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569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4569A KR20210034569A KR1020210036692A KR20210036692A KR20210034569A KR 20210034569 A KR20210034569 A KR 20210034569A KR 1020210036692 A KR1020210036692 A KR 1020210036692A KR 20210036692 A KR20210036692 A KR 20210036692A KR 20210034569 A KR20210034569 A KR 20210034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water
- water purifier
- lifting
- water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190070 Sarraceni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출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는 상기 승강커버의 승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탈착되는 탈착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정수기는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기(1)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2)과 디스펜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3)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3)는 캐비닛(2)이 전방에 형성된다.
또한,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4)가 구비되고, 상기 코크(4)의 하방에는 물컵이 올려지는 트레이(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6)을 조작하게 될 경우 코크(4)를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6)을 조작하는 동안 코크(4)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6)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출수구 즉, 코크(4)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고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물컵을 트레이에 올려 놓고 출수를 진행하게 되면, 출수구와 물컵의 높이 차이로 인해 취출된 물이 물컵에 떨어지면서 일부가 물컵에 충돌 한 후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길이가 짧은 물컵의 경우, 더욱 많은 양의 물이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올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수구의 높이를 낮게 설치하면, 길이가 긴 물컵이나 물병에는 물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출수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커버와 고정커버를 구비하여 승강구조를 갖는 출수노즐이 장착된 정수기의 제공이 시급하다.
또한, 필요 시,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여, 내부 점검 및 청소 등의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탈착구조를 적용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모듈의 승강동작 시, 출수모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탈착커버가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커버의 내부 및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의 점검 및 청소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커버의 내부 및 고정커버와 승강커버 사이 공간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승강커버의 내부의 위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에 이물이 유입되어, 승강커버의 승강조작이 어려워지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출수모듈의 디자인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을 회전시키면서, 출수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과 함께 조작부의 회전도 이루어져, 조작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정수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출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는 상기 승강커버의 승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탈착되는 탈착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승강커버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승강커버가 승강하면 상기 승강커버의 상방으로 출몰한다.
또한, 상기 탈착커버는 상기 승강커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고, 내측에 수용된 고정커버가 외부로 노출되게 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커버는 상기 개구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연장부는, 후면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는, 외측에 상기 제2연장부와 나란하게 후방으로 돌출된 제1돌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는, 상기 승강커버의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제3연장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4연장부 및 상기 제4연장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기와 제2연장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5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착커버는 후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돌기와 제4연장부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승강커버의 내측면과 대면하는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커버는 내측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안착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는 내측면에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후면과 접촉하는 단턱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그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돌기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양측 후방에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수직부와, 양측이 상기 제,2수직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외측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내측 모서리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커버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모듈의 승강동작 시, 출수모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탈착커버가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커버의 내부 및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의 점검 및 청소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커버의 내부 및 고정커버와 승강커버 사이 공간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승강커버의 내부의 위생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에 이물이 유입되어, 승강커버의 승강조작이 어려워지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출수모듈의 디자인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을 회전시키면서, 출수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과 함께 조작부의 회전도 이루어져, 조작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승강커버를 발췌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승강커버에서 탈착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승강커버를 발췌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승강커버에서 탈착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정수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00)와,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로 이루어진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의해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로테이터(200)에 고정된 고정커버(41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은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선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결합된다.
상기 조작부(300)는 일측이 정수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가 회전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고정커버(410)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탑커버(114)에 연결된 조작부(300)의 일측은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이 회전하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조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질 때, 돌출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출수모듈(400)과 조작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에 의해 상기 탑 커버(114)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고정커버(410)의 하단 또는 중심부는 상기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접촉 지지된다.
