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273A -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273A
KR20180055273A KR1020160152915A KR20160152915A KR20180055273A KR 20180055273 A KR20180055273 A KR 20180055273A KR 1020160152915 A KR1020160152915 A KR 1020160152915A KR 20160152915 A KR20160152915 A KR 20160152915A KR 20180055273 A KR20180055273 A KR 20180055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
application
information
network traffic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689B1 (ko
Inventor
유금환
김태구
장우석
허준영
박규준
서원희
이우광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689B1/ko
Priority to US15/815,015 priority patent/US10785676B2/en
Publication of KR2018005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Individual queue per connection or flow, e.g. per 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rule)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처리 규칙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용할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발달로 전자 장치의 통신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사진 파일, 비디오 및 음악 스트리밍 데이터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FIFO 방식의 기본 트래픽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중요도가 낮은 프로세스가 네트워크를 과다하게 점유할 수 있었다.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기저 대역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무선 전파로 송수신될 때까지 네트워크 트래픽을 저하시키는 요소는 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트래픽 저하는 파일 전송 속도 저하, 스트리밍 영상 버퍼링 발생 및 웹 페이지 로딩 지연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더 빨리 처리할 수 있다면, 트래픽 저하가 다소 줄거나, 사용자가 트래픽 저하를 덜 체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rule)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처리 규칙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용할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트래픽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및 장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 중에서 상기 앱 정보 및 상기 장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TCP 프로토콜 데이터 트래픽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TCP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TCP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를 위한 특수 패킷이면, 상기 특수 패킷에 다른 패킷보다 빠른 네트워크 처리 순서를 부여하고, 상기 TCP 데이터 패킷이 상기 특수 패킷이 아니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에 상기 특수 패킷보다 느린 네트워크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제어함에 따라 중요도가 높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호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변 장치별 선호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변 장치별 선호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 정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TCP/IP 양방향 통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의 패킷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양방향 통신의 패킷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호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변 장치별 선호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메모리(100), 통신 모듈(200)(또는, 통신 회로), 센서 모듈(300)(또는 센서), 입력 모듈(400) 및 프로세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0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00)는 룰 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룰 체인은 주제별(또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제어 규칙들의 집합으로서, 기본 룰 그룹 및 복수의 확장 룰 그룹 예컨대, 제1 내지 제4 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기본 룰 그룹 및 제1 내지 제4 룰 그룹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하(도1a 내지 도 10)에서 설명되는 룰 및 룰 체인 및 복수의 룰 그룹들은 전자 장치(10)(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명시적으로 구분된 명령 또는 데이터로 작성(구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명에서 기술하는 각 룰(예: 상황 별 네트워크 트래픽의 제어 규칙)의 동작은 트래픽 제어기(510) 상에 순차 코드(예: 분기문)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에서 동작하는 룰 그룹은 개념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본 룰 그룹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이 많을수록 빠른 처리 순서를 지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발생량은 통신 모듈(200)에 포함된 각 송수신기의 단위시간(예: 1시간)당 평균(또는 누적된) 패킷 송수신량으로서, 프로세서(5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기본 룰 그룹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는 규칙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제2 내지 제4 룰 그룹의 규칙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중간 우선순위 또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룰 그룹은 히든 룰(hidden rule)을 포함할 수 있다. 히든 룰은 사용자에 공개되지 않는 룰로서, 장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룰일 수 있다. 제1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은 사용자의 설정이 없어도 디폴트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각 규칙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서, 히든 룰은 실시간성 확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커널(520) 상의 우선순위가 다른 복수의 우선순위별 큐(예: 데이터 송수신 통신 큐) 중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제1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별 큐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패킷의 처리 우선순위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그 중에서, 제1 큐는 트래픽 제어 명령의 처리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큐일 수 있다. 이하에는 우선순위별 큐가 제1 내지 제3 큐를 포함하고, 각 큐는 순차적인 우선순위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실시간성 확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영상 통화(예: VT call), 음성 통화(예: VoLTE, VoWifi), 음원 또는 동영상 스트리밍(예: You Tube를 통한 음원 또는 동영상 재생 등) 및/또는 문자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히든 룰은 양방향 통신의 특수 패킷을 제1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 패킷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예: TCP 프로토콜)의 제어용 패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패킷은 제어 플래그(URG, ACK, PSH, RST, SYN, FIN 등)를 포함하거나, Reserved된 패킷일 수 있다. 상기 특수 패킷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예: TCP 프로토콜)의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량 조절(또는 최적화)를 위해 프로세서(500)가 네트워크로 내보내는 패킷 중에서 선별된 것일 수 있다. 제3 실시예로서, 히든 룰은 제조사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1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의 컨셉(concept)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가 동영상 스트리밍을 강조하는 컨셉일 경우, 히든 룰은 동영상 스트리밍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1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룰 그룹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설명된 규칙은 순차적인 처리 순서(제1 실시예의 규칙> 제2 실시예의 규칙>제3 실시예의 규칙)를 가질 수 있다. 제1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의 처리 순서는 이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처리 순서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가 각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제어 명령(traffic control command)을 생성(또는 송신)하는 순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룰 그룹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규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들은 사용자 설정이 없어도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는 규칙일 수 있다. 