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695A - 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 Google Patents

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695A
KR20180055695A KR1020170142441A KR20170142441A KR20180055695A KR 20180055695 A KR20180055695 A KR 20180055695A KR 1020170142441 A KR1020170142441 A KR 1020170142441A KR 20170142441 A KR20170142441 A KR 20170142441A KR 20180055695 A KR20180055695 A KR 2018005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resin
spherical filler
s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3034B1 (en
Inventor
마사시 나카노
도모히코 오다가와
Original Assignee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10Peculiar tactic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lystyrene-based film ensuring low costs for ginning. To this end, the polystyrene-based film comprises a syndiotactic polystyrene-based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and is biaxially oriented, while having gloss of 30% or less, surface roughness (Ra) of 0.8 μm or more, and tensile elongation of 15% or more. Preferably, the spherical filler is amorphous silica, more preferably the spherical filler is fused silica.

Description

폴리스티렌계 필름 및 다층 필름{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 RTI ID = 0.0 >

본 발명은 조면(粗面)을 갖는 2축 배향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외층에 조면을 갖는 2축 배향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층을 갖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axially oriented syndiotactic polystyrene type film having a roughene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layer film having a biaxially oriented syndiotactic polystyrene-based resin layer having a roughened surface on the outermost layer.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계 수지는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한 점에서, 성형품이나 필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그와 같은 용도 중 하나로서, 표면 장력이 낮고 젖음성이 낮다는 SPS계 수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프린트 기판, 세라믹 전자부품, 반도체 패키지, 그 밖에 각종 수지성형품을 제조할 때, 성형 금형이나 성형롤과 피성형 재료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 필름에 2축 배향 SPS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문헌 1~3에는 SPS계 수지를 사용한 단층 또는 다층의 이형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The syndiotactic polystyrene (SPS) based resi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therefore has been widely used as a molded product or a film in various fields. As one of such applications, when a printed substrate, a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 semiconductor package, and various other resin molded articles are produc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SPS resin that has a low surface tension and a low wettability, It has been studied to use a biaxially oriented SPS-based film as a release film for preventing adhesion of a molding material. Patent Literatures 1 to 3 disclos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release film using an SPS-based resin.

또한, 이러한 이형 필름에서는 피성형품의 표면에 매트톤DML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이형 필름을 조면화하고, 그 표면 요철을 피성형품에 전사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4 및 5에는 표면이 매트톤 모양의 롤과 다른 롤의 사이를, 2축 배향 SPS계 필름을 가열·가압하면서 통과시킴으로써, 롤 표면의 요철을 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필름을 조면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SPS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혼련하여 필름화하고, 2축 연신함으로써 조면화된 SPS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SPS계 수지 및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용융·혼련하여 필름화하고, 2축 연신함으로써 조면화된 SPS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Further, in such a release film, in order to give a matte tone DML appearance to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there is a case where the release film is roughened and the surface roughness is transferred to the molded article. Patent Documents 4 and 5 disclose a method of transferring unevenness of a roll surface to a film surface by passing a biaxially oriented SPS film between a roll having a matte tone surface and another roll while heating and pressing the film, . Patent Document 6 describes an SPS-based film which is roughened by melting and kneading an SPS-based resin and polycarbonate into a film and biaxially stretching it. Patent Document 7 describes an SPS-based film which is roughened by melting and kneading an SPS-based resin and a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into a film and biaxially stretching it.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168117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68117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310428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10428 일본 공개 특허 제 2014-226785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226785 일본 공개 특허 제 2013-216779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216779 일본 공개 특허 제 2013-215989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215989 일본 공개 특허 제 2016-000467 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0467 일본 공개 특허 제 2011-000468 호 공보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468

특허문헌 4 및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롤 전사에 의해 조면화하는 방법에서는 필름의 배향공정과 별도로 조면화 공정이 필요한 점에서, 제조 비용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In the method of roughening by roll transf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4 and 5, a roughening process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orientation process of the film, an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production cost.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6 및 7에 기재된, SPS와 다른 수지를 혼합하여 2축 연신하는 방법에서는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롤 전사 방식만큼 큰 표면 요철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롤 전사방식과 동등한 광택도이어도 질감이 미묘하게 다르고, 일부의 사용자로부터는 표면 요철 증대에 의한 질감의 조정이 요구되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6 and 7 in which SPS and another resin are mixed and biaxially stretch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However, since the surface irregularities as large as the roll transfer method can not be obtained, the texture is slightly different even if it has the same gloss as the roll transfer system, and some users have been required to adjust the texture by increas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과거에, 필러를 배합함으로써 SPS계 필름 표면의 조면화를 시도해 보았다. 그러나, 그 때에는 필러의 배합에 의해 필름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필러의 첨가량이 제한되고, 필름의 매트톤의 정도를 강하게 하기 곤란했다(특허문헌 4의 단락 0009).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roughen the surface of an SPS film by mixing a filler in the past. At that time, however, the film strength remarkably decreases due to the mixing of the filler, so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filler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make the film matte tone stronger (paragraph 0009 of Patent Document 4).

본 발명은 상기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면이 조면화된 2축 배향 SPS계 필름으로, 표면 요철이 크고, 보다 저렴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iaxially oriented SPS-based film whose surface is roughened, and which has a large surface unevenness and is more inexpensi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SPS계 수지에 구상(球狀) 필러를 배합하여 2축 배향시킴으로써 표면을 조면화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herical filler is blended in the SPS resin and biaxially oriented to roughen the surface.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필름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2축 배향되어 있으며, 광택도가 30% 이하, 표면 조도(Ra)가 0.8 ㎛ 이상, 인장신도가 15 % 이상이다.Specifically, the polystyrene-bas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syndiotactic polystyrene-based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and is biaxially oriented, and has a gloss of 30% or less,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탆 or more, a tensile elongation of 15 %.

