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987A -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987A
KR20180055987A KR1020160153138A KR20160153138A KR20180055987A KR 20180055987 A KR20180055987 A KR 20180055987A KR 1020160153138 A KR1020160153138 A KR 1020160153138A KR 20160153138 A KR20160153138 A KR 20160153138A KR 20180055987 A KR20180055987 A KR 20180055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water supply
water tank
suppl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927B1 (ko
Inventor
조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to KR102016015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9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단부를 통해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삽입 고정되고, 하단부는 고정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저수탱크(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물공급핀 장착부(14)에 삽입 고정되는 주입구 장착부(32)와;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물탱크(1)의 주입구(10) 삽입시 상기 주입구(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주입구가이드(34)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공급유로(18)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원수공급홀(42)을 통해 물탱크(1)의 원수를 저수탱크(3) 측에 공급하는 물공급핀부재(38)와;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측면 상단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홀(50)과 연통되고, 외부의 공기를 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유입관(52);을 포함하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공기유입관이 별도로 형성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잔수가 남은 경우에 외부의 공기가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고, 물탱크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어 원활한 잔수의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의 끝단에 압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 물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원수의 출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부재의 일측에 공기정화부재가 설치되어 냉온수기의 외측 공기의 유입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물탱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물냉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The cold and hot clean water machine for water supply pin}
본 발명은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자바라 형태로 물탱크가 사용되는 경우에 자바라 형태의 물탱크에 물이 거의 다 출수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잔수(약2ℓ 남은 상태)가 물통에서 원활하게 출수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공기유입관을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잔수의 출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수 처리하는 장치로 정수기나 생수를 사용하는 냉온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냉온수기는 넓은 의미로는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냉수 및 온수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며, 냉수 탱크에는 물을 냉가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구비되고 온수 탱크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는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냉수 탱크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물은 연결관을 통해 온수 탱크로 공급된다.
백-타입(bag-type) 냉온수기는 물통 내부에 물이 배출되더라도 물통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물통의 부피가 줄어든다. 백-타입 냉온수기(자바라식)는 물통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물통에 수용된 물에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따라서, 보틀-타입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냉온수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72943,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421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552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백-타입 냉온수기는 물이 출수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절첩되며, 물통의 부피가 감소되며 물의 출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물통의 절첩부가 완전히 절첩된 이후에는 더이상 부피가 감소되지 않아 잔수(약 2ℓ)의 배출시 물통으로 부터의 출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잔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통의 내부에 외부을 공기를 주입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으나, 물탱크에 공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경우 설치작업이 복잡해지고, 사용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72943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421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552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공기유입관이 별도로 형성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잔수가 남은 경우에 외부의 공기가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고, 물탱크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어 원활한 잔수의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어셈블리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단부를 통해 물탱크의 주입구가 삽입 고정되고, 하단부는 고정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저수탱크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물공급핀 장착부에 삽입 고정되는 주입구 장착부와, 상기 주입구 장착부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물탱크의 주입구 삽입시 상기 주입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주입구 가이드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구 장착부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공급유로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원수공급홀을 통해 물탱크의 원수를 저수탱크 측에 공급하는 물공급핀부재와, 상기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측면 상단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홀과 연통되고, 외부의 공기를 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유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입관의 끝단에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출수량에 따라 상기 물탱크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대기압상태로 변경하는 압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공기유입관의 끝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관을 상기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하고, 저수탱크 커버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삽입부의 공기안내홀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유입관 고정부재와,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홀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이송가이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안내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이송가이드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안내홀은, "┙"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에 외부의 공기 유입을 안내한다.