이하, 각 규칙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서, 제2 룰 그룹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고정적으로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큐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제어 명령의 처리 우선순위가 두 번째로 높은 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룰 그룹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고정적으로 제3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큐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제어 명령의 처리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큐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제2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가 주변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에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장치는 가상현실 체험기기(예: 삼성 기어 VR), 드론(dr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이 전자 장치(10)의 통신 모듈(200)에 유/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룰 그룹에 포함된 제1 내지 제2 실시예로 설명된 규칙은 순차적인 처리 순서(제1 실시예의 규칙> 제2 실시예의 규칙)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제2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의 처리 순서는 해당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룰 그룹은 사용자의 기호 및 전자 장치(10)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은 디폴트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용되는 규칙일 수 있다. 이하, 제3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사용자 선호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능별로 분류하는 카테고리로서, 예를 들어, 구글(google)의 앱 카테고리를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는 게임, 교육, 금융, 날씨, 건강/운동, 지도/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 선호 카테고리는 전자 장치(10)에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는 선호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예: 게임, 교육, 금융, 네비게이션,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설정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지정된 트래픽 한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 설정된 허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트래픽은 차단(또는, 제한)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한도는 예를 들어, 통신 정보(예: SMS, 통신사 사이트, 통신사 앱 등)로부터 확인된 통신요금제에 따른 임계한도일 수 있다. 임계한도는 높은 요금제에 따라 높거나, 낮아질 수 있으며, 통신사 사이트 및 통신사 앱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트래픽 한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한도 미만의 값일 수도 있다. 제3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의 특정 상황(예: 이동중)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의 이동중 상황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지도/내비게이션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의 운동중 상황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건강/운동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4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의 특정위치(예: 집, 회사, 학교 등)에서 기호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에 테더링 기능(또는 모바일 핫스팟(Mobile hotspot) 기능)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를 통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여러 주변 장치에 대해 사용자 설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제2 큐의 할당 한도 초과시에 제3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에 연결된 주변 장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의 선호도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결된 주변 장치 중 하나의 주변 장치(예: Samsung TV)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큐(예: 제1 큐 또는 제2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제6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에 지정된 모드(예: 카 모드, 키즈 모드, 보안 모드)일 때 해당 모드에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배정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 모드(Car mode)는 운전중 사용자가 전자 장치(10)의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설정된 모드로서, 카 모드의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지도/네비게이션 카테고리의 내비게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키즈 모드(Kids mode)는 어린이가 전자 장치(10)를 사용하는 모드로서, 키즈 모드에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19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접속을 차단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보안 모드(Private or guest mode)는 전자 장치(10)의 소유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임시로 전자 장치(10)를 사용할 때 설정되는 모드로서, 보안 모드에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모드별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제7 실시예로서, 제3 룰 그룹은 사용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룰 그룹에 포함된 제1 내지 제7 실시예로 설명된 규칙은 순차적인 처리 순서(제1 실시예의 규칙> 제2 실시예의 규칙> 제3 실시예의 규칙> 제4 실시예의 규칙> 제5 실시예의 규칙> 제6 실시예의 규칙> 제7 실시예의 규칙)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제3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의 처리 순서는 해당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4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의 소모전류 및/또는 발열 최소화를 위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은 배터리 잔량, 절전 모드 또는 초 절전 모드, 발열 상태 등과 같은 전자 장치(10)의 상황에 따라 설정이 변경되는 규칙일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제4 룰 그룹은 전자 장치(10)의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미만이면, 히든 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잔량은 예를 들어, 총 배터리 용량의 지정된 비율(예: 10%)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제4 룰 그룹은 절전 모드 또는 초 절전 모드에 따라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룰 그룹은 절전 모드에서 히든 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4 룰 그룹은 초 절전 모드에서 히든 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높은 처리 우선순위 또는 지정된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값의 애플리케이션(예: 실시간성)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4 룰 그룹은 전자 장치의 발열 온도가 특정 임계값 이상이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00)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순위 제어를 위한 현재 룰 집합(current rule set)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현재 룰 집합은 프로세서(500)가 룰 체인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한 적용 규칙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룰 집합은 룰 체인에서 적용할 규칙들의 집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500)가 룰 체인으로부터 현재 룰 집합을 선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프로세서(50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통신 모듈(200)은 이동통신, WiFi, 블루투스 등의 다양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은 3G, 4G(LTE), GSM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00)은 프로세서(500)의 지시에 따라 전자 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트래픽은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패킷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00)은 전자 장치(10)에 연결된 주변 장치 연결에 대한 통신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 모듈(300)은 배터리 센서(또는, 배터리 잔량 감지 회로), 온도 센서, GPS 모듈,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전계 감지 회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는 전자 장치(1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전자 장치(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GPS 모듈은 GPS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의 현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전계 감지 회로는 전계 정보(예: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계 정보는 통신 모듈(200)의 RSSI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사용자 터치의 영역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입력 모듈(400)의 일부(예: 터치 패널)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0)은 전자 장치(10)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정보는 배터리 잔량, 위치 정보, 전계 정보 및 환경 정보(예: 조도, 터치(예: grip) 여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0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지털) 펜 센서, 키,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400)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순위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전자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00)는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앱 정보는 애플리케이션별 트래픽 발생량, 실행 상태, 특성, 종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센서 모듈(300)로부터의 감지 정보 및 통신 모듈(200)로부터의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 특정 위치, 특정 모드, 로우 배터리, 트래픽 한도 도달, 주변 장치 연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모드는 전자 장치(10)에 설정된 모드를 