여기에서, 광택도라는 것은 JISZ8741:1997에 규정하는 60도 경면 광택, Gs(60°)인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광택도는 세로방향(MD) 및 가로방향(TD)의 값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표면 조도(Ra)라는 것은 JISB0601:1994에 규정된 산술 평균 조도(Ra)를 말한다. 인장신도라는 것은 JISK7127:1999에 규정된 인장시험(시험편 타입 2, 시험속도 200 ㎜/분)에 의한 인장 파괴 변형(항복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장 파괴 공칭 변형(항복을 수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의 필름 인장신도는 세로방향(MD) 및 가로방향(TD) 중 어느 것에서도 각각 15 % 이상이다.Here, the term "glossiness" means that the glossiness is 60 deg., Gs (60 deg.) Specified in JIS Z8741: 1997. The glossines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verage value of valu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lateral direction (TD). Surface roughness (Ra) refers to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specified in JIS B0601: 1994. Tensile elongation is defined as tensile failure (without yield) or tensile failure (with yield) by tensile test specified in JIS K7127: 1999 (specimen type 2, test speed 200 mm / min) It says. The film tensile elon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5% or more in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이 구성에 의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과도하게 손상시키지 않고, 종래의 롤 전사 방식과 동등한 표면 요철과 광택도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필름이 얻어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a polystyrene-based film having surface irregularity and gloss equivalent to conventional roll transfer systems can be obtained without excessively damag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 필러가 비정질 실리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 필러가 용융 실리카이다.Preferably, the spherical filler is amorphous silica, more preferably the spherical filler is fused silica.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 필러는 최대직경이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두께 미만이고, 메디안 직경(d50)이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두께의 6 % 이상이다. 여기에서, 메디안 직경(d50)은 체적 기준에서의 값이다.Preferably, the spherical filler has a maximum diameter of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and a median diameter (d50) of 6%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Here, the median diameter (d50) is a value on a volume basi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상 필러의 배합량이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이다.The amount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거칠기(Ra)가 0.8 ㎛ 이상인 제1 표면을 구성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2축 배향된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층을 갖는다. 그리고, 인장신도가 15 % 이상이고, 또한 인장변형이 15 % 미만일 때 상기 제1 층이 파단되지 않는다.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film comprising a first surface constituting a first surface having a gloss of 30% or less and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탆 or more and containing a syndiotactic polystyrene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And at least one resin lay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ayer. And, when the tensile elongation is 15% or more and the tensile strain is less than 15%, the first layer is not broken.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롤 전사 방식과 동등한 표면 요철과 광택도를 제1 표면에 갖는 다층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다층 필름에 요구되는 제특성을 제1 층과 다른 층으로 분담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층의 표면 요철이나 외관의 질감을 최적화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With this constitution, a multilayer film having the surface unevenness and gloss equivalent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roll transfer method on the first surface can be obtained. Further,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property required for the multilayer film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ayer, and it becomes easier to optimize the texture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and the appearance of the first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층에 인접하는 수지층이, 상기 제1 층과 동일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상 필러의 함유량이 제1 층보다 적거나 또는 구상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다.Preferably, the resin layer adjacent to the first layer is made of the same syndiotactic polystyrene resin as the first layer, and the content of the spherical fill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layer or does not include a spherical fill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이 대전방지층에 의해 구성된다. Preferably,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constituted by an antistatic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필러를 배합하고 2축 배향시킴으로써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필름 또는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층을 조면화므로, 종래의 롤 전사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저비용으로 조면을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러가 구상인 것에 의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적고, 충분한 인장신도를 유지한 채, 종래의 롤 전사 방식과 동등한 표면 요철과 광택도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단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ndiotactic polystyrene-based film or the syndiotactic polystyrene-based resin layer is roughened by compounding biaxial orientation of the filler, a film having a roughened surface can be obtained at a lower cost than a conventional roll transfer system . In addition, since the filler is spherical, a reduction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is small and a polystyrene-based monolayer film or multilayer film having surface roughness and gloss equivalent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roll transfer system is obtained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tensile elong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의 단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의 단면 구성도의 다른 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폴리스티렌계 필름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계 수지에 구상 필러를 배합하고, 2축 연신함으로써 표면이 조면화된 단층의 이형 필름이다.The polystyrene-based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layer release film in which a spherical filler is mixed with a syndiotactic polystyrene (SPS) resin and the surface is roughened by biaxial stretching.

우선, 본 실시형태의 필름의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composition of the film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PS계 수지는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폴리머이다. 신디오택틱 구조라는 것은 입체 화학 구조가 신디오택틱 구조, 즉 탄소-탄소 결합으로부터 형성되는 주쇄에 대하여 측쇄인 페닐기 또는 치환 페닐기가 번갈아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의미한다.The SPS resin is a styrenic polymer having a syndiotactic structure. The syndiotactic structure means a stereostructure in which the stereochemical structure is a syndiotactic structure, that is, a phenyl group or a substituted phenyl group in which the side chain is alternately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chain formed from a carbon-carbon bond.

SPS계 수지의 입체규칙성의 정도(택티시티)는 동위체 탄소에 의한 핵 자기 공명법(13C-NMR법)에 의해 정량(定量)할 수 있다. 13C-NMR법에 의해 측정되는 SPS계 수지의 택티시티는 수개의 모노머 단위로 이루어진 연쇄(連鎖), 예를 들어 2개인 경우에는 다이애드, 3개인 경우에는 트라이애드, 5개인 경우에는 펜타드 중, 구성 단위의 입체 배치가 반대인 신디오택틱인 것(라세미다이애드 등)의 비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SPS계 수지는 통상, 라세미다이애드에서 75 %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또는 라세미트라이애드에서 6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바람직하게는 라세미펜타드에서 3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신디오택티시티를 갖는 스티렌계 폴리머이다.The degree of stereoregularity of the SPS resin (tacticity) can be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13C-NMR) method using isotopic carbon. The tacticity of the SPS resin measured by the 13 C-NMR method is a chain consisting of several monomer units, for example, triad in the case of two, triad in the case of three, pentad in the case of five, , And a ratio of a syndiotactic compound (such as racidadec)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is reversed. The SPS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at least 75%, preferably at least 85%, or at least 60%, preferably at least 75%, preferably at least 80% To 30% or more, preferably 50% or more, of syndiotactic polymer.

SPS계 수지로서의 스티렌계 폴리머의 종류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알킬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 안식향산 에스테르), 이들의 수소화 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알킬스티렌)으로서는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이소프로필스티렌), 폴리(터셔리부틸스티렌), 폴리(페닐스티렌), 폴리(비닐나프탈렌), 폴리(비닐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할로겐화 스티렌)으로서는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브로모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할로겐화 알킬스티렌)으로서는 폴리(클로로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콕시스티렌)으로서는 폴리(메톡시스티렌), 폴리(에톡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tyrenic polymer as the SPS resin include polystyrene, poly (alkylstyrene), poly (halogenated styrene), poly (halogenated alkylstyrene), poly (alkoxystyrene), poly (vinylbenzoic acid ester) A mixture thereof, or a copolymer containing these as a main component. Examples of the poly (alkylstyrene) include poly (methylstyrene), poly (ethylstyrene), poly (isopropylstyrene), poly (tertiary butylstyrene), poly (phenylstyrene), poly (vinylnaphthalene) And the like. Examples of poly (halogenated styrene) include poly (chlorostyrene), poly (bromostyrene), and poly (fluorostyrene). Examples of poly (halogenated alkylstyrene) include poly (chloromethylstyrene). Examples of the poly (alkoxystyrene) include poly (methoxystyrene) and poly (ethoxystyrene).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 필름을 구성하는 SPS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3,0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 ~ 1,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500,000이다. SPS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60 ~ 140 ℃, 바람직하게는 70 ~ 130 ℃이다. SPS계 수지의 융점은 200 ~ 320 ℃, 바람직하게는 220 ~ 280 ℃이다. 본 명세서 중,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및 융점은 JISK7121에 따라서 측정된 값을 사용하고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PS resin constituting the plasti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0,000 to 3,000,000, preferably 30,000 to 1,500,00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000 to 500,000.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PS resin is 60 to 140 占 폚, preferably 70 to 130 占 폚. The melting point of the SPS-based resin is 200 to 320 占 폚, preferably 220 to 280 占 폚.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melting point of the resin are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21.