상기 공기유입관의 끝단에는, 상기 공기유입관과 연통되고, "┙"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안내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안내홀의 끝단에 설치되며, 냉온수기의 외부와 연결되고,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안내홀에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외부공기안내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공기안내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출수량에 따라 상기 물탱크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변경하는 압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에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정화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공급핀부재의 내부에 공기유입관이 별도로 형성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잔수가 남은 경우에 외부의 공기가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고, 물탱크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어 원활한 잔수의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의 끝단에 압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 물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원수의 출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부재의 일측에 공기정화부재가 설치되어 냉온수기의 외측 공기의 유입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물탱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물냉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탱크의 내부에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주입구 장착부 및 공기유입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잔수의 출수량이 개선된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시험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탱크의 내부에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는 본체(미도시), 물탱크(1), 물탱크가이드(2), 저수탱크(3), 온수탱크(미도시), 냉수탱크(4), 출수코크(5)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온수기는 저수탱크(3), 냉수탱크(4), 온수탱크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물탱크(1)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냉온수기의 본체 상면에는 물탱크(1)가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1)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백-타입(자바라식) 물탱크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물탱크(1)는 일반적인 물탱크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6)와 하단부(7)는 원통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7) 사이에는 절첩부(8)가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원수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절첩부(8)는 점차 절첩되어 상기 물탱크(1)의 원수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부(6)의 중앙에는 주입구(1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0)의 내부에 후술할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30)가 관통 삽입되어 냉온수기의 내부에 원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온수기의 본체 상면에는 상기 물탱크를 받쳐주는 물탱크가이드(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가이드(2)의 상측에는 상기 물탱크(1)의 상단부(6) 및 주입구(1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미도시)의 내부에는 저수탱크(3)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탱크(3)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탱크(3)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1)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저장 보관된다.
상기 저수탱크(3)의 상단에는 저수탱크 커버(12)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탱크 커버(12)는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수탱크(3)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탱크(3)의 개구된 상단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탱크 커버(12)의 상부면에는 물공급핀 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 장착부(14)는 원형링 형상을 가지며, 소정 높이 만큼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 장착부(14)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가이드(2) 및 후술할 주입구 장착부(32)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물공급핀 장착부(14)의 내부에는 고정리브 삽입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는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공급핀 장착부(1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의 내부에는 후술할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고정리브(36)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원수공급유로(18)가 형성되어, 후술할 원수공급홀(42)을 통해 안내되는 원수를 상기 저수탱크(3)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의 내부에는 유입관 삽입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 삽입부(20)는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의 하부면 중앙에 원형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 삽입부(20)는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안내홀(22)의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 삽입부(20)의 내부에는 후술할 압력조절수단(60)이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물탱크(1)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안내홀(22)은 대략 "┚"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수탱크(3)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공기안내홀(22)의 상기 유입관 삽입부(20)의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주입구 장착부 및 공기유입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압력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3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단부를 통해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삽입 고정되고, 하단부는 고정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저수탱크(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물공급핀 장착부(14)에 삽입 고정되는 주입구 장착부(32)와,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물탱크(1)의 주입구(10) 삽입시 상기 주입구(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주입구가이드(34)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공급유로(18)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원수공급홀(42)을 통해 물탱크(1)의 원수를 저수탱크(3) 측에 공급하는 물공급핀부재(38)와,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측면 상단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홀(50)과 연통되고, 외부의 공기를 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유입관(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는 상기 물공급핀 장착부(14)에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단에는 주입가이드(34)가 설치된다. 