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329A -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329A
KR20180055329A KR1020160153037A KR20160153037A KR20180055329A KR 20180055329 A KR20180055329 A KR 20180055329A KR 1020160153037 A KR1020160153037 A KR 1020160153037A KR 20160153037 A KR20160153037 A KR 20160153037A KR 20180055329 A KR20180055329 A KR 2018005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compound
vehicle window
formula
we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도파
Original Assignee
왕도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도파 filed Critical 왕도파
Priority to KR102016015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329A/ko
Publication of KR2018005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의 광 조건에 따라 광 투과성이 조절되어 시인성이 강화되고,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개선된 차량용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Vehicle Windows Having Controllable Light Transmittance}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의 광 조건에 따라 광 투과성이 조절되어 시인성이 강화되고,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개선된 차량용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도우용 유리는 일반적으로 유리 등의 투명 재료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량 내로 통과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윈도우용 유리 고유의 특성 상 광 투과성을 나타내므로 운전 중에 운전자 및/또는 승객의 눈부심을 야기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 내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블로킹하기 위하여 선 바이저를 설치하거나, 윈도우의 전면에 광 투과율이 낮은 필름층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 바이저는 운전 조작 중에 별도의 수동 조작을 통하여 태양광을 차단해야 하는 바, 단순히 눈부심만을 해결하고 있을 뿐, 태양광 대부분은 차량 내로 입사되어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손상 등의 문제는 실질적으로 완화하기 곤란하다. 또한, 운전 중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방향에 따라 수동 조작을 수반하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는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선 바이저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외부의 물체를 부분적으로 가리게 되어 시야를 좁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윈도우에 낮은 광 투과율의 필름층을 형성하는 기술의 경우, 차량의 윈도우에 태양광의 일부을 차단하기 위하여 유색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태양광의 량에 관계없이 일정 비율의 태양광을 차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야간 또는 흐린 날에는 시야가 어두워지므로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친다. 이 때문에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태양광 차단 효과를 갖는 유색 필름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프라이버시를 중요시하는 경향에 따라 이러한 규정을 다수 위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처럼, 태양광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은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광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코팅층 또는 필름 관련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예를 들면, 포장재의 내용물을 태양광 등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포장재 제조용 필름의 투과광의 강도를 조절하는 필름도 알려져 있으나, 주변 광량에 대하여 신속한 응답 특성이 요구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적용하기는 곤란한 측면이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유리 표면을 투과하는 광의 량을 조절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으나, 인위적으로 전기를 인가하는 등의 부가적인 조작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제조 및 적용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변 환경의 태양광의 강도에 따라 양호한 응답 특성을 나타내면서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을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코팅 작업만으로도 구현 가능한,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을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주변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로서,
유리 판넬;
상기 유리 판넬 상에 도포된 접착층;
상기 접찹층 상에 부착된 필름층;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감압 접착제 재질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의 두께는 5 내지 500 ㎛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5 내지 1 mm 범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유기 용매 40 내지 70 중량%,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 15 내지 40 중량% 및 상기 감광성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용매는 C1 내지 C3의 알코올, 케톤계 용매 및 아세테이트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비닐계 고분자, 에폭시계 고분자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용 조성물의 도포는 스핀(spin) 코팅, 바(bar) 코팅, 딥(dip) 코팅, 플로우(flow) 코팅, 스프레이(spray) 코팅, 잉크젯(ink jet) 코팅 또는 슬릿(slit) 코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 상에 TiO2, WO3, MoO3 및 Nb2O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 산화물에 Cr, Fe 또는 Ni이 도핑된 금속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제공되는 차량용 윈도우는 유리 판넬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필름 층을 형성하고, 이에 간단한 코팅을 수행하는 작업만으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주변 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의 변화에 대한 응답 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터널 등과 같이 갑자기 입사 광의 량이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도 신속하게 원하는 광 투과성을 나타내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광범위한 적용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주변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의 층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별 구성에 관한 세부 사항은 후술하는 관련 기재의 구체적 취지에 의하여 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한다"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는 용어는 특정 대상과 접촉된 상태뿐만 아니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감광성 화합물"은 광의 작용에 의하여 화합물 구조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태양광 등의 조사에 의하여 색상이 투명색 및 암색으로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주변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의 층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차량용 윈도우는 크게 유리 판넬(11), 접착층(12) 및 필름층(13) 및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14)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판넬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유리 판넬(11)은 차량용 윈도우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광 투과성은 후술하는 감광성 화합물-함유 코팅층(14)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유리 판넬(11)은 가급적 높은 광 투광성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유리 판넬(11)의 광 투과도는 적어도 약 95%,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98%,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99.5%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 판넬(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1 내지 10 mm, 구체적으로 약 2 내지 8 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7 mm 범위일 수 있다.