본 실시형태의 필름에 함유되는 SPS계 수지는 다른 2 종류 이상의 SPS계 수지를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The SPS-based resin contained in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SPS-based resins.

본 실시형태의 필름은 SPS계 필름의 특징인 내열성, 내약품성, 저표면 장력 등에 실용상의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를 함유해도 좋다. 그 경우에도, 필름 중의 전 수지성분에 대한 SPS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5 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other resins as far as they do not adversely affect pract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low surface tension, which are characteristic of SPS-based films. In this case, the content ratio of the SPS resin to the total resin component in the film is preferably 5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60% by weight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5% by weight or more.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필름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TPS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중 하드세그먼트가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이에 의해 SPS계 필름에 배합된 경우에 외관 결점 등이 나오기 어렵다. TPS를 배합함으로써, 필름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SPS계 수지에 TPS를 혼합하여 2축 배합시킴에 의해도 조면화된 SPS계 필름이 얻어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상 필러의 효과와 함께 필름의 매트톤의 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a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TPS). TPS is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in which the hard segment is made of polystyrene, so that when it is blended with an SPS-based film, appearance defects and the like are hardly produced. By combining TPS, flexibility of the film is improved. Furth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7, SPS-based films obtained by mixing TPS with SPS-based resin and biaxial mixing are obtained, an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 of the spherical filler and the matte tone of the film Can be made stronger.

TPS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수소 첨가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TSP의 내열성이 향상되고, 또한 고온에서 실시되는 SPS계 수지의 용융·압출 공정에서 예기하지 못한 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PS is blended, it is preferable to use hydrogenated one. As a result, the heat resistance of the TSP is improved, and unexpected reaction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melting and extrusion process of the SPS resin which is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수소 첨가 TPS로서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티렌)-폴리스티렌(TPS-SEBS),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티렌(TPS-SEPS),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티렌(TSP-SEEPS),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티렌(TPS-SEP) 등의, 소프트세그먼트가 다른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genated TPS include polystyrene-poly (ethylene / butylene) -polystyrene (TPS-SEBS), polystyrene-poly (ethylene / propylene) -polystyrene (TPS-SEPS), polystyrene- TSP-SEEPS), and polystyrene-poly (ethylene / propylene) -polystyrene (TPS-SEP).

본 실시형태의 필름에 함유되는 TPS는 다른 2종류 이상의 TPS를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이 때, TPS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세그먼트가 폴리(에틸렌/프로필렌)블럭 또는 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다. 필름의 조면화 효과를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TPS의 전부 또는 일부에, 소프트세그먼트가 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TPS-SEEPS를 사용하면 좋다.The TPS contained in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TPS. At this time, all or a part of TPS may be composed of a soft segment of a poly (ethylene / propylene) block or a 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random copolymer block. When it is desired to increase the roughening effect of the film, TPS-SEEPS composed of a random copolymer of poly (ethylene-ethylene / propylene) soft segment may be used for all or a part of TPS.

TPS의 배합량은 SPS계 수지(a)와 TPS(b)의 중량비가 (a)/(b)=100/0~60/4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0/0~80/2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PS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조면화의 효과나 유연성 향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TPS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SPS계 수지의 특징인 내열성, 내약품성, 저표면 장력 등의 특성이 저하된다.The blending amount of TPS is preferably such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SPS resin (a) and the TPS (b) is (a) / (b) = 100/0 to 60/40, more preferably 100/0 to 80/20 Is more preferable. The more the blending amount of TPS is, the more effect of roughening and improvement of flexibility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blending amount of TPS is too large,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low surface tension characteristic of the SPS resin are lowered.

본 실시형태의 필름에 배합되는 필러는 구상 필러이다. 필러가 구상인 것에 의해 유동성이 좋고, 수지에 고충전되기 쉽다. 또한, 필러가 구상인 것에 의해, 어떠한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안정되므로,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적고, 또한 필러가 파괴되어 필름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다. 구상 필러의 진구도(眞球度)는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95 이상이다.The filler compounded in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pherical filler. Since the filler is spherical, the fluidity is good and the resin tends to be highly charged. In addition, since the filler is spherical, the strength of the film is stable even if a force is applied from any direction, so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are not lowered, and the filler is broken and the film is hardly separated from the film. The sphericity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0.80 or more, more preferably 0.90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0.95 or more.

구상 필러는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실리카이다. 비정질 실리카는 경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으므로, 필름 제조시에 압출기의 스크류나 금형이 마모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구상 필러로서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이 아닌 비정질 실리카이다.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카가 실리카겔 유래인 경우에는, 소성에 의해 무공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amorphous silica. Since amorphous silica is not too hard, the screw or mold of the extruder is hardly worn away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ilm. The amorphous silica used as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nonporous amorphous silica. For example, when the amorphous silica is derived from a silica gel, it is preferable to use one which is nonporous by firing.

다공성이 아닌 비정질 실리카의 다른 예는 용융 실리카이다. 용융 실리카는 원료를 화염 중에서 용융하여 표면 장력에 의해 구상화되어 있므로, 뾰족한 부분이 없고, 수지내에서의 유동성이 보다 높아, 보다 파괴되기 어려우며,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는 정도가 보다 작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름을 반도체 패키지의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성형 재료인 에폭시 수지에도 용융 실리카가 함유되어 있고, 피성형 재료로 이행했다고 해도 문제가 되기 어렵다.Another example of non-porous amorphous silica is fused silica. Since fused silica is spheroidized by surface tension by melting the raw material in a flame, there is no sharp point, fluidity in the resin is higher, it is harder to break, and the degree of damage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is smaller . In addition, when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release film of a semiconductor package, molten silica is contained also in the epoxy resin as a molding material, and even if the molding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molding material, there is no problem.

구상 필러의 입자직경은 최대의 것의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두께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95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65 % 이하이다. 필름 두께에 가까운,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는 구상 필러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서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져,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보다 질감이 있는 표면 요철을 부여하는 것이면, 구상 필러의 최대의 것의 직경이 필름 두께의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not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film,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95% of the film thickness, an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65% of the film thickness. If a spherical filler having a diameter close to or larger than the film thickness is included, the film tends to be broken at that portio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deterior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spherical filler is 40% or more of the film thickness as long as it imparts a more textured surface unevenness.