한편,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와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 노즐(430)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냉각 또는 가열 된후 냉수, 온수의 형태로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도 일체로 결합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출수모듈(40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출수버튼(310)은 상기 출수모듈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선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생성을 위한 쿨링 탱크(150) 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곧 바로 출수모듈(4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 상세히는 로어 커버(111b)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출수모듈(400)의 상방에는 조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410)는, 상측에 개구(411, 도 6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개구(411, 도 6참조)를 커버하면서,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부(301)와, 상기 측면부(30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패널(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01)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01)는, 하측의 둘레가 상측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01)는, 일측 하단에 상기 탑커버(114)에 안착되게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단턱부(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14)에는 상기 조작부(300)의 일측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모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승강커버를 발췌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출수모듈(400)은, 프론트 커버(111)에 마련된 개구부(101)를 통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430)은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커버(420)가 고정커버(410)를 따라 승강하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430)의 수직방향의 위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정커버(410)는 로테이터(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커버(410)에 연결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수평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르면, 로테이터(200)와 조작부(300) 사이 간격(B)에는 수납공간(S)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420)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상기 조작부(300) 사이에 마련된 수납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납공간(S)에 의해 승강커버(42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상승 높이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하강 높이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즉,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높이조절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커버(410)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출수모듈(400)은 조작부(300)에 의해 그 상단이 정수기 본체(100)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로테이터(200)에 의해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100)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모듈(400)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출수모듈(400)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400)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테이터(200)와 출수모듈(400)을 연결하는 브릿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00)는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통과하며, 양단이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에 고정된다.
상기 출수모듈(400) 및 로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500)의 내부, 그리고 브릿지(500)가 연결된 로테이터(200)의 선단,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각종 호스(600)가 통과되는 통로(201,412,422,501)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통로(201,412,422,501)가 형성되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통로(201,412,422,501)를 통해 승강커버(420)에 구비된 출수노즐(43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호스(6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호스(600)는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정수관, 그리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관 및 온수관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 동작할 때, 호스(600)가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421)에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수,정수 및 온수가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외부승강>
다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커버(420)는 외측에 배치된 외측 커버이고, 고정커버(410)는 상기 승강커버(420)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커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커버(42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커버(410)는, 상기 승강커버(420)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커버(420)는 상기 고정커버(410)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승강커버(420)가 하강하면, 고정커버(410)는 외측으로 서서히 노출되고, 승강커버(420)가 상승하면, 고정커버(410)는 승강커버(420)의 내측으로 서서히 수용된다.
일 예로,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고정커버(410)는 승강커버(420)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20)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하강하고, 고정커버(410)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승강커버(4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20)를 상부로 밀면, 고정커버(410)가 승강커버(420)의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승강커버(420)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커버(420)가 승강하며, 승강커버(420)에 고정된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승강커버(420)의 외형은 상기 고정커버(41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고정커버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커버는 고정커버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커버의 개방된 하측으로 출몰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탈착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에 구비되거나, 승강커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
<탈착커버>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승강커버(420)가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커버(410)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승강커버(420)와 고정커버(410) 사이 공간도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와 고정커버(410) 사이 공간은 오염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커피 등을 쏟을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먼지 등이 쌓일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이물이 유입될 수도 있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고정커버(410)의 하단 및 승강커버(420)의 내측은 오염된 상태로 방지될 수밖에 없다.
또한, 승강커버(420)의 내측에 배치된 출수노즐(430) 및 각종 밸브 및 배관 역시 오염된 상태로 방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오염여부와 관계없이, 승강커버(420)의 내측에 마련된 각종 부품 등의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커버(410) 또는 승강커버(420)의 적어도 일부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일 예로, 상기 승강커버(420)는 상기 승강커버(420)의 승강방향(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탈착되는 탈착커버(4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탈착커버(440)는, 전후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착커버(440)가 전후방향으로 분리될 경우, 승강커버(4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탈착커버(440)에 상부로 미는 힘 또는 하부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힘에 의해 탈착커버(44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승강커버에서 탈착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커버(420)는, 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4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며, 바닥면에 상기 출수노즐(430)이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50)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커버(440)는 상기 개구(422)를 개폐한다.
일 예로, 상기 개구(422)는 승강커버(420)의 전면과 양측면을 개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서 분리되면, 개구(422)가 개방되면서, 승강커버(420)의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반면,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 고정되면, 상기 개구(422)가 차폐되면서, 승강커버(420)의 전면과 양측면이 차폐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 점검 또는 청소 등의 이유로, 개구(422)의 개방이 필요하면, 탈착커버(440)를 승강프레임(450)에서 분리한다. 이후, 개방된 개구(422)를 통해 승강커버(420)의 내부 점검 및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와 고정커버(410) 사이를 청소할 수도 있다.
