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155A -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155A
KR20180056155A KR1020160154044A KR20160154044A KR20180056155A KR 20180056155 A KR20180056155 A KR 20180056155A KR 1020160154044 A KR1020160154044 A KR 1020160154044A KR 20160154044 A KR20160154044 A KR 20160154044A KR 20180056155 A KR20180056155 A KR 2018005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main tower
concrete
support wir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064B1 (ko
Inventor
정운
박건영
김기남
정길제
서인환
배을호
김량균
박남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케이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케이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0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Abstract

본 발명은, 장대교량 주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주탑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형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주탑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근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기 설치된 철근들의 노출된 상단에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설치된 철근들의 상단 일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한 번 이상 반복한다.

Description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a long span bridge main tower}
본 발명은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주탑을 시공할 수 있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은 일반 교량의 교각들과 달리 교량상판의 위쪽으로 더욱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주탑 상부에서 와이어나 체인 등 케이블 구조의 연결력으로 교량상판을 잡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주탑은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가 있지만 대부분 교량의 폭 방향과 대응하도록 간격을 띄우고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가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를 이루면서,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주탑을 시공하는 작업은, 기 출원된 등록특허 제10-1047527호(주탑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은 거푸집 장치를 간격을 띄우고 배치한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거푸집 장치를 순차적으로 옮겨가면서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주탑을 시공할 때에는, 하부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어야만 거푸집 장치를 하부에서 상부로 옮긴 후 시공을 이어갈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전 공정이 완료되어야만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거푸집 장치에는 작업자용 발판이 구비되어 있어 거푸집 장치를 상부로 옮긴 후 시공을 이어갈 때, 하부와 상부의 철근을 연결하는 작업 등이 작업자용 발판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작업자가 발판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4516호
본 발명은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주탑을 시공할 수 있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대교량의 주탑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탑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형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주탑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근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기 설치된 철근들의 노출된 상단에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설치된 철근들의 상단 일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한 번 이상 반복하는 장대교량의 주탑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 새로운 연장 철근을 연결 설치하고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켜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장대교량의 주탑 전체를 시공하는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작업자용 발판에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조건에 도달하여 굳어진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 상에서도 연장 철근을 연결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둘째, 연장 철근들의 상측을 벌어짐 방지부재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연장 철근들의 수직 철근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철근들의 수직 철근들 중 양 최외측의 수직 철근들을 보조 고정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키고,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연장 철근들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으로 주탑이 시공되는 과정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은, 상기 주탑(미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미도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형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주탑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근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기 설치된 철근들의 노출된 상단에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키고 상기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에서 설치된 철근들의 상단 일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한 번 이상 반복 실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기초에서 상기 주탑의 시공을 시작하는 것부터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될 상기 기초 철근(110)들 및 상기 연장 철근(150)들은 전술의 철근들에 포함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기 제1 수직 철근(111) 및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기 제2 수직 철근(151)은 상기 철근들의 수직 철근들에 포함되고,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기 제1 수평 철근(113)들 및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기 제2 수평 철근(153)들은 상기 철근들의 수평 철근들에 포함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주탑(미도시)을 시공하기 위한 기초 상에 상기 주탑(미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기초 철근(110)들을 설치하는 단계(S105 단계), 상기 기초 철근(110)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미도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형 거푸집(130)을 설치하는 단계(S110 단계),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15 단계), 타설된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에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S120 단계) 및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을 상승시키고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1)를 연장 형성하기 위해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25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25 단계) 이후에는, 타설된 상기 연장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먼저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에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연장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을 상승시키고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1)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이는 전술한 (B) 단계와 (C) 단계를 한번 이상 반복하는 것과 동일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대교량의 주탑(미도시)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기초 상에 상기 주탑(미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상기 기초 철근(110)들을 설치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은 상기 장대교량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장대교량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는 제1 세로 철근(111)들과, 상기 제1 세로 철근(111)들과 접하며 상기 제1 세로 철근(111)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 배치되는 제1 가로 철근(113)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 철근(111)들은 상기 기초를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기초 철근(110)들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기초 철근(110)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미도시)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을 설치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은 상기 주탑(미도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구동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은 작업자가 철근 설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자용 발판(131)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은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되게 구비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초 상에서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이 사용되지 않으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이 사용되므로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과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내부로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때,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 