또한, 구상 필러의 메디안 직경(d50)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1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20 % 이상이다. 필러의 입자직경이 너무 작으면, 충분한 크기의 표면 요철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구상 필러의 메디안 직경(d50)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두께의 40 % 이하이다. 필러의 메디안 직경이 너무 크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보다 질감이 있는 표면 요철을 부여하는 것이면, 구상 필러의 메디안 직경(d50)은 필름 두께의 15~35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메디안 직경(d50)은 체적 기준에서의 값이다. 이 값은 필러가 단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밀도가 일정하면 질량 기준 또는 중량 기준에서의 값과 일치한다.The median diameter d50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at least 6% of the film thickness, more preferably at least 10% of the film thickness,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20% of the film thickness. I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too small, surface irregularities of sufficient size can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median diameter (d50)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60% or less of the film thickness, more preferably 40% or less of the film thickness. If the median diameter of the filler is too larg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deterior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an diameter (d50) of the spherical filler is in the range of 15 to 35% of the film thicknes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edian diameter d50 is a value on a volume basis. This value is consistent with the value on a mass basis or on a weight basis if the filler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and the density is constant.

구상 필러의 배합량은 필름의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이다. 충분한 크기의 표면 요철을 얻기 위함이다. 한편, 구상 필러의 배합량은 필름의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이다.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mor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of the film. So as to obtain surface irregularities of sufficient size. On the other hand, the blending amount of the spherical filler is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of the film. If the amount is too larg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deteriorate.

본 실시형태의 필름은 요구 특성에 따라서 상기한 폴리머 이외에,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활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결정핵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특히,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필름에는 산화방지제 및 활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필름은 대전 방지제가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편측의 표면에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방지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lubricant, an antistatic agent, a colorant, a nucleating agent and a flame retardant in addition to the abov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oxidant and a lubricant are added to the film used as the release film. The film used as the release film preferably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or an antistatic agent such as a surfactant coated on one surface.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필름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characteristics of the film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필름의 두께는 많은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것, 제조나 핸들링이 용이한 점에서, 10 ~ 100 ㎛로 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2축 연신 필름의 두께는 전형적으로는 40 ~ 100 ㎛이고, 가장 전형적으로는 약 50 ㎛이다.It is desi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10 to 100 占 퐉 in view of ease of manufacture and handling since it can cope with many applications. The thickness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used as the release film is typically 40 to 100 占 퐉, and most typically about 50 占 퐉.

필름의 광택도는 JISZ8741:1997에 규정되는 60도 경면 광택, Gs(60 °)에 의해 표시된다. 필름에 요구되는 광택도는 용도에 따라서 정해지고, 피성형품 표면에 「번들거림」을 느끼지 않고, 매트톤의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또한, 하한값은 특별히 의미를 갖지 않지만, 통상은 1 % 이상이다.The gloss of the film is represented by a 60-degree specular gloss specified by JISZ8741: 1997, Gs (60 deg.). The degree of gloss required for the fil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is 30% or less, preferably 20% or less, in order to give a matte tone appearance without feeling "shine"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article. The lower limit value is not particularly meaningful, but is usually 1% or more.

필름의 표면 거칠기(Ra)는 JISB0601 : 1994에 규정된 산술 평균 조도(Ra)에 의해 표시된다. 필름의 매트톤의 외관에 롤 전사 방식과 유사한 질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표면 조도(Ra)는 0.8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한편, Ra는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Ra가 너무 크면, 그 깊은 요철에 피성형 수지가 완전히 추종할 수 없고, 안정된 성형품 표면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Ra가 너무 크면, 롤 전사방식에 의한 표면의 질감과의 괴리가 커지기 때문이다.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film is represented by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specified in JIS B0601: 1994. In order to impart a texture similar to the roll transfer method to the appearance of the matte tone of the film, the surface roughness Ra is 0.8 탆 or more, preferably 1.0 탆 or more. On the other hand, Ra is preferably 3.5 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m or less. If the Ra is too large, the molding resin can not follow the deep unevenness and a stable molded product surface can not be obtained. Also, if Ra is too large, the deviation from the texture of the surface due to the roll transfer method becomes large.

필름의 인장신도는 JISK7127 : 1999에 규정된 인장 시험(시험편 타입 2, 시험 속도 200 mm/분)에 의한 인장 파괴 변형 또는 인장 파괴 공칭 변형을 말한다. 필름이 SPS로 이루어질 때에는 인장 시험에서 항복을 수반하므로, 인장 신도는 인장 파괴 공칭 변형을 말한다. 필름의 인장 신도는 상온(23 ± 2 ℃, 상대 습도 50 ± 10 %)에서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TD) 어느 것에 있어서도 15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한편, 필름의 인장 신도가 지나치게 커도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SPS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일반적으로 200 %를 넘는 일은 없다.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film refers to a tensile fracture strain or a tensile fracture nominal strain by a tensile test specified in JIS K7127: 1999 (specimen type 2, test speed 200 mm / min). When the film is made of SPS, the tensile elongation refers to the tensile fracture nominal strain since it involves yielding in the tensile test.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film is 15% or more, preferably 20% or more,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at room temperature (23 ± 2 ° C., relative humidity 50 ± 10%).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even if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film is excessively large, since SPS is the main compon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generally does not exceed 200%.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m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의 필름은 SPS계 수지, 구상 필러 및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용융·혼련하고, 압출하여 전구체 필름(연신전 원반(原反) 필름)을 제조한 후, 얻어진 전구체 필름을 2축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duced by mixing, melting and kneading an SPS resin, a spherical filler, and other materials, extruding the precursor film (stretched raw film), biaxially stretching the obtained precursor film Can be manufactured.

전구체 필름의 제조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기에 의해 용융·혼련하고 혼련물을 T다이로부터 압출한 후 냉각하면 좋다.The precursor film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mixture of desired components may be melted and kneaded by an extruder, and the kneaded product may be extruded from a T-die and then cooled.

2축 연신 공정은 필름의 2축 방향에 대하여 연신을 실시하고, 이어서 임의로 열 고정하는 공정이다. 이 2축 연신 공정에 의해 SPS계 수지가 결정화되고,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승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름은 2축 연신 공정에 의해 표면 요철이 증대된다.The biaxial stretching process is a process of stretching the film in two axial directions, followed by optional thermal fixation. This biaxial stretching process crystallizes the SPS-based resin and increas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thereby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improving the mechanical strength. In the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irregularities are increased by the biaxial stretching process.