이후, 내부 점검 및 청소가 완료되면 탈착커버(440)를 승강프레임(450)에 고정하여, 개구(422)를 차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 탈착되기 위해서, 상기 탈착커버(440) 및 승강프레임(450)은 상호 접촉하는 부분에 탈착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450)은 상기 고정커버(410)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고정커버(410)에 접촉지지된 상태이다.
이하, 상기 탈착커버(440)과 승강프레임(450)의 탈착 구조 및, 승강프레임(450)과 고정커버(410)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커버(410)는, 'U'자 형의 단면을 구비하되, 양측 후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 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410)의 양측 후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414)와, 상기 제1연장부(414)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415), 및 상기 제2연장부(415)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테이터(200)와 브릿지(500)를 통해 연결되는 제3연장부(4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부(414), 제2연장부(415), 제3연장부(416)는 대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취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410)의 양측 후단에는 후술되는 제4연장부(451) 및 제5연장부(452)가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캐비티가 형성된다.
또한, 제1연장부(414)는, 후면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418)를 형성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제5연장부(452)의 단부에는 상기 제1홈부(418)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보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승강프레임(450)이 고정커버(41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연장부(416) 및 제4연장부(451)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 및 로테이터(2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내측이 전방에 위치하고, 외측이 후방에 위치되게 경사지거나, 굽어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414)는, 외측에 상기 제2연장부(415)와 나란하게 후방으로 돌출된 제1돌기(41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후술되는 제4연장부(451) 및 제5연장부(452)가 상기 제1연장부(414), 제2연장부(415), 제3연장부(416) 및 제1돌기(417)에 보다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커버(420)는, 상기 승강프레임(450)의 양측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414)와 제3연장부(416) 사이에 삽입되는 제4연장부(451), 및 상기 제4연장부(451)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기(417)와 제2연장부(415) 사이에 삽입되는 제5연장부(452)를 포함한다.
상기의 경우, 승강프레임(450)의 양측 후단에서 내측으로 연속해서 꺾어진 형태의 제4연장부(451) 및 제5연장부(452)가 고정커버(410)의 양측 후단에 마련된 제1연장부(414)와 제3연장부(416) 사이 및, 제1돌기(417)와 제2연장부(41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50)은 고정커버(4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지 않지만, 상하방향으로 승강은 가능하다.
즉, 승강프레임(450)은 고정커버(410)에 승강동작만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커버(440)는 'U'자 형의 단면을 구비하되, 양측 후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41)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441)는 상기 제1돌기(417)와 제4연장부(45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탈착커버(440)는 상기 승강프레임(450)과 고정커버(4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프레임(450)과 함께 승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41)는 상기 승강프레임(450)의 내측면과 대면하는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443)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프레임(450)은 내측면에 상기 고정돌기(443)가 수용되는 안착홈(45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443) 및 안착홈(454)은 그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돌기(443) 및 안착홈(454)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탈착커버(440)와 승강프레임(450)의 체결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450)은 양측 후단에 상기 걸림돌기(44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441)의 후면이 접하는 단턱(455)를 형성한다.