접착층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접착층(12)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투명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감압접착제 재질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갑압 접착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경화제 및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감압 접착제 성분 중 아크릴계 고분자는, 예를 들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된 고분자일 수 있는 바,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카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마레이산, 이타콘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는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그룹을 함유하는 단량체,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시딜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경화제의 경우, 아크릴계 고분자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 및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예를 들면, 디페닐메탄 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isocyanate), 자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헥사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 diisocyanate)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liphatic diisocyanate) 등); 에폭시계 화합물(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ylol propane triglycidyl ether) 등);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사이드 금속염; 아민 화합물; 히드리진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접착제층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0.3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약 0.5 내지 4 중량% 범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제는 후술하는 필름층이 분리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분자 내에 알콕시 실릴기(alkoxy silyl group)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화합물로 점착 조성물과 상용성이 양호하고 광투과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커플링제로서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vinyl-trimethoxy silane),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vinyl-triethoxy silane), 비닐 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vinyl tris(2-methoxyethoxy)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3-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3-aminopropyl triethoxy silane), N-페닐-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N-phenyl-3-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커플링제는 접착제층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0.5 내지 6 중량%, 구체적으로 약 0.8 내지 5 중량% 범위로 사용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층(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약 10 내지 50 ㎛,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40 ㎛, 보다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30 ㎛ 범위일 수 있다.
필름층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필름층(13)은 감광성 화합물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바, 기재(또는 기재층)에 해당된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13)은 고분자계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및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3)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층 구조로 형성할 경우에는 공압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이염기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필름층(13)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3 내지 400 ㎛,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300 ㎛,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200 ㎛ 범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상술한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측의 접착층(12)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
일 구체예에 따르면, 차량용 윈도우의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14)이 도포된다.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
이와 관련하여, 광량에 따라 가역적으로 전환 가능한 감광성 물질로서, 예를 들면 염화 은(AgCl), 염화구리(CuCl)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는 식품 등의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기 위한 포장재에 적용하는데 적합하나, 광량 변화에 따른 응답 특성 면에서 차량용 윈도우에 적합한 수준을 달성하기 곤란하다. 즉, 차량용 윈도우에 적용되어 주변 환경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신속한 응답 특성이 요구되며, 특히 차량이 터널 등의 어두운 환경의 공간으로 진입 시 신속하게 광 투과량을 증가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원하는 감광성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전술한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경우, 차량용 윈도우에 적합한 감광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2종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각각의 화합물 고유의 광 투광능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운전에 적합한 광 투광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때 혼합 비(중량 기준)는, 예를 들면 약 50 : 50 내지 90 : 10, 구체적으로 약 60 : 40 내지 85 : 15, 보다 구체적으로 약 65 : 35 내지 80 : 20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때 혼합 비(중량 기준)는, 예를 들면 약 40 : 60 내지 80 : 20, 구체적으로 약 50 : 50 내지 70 : 30, 보다 구체적으로 약 55 : 45 내지 65 : 35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때 혼합 비(중량 기준)는, 예를 들면 약 60 : 40 내지 95 : 5, 구체적으로 약 65 : 35 내지 90 : 10, 보다 구체적으로 약 70 : 30 내지 85 : 15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전술한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은 투명한 특성을 나타내는 바, 이들 각각의 화합물이 태양광(또는 가시광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하기 반응식 1 내지 4에서와 같이 어두운 색상을 나타내게 되어 광 투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9
[반응식 2]
Figure pat00010
[반응식 3]
Figure pat00011
[반응식 4]
Figure pat00012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유기 용매 약 40 내지 70 중량%(구체적으로 약 45 내지 6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 약 15 내지 40 중량%(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3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30 중량%) 및 감광성 화합물 약 10 내지 25 중량%(구체적으로 약 12 내지 22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기 용매는 C1 내지 C3의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케톤계 용매(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메소이소부틸케톤 등) 및 아세테이트계 용매(예를 들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등)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비닐계 고분자, 에폭시계 고분자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스핀(spin) 코팅, 바(bar) 코팅, 딥(dip) 코팅, 플로우(flow) 코팅, 스프레이(spray) 코팅, 잉크젯(ink jet) 코팅 또는 슬릿(slit) 코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코팅 방식에 적합하도록 상기 코팅용 조성물의 점도는 약 40 내지 120 cP,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100 cP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팅 단계가 종료하면, 코팅층은, 예를 들면 약 70 내지 150℃, 구체적으로 약 90 내지 140℃,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0 내지 130℃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 시간은, 예를 들면 약 30 내지 200분, 구체적으로 약 40 내지 150분, 보다 구체적으로 약 70 내지 110분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의 두께는 약 0.05 내지 1 mm,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0.9 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0.2 내지 0.8 mm 범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코팅층은 차량의 측면 윈도우에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 차량 앞면 윈도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에 불과하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되는 태양광의 량에 따라 가역적으로 광 투과량이 변화하도록 하는 코팅층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재 필름 상에 감광성 화합물의 코팅층을 도포한 샘플을 제조하여 테스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된 코팅용 조성물의 경우, 유기 용매로서 이소프로판올 및 MEK를 1 : 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감광성 화합물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2 각각으로 표시된 화합물을 7 : 3의 비(중량 기준)로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으로 PMMA를 사용하였다. 코팅 조성물 중 유기 용매는 64 중량%,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은 18 중량%, 그리고 감광성 화합물은 18 중량%이었다.