2축 연신은 필름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대해서 연신을 실시한다. 연신 방식은 순차 2축 연신 방식과 동시 2축 연신 방식이 있지만, 내열 치수 안정성이나 인장 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동시 2축 연신 방식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시 2축 연신 방식에 따르면, 열 수축율의 절대값의 MD 방향과 TD 방향의 차를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2축 연신을 실시할 때, 연신 배율, 연신 온도 및 연신 속도는 원하는 내열 치수 안정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얻는 데에 적당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The b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MD and TD directions of the film. The stretching method includes a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method and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because heat stability and tensile elong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heat shrinkage ratio can be easily reduced. When the biaxial stretching is carried ou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stretching spe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열 고정은 연신 필름을 연신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폴리머 분자의 배향을 고정하는 처리이다. 열처리 온도, 시간, 이완 배율은 원하는 열 수축율 등을 얻는 데에 적당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The heat setting is a treatment for fixing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 molecules by keeping the stretched film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drawing temperatur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ime, and relaxation magnification can be selected as appropriate for obtaining desired heat shrinkage and the like.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다층 필름을 설명한다.Next, the multilayer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형태에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는 2축 배향 필름의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거칠기(Ra)가 0.8 ㎛ 이상이라는 특성은 그 2축 배향 필름의 표면 특성이고, 인장 신도가 15 % 이상이라는 특성은 필름 자체 즉 이형 필름으로서의 특성이다. 다층 필름에서는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조도(Ra)가 0.8 ㎛ 이상의 SPS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는 2축 배향 필름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다. 그리고, 상기 2축 배향 필름층의 인장 신도가 15 % 이상이면, 상기 2축 배향 필름 단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층을 부가하여 다층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2축 배향 필름층의 인장 신도가 15 % 미만이면, 다른 층을 부가하여 다층 필름으로서 인장 신도가 15 % 이상을 발현할 수 있으면 좋다. 또는, 대전방지성 등의 기능을 갖는 다른 층을 부가하여 다층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biaxially oriented film containing a syndiotactic polystyrene (SPS) based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has a gloss of 30% or less and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m or more. , And the characteristic that the tensile elongation is 15% or more is a property of the film itself, that is, a release film. The multilayered film has an SPS-based resin having a gloss of 30% or less,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탆 or more, and a biaxially oriented film layer containing a spherical filler on at least one surface. If the biaxial oriented film layer has a tensile elongation of 15% or more, it can be used as the biaxially oriented film monolayer, and other layers can be added as a multilayer film. If the biaxially oriented film layer has a tensile elongation of less than 15%, it is sufficient that another layer is added to exhibit a tensile elongation of 15% or more as a multilayer film. Alternatively, another layer having a function such as antistatic property may be added to form a multilayer film.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다층 필름(10)은 2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제1 표면 (15)을 구성하는 제1 층(11)과, 제1 층에 인접하고, 제2 표면(16)을 구성하는 제2 층(12)으로 이루어진다.1, the multilayer film 10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includes a first layer 11 constituting a first surface 15 and a second layer 16 adjoining the first layer 16, And a second layer (12) constituting the second layer (12).

제1 층(11)의 조성 및 특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폴리스티렌계 필름과 동일하다. 즉, 제1 층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2축 배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표면(15)은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조도(Ra)가 0.8 ㎛ 이상이다. 또한, 제1 층은 다층 필름(10)의 인장 변형이 15 % 미만에서는 파단되지 않는 것을 요하고, 20 % 미만에서는 파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에 포함되는 SPS계 수지의 바람직한 조성이나 구상 필러의 바람직한 재료, 입자직경, 배합량 등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구상 필러의 바람직한 입자직경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단층 필름의 두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것과 동일하게, 제1 층의 두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다.The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the first layer 1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layer contains a syndiotactic polystyrene (SPS) based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and is biaxially oriented. The first surface 15 has a glossiness of 30% or less and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m or mor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ayer should not be broken when the tensile strain of the multilayer film 10 is less than 15%, and not be broken when less than 20%. The preferable composition of the SPS-based resin contained in the first layer, the preferable material of the spherical filler, the particle diameter, the blending amount and the like are also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Here, the preferable particle diameter of the spherical filler is relatively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similarly to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relative to the thickness of the single-layer film.

제2 층(12)을 형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SPS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부터, 원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층에 의해 다층 필름(10)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경우, 제2 층은 바람직하게는 SPS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과 동일한 SPS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압출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제2 층이 SPS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제2 층의 구상 필러의 함유량은 제1 층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층은 구상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층을 제1 층보다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층으로 할 수 있다.The resin for forming the second layer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from SPS resins,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an be selected and used. Whe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ultilayer film 10 are improved by the second layer, the second layer is preferably made of an SPS-based resin, and more preferably made of the same SPS-based resin as the first layer. This is because the production by co-extrusion is easy as described later. When the second layer is made of SPS resin, the content of the spherical filler of the second layer is preferably less than that of the first lay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layer does not contain the spherical filler. As a result, the second layer can be made to be a layer superior in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first layer.

또는, 제2 층(12)을 대전 방지층으로 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은 매트릭스가 되는 수지에 대전 방지제를 배합한 것으로 해도 좋고,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어도 좋다. 제2 표면(16)이 대전 방지층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다층 필름 (10)을 수지 성형의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제1 표면(15)을 성형 수지측을 향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지 성형품의 표면에 매트톤의 외관을 부여할 수 있고, 그 때, 금형에는 제2 표면(16)이 접하므로, 다층 필름(10)의 대전을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layer 12 may be an antistatic layer. The antistatic layer may be a mixture of an antistatic agent with a resin to be a matrix or a layer made of a conductive resin. When the multilayer film 10 is used as a release film for resin molding, the second surface 16 is constituted by the antistatic layer. By using the first surface 15 toward the molding resin side, An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urface 16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mold, charging of the multilayer film 10 can be prevented.

도 2에서 예시한 예에서는 다층 필름(20)은 3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제1 표면(15)을 구성하는 제1 층(11)과, 제1 층에 인접하는 제2 층(22)과, 제2 표면(26)을 구성하는 제3 층(23)으로 이루어진다. 도 2의 제1 층은 도 1의 제1 층과 동일하다.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2, the multilayer film 20 is composed of three layers and includes a first layer 11 constituting the first surface 15, a second layer 22 adjacent to the first layer 15, , And a third layer (23) constituting a second surface (26). The first layer of FIG. 2 is the same as the first layer of FIG.

제2 층(22) 및 제3 층(23)을 형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층을 제1 층과 동일한 SPS계 수지로 형성하지만 구상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층으로 하고, 제3 층을 대전 방지층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층을 제1 층과 동일한 SPS계 수지로 형성하지만, 구상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층으로 하고, 제3 층을 제1 층과 동일한 층으로 구성하면, 단면이 대칭 구조가 되어,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이 동일하게 조면화된 다층 필름이 얻어진다.The resin for forming the second layer 22 and the third layer 2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resin having desired properties can be selected and used. As an example, the second layer may be formed of the same SPS resin as the first layer but may not be a spherical filler, and the third layer may be an antistatic layer. As another example, if the second layer is formed of the same SPS-based resin as the first layer but is formed of a layer not containing a spherical filler and the third layer is formed of the same layer as the first layer, , A multilayered film in whic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roughly roughened is obtained.