확인함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로우 배터리는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값 이하인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입력 모듈(400)을 통한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 선호 주변 기기, 위치별 선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호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00)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는 기본 룰 그룹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을 확인하고,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순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임시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임시 결정한 후 제1 내지 제4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는 제1 내지 제4 룰 그룹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연결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에 대응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제어기(510)는 선별된 규칙과 메모리(100)에 현재 룰 집합에 따른 규칙을 비교하고 상이하면, 메모리(100)에 저장된 현재 룰 집합의 규칙을 추가 또는 삭제함에 따라 선별된 규칙에 대응하도록 메모리(100)에 저장된 현재 룰 집합을 갱신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현재 룰 집합의 규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갱신된 현재 룰 집합의 규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우선순위(배정할 큐)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변경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에 따라 각 네트워크 트래픽을 송신하되, 결정된 처리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커널(예: 도 2의 520)의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제어 명령은 커널이 통신 모듈(200)에 포함된 송수신기별로 각기 우선순위별 큐를 할당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별 큐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입력함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제어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의 세부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상태 및 상황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트래픽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우선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프로세서와 상호 작용하는 구성요소의 일부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 2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내지 제3 큐를 포함하는 3개의 큐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우선순위별 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기(510)는 제1 모니터링부(511), 제2 모니터링부(513), 제3 모니터링부(515) 및 우선순위 제어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모니터링부(511), 제2 모니터링부(513), 제3 모니터링부(515) 및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application framework layer)에 위치하고,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니터링부(511)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세스(process))을 모니터링하고,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부(511)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 실행 상태, 특성(예: 실시간성), 종류(예: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발생량은 예를 들어, 일정기간(예: 1일) 동안의 평균(또는 누적) 패킷 송수신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는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 및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라운드 상태는 액티브(active) 상태와 인액티브(inactive)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상태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미도시)의 화면을 점유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미도시)의 화면을 점유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백그라운드 상태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미도시)의 화면을 점유하지 않으나 메모리(100)의 적어도 일부를 점유하는 상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별 우선순위는 포그라운드 액티브 상태, 포그라운드 인 액티브 상태, 백 그라운트 상태 순일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상 특성으로서, 예컨대 실시간성, 비실시간성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성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은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비디오 스트리밍, 문자, 메신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실시간성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메일 등일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헤더 정보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제1 모니터링부(511)는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패킷 중에서 특수 패킷을 별개로 선별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특수 패킷의 정보가 앱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 패킷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예: TCP 프로토콜)의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처리량 조절(또는 최적화)를 위해 네트워크로 내보내는 패킷 중에서 선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패킷은 Sync, ACK, PUSH, FIN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링부(511)는 지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정렬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세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처리 순서는 기본 룰 그룹의 규칙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순서일 수 있다. 상기 고유 정보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Process) ID, IP 주소(address) 및 포트 번호(Port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와 연관된 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니터링부(513)는 센서 모듈(300)의 감지 정보 및 통신 모듈(200)의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장치 상태 정보 및 장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위치 정보, 전계 정보 및 환경 정보(예: 조도, 터치(예: grip) 여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가 테더링(tethering) 또는 모바일 핫스팟(mobile hotspot)에 통하여 연결된 주변 장치의 개수 정보 및 지정된 트래픽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모니터링부(513)는 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주변 장치와의 연결 및 트래픽 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상태 정보는 전계 강도, 지정된 위치 여부, 지정된 상황(예: 이동중, 운동중) 여부, 로우(low) 배터리 및 특정 모드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가속도 센서의 감지 정보, GPS 모듈의 현 위치 및 전계 정보(예: 기지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의 이동중 여부, 운동중 여부 지정된 위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로우 배터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프로세서(500)의 모드 전환 사항을 확인하여 특정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위치는 입력 모듈(400)을 통하여 지정된 위치로서, 예를 들어, 집, 회사, 학교 등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상황은 예를 들어, 터치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미도시)의 화면에 대한 그립(grip)이 확인된 상항일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예를 들어, 절전 모드, 초 절전 모드 등과 같이 배터리 잔량과 관련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카 모드, 키즈 모드, 보안 모드와 같이 위치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모드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모니터링부(513)는 장치 연결 정보 및 장치 상태 정보 중에서 확인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 모니터링부(513)는 다른 장치 연결 및 장치 상태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을 제2 정보에 포함시키지 않고,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미만일 경우에 배터리 잔량을 제2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전계 강도가 낮을 경우, 전계 정보(예: 전계 강도)를 제2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모니터링부(513)는 전자 장치(10)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경우 위치 정보를 제2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니터링부(515)는 입력 모듈(400) 및 메모리(100)를 모니터링하여 그룹 단위 또는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사용자 설정된 선호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모니터링부(515)는 사용자 설정된 그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선호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및 선호 애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룰 체인에서 모니터링된 제1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룰 체인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앱 정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실시간성이 있음을 