350 제5 유로
400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400a, 400a' 제1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400b, 400b' 제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400c, 400c' 제3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410 제1 파이프 420 지지 플레이트
425 볼트 428a 제1 볼트홀
428b 제2 볼트홀 430 제2 파이프
435 가이드 플레이트 440 결합 플레이트
450 엣지 플레이트
F 전방 R 후방
a 배가스 흐름 A 배열회수보일러
W 폭 방향 H 높이 방향

Claims (17)

  1.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복수의 제1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한 제1 파이프 사이에서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배가스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중심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 측에서 유동되는 배가스를 상기 제1 파이프의 타측을 향해 방향을 전환되도록 이루어지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의 배치되는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 단에 형성된 볼트홀 중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엣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플레이트는,
    배가스가 유동되는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과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9. 가스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연소 배가스가 유동되어, 배열을 회수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택;
    상기 스택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열관군;
    가스터빈에서부터 상기 스택까지 배가스가 유동되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 상에 배치되는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복수의 제1 파이프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인접하게 유동되는 배가스가 상기 제1 파이프 측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가스터빈에서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에서 연장되며, 높이 방향으로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로 연장되며 확장되는 폭의 양 단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파이프에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로에서 제2 유로 방향으로 유동되는 배가스의 유동 방향이 제1 파이프 쪽으로 전환되도록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유로를 이루는 에어덕트의 면에서 먼 쪽으로 배가스를 유동시키도록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유로에서 제3 유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에서 제3 유로로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는 방향의 양 단에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배가스를 상기 제3 유로의 중앙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배열회수보일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2 파이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파이프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엣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엣지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덕트를 이루는 면과 상기 제2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배열회수보일러.
KR1020220101232A 2022-08-12 2022-08-1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KR2024002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32A KR20240022778A (ko) 2022-08-12 2022-08-1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US18/354,324 US20240052761A1 (en) 2022-08-12 2023-07-18 Exhaust gas flow regulator an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aving same
EP23191031.6A EP4321801A1 (en) 2022-08-12 2023-08-11 Exhaust gas flow regulator an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32A KR20240022778A (ko) 2022-08-12 2022-08-1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778A true KR20240022778A (ko) 2024-02-20

Family

ID=8757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232A KR20240022778A (ko) 2022-08-12 2022-08-12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52761A1 (ko)
EP (1) EP4321801A1 (ko)
KR (1) KR20240022778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2493B2 (en) * 2016-11-22 2019-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Single pass cross-flow heat exchanger
US10907821B2 (en) * 2019-03-07 2021-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HRSG with stepped tube restraints
IT201900022395A1 (it) * 2019-11-28 2021-05-28 Ac Boilers S P A Caldaia a recupero e impianto comprendente detta caldaia a recupe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1801A1 (en) 2024-02-14
US20240052761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790B2 (en) M-type pulverized coal boiler suitable for ultrahigh steam temperature
RU26203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близ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еплоутилизационных парогенераторов с газовыми турбинами
CN103477034B (zh) 超临界热回收蒸汽发生器的再热器和超临界蒸发器布置
PL237933B1 (pl) Kocioł wieżowy wyposażony w główny przegrzewacz międzystopniowy i pomocniczy przegrzewacz międzystopniowy oraz proces zachodzący w kotle wieżowym
IL204042A (en) A heat exchanger for a solar collector assembled in a factory
EP2857746B1 (en) Advanced ultra supercritical steam generator
TWI595190B (zh) 具有整合水線圈空氣加熱和給水偏壓功能之分離通過節熱器管組
JP6712266B2 (ja) 熱回収蒸気発生器及びその作動方法
CN106839454B (zh) 一种塔式太阳能光热电站熔盐吸热器
RU2696418C1 (ru) Котел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RO117733B1 (ro) Cazan de abur
KR20240022778A (ko) 배가스 유동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회수보일러
JPS5943681B2 (ja) 傾斜分岐式水管ボイラ
JP4489307B2 (ja) 化石燃料貫流ボイラ
CN103438418A (zh) 双∏型锅炉
US5605118A (en) Method and system for reheat temperature control
JP6393842B2 (ja) 循環流動層ボイラ及び循環流動層ボイラ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H0350163B2 (ko)
CN102012039B (zh) 强制循环空气预热系统
CN109764328B (zh) 一种超临界二氧化碳锅炉使用方法
CN203571706U (zh) 一种与静电除尘器一体化的管屏式水管换热器
CN203533511U (zh) 双∏型锅炉
CN220582402U (zh) 火力发电站用带颗粒加热功能的燃煤锅炉
CN220931104U (zh) 一种防气阻型热管低温省煤器
KR20240079685A (ko) 전열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폐열회수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