상기 주입가이드(34)는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가이드(34)는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단에 테두리부를 따라 고정 결합되며, 상기 물탱크(1)의 장착시 상기 주입구(10)가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하부면 중앙에는 고정리브(3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6)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하부 중앙에 소정 높이 만큼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36)는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주입구 장착부(32)를 상기 고정리브 삽입부(16)에 고정시킨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중앙에는 물공급핀부재(38)가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는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바닥면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원수안내유로(40)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상단 외주면에는 원수공급홀(4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는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에 상기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주입구(1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저장된 원수를 냉온수기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물공급핀부재(38)에 의해 상기 물탱크(1)와 냉온수기가 연결되어 냉온수기의 저수탱크(3)에 상기 물탱크(1)의 원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주면 상측에는 유입관 고정몸체(44)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 고정몸체(44)는 도 5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유입관결합홈(46)이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 고정몸체(44)의 하단부에는 후술할 공기유입관(52)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입관 고정몸체(44)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가이드유로(48)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가이드유로(48)는 후술할 공기유입관(52)의 공기유입유로(54)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물탱크(1) 측으로 안내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상단부 외측에는 공기배출홀(5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홀(50)은 상기 원수공급홀(42) 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측면에 상기 공기유입가이드유로(48)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홀(50)은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에 상기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물탱크(1)의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유입관 고정몸체(44)의 하부에는 공기유입관(52)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공기유입관(52)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내부에는 공기유입유로(54)가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유입관결합홈(46)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공기유입관(52)의 일단은 상기 공기배출홀(50)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공기안내홀(22)과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홀(5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에는 압력조절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60)은,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관(52)을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하고, 저수탱크 커버(12)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삽입부(20)의 공기안내홀(22)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유입관 고정부재(62)와,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안내홀(68)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66)와, 상기 이송가이드(66)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안내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70)와, 상기 이송가이드(66)와 상기 개폐부재(70)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70)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유입관(52)의 하단부에는 유입관 고정부재(62)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입관 삽입부(20)의 공기안내홀(22)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유입관 삽입홀(6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관(52)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는 상기 공기유입관(52)의 하단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유입관(52)의 공기유입유로(54)와 상기 유입관 삽입부(20)의 공기안내홀(22)의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의 하부에는 이송가이드(6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66)는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안내홀(2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안내홀(68)이 형성되어 후술할 개폐부재(70)의 상하 이동시 개폐부재(7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의 내부에는 개폐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대략 중앙 외주면에 탄성체 지지단(7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상기 공기안내홀(22)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안내홀(22)의 입구측으로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와 상기 개폐부재(70) 사이에는 탄성체(7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74)는 일반적인 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체(74)는 일단은 상기 이송가이드(66)의 하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70)의 탄성체 지지단(72)에 밀착되어 상기 개폐부재(70)를 하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저장된 원수가 일정량 이상 배출되어, 도 2와 같이, 상기 물탱크(1)의 절첩부(8)가 완전히 절첩된 경우 잔수 약 2ℓ는 상기 물탱크(1)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는 원수가 배출되더라도 더이상 절첩되지 못하므로,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74)의 탄성력 보다 외부의 공기 유입압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로인해 상기 공기안내홀(22)에 설치된 상기 개폐부재(7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물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물탱크(1)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어 잔수의 원활한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관(52)의 하단부에는 유입관 고정부재(62)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는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관(52)을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하고, 저수탱크 커버(12)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삽입부(20)의 공기안내홀(22) 내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공기안내홀(22)은 끝단에는 외부공기 안내관(80)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일단은 상기 공기안내홀(22)과 연결되고, 타단은 냉온수기의 외부와 연결된다.