확인하면, 제1 룰 그룹에서 실시간성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또는 네트워크 패킷)을 제1 큐에 할당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장치 상태 정보로부터 전자 장치(10)가 이동중임을 확인하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이동중 상황에서 지도/내비게이션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더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모니터링부(511)에 의해 트래픽 발생량에 따른 처리 순서를 갖도록 정렬된 애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선별된 규칙에 따른 처리 순서에 맞추어 재정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앱 정보로부터 제1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과 같이 실시간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 양방향 통신의 특수 패킷을 수반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제조사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확인되면, 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상대적으로 빨리 처리되도록 처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순서는 실시간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 > 양방향 통신의 특수 패킷 > 제조사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순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통신의 특수 패킷은 앱 정보 중에서 종류(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통신의 대역폭 할당 등을 위한 트래픽(예: 특수 패킷)을 빨리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의 통신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성을 요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장치 컨셉에 따른 트래픽을 빨리 처리할 수 있어 트래픽 속도 저하를 사용자가 덜 체감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정보(예: 앱 정보) 및 제2 정보(예: 장치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행 상태가 포그라운드인 애플리케이션 및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면, 제1 룰 그룹에 포함된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이어 두 번째로 처리되도록 처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순서는 실행 상태가 포그라운드인 애플리케이션 및 연결된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순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더 빨리 처리될 수 있어, 사용자가 트래픽 속도가 향상된 것으로 느끼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정보(예: 앱 정보), 제2 정보(예: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정보) 및 제3 정보(예: 선호 카테고리, 위치별 선호 애플리케이션 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 선호 카테고리(예: 게임, 교육, 금융, 날씨 등)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①, 장치의 특정 상황(예: 이동중, 운동중)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②, 특정 위치(예: 집, 회사, 학교 등)에서 선호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③, 여러 주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 선호 주변 장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④ 특정 모드(예: 카 모드, 키즈 모드, 보안 모드)와 관련되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면,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제1 룰 그룹의 규칙 및 제2 룰 그룹의 규칙에 이어서 세 번째로 처리되도록 처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처리될 애플리케이션들의 처리 순서는 애플리케이션 ①, 애플리케이션 ②, 애플리케이션 ③, 애플리케이션 ④ 및 애플리케이션 ⑤와 같이 지정될 수 있다. 이는 하나에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기호나 상황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을 우선 처리함에 따라 네트워크 속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변경된 처리 순서에서 가장 앞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제어 명령부터 순차적으로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 명령은 커널(520)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으로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배정할 큐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일 수 있다. 트래픽 제어 명령은 커널(520)의 대역폭 관리를 위한 규칙 알고리즘(예: FIFO, PRIORITY, CLASSIFY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첫 번째로 처리될(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은 가장 높은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1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두 번째로 처리될(제2 룰 그룹의 규칙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과 세 번째로 처리될(제3 룰 그룹의 규칙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해서는 중간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2 큐에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2 큐에 대한 우선순위별 트래픽의 처리 한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낮은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3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별 트래픽 처리 한도는 커널(520)에 구비된 큐의 용량과 커널(520)의 처리성능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널(520)은 트래픽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 모듈(200)에 포함된 송수신기들 중에서 트래픽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송수신기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별 큐(queue)를 할당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별 큐는 우선순위 제어부(517)의 트래픽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각기 처리 우선순위가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이 각기 입력되는 제1 내지 제3 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커널(520)은 트래픽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룰 그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장 높은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1 큐에 입력하고, 제2 내지 제4 룰 그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중간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2 큐 또는 가장 낮은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제3 큐에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커널(520)은 트래픽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큐에 포함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장 먼저 처리하고, 제2 큐에 포함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두 번째로 처리하고, 제3 큐에 포함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장 나중에 처리할 수 있다. 커널(520)은 트래픽 제어 명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큐에 포함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는 도중에 더 높은 우선순위의 큐에 네트워크 트래픽이 수신되면, 낮은 우선순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는 것을 중단하고, 더 높은 우선순위의 큐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먼저 처리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각 네트워크 트래픽의 순차적인 처리 순서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커널의 트래픽 처리 순서로 제어할 수 있어, 네트워크 트래픽의 체감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정보(앱 정보), 제2 정보(예: 장치 상태 정보) 및 제3 정보(예: 차단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규칙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지정된 트래픽 한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사용자에 의해 차단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2 정보(예: 장치 상태 정보)로부터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3 정보로부터 절전 모드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제1 룰 그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3 정보로부터 초 절전모드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제1 룰 그룹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규칙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예: 실시간성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전자 장치의 발열 온도가 특정 임계값 이상이면, 제4 룰 그룹의 규칙에 따라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예: 제1 룰 그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성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 양방향 통신의 애플리케이션 및 제조사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중요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패킷이 빠르게 처리되록 함에 따라 체감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차단 알림을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알림을 확인한 사용자가 입력 모듈(400)을 통해 차단된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경우,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차단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커널(520)의 우선순위별 큐의 비율을 배분 및 조절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각 송수신기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총량을 