또한, 코팅액 조성물이 도포되는 기재 필름으로서 PET 필름(두께 150 ㎛)을 사용하였으며, 스핀 코팅(500 rpm 조건)에 의하여 기재 필름 상에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였다(두께 0.15 mm).
상기 제조된 코팅 필름에 대하여 태양광의 노출 및 비노출을 20초 간격으로 10회 반복하면서 광 투과도를 측정하였고, 노출-비노출의 반복에 따른 광 투과 정도에 따라 차량용 윈도우에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때, 광 투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도계를 사용하였다.
테스트 결과, 태양광에 노출 시 약 10초 경과 후에 코팅 층의 광 투과도가 약 40%까지 감소하였다. 이후, 태양광의 비노출 시 원래의 투명성을 회복하는데 약 25초 정도 소요되었다.
따라서, 차량이 터널로 진입한 후에는 투명성이 강화되어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반면, 터널로부터 빠져 나오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상을 나타내어 태양광으로부터 시야가 방해되는 정도는 미미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1)

  1. 주변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로서,
    유리 판넬;
    상기 유리 판넬 상에 도포된 접착층;
    상기 접찹층 상에 부착된 필름층;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감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감압 접착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의 두께는 5 내지 50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5 내지 1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유기 용매 40 내지 70 중량%,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 15 내지 40 중량% 및 상기 감광성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C1 내지 C3의 알코올, 케톤계 용매 및 아세테이트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성분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비닐계 고분자, 에폭시계 고분자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을 중량 기준으로 50 : 50 내지 90 : 10의 혼합 비(중량 기준)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을 중량 기준으로 40 : 60 내지 80 : 20의 혼합 비(중량 기준)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감광성 화합물을 중량 기준으로 65 : 35 내지 90 : 10의 혼합 비(중량 기준)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KR1020160153037A 2016-11-17 2016-11-17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KR20180055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37A KR20180055329A (ko) 2016-11-17 2016-11-17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37A KR20180055329A (ko) 2016-11-17 2016-11-17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29A true KR20180055329A (ko) 2018-05-25

Family

ID=6229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037A KR20180055329A (ko) 2016-11-17 2016-11-17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3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8814A1 (en) Optical filter with light source
KR101153061B1 (ko) 적층체
DE60222156T2 (de) Polymerische elektrochrome vorrichtungen
TWI529230B (zh) 附黏著劑之樹脂膜及使用該樹脂膜之光學積層體
JP2021036323A (ja) 可変透過率層を含む光学フィルタ
US8885242B2 (en) Variable transmission electrochromic window and associated aircraft window system
EP1506985A1 (en) Near infrared absorp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WO2007042019A1 (de) Schichtanordnung zur abdunklung einer transparenten scheibe
WO2009057980A2 (en)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photochromic films
CN109648956B (zh) 光致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DE102009006591A1 (de) Haftklebemasse
JP2007106826A (ja) 紫外線・赤外線遮断塗料
KR20100013741A (ko) 졸-겔 법에 의한 스피로피란 함유 광변색 코팅막의제조방법
KR20180055329A (ko) 조절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차량용 윈도우
KR101564324B1 (ko) 열 차단용 코팅액,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 차단 필름
CN103302934B (zh) 一种防污调光隔热膜
CN214571652U (zh) 一种防蓝光抗紫外线保护膜
EP4324823A1 (en) Anthraquinone compou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said compound, and dimming element
CN112552770A (zh) 具有防红外功能的多功能组合物及多功能膜
JP5701552B2 (ja) 近赤外線吸収色素及び近赤外線遮断フィルター
JP6156786B2 (ja) 熱線遮蔽材料
DE102005048743B4 (de) Transperente selbstklebende Kunststofffolie
JPH0881567A (ja) 遮熱シート
US11230662B2 (en) Thiol-ene formulation for electrochromic devices, device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JPH082651Y2 (ja) 調光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