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 상기 냉온수기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안내홀(2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외주면에는 체크밸브몸체(82)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몸체(82)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좌측 끝단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몸체(82)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외부공기안내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몸체(82)는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제2압력조절수단(60)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크밸브몸체(82)의 내부에는 압력조절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60)은 상기 외부공기안내홀(22)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안내홀(68)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66)와, 상기 이송가이드(66)의 내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안내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70)와, 상기 이송가이드(66)와 상기 개폐부재(70)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70)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공기 안내홀(84)의 내부에는 이송가이드(6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66)는 원형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안내홀(2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의 중앙에는 좌우(도8 참조)로 관통되는 이송안내홀(68)이 형성되어 후술할 개폐부재(70)의 좌우 이동시 개폐부재(70)의 우측단부(도 7참조)가 삽입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의 내부에는 개폐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도 8참조)로 길게 형성되며, 대략 중앙 외주면에 탄성체 지지단(7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70)는 상기 외부공기안내홀(22)의 내부에 좌,우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 안내홀(84)의 입구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66)와 상기 개폐부재(70) 사이에는 탄성체(74)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74)는 일반적인 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체(74)는 일단은 상기 이송가이드(66)의 좌측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70)의 탄성체 지지단(72)에 밀착되어 상기 개폐부재(70)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저장된 원수가 일정량 이상 배출되어, 도 2와 같이, 상기 물탱크(1)의 절첩부(8)가 완전히 절첩된 경우 잔수 약 2ℓ는 상기 물탱크(1)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는 원수가 배출되더라도 더이상 절첩되지 못하므로,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74)의 탄성력 보다 외부의 공기 유입압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로인해 상기 공기안내홀(22)에 설치된 상기 개폐부재(7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물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물탱크(1)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어 잔수의 원활한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몸체(82)의 좌측 끝단에는 공기정화부재(8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부재(86)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크밸브몸체(82)의 끝단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필터몸체(88)와, 상기 필터몸체(88)의 내부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안내홀(22)과 연통되는 공기흡입홀(90)과, 상기 공기흡입홀(90)의 일측에 설치되며,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외부공기안내홀(22)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오염물질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9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정화부재(86)는 상기 체크밸브몸체(82)의 외부공기안내홀(22)의 공기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안내홀(22)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냉온수기의 상단에 물탱크(1)를 장착한다. 상기 물탱크(1)는 주입구(10)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입구 장착부(32)의 내부에 상기 물탱크(1)의 주입구(10)를 장착한다.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에 상기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장착됨과 동시에 물공급핀부재(38)가 상기 주입구(10)의 뚜껑(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1)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물탱크(1)가 출수됨에 따라 점차 상기 물탱크(1)의 절첩부(8) 점차 절첩되고, 대략 12ℓ의 물탱크 기준으로 약 10ℓ의 물탱크의 원수가 출수된 경우에는 도2와 같이, 상기 절첩부(8)는 완전히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물탱크(1)의 상단부(6)에 약 2ℓ의 잔수가 잔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탱크(1)의 상단부에 잔수(약 2ℓ원수)가 남는 경우,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 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압력조절수단(60)의 탄성체(74)의 탄성력 보다 외부의 공기 유입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개폐부재(70)가 공기안내홀(22)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물탱크(1)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1)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변경되고, 이로 인해 잔수의 원활한 출수가 이루어질수 있다.
도 9에서는 기존의 물공급핀 어셈블리와 본 발명의 냉온수기의 물공급핀 어셈블리를 비교 시험한 결과 그래프로써, 총 12ℓ의 물탱크를 가존의 물공급핀 어셈블리는 10ℓ가 출수된 이후 분당 출수량이 현격히 줄어드는 반면 본 발명의 냉온수기의 물공급핀 어셈블리는 꾸준한 출수량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30.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32. 주입구 장착부
38. 물공급핀부재 40. 원수안내유로
42. 원수공급홀 44. 유입관 고정몸체
46. 유입관 결합홈 48. 공기유입가이드유로
50. 공기배출홀 52. 공기유입관
60. 압력조절수단 62. 유입관 고정부재
64. 유입관 삽입홀 66. 이송가이드