제1 내지 제3 큐에 디폴트 비율로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큐의 디폴트 배분 비율은 10%, 30% 및 60%일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큐에 배정될 네트워크 트래픽의 양에 따라 제1 큐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큐의 비율이 증가된 만큼 제2 큐와 제3 큐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큐의 증가에 따른 제2 큐와 제2 큐의 비율을 감소 비율은 트래픽 제어의 성능 시험 등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중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예: 제1 룰 그룹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 처리를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 정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제1 모니터링부(511)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1~#5)의 고유 정보(고유 정보 #1~#5)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링부(511)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5개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출하고, 검출된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410에서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동작 420에서, 제1 모니터링부(511)는 검출된 5개의 애플리케이션(#1~#5)의 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모니터링부(511)는 기본 룰 그룹에 기반하여 앱 정보 중에서 트래픽 발생량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부(511)는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순서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순서보다 앞서도록 정렬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룰 체인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규칙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규칙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2차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제어부(517)가 장치 상태 정보로부터 특정 상황(예: 이동중)임을 확인하였으며, 앱 정보 및 룰 체인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1이 제1 룰 그룹의 규칙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애플리케이션 #2~#4가 제3 룰 그룹의 규칙을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애플리케이션 #5가 제3 룰 그룹의 규칙 중 이동중 상황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예: 내비게이션)임을 확인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룰 그룹에 따른 히든 룰 적용을 받는 애플리케이션 #1의 처리 순서는 유지하고 특정 상황(이동중)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5의 처리 순서를 애플리케이션 #1의 다음 순서로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2 내지 #4는 사용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애플리케이션 #5보다는 우선순위가 낮을 수 있다. 이 같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제1 룰 그룹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1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이어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 #5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애플리케이션 #1> 애플리케이션 #5> 애플리케이션 #2> 애플리케이션 #3> 애플리케이션 #4의 네트워크 트래픽 순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커널(520)로 전송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각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할 때 커널(520)의 제1 내지 제3 큐 중에서 어떤 큐에 배정될지를 지시하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애플리케이션 #1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1 큐에 배정하고, 애플리케이션 #5, #2, #3, #4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2 큐에 배정하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제어부(517)는 애플리케이션 #5, #2, #3, #4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순서대로 제2 큐에 배정하는 중에 제2 큐의 처리 한도 초과를 확인하면, 애플리케이션 #5, #2, #3, #4의 네트워크 트래픽 중에서 처리 한도 초과를 확인한 시점 이후에 처리될 네트워크 트래픽부터 제3 큐에 할당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TCP/IP 양방향 통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의 패킷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무선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유선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510)와 서버(520)는 다운 링크와 업 링크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10)와 서버(520)는 다운 링크와 업 링크를 시분할, 주파수 분할 등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5a의 업 링크 방향의 화살표와 같이, 업 링크 특수 패킷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데이터와 섞일 수 있고, 도 5a의 다운 링크 방향의 화살표와 같이 다운 링크 특수 패킷(예: ack, fin, sync, psh)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업 링크 데이터와 섞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가 클라이언트(510)로 적용되면, 클라이언트(510)에 커널(520)에 제1 내지 제3 큐(531, 532, 533) 할당을 지시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우선순위별로 배열된 제1 내지 제3 큐(531, 532, 533)에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510)는 다운 링크(또는, 양방향 통신)의 특수 패킷이 업 링크의 데이터보다 더 우선 처리되도록 다운 링크의 특수 패킷을 가장 먼저 커널로 전달하고 가장 먼저 처리되는 제1 큐에 배정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510)의 우선순위 제어부는 업 링크의 데이터는 다운 링크의 특수 패킷 보다는 나중에 커널로 전달하고, 두 번째로 처리되는 제2 큐에 배정하거나, 제2 큐의 용량 초과시에 세 번째로 처리되는 제3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버(520)가 전자 장치(10)의 TCP/IP 통신을 보다 빨리 설정함에 따라 결국 TCP/IP 통신 속도가 증가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클라이언트(510)에만 트래픽 제어 기능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서버(520)에도 트래픽 제어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양방향 통신의 패킷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500)(예: 트래픽 제어기(510))는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예: TCP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 및/또는 페이로드(payload)와 같은 데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확인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이 미리 정해진 특정 패킷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패킷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제어용 패킷으로서, 데이터 처리량 조절(또는 최적화)를 위해 프로세서(500)가 네트워크로 내보내는 패킷 중에서 선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패킷은 헤더에 제어 플래그(URG, ACK, ACK, PSH, RST, SYN, FIN 등)를 포함하거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Reserved된 패킷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패킷은 Voice Over Internet Protocol(VoIP) 및/또는 스트리밍 데이터 패킷과 같은 특정한 카테고리의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500)는 네트워크 패킷이 특정 패킷임을 확인하면, 특정 패킷을 복수의 큐 중에서 처리 우선순위가 높은 큐(예: 제1 큐 또는 제2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처리 우선순위가 높은 제1 큐에 배정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500)는 네트워크 패킷이 특정 패킷이 아님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 패킷을 제1 큐보다 처리 우선순위가 낮은 큐(예: 제2 큐 또는 제3 큐)에 배정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처리량 조절을 위한 특정 패킷을 우선적으로 처리함에 따라 네트워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 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앱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 실행 상태, 특성, 종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센서 모듈(300)로부터의 감지 정보 및 통신 모듈(200)로부터의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 특정 위치, 특정 모드, 로우 배터리, 트래픽 한도 도달 여부, 주변 장치 연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입력 모듈(400)을 통한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 선호 주변 기기, 위치별 선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호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가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기본 룰 그룹의 규칙에 따라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순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처리 순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제1 내지 제4 룰 그룹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함)에 관련된 규칙들(적용 가능한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 룰 그룹에서 앱 정보에 대응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는 제1 내지 제4 룰 그룹에서 특정 상황, 특정 위치, 특정 모드, 로우 배터리, 트래픽 한도 도달 여부, 주변 장치 연결,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 선호 주변 기기 및 위치별 선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하면,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규칙을 선별할 수 있다.