높이만큼만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초 철근(110)들에는 상기 연장 철근(130)들이 연결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상기 기초 철근(110)들이 전부 매립되지 않고 상단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정 높이만큼만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타설된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에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직후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타설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경화강도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될 뿐 아니라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조건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된 직후부터 경과된 시간(이하, 설정 시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경화되어 작업자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서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에 상기 연결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을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에서도 작업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철근(150)들도 상기 기초 철근(110)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주탑(미도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주탑(미도시)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직 철근(151)들과,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철근(1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제2 수평 철근(153)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 철근(110)들과 상기 연결 철근(150)들이 연결될 때에는 상기 기초 철근(110)들 중 상기 제1 수직 철근(111)들과, 상기 연결 철근(150)들 중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수직 철근(111)과 상기 제2 수직 철근(151)은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40)로 커플러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상기 제1 수직 철근(111)과 상기 제2 수직 철근(151)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초 철근(110)들에 연결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에 벌어짐 방지부재(155)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이격된 설정 위치에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가 설치된다.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이 상기 제2 수평 철근(153)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제2 수평 철근(153)들이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을 고정하는 힘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를 상기 연장 철근(150)들 중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에 고정하여 설치하면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는 모든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둘러싸면서 고정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는 평면의 플레이트가 사각형의 형태로 절곡되어 띠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기초 철근(110)들이 상기 기초를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기초 철근(110)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연장 철근(150)들도 상기 기초 철근(110)들과 마찬가지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진다.
상기 연장 철근(150)들이 상기 기초 철근(110)들에 연결 설치된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데 이때, 상기 연장 철근(150)들이 경사져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보조 고정 와이어(157)를 더 설치한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는 일측이 상기 기초 철근(110)들 중 좌측 첫 번째 위치한 상기 제1 수직 철근(111)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장 철근(150)들 중 상측 첫 번째 위치한 상기 제2 수평 철근(153)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 중 우측 첫 번째 제2 수직 철근(151)의 상측과 연결된다. 좌측 첫 번째 제2 수직 철근(151)의 하측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를 경사지게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에 설치하면,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가 더 큰 힘의 고정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이 상승되는 동안 상기 연장 철근(150)들이 자중에 의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와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를 설치하기 전, 상기 연장 철근(150)들은 지지부재(160)에 의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에 구비된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60)는 상부 지지와이어(161) 및 하부 지지와이어(16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의 일단은 상기 연장 철근(150)들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일단은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에는 연결 브라켓(131a)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일단이 상기 연결 브라켓(131a)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의 타단과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타단은 폐루프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의 타단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의 타단이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타단에 걸림되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와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와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60)가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 및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로 구성되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벌어짐 방지부재(155)와 상기 보조 고정 와이어(157)를 설치하는 동안 상기 연장 철근(160)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이 상승할 때에는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161)와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163)의 연결 관계를 해제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 철근(150)을 상기 지지부재(160)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용 발판(131)에 연결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 상기 지지부재가 하나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철근(150)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을 먼저 설치된 상기 주탑의 일부(1)에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 철근(150)들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상기 주탑의 일부(1)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을 설정 높이만큼 상승시킨 후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의 내부로 설정 높이까지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연장 콘크리트의 타설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먼저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에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철근(110)들의 상단에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먼저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 중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의 상단과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 중 상기 제2 수직 철근(151)들의 하단을 상기 연결부재(155)로 연결한다.
이렇게 먼저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에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한 후에는, 먼저 타설된 상기 연장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130)을 상승시키고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새로운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주탑의 일부(1)를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먼저 설치된 상기 연장 철근(150)들의 상단에 새로운 상기 연장 철근(150)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과정과, 새로운 상기 연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주탑의 일부(1)를 연장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주탑(미도시)의 시공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을 시공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는 주탑의 일부를 먼저 시공하고 상기 주탑의 일부 상측에서 다시 주탑의 일부를 연장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측에 먼저 시공된 주탑의 일부가 완전히 양생될 때까지 대기해야 했기 때문에 낭비되는 시간이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대교량의 주탑을 시공하는 방법은, 하측에 주탑의 일부를 시공한 뒤 먼저 시공된 주탑의 일부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 먼저 시공된 주탑의 일부 상측에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을 정도로 경화된 상태에서 철근을 연속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먼저 시공된 주탑의 일부가 완전히 양생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주탑의 일부
110: 기초 철근 111: 제1 수직 철근
113: 제1 수평 철근 130: 상승형 거푸집
131: 작업자용 발판 131a: 고정 브라켓
140: 연결부재 150: 연장 철근
151: 제2 수직 철근 153: 제2 수평 철근
155: 벌어짐 방지부재 157: 보조 고정 와이어
160: 지지부재 161: 상부 지지와이어
163: 하부 지지와이어

Claims (10)