70. 개폐부재 74. 탄성체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개구되어 상단부를 통해 물탱크(1)의 주입구(10)가 삽입 고정되고, 하단부는 고정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저수탱크(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물공급핀 장착부(14)에 삽입 고정되는 주입구 장착부(32)와;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물탱크(1)의 주입구(10) 삽입시 상기 주입구(10)의 삽입을 안내하는 주입구가이드(34)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구 장착부(32)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원수공급유로(18)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의 원수공급홀(42)을 통해 물탱크(1)의 원수를 저수탱크(3) 측에 공급하는 물공급핀부재(38)와;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설치되며,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측면 상단에 관통 형성된 공기배출홀(50)과 연통되고, 외부의 공기를 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유입관(52);을 포함하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에는,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출수량에 따라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1)의 내부를 대기압상태로 변경하는 압력조절수단(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60)은,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관(52)을 상기 물공급핀부재(38)의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하고, 저수탱크 커버(12)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 삽입부(20)의 공기안내홀(22)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유입관 고정부재(62)와;
    상기 유입관 고정부재(62)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안내홀(68)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66)와;
    상기 이송가이드(66)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안내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70)와;
    상기 이송가이드(66)와 상기 개폐부재(70)사이에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70)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74);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홀(22)은,
    "┙"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저수탱크(3)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유입관(52)에 외부의 공기 유입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물공급핀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52)의 끝단에는,
    상기 공기유입관(52)과 연통되고, "┙"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관(52)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안내홀(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안내홀(22)의 끝단에 설치되며, 냉온수기의 외부와 연결되고,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안내홀(22)에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외부공기 안내관(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공기 안내관(80)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1)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의 출수량에 따라 상기 물탱크(1)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물탱크(1)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변경하는 압력조절수단(6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6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60)에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정화부재(8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KR1020160153138A 2016-11-17 2016-11-17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KR10202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38A KR102025927B1 (ko) 2016-11-17 2016-11-17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38A KR102025927B1 (ko) 2016-11-17 2016-11-17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987A true KR20180055987A (ko) 2018-05-28
KR102025927B1 KR102025927B1 (ko) 2019-11-05

Family

ID=6245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138A KR102025927B1 (ko) 2016-11-17 2016-11-17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9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7238A (en) * 1934-11-05 1936-10-13 Philip P Krug Liquid-dispensing apparatus
KR200372943Y1 (ko) 2004-10-28 2005-01-14 (주)원봉 냉온수기
EP2154103B1 (en) * 2008-08-07 2011-04-20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KR20120080761A (ko) * 2011-01-10 2012-07-18 (주)현대큐시스 냉온수기
KR20120135173A (ko) * 2012-11-22 2012-12-12 양정필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마개 일체형 디스펜서 홀더장치
KR101214212B1 (ko) 2011-01-14 2012-12-20 (주)원봉 냉온수기
KR101405522B1 (ko) 2012-07-18 2014-06-11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7238A (en) * 1934-11-05 1936-10-13 Philip P Krug Liquid-dispensing apparatus
KR200372943Y1 (ko) 2004-10-28 2005-01-14 (주)원봉 냉온수기
EP2154103B1 (en) * 2008-08-07 2011-04-20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KR20120080761A (ko) * 2011-01-10 2012-07-18 (주)현대큐시스 냉온수기
KR101214212B1 (ko) 2011-01-14 2012-12-20 (주)원봉 냉온수기
KR101405522B1 (ko) 2012-07-18 2014-06-11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KR20120135173A (ko) * 2012-11-22 2012-12-12 양정필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마개 일체형 디스펜서 홀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927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593B2 (ja) ビン詰め液体ディスペンサー
US7022227B1 (en) Multifunctional filtering device for an aquarium
KR101174310B1 (ko)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JP2005507836A (ja) 充填装置用のバルブユニット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US20120330251A1 (en) Gravity-fed sterile eyewash station with float valve flow regulator
KR20180055987A (ko) 냉온수기용 물공급핀 어셈블리
KR100502704B1 (ko) 냉 온수기
KR101998023B1 (ko) 음료 자동 공급 장치
JP5178390B2 (ja) ポンプ式吐出容器
CN212186192U (zh) 一种饮水机的水桶连接装置
JP2019018860A (ja) 飲料注出装置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150082117A (ko)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JP2009057054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KR101460734B1 (ko) 가스실린더 밸브 장치
KR102574178B1 (ko) 착탈식 물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KR100625197B1 (ko) 냉온수기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KR101250484B1 (ko) 냉온수기
KR100517756B1 (ko)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조
KR200271859Y1 (ko) 맥주 공급시스템의 세척장치
JP6470982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210034569A (ko) 정수기
KR200325623Y1 (ko)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