동작 64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선별된 규칙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의 처리 순서 변경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65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선별된 규칙과 메모리(100)에 저장된 현재 룰 집합에 따른 규칙을 비교하여 현재 룰 집합에 따른 규칙과 선별된 규칙이 상이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60에서, 현재 룰 집합에 따른 규칙과 선별된 규칙이 상이하면, 선별된 규칙을 현재 룰 집합에 추가하거나, 현재 룰 집합에서 선별된 규칙에 포함되지 않는 규칙을 삭제하는 등 메모리(100)에 저장된 현재 룰 집합을 갱신할 수 있다.
동작 67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변경된 처리 순서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는 변경된 처리 순서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커널(520)로 전달하되,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지정된 커널(520)의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되도록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8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트래픽 제어 기능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트래픽 제어 기능이 종료되기 전까지 동작 610 내지 670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제어 기능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동작 680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실행 중에 트래픽 제어 기능을 항상 사용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 장치 상태 정보, 장치 연결,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 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앱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 실행 상태, 특성, 종류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센서 모듈(300)로부터의 감지 정보 및 통신 모듈(200)로부터의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 특정 위치, 특정 모드, 로우 배터리, 트래픽 한도 도달 여부, 주변 장치 연결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입력 모듈(400)을 통한 선호 카테고리, 사용자 선호 주변 기기, 위치별 선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호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동작 610'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기본 룰 그룹의 규칙에 따라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순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기(510)는 처리 순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결정된 처리 순서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제어기(510)는 정렬 순서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커널(520)로 전달하되,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지정된 커널(520)의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되도록 트래픽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트래픽 제어기(510)는 동작 610' 내지 630'를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트래픽 발생량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체감 트래픽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처리 규칙에 따라서 네트워크 패킷 데이터(예: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를 위한 특수 패킷을 확인하면, 상기 특수 패킷에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의 패킷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전자 장치(10)의 예시들이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700) 내의 전자 장치(7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701)는 버스(710), 프로세서(720), 메모리(730), 입출력 인터페이스(750), 디스플레이(760), 및 통신 인터페이스(7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7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710)는 구성요소들(7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7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7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740)은, 예를 들면, 커널(741), 미들웨어(7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7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7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741), 미들웨어(743), 또는 API(7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7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743), API(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710), 프로세서(720), 또는 메모리(7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741)은 미들웨어(743), API(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에서 전자 장치(7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743)는, 예를 들면, API(7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이 커널(7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7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7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7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710), 프로세서(720), 또는 메모리(7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745)는 어플리케이션(747)이 커널(741) 또는 미들웨어(7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7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7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7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702), 제 2 외부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7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7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7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702, 704) 각각은 전자 장치(7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104), 또는 서버(7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7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702, 104), 또는 서버(7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 704), 또는 서버(7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7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7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전자 장치(7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810), 통신 모듈(820), (가입자 식별 모듈(824), 메모리(830), 센서 모듈(840), 입력 장치(850), 디스플레이(860), 인터페이스(870), 오디오 모듈(880), 카메라 모듈(891), 전력 관리 모듈(895), 배터리(896), 인디케이터(897), 및 모터(8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8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820)(예: 통신 인터페이스(7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8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NFC 모듈(828) 및 RF 모듈(8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8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8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821)은 프로세서(8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또는 NFC 모듈(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8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8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또는 NFC 모듈(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8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예: 메모리(7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832) 또는 외장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8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840A), 자이로 센서(840B), 기압 센서(840C), 마그네틱 센서(840D), 가속도 센서(840E), 그립 센서(840F), 근접 센서(840G), 컬러(color) 센서(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840I), 온/습도 센서(840J), 조도 센서(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8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8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8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852), (디지털) 펜 센서(854), 키(8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8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8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858)는 마이크(예: 마이크(8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예: 디스플레이(760))는 패널(862), 홀로그램 장치(864), 프로젝터(8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862)은 터치 패널(8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8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8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8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HDMI(872), USB(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876), 또는 D-sub(D-subminiature)(8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7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7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7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882), 리시버(884), 이어폰(886), 또는 마이크(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8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897)는 