따라서, 탈착커버(440)를 승강프레임(450)에 끼우면, 걸림돌기(441)의 후면이 단턱(455)에 걸리면서, 걸림돌기(441)가 제1돌기(417)와 제4연장부(451) 사이에 삽입되어 1차 고정력이 발생하고, 고정돌기(443)가 안착홈(454)에 삽입되면서 2차 고정력이 확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41) 및 고정돌기(443)가 진입하면서 접촉하는 승강프레임(450)의 적어도 일부는 그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441) 및 고정돌기(443)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프레임(450)과 접촉하는 탈착커버(440)의 적어도 일부는 그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커버(44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41)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승강프레임(450)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454) 및 단턱(455)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탈착커버(440)와 승강프레임(450)의 체결이 어느 위치에서든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기(417)는 그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돌기(417)는 그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41)는, 상기 제1돌기(417)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441)는 상기 제1돌기(417)와 접하는 면에 경사면(442)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걸림돌기(441)가 상기 제1돌기(417)와 제4연장부(451)에 매끄럽게 끼워지고, 분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 보다 쉽게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프레임(450)은, 상기 양측 후방에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450a)와, 양측이 상기 수직부(450a)의 하단과 연결되고,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출수노즐(430)이 고정되는 바닥면이 형성된 수평부(450b)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450b)는 외측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오목부(456)를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는 계단 형태의 단면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오목부(456)의 구성으로,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 고정되면, 수평부(450b)와 탈착커버(440)의 외측 표면은 단차짐 없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탈착커버(440)의 하단이 승강프레임(450)에 접촉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탈착커버(440)의 장착 위치가 육안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탈착커버(440)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456)의 내측 모서리에는 가이드 돌기(457)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커버(44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57)에 끼워지는 가이드 홈(444)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 끼워질 때, 탈착커버(44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직선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탈착커버(440)가 승강프레임(450)에서 분리될 때, 탈착커버(4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이동 역시 직선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모듈의 승강동작 시, 출수모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탈착커버가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았으며, 승강커버의 내부 및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의 점검 및 청소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에 이물이 유입되어, 승강커버의 승강조작이 어려워지고,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갖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상기 정수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커버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동작하는 승강커버와,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출수모듈;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커버 또는 상기 회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배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고정커버가 회전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커버 또는 회전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정수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의 측면을 형성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커버는 이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커버는 브릿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정수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호스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정수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 또는 승강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상측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면서, 상기 고정커버의 상면을 형성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탑커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정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출수노즐의 하방에 위치되게 회전동작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692A KR102362173B1 (ko) | 2020-05-06 | 2021-03-22 | 정수기 |
KR1020220016030A KR20220027107A (ko) | 2021-03-22 | 2022-02-08 |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862A KR102232820B1 (ko) | 2020-05-06 | 2020-05-06 | 정수기 |
KR1020210036692A KR102362173B1 (ko) | 2020-05-06 | 2021-03-22 | 정수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862A Division KR102232820B1 (ko) | 2020-05-06 | 2020-05-06 | 정수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6030A Division KR20220027107A (ko) | 2021-03-22 | 2022-02-08 | 정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4569A true KR20210034569A (ko) | 2021-03-30 |
KR102362173B1 KR102362173B1 (ko) | 2022-02-14 |
Family
ID=8025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6692A KR102362173B1 (ko) | 2020-05-06 | 2021-03-22 |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217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803B1 (ko) * | 2013-11-11 | 2014-04-07 | 명성희 | 정수기 |
KR20140106935A (ko) * | 2013-02-27 | 2014-09-04 | 코웨이 주식회사 | 물배출장치 |
KR20170063454A (ko) * | 2017-02-17 | 2017-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
-
2021
- 2021-03-22 KR KR1020210036692A patent/KR102362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6935A (ko) * | 2013-02-27 | 2014-09-04 | 코웨이 주식회사 | 물배출장치 |
KR101381803B1 (ko) * | 2013-11-11 | 2014-04-07 | 명성희 | 정수기 |
KR20170063454A (ko) * | 2017-02-17 | 2017-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2173B1 (ko) | 2022-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2481B1 (ko) | 정수기 | |
KR102005569B1 (ko) | 정수기 | |
US10343888B2 (en) | Water purifier | |
KR101971284B1 (ko) | 정수기 | |
US11518670B2 (en) |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232820B1 (ko) | 정수기 | |
KR102020052B1 (ko) | 정수기 | |
KR102111593B1 (ko) | 정수기 | |
CN109422312B (zh) | 净水器 | |
KR20210034569A (ko) | 정수기 | |
KR102158549B1 (ko) | 정수기 | |
KR20220027107A (ko) | 정수기 | |
KR102512050B1 (ko)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94563B1 (ko)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07820B1 (ko) | 정수기 | |
KR102382873B1 (ko)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40003629A (ko) | 정수기 | |
KR20190040948A (ko) | 정수기 | |
KR20180082985A (ko) | 정수기 | |
KR102151819B1 (ko) | 정수기 | |
KR0117910Y1 (ko) | 정수기 | |
KR101971283B1 (ko) | 정수기 | |
KR200198011Y1 (ko) | 정수기의 물받이용 그릴 | |
KR102423820B1 (ko) | 정수기 | |
KR102717847B1 (ko) |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