다층 필름의 층 구성은 상기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층수는 2 이상의 임의의 층수로 할 수 있다. 제1 표면의 광택도 및 표면 거칠기(Ra)는 제1 층에 의해 실현되므로, 제1 층 이외의 각 층의 조성·기능 등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The layer structure of the multilayer film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e number of layers can be any number of layers of 2 or more. Since the glossiness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first surface are realized by the first layer,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each layer other than the first layer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은 각 층을 독립된 필름으로서 형성한 후, 접착층을 통하여 접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폴리스티렌계 필름을 제1 층(11)으로 하여, 다른 필름과 접합시킬 수 있다.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forming each layer as an independent film and then joining the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1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bonded to another film.

또는 복수의 수지의 연화(軟化) 온도나 점도곡선이 가까운 경우 등에서는 그들 수지를 공압출하여, 몇 개의 층을 동시에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층(11)과 그에 인접하는 제2 층이 동일한 SPS계 수지로 이루어질 때에는, 각각의 원료를 용융·혼련하고, 공압출에 의해 2층 구조의 전구체 필름을 형성한 후, 2축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제1 층 및 제2 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Or when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the viscosity curve of a plurality of resins is close to each other, these resins may be co-extruded to form several layers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when the first layer 11 and the second layer adjacent thereto are made of the same SPS-based resin, each raw material is melted and kneaded, and a precursor film of a two-layer structure is formed by co- By performing biaxial stretching,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또는, 다른 필름의 표면에 수지 원료를 도공함으로써 새로운 층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1 ㎛ 이하이고, 이와 같이 얇은 층을 단독의 필름으로서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경우, 다른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의 제2 표면에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 또는 가교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new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resin material to the surface of another film.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ntistatic layer is generally 0.1 占 퐉 or less, and it is difficult to form such a thin layer as a single film. In this case, the antistatic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conductive resin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other single layer or multilayer film and drying or crosslinking.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필름을 다층화하면 필름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단층의 SPS계 필름에서는 표면 조도를 크게 하면 인장 신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다층 필름에서는 소요의 기계적 특성 등을 제1 층 이외의 층에서 실현함으로써 표면 요철이나 질감을 최적화하도록 제1 층의 조성 등을 조정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film design can be obtained by multilayering the film. In a single-layer SPS-based film, when the surface roughness is increased, the tensile elongation tends to decrease. 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layer film, the composi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so as to optimize the surface irregularities and texture by realizing the requir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like in the layers other than the first layer.

[실시예][Example]

제1 실시 형태의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실시예의 필름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SPS계 수지로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 수지(이데미츠고산 가부시키가이샤제, 자레크 142ZE (유리 전이 온도 95 ℃, 융점 247 ℃))를 사용했다. SPS에 소정의 구상 필러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여 혼련하고, T-다이를 선단에 장착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290 ℃에서 용융 압출한 후 냉각하여 전구체 필름을 얻었다. 이 전구체 필름을 110 ℃, 연신 속도 약 500 %/분으로 소정의 배율로 동시 2축 연신했다. 연신 후 210 ℃에서 세로 방향 (MD)으로 0.95 배, 가로 방향(TD)으로 0.95 배의 이완 배율로 열 고정하여 두께 약 50 ㎛의 동시 2축 연신 SPS계 필름을 얻었다.The films of the examples were prepared as follows. (Zareck 142Z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95 deg. C, melting point: 247 deg. C) manufactured by Idemitsu Kosan Co., Ltd.) was used as the SPS resin. SPS was kneaded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kneaded. The resultant mixture was melt-extruded at 290 DEG C using an extruder equipped with a T-die at the tip thereof and then cooled to obtain a precursor film. This precursor film was simultaneously biaxially stretch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t a stretching speed of about 500% / min at 110 캜. After stretching, the film was thermally fixed at 210 DEG C with a relaxation magnification of 0.95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MD) and 0.95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to obtain a simultaneous biaxially oriented SPS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mu m.

비교예 1의 필름은 구상 필러를 배합하지 않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SPS계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2의 필름은 SPS에 구상 필러를 배합하고 용융·압출에 의해 연신 처리없이 두께 50 ㎛의 SPS계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3의 필름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SPS계 필름을 제작했다.An SPS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pherical filler was not added to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a spherical filler was blended with SPS, and an SPS-based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was produced by melt-extrusion without stretching treatment. In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3, an SPS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표 1은 구상 필러의 종류, 입자 직경 및 배합량, 연신 배율, 얻어진 필름의 두께, 광택도, 표면 거칠기(Ra) 및 인장 신도를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kind of spherical filler, particle diameter and blending amount, stretching magnification, thickness, glossiness, surface roughness (Ra) and tensile elongation of the obtained film.

표 1 중에 각 기호로 표시한 구상 필러의 종류, 품번 및 제조 회사는 다음과 같다.The type, part number and manufacturer of the spherical filler indicated by the symbols in Table 1 are as follows.

· F5 : 실리카, FB-5SDC, 덴카 가부시키가이샤F5: silica, FB-5SDC, Denka Co., Ltd.

· F7 : 실리카, FB-7SDC, 덴카 가부시키가이샤F7: silica, FB-7SDC, Denka Co., Ltd.

· H : 실리카, HS-207, 신닛테츠스미킨 마테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H: Silica, HS-207, Shinnitetsu Sumikin Materielose Co., Ltd.

· FE : 실리카, FEB25A-SQ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마텍쿠스FE: silica, FEB25A-SQ manufactured by Adomex Co., Ltd.

· K : 실리카, KSE-2045 킨세이마텍크 가부시키가이샤K: silica, KSE-2045, manufactured by KINSEI TECH CORPORATION

· N : 실리카, NP-100, AGC 에스아이테크 가부시키가이샤N: Silica, NP-100, AGC manufactured by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 S : 알루미노규산염, 시르톤 JC-50, 미즈사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S: Aluminosilicate, Siruton JC-50, Mizusawa Kagaku Kogyo Co., Ltd.

어떤 구상 필러도 비정질이다. 또한, 구상 필러 「F5」, 「F7」,「H」, 「FE」, 「K」는 용융 실리카이고, 「N」은 구상의 실리카겔을 소성하여 무공화한 것이다.Any enamel filler is amorphous. The spherical fillers "F5", "F7", "H", "FE" and "K" are fused silica, and "N" is a spherical silica gel which is fired and fired.