전자 장치(8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910)(예: 프로그램(7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910)은 커널(920)(예: 커널(741)), 미들웨어(930)(예: 미들웨어(743)), (API(960)(예: API(7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9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7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9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702, 704), 서버(7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9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9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9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9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9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9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9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 는 런타임 라이브러리(9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41), 윈도우 매니저(942), 멀티미디어 매니저(943), 리소스 매니저(944), 파워 매니저(9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46), 패키지 매니저(947), 커넥티비티 매니저(9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949), 로케이션 매니저(950), 그래픽 매니저(951), 시큐리티 매니저(952), 또는 확장 스크린 매니저(9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9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9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9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9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944)는 어플리케이션(9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9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9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9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9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9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9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9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9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확장 스크린 매니저(953)는, 예를 들면, 그래픽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스크린 매니저(953)는 그래픽이 표시되도록 결정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통하여 제공될 정보,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9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9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970)은, 예를 들면, 홈(971), 다이얼러(972), SMS/MMS(973), IM(instant message)(974), 브라우저(975), 카메라(976), 알람(977), 컨택트(978), 음성 다이얼(979), 이메일(980), 달력(981), 미디어 플레이어(982), 앨범(983), 와치(9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9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8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7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rule)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처리 규칙 중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장치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적용할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앱 정보는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발생량, 실행 상태, 실시간성,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프로세스일수록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로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상기 제1 규칙을 선별하면,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트래픽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로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실시간성의 확보가 필요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기 실시간성의 확보가 필요하지 않은 제2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상기 제1 규칙을 선별하면,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 정보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를 위한 특수 패킷을 확인하면, 상기 특수 패킷에 다른 네트워크 트래픽의 패킷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특수 패킷에 상기 다른 네트워크 데이터 패킷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실행 상태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에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인 애플리케이션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앱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면,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실행 상태가 포그라운드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에 백그라운드 상태인 애플리케이션보다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서,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 상태 정보는,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환경 정보 및 로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환경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값 이하인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것인 전자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사용자 설정된 선호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및 위치별 선호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 각 선호 카테고리 또는 각 선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앱 정보로부터 상기 각 선호 카테고리 또는 각 선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확인하면,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고,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상기 각 선호 카테고리 또는 각 선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이동중 및 운동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상황을 확인하면, 상기 특정 상황에 대해 지정된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상황임을 확인하면,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고,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특정 상황에 대해 지정된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10. 제7항에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규칙은, 주변 장치 연결을 확인하면, 상기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주변 장치 연결을 확인하면,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고,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11. 제7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로우 배터리에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 상태 정보에서 상기 로우 배터리임을 확인하면,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고,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것인 전자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성의 확보가 필요한 제1 애플리케이션, 양방향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 중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를 위한 특수 패킷을 송신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
  13. 제7항에서,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규칙은, 카 모드, 키즈 모드 및 보안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모드에서 운용되도록 설정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카 모드, 키즈 모드 및 보안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1 규칙을 상기 적용할 규칙으로 선별하고,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모드에서 운용되도록 설정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빠른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것인 전자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처리 순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른 패킷을 순차적으로 커널로 송신하는 것인 전자 장치.
  15. 제14항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규칙은 상기 앱 정보 및 상기 장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처리 우선순위를 갖는 커널 상의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른 패킷을 배정할 우선순위별 큐를 결정하고,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상기 패킷을 상기 커널 상의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것인 전자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널이 상기 우선순위별 큐에 입력된 패킷을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입력된 패킷에서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패킷 순으로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것인 전자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우선순위별 큐에 할당되는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되, 상기 우선순위별 큐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1 큐에 할당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총량이 상기 제1 큐의 현재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1 큐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큐의 용량에 대응하여 상기 우선순위별 큐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인 전자 장치.