  1. 장대교량의 주탑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탑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들을 둘러싸며 상기 주탑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형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주탑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근들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기 설치된 철근들의 노출된 상단에 새로운 철근들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을 상승시키고 상기 (B) 단계에서 설치된 철근들의 상단 일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주탑의 일부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내부로 설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한 번 이상 반복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직후부터 경과된 시간 또는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경화강도를 포함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들은,
    상기 주탑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주탑의 폭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철근들; 및
    상기 수직 철근들을 가로지르며, 상기 주탑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 철근들을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기 설치된 철근들 중 상기 수직 철근들의 상단에 상기 새로운 철근들 중 상기 수직 철근들의 하단이 연결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수직 철근들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이격된 설정 위치에 상기 수직 철근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직 철근들을 둘러싸는 벌어짐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
    상기 기 설치된 철근들 중 상기 수직 철근들 각각의 상단 또는 상기 새로운 철근들 중 상기 수직 철근들 각각의 하단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철근들은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새로운 철근들이 경사진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 설치된 철근들 중 촤측 첫 번째 위치한 상기 수직 철근과 상기 새로운 철근들 중 상측 첫 번째 위치한 상기 수평 철근을 보조 고정 와이어로 연결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승형 거푸집은 상기 상승형 거푸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승형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작업자용 발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새로운 철근들이 경사진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부재로 상기 새로운 철근들과 상기 작업자용 발판을 연결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은 상기 작업자용 발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하부 지지와이어; 및
    일단은 상기 새로운 철근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인 상부 지지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의 타단은 폐루프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의 타단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의 타단에 걸림 고정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발판에는 상기 하부 지지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이 설치되는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20160154044A 2016-11-18 2016-11-18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88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44A KR101889064B1 (ko) 2016-11-18 2016-11-18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44A KR101889064B1 (ko) 2016-11-18 2016-11-18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55A true KR20180056155A (ko) 2018-05-28
KR101889064B1 KR101889064B1 (ko) 2018-08-16

Family

ID=6245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44A KR101889064B1 (ko) 2016-11-18 2016-11-18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420A (zh) * 2019-01-08 2019-04-16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主塔横撑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184916A (zh) * 2019-06-21 2019-08-30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斜拉桥主塔
CN114214956A (zh) * 2021-12-29 2022-03-22 江苏沪宁钢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倾斜混凝土塔柱上的钢塔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532B1 (ko) * 2021-07-20 2023-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용 선조립 철근망 및 이를 이용한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033A (ja) * 1997-06-05 1998-12-22 Sumitomo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高構造物構築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斜柱の構築方法
KR100904516B1 (ko) 2009-03-02 2009-06-25 (주)신흥이앤지 조립형 주탑 및 이의 시공공법
JP2010048060A (ja) * 2008-08-25 2010-03-04 Shimizu Corp 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293407B1 (ko) * 2012-12-28 2013-08-05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033A (ja) * 1997-06-05 1998-12-22 Sumitomo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高構造物構築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斜柱の構築方法
JP2010048060A (ja) * 2008-08-25 2010-03-04 Shimizu Corp 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904516B1 (ko) 2009-03-02 2009-06-25 (주)신흥이앤지 조립형 주탑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293407B1 (ko) * 2012-12-28 2013-08-05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420A (zh) * 2019-01-08 2019-04-16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主塔横撑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184916A (zh) * 2019-06-21 2019-08-30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斜拉桥主塔
CN110184916B (zh) * 2019-06-21 2021-05-0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斜拉桥主塔
CN114214956A (zh) * 2021-12-29 2022-03-22 江苏沪宁钢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倾斜混凝土塔柱上的钢塔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064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3940211B2 (ja) コンクリート製主塔の水平梁の施工法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JP3026161B2 (ja) 自昇式型枠装置及びその装置の上昇方法
US2705359A (en) Monolithic building construction
JP4252177B2 (ja) 鋼材・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橋脚の施工方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5883B1 (ko)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KR101232704B1 (ko) 교량 가설용 메인 거더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0966083B1 (ko) 교각 및 그 시공방법
CN206903062U (zh) 一种带顶柱的空心柱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KR20100057293A (ko)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H05280012A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JP2020186516A (ja) 橋梁高欄構築方法
JP7249910B2 (ja) アーチ橋の施工方法
CN214394729U (zh) 一种预制立柱钢筋架保护层垫块的防护装置
CN219604164U (zh) 变截面异形钢塔冠安装装置
JPS5916608B2 (ja) コンクリ−ト型枠工法及びその装置
CN114293769B (zh) 跨越式排架及其安装方法
CN110255208B (zh) 跨越原有输煤栈桥的转运站及施工方法
KR101025320B1 (ko)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