표 1 중의 광택도는 JISZ8741 : 1997에 규정하는 60도 경면 광택, Gs (60 °)이고, 광택계(유니그로스 6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를 이용하여 측정 했다. 표면 조도(Ra)는 JIS B0601 : 1994에 규정된 산술 평균 조도(Ra)이며, 표면 조도 측정기(핸디서프, 가부시키가이샤 도쿄세이미츠)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인장 신도는 JIS K7127 : 1999에 규정된 방법으로 시험편 타입 2, 시험 속도 200 ㎜/분으로 측정한 응력/변형 곡선으로부터 인장 파괴 공칭 변형을 구했다.The gloss in Table 1 was measured using a gloss meter (Unigros 60, Konica Minolta K.K.) having a 60-degree specular gloss and Gs (60 deg.) Stipulated in JIS Z8741: 1997. The surface roughness (Ra) was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specified in JIS B0601: 1994,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roughness meter (Handysurf, Tokyo Seimitsu Co., Ltd.). The tensile elongation was determined from the stress / strain curve measured at a test speed of 200 mm / min using a test piece Type 2 by the method specified in JIS K7127: 1999.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비교예 1과 실시예 1 ~ 10을 비교하면, 실시예의 필름에서는 광택도가 낮고, 표면 조도(Ra)가 크며, 필름 표면이 조면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필름에서는 육안관찰에 의해서도 매트톤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 10의 필름에서는 비교예 1 보다 필름의 인장 신도가 저하되어 있지만, 어떤 실시예에서도 15 %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구상 필러의 배합에 의한 기계적 특성의 저하가 실용적으로 충분한 범위로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1 with Examples 1 to 10, it can be seen that the films of Examples have low gloss, high surface roughness (Ra), and roughened film surfa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a matte tone was imparted to the film of the examples by visual observ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ilms of Examples 1 to 10,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film was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However, in any of Examples, the film retained 15% or more, and the decrease in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mixing of the spherical filler was practically sufficient . ≪ / RTI >

비교예 2와 실시예 6을 비교하면 미연신의 비교예 2에서는 광택도가 낮고, 표면 조도(Ra)가 크지만, 인장 신도가 작았다. 2축 연신된 실시예 6에서는 광택도가 보다 낮고, 표면 조도(Ra)가 보다 커지고, 또한 실용에 충분한 인장 신도가 얻어졌다.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6 were com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which was not drawn, the gloss was low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was large, but the tensile elongation was small. In Example 6 in which biaxial stretching was carried out, the gloss was lower, the surface roughness (Ra) was larger, and the tensile elongation sufficient for practical use was obtained.

비교예 3 및 실시예 1 ~ 10을 비교하면 입자직경이 큰 용융 실리카를 이용한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보다 큰 표면 조도(Ra)가 얻어졌지만, 인장 신도가 작았다. 이는 비교예 3의 용융 실리카가, 필름 두께 50 ㎛에 대해 최대로 입자직경 67 ㎛의 입자를 포함하므로, 보다 작은 연신으로 필름이 파단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s 1 to 10, in Comparative Example 3 using fused silica having a large particle diameter, surface roughness (Ra) was larger than in Examples, but tensile elongation was small.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fused silica of Comparative Example 3 contained particles having a maximum particle size of 67 mu m with respect to the film thickness of 50 mu m, and thus the film was broken by smaller elongation.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다층 필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multilayer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층의 조성은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했다. 제2 층에는 제1 층과 동일한 SPS에 구상 필러를 배합하지 않고 사용했다. 제1 층 및 제2 층의 원료를 각각 혼련하고, 2 층 성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290 ℃에서 용융 공압출 후, 냉각하여 전구체 2 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전구체 2 층 필름을 실시예 1 ~ 10과 동일한 조건에서 동시 2축 연신 및 열 고정하여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동시 2축 연신 SPS계 2 층 필름을 얻었다.The composition of the first layer wa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8. In the second layer, a spherical filler was not added to the same SPS as the first layer. The raw material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were kneaded, melt-co-extruded at 290 캜 using a two-layer molding extruder, and cooled to obtain a precursor two-layer film. This precursor two-layer film was subjected to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nd heat sett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s 1 to 10 to obtain a simultaneous biaxially stretched SPS type two-layer film of Example 11 and Example 12. [

표 2에,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2 층 필름의 제조 조건, 두께, 제1 표면의 광택도 및 표면 조도(Ra) 및 인장 신도를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ickness, gloss and surface roughness (Ra) and tensile elongation of the two-layer film of Example 11 and Example 12, respectively.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2에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는 실시예 8과 동등한 광택도 및 표면 조도(Ra)의 제1 표면을 갖고, 실시예 8보다 큰 인장 신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인장 신도의 측정에서 2 층 필름이 파단에 이르기까지 제1 층이 파단되는 일은 없었다.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Examples 11 and 12 have a first surface with a gloss and surface roughness (Ra) equal to those of Example 8, and have a tensile elongation greater than that of Example 8. [ Further, in the measurements of tensile elongation in Examples 11 and 12, the first layer was not broken until the two-layer film reached the fracture.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본 발명의 조면화된 폴리스티렌계 필름 및 다층 필름은 에폭시 수지제 프린트 기판 등 성형시의 이형 필름, 특히 전사 기능을 갖는 이형 필름(전사 필름)으로서 특히 유용하지만 그 용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형 필름로서의 용도 외에, 조면이 필요로 되는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다. 또한,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피성형 재료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 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성형에 이용 가능하다.The roughened polystyrene type film and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cularly useful as a release film during molding such as an epoxy resin printed substrate, particularly a release film (transfer film) having a transfer function, but it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its use as release films, it is useful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where roughening is required. In addition, even when used as a release film, the type of plastic constituting the molding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poxy resin, phenol resin, melamine resin, urea resin, alkyd resin, polyimide resin, An 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nd the like.