  18. 제14항에서,
    상기 처리 규칙은, 테더링(tethering) 또는 핫스팟(hotspot)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복수의 주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호도 순으로 상기 복수의 주변 장치의 네트워크 패킷을 우선순위별 큐에 배정하는 제1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지정된 우선순위별 큐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우선 배정하고, 상기 지정된 우선순위별 큐의 한도 초과시에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큐에 배정하는 것인 전자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트래픽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앱 정보 및 장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지정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규칙 중에서 상기 앱 정보 및 상기 장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적용할 규칙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동작;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TCP 프로토콜 데이터 트래픽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process)에 대응하는 TCP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TCP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를 위한 특수 패킷이면, 상기 특수 패킷에 다른 패킷보다 빠른 네트워크 처리 순서를 부여하고, 상기 TCP 데이터 패킷이 상기 특수 패킷이 아니면, 상기 TCP 데이터 패킷에 상기 특수 패킷보다 느린 네트워크 처리 순서를 부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52915A 2016-11-16 2016-11-16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KR10264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15A KR102642689B1 (ko) 2016-11-16 2016-11-16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US15/815,015 US10785676B2 (en) 2016-11-16 2017-11-16 Electronic device and traffic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15A KR102642689B1 (ko) 2016-11-16 2016-11-16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73A true KR20180055273A (ko) 2018-05-25
KR102642689B1 KR102642689B1 (ko) 2024-03-05

Family

ID=621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15A KR102642689B1 (ko) 2016-11-16 2016-11-16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5676B2 (ko)
KR (1) KR102642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92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54B1 (ko) * 2017-04-07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90089637A1 (en) * 2017-09-21 2019-03-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izing dcb settings for virtual network adapters
ES2790355T3 (es) * 2018-01-22 2020-10-27 Rade Tecnologias Sl Método y sistema de comunicación para armas
KR102532047B1 (ko) 2018-07-03 2023-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70017B2 (en) * 2019-07-30 2022-10-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mmersive reality component management via a reduced competition core network component
CN112020024B (zh) * 2020-07-24 2024-01-30 上海淇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短信发送管理方法、系统和电子设备
CN114079618A (zh) * 2020-08-12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3055307B (zh) * 2021-03-31 2023-03-24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流量分配方法及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601A (en) * 1975-12-24 1978-07-11 Computer Automation, Inc. Multiplexer for a distributed input/out controller system
US20050047343A1 (en) * 2003-08-28 2005-03-03 Jacob Sharony Bandwidth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20090119773A1 (en) * 2007-11-02 2009-05-07 D Amore Tianyu Li Apparatus and methods of configurable system event and resource arbitration management
US20140162726A1 (en) * 2009-01-05 2014-06-12 Nec Corporation Smart card, mobile device, atr signal, and terminal capabilities signal
US8972760B1 (en) * 2013-12-20 2015-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launcher
WO2015181803A1 (en) * 2014-05-29 2015-12-03 Startime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Co., Ltd Wifi gateway control and interface
KR20160009599A (ko) * 2013-05-07 2016-01-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디바이스들 사이의 네크워크 액세스의 효율적인 자동 공유
WO2016039577A1 (ko) * 2014-09-11 201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105317A (zh) * 2014-04-25 2016-11-09 英特尔Ip公司 用于移交发起的方法和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1368A2 (en) * 1999-01-08 2000-07-13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assignment of traffic classes to a priority queue in a packet forwarding device
EP1338125A2 (en) * 2000-11-03 2003-08-27 AT & T Corp. Tiered contention multiple access (tcma): a method for priority-based shared channel access
US20080144493A1 (en) * 2004-06-30 2008-06-19 Chi-Hsiang Yeh Method of interference management for interference/collision prevention/avoidance and spatial reuse enhancement
AU2011333998B2 (en) 2010-11-23 2015-09-03 Bae Systems Plc Communication network traffic control element
WO2014011216A1 (en) 2012-07-13 2014-01-16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US9671960B2 (en) * 2014-09-12 2017-06-06 Netapp, Inc. Rate matching technique for balancing segment cleaning and I/O workloa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601A (en) * 1975-12-24 1978-07-11 Computer Automation, Inc. Multiplexer for a distributed input/out controller system
US20050047343A1 (en) * 2003-08-28 2005-03-03 Jacob Sharony Bandwidth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20090119773A1 (en) * 2007-11-02 2009-05-07 D Amore Tianyu Li Apparatus and methods of configurable system event and resource arbitration management
US20140162726A1 (en) * 2009-01-05 2014-06-12 Nec Corporation Smart card, mobile device, atr signal, and terminal capabilities signal
KR20160009599A (ko) * 2013-05-07 2016-01-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디바이스들 사이의 네크워크 액세스의 효율적인 자동 공유
US8972760B1 (en) * 2013-12-20 2015-03-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launcher
CN106105317A (zh) * 2014-04-25 2016-11-09 英特尔Ip公司 用于移交发起的方法和用户设备
WO2015181803A1 (en) * 2014-05-29 2015-12-03 Startime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Co., Ltd Wifi gateway control and interface
WO2016039577A1 (ko) * 2014-09-11 201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92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2868A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US11424996B2 (en) 2018-11-27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according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689B1 (ko) 2024-03-05
US20180139645A1 (en) 2018-05-17
US10785676B2 (en)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689B1 (ko) 전자 장치 및 그 트래픽 제어 방법
US109363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elective application preloading in electronic device
US11385935B2 (en) Task schedu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08530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audio by using wireless link
KR102325737B1 (ko)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771854B2 (en) Video streaming apparatus and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160004152A (ko) 멀티 프로세서의 태스크(task) 우선순위 결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1079572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26329A (ko) 내부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성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13608A (ko)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33121A (ko)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104701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US10368390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KR201800870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KR201700320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제어 방법
KR20170017643A (ko) 콘텐츠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55361B1 (ko) 인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47459A (ko) 외부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11089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185182B1 (ko)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465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utput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EP309893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plurality of charging circuits
KR102440541B1 (ko)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66111A (ko)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544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