10, 20: 다층 필름 11: 제1 층
12, 22: 제2 층 23: 제3 층
15: 제1 표면 16, 26: 제2 표면
10, 20: multilayer film 11: first layer
12, 22: second layer 23: third layer
15: first surface 16, 26: second surface

Claims (9)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2축 배향되고,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조도(Ra)가 0.8 ㎛ 이상, 인장신도가 15 % 이상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A syndiotactic polystyrene type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Biaxially oriented,
A polystyrene film having a gloss of 30% or less,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m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of 15%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필러가 비정질 실리카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filler is amorphous silic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필러가 용융 실리카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herical filler is fused silic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필러는 최대직경이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두께 미만이고, 메디안 직경(d50)이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두께의 6 % 이상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pherical filler has a maximum diameter of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and a median diameter (d50) of 6%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polystyrene-based fil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필러의 배합량이, 수지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mount of the spherical filler to be blended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필러의 배합량이,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폴리스티렌계 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mount of the spherical filler to be blended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광택도가 30 % 이하, 표면 조도(Ra)가 0.8 ㎛ 이상인 제1 표면을 구성하고,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구상 필러를 함유하고, 2축 배향된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층을 갖고,
인장신도가 15 % 이상이고, 또한 인장 변형이 15 % 미만일 때 상기 제1 층이 파단되지 않는, 다층 필름.
A biaxially oriented first layer containing a syndiotactic polystyrene type resin and a spherical filler and constituting a first surface having a gloss of 30% or less and a surface roughness (Ra) of 0.8 탆 or more,
And at least one resin lay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ayer,
Wherein the first layer is not broken when the tensile elongation is 15% or more and the tensile strain is less than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에 인접하는 수지층이, 상기 제1 층과 동일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상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층보다 적은, 또는 구상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다층 필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sin layer adjacent to the first layer is made of the same syndiotactic polystyrene resin as the first layer and the content of the spherical fill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layer or does not include a spherical filler, .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이 대전방지층에 의해 구성되는, 다층 필름.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constituted by an antistatic layer.
KR1020170142441A 2016-11-16 2017-10-30 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KR1023930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3362A JP6777508B2 (en) 2016-11-16 2016-11-16 Polystyrene film and multilayer film
JPJP-P-2016-223362 2016-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695A true KR20180055695A (en) 2018-05-25
KR102393034B1 KR102393034B1 (en) 2022-04-29

Family

ID=6215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41A KR102393034B1 (en) 2016-11-16 2017-10-30 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77508B2 (en)
KR (1) KR102393034B1 (en)
CN (1) CN108068300B (en)
TW (1) TWI74441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038A (en) 2020-03-27 2022-11-17 엠오티피 엘엘씨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185A (en) 2018-06-08 2021-02-17 구라시키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Release film and release film manufacturing method
TWI784191B (en) * 2018-08-24 2022-11-21 日商住友電木股份有限公司 Rele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255A (en) * 1998-03-26 1999-10-25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Styrene-based resin inflation film, the laminates thereof and the container formed by using the same
JP2001168117A (en) 1999-12-06 2001-06-22 Idemitsu Petrochem Co Ltd Release film for sealing semiconductor element and method or sealing semiconductor element using the same
JP2001310428A (en) 2000-04-28 2001-11-06 Idemitsu Petrochem Co Ltd Laminated film and its application
KR20050072756A (en) * 2002-10-08 2005-07-12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Heat-schrinkable film
JP2009235321A (en) * 2008-03-28 2009-10-15 Teijin Ltd High insulation film
JP2011000468A (en) 2010-10-01 2011-01-06 Sanyo Product Co Ltd Game machine
JP2013216779A (en) 2012-04-09 2013-10-24 Kurabo Ind Ltd Transfer film
JP2013215989A (en) 2012-04-09 2013-10-24 Kurabo Ind Ltd Release film and transfer film using the same
JP2014226785A (en) 2013-05-17 2014-12-08 出光興産株式会社 Mold release film
JP2016000467A (en) 2014-06-11 2016-01-07 倉敷紡績株式会社 Polystyrene-based film having rough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995B2 (en) * 1992-08-10 2001-07-23 東洋紡績株式会社 Polystyrene-based biaxially stretched film
JPH08157666A (en) * 1994-12-07 1996-06-18 Idemitsu Petrochem Co Ltd Poly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polystyrene oriented film
JP2011104986A (en) * 2009-10-21 2011-06-02 Idemitsu Kosan Co Ltd Release film for manufacturing ceramic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lease film recycling method
JP2011094268A (en) * 2009-10-30 2011-05-12 Idemitsu Kosan Co Ltd Release film for producing synthetic leather
US20160290083A1 (en) * 2013-12-26 2016-10-06 Kureha Corporation Downhole tool or downhole tool member, 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covering hydrocarbon resour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255A (en) * 1998-03-26 1999-10-25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Styrene-based resin inflation film, the laminates thereof and the container formed by using the same
JP2001168117A (en) 1999-12-06 2001-06-22 Idemitsu Petrochem Co Ltd Release film for sealing semiconductor element and method or sealing semiconductor element using the same
JP2001310428A (en) 2000-04-28 2001-11-06 Idemitsu Petrochem Co Ltd Laminated film and its application
KR20050072756A (en) * 2002-10-08 2005-07-12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Heat-schrinkable film
JP2009235321A (en) * 2008-03-28 2009-10-15 Teijin Ltd High insulation film
JP2011000468A (en) 2010-10-01 2011-01-06 Sanyo Product Co Ltd Game machine
JP2013216779A (en) 2012-04-09 2013-10-24 Kurabo Ind Ltd Transfer film
JP2013215989A (en) 2012-04-09 2013-10-24 Kurabo Ind Ltd Release film and transfer film using the same
JP2014226785A (en) 2013-05-17 2014-12-08 出光興産株式会社 Mold release film
JP2016000467A (en) 2014-06-11 2016-01-07 倉敷紡績株式会社 Polystyrene-based film having rough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038A (en) 2020-03-27 2022-11-17 엠오티피 엘엘씨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68300B (en) 2021-11-30
JP6777508B2 (en) 2020-10-28
CN108068300A (en) 2018-05-25
TWI744412B (en) 2021-11-01
KR102393034B1 (en) 2022-04-29
TW201829562A (en) 2018-08-16
JP2018080261A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695A (en) Polystylene-based film and multilayer film
JP2006312263A (en) Laminated mat-like polyester film
US20110159259A1 (en) Molded Article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907786B2 (en) Transfer film
WO2019049922A1 (en) Base material film for flat cables and insulating film for flat cables using same
JP2013103368A (en) Multi-layer film
JP2019529154A (en) Multi-layer sheet for thermoforming with improved slugging resistance
KR102218811B1 (en) Mold-release film
JP6424474B2 (en) Reflective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lighting device, decorative article
TW201924913A (en) Electrically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5896753B2 (en) Release film production method
JP6574667B2 (en) Thermal conductive sheet, thermal conductive sheet laminate, and thermal conductive sheet molded body
JP6508884B2 (en) Polystyrene-based release film having rough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404604B2 (en) Polystyrene film having rough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99076B2 (en) Resin composite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98925B2 (en) Multilayer film
JP6207268B2 (en) Polystyren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43452B2 (en) Refl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ghting device, and decorative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2016198950A (en) Resin laminated plate and resin laminated plate molding
WO2015008334A1 (en) Plastic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5190386A1 (en) Polystyrene release film having rough surfa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TW201643476A (en) Reflective film, as well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llumination device, and decorative product provided with same
JP2017149804A (en) Film
JP7300920B2 (en) resin sheet
JP2010129964A (en) Sheet for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reinforcement, and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