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507A -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 Google Patents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507A
KR20180054507A KR1020170181847A KR20170181847A KR20180054507A KR 20180054507 A KR20180054507 A KR 20180054507A KR 1020170181847 A KR1020170181847 A KR 1020170181847A KR 20170181847 A KR20170181847 A KR 20170181847A KR 20180054507 A KR20180054507 A KR 2018005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main body
divided
bib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엽 이
Original Assignee
성 엽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엽 이 filed Critical 성 엽 이
Priority to KR102017018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507A/ko
Publication of KR2018005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형 다용도 일회용 수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수건은 하나의 단일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변경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는다. 즉,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수건을 여러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자신이 사용한 부분을 표시하기 어려워 위생적이지 못하여 여러 개의 수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신체에서 발이나 샅(사타구니)의 물기를 닦아 제거한 경우에는 대부분 새로운 수건으로 교체하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수건의 용도를 한정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수건에 특정된 형상을 절취 가능하게 형성시켜 기본용도로 수건을 사용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급하게 의류품, 화장품 또는 응급품이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특정형상을 절취선으로 분할된 수건을 다른 용도로 사용케 하는 절취형 다용도 일회용 수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Bib Cutting-type disposable towel}
본 발명은 절취형 일회용 수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으로 사용하도록 제공된 수건에 단수의 단일 특정화된 턱받이 형상으로 절취가능하게 형성시켜 수건을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건이란 샤워 또는 운동 및 작업 후에 얼굴이나 몸 등의 신체에 묻은 물이나 땀을 닦아 제거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수건의 재질은 물기의 흡수를 신속히 할 수 있도록 무명이나 목화 솜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면으로 형성되고, 그 수건의 형상은 신체의 구석구석을 닦을 수 있도록 대체적 큰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손수건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면으로 형성되어 물기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수건 외에도 물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로 신체 또는 물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일회용 물수건이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용도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는 수건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었으며, 현재에는 기존 수건의 용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개발된 수건들이 공급되고 있고, 그 중에서 일례로 실용신안공개 제2016-0002857호(명칭: 기능성 수건)이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을 간락히 살펴보면, 장방형 형태의 직물 소재로 형성되는 수건본체와, 상기 수건본체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직물재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 외부를 구성하는 연장커버와, 상기 연장커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확장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내부에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대가 삽입된 확장부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의 이물질 제거를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넓은 면과 두께를 갖는 기존 수건으로 제거하지 못한 부분을 비교적 강성을 갖는 확장부로 제거 가능한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능성 수건도 기존 수건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일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변경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아 사용에 한계가 따르게 된다.
예를 들어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수건을 여러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자신이 사용한 부분을 표시하기 어려워 위생적이지 못하여 여러 개의 수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신체에서 발이나 샅(사타구니)의 물기를 닦아 제거한 경우에는 대부분 새로운 수건으로 교체하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곤란하여 외부에서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고, 휴대가 용이한 손수건은 그 크기가 작아 반복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존의 수건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은 있으나 그러한 수건을 휴대하고 외부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과 더불어 응급상황 시 사용한 수건은 재사용 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수건의 용도를 한정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수건에 특정된 형상을 절취 가능하게 형성시켜 기본용도로 수건을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절취 분할된 수건을 다른 용도로 사용케 하는 절취형 다용도 일회용 수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천연 솜을 압축하여 형성된 수건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건본체에서 특정화된 형상을 뜯어낼 수 있도록 외곽을 절취선으로 형성한 분할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선을 따라 분할본체를 뜯어내어 수건본체와 별도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본체는 단일 형상이 수건본체에 구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이종 형상이 수건본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본체는 수건본체에 단수로 구성되거나, 또는 절취선을 기준으로 연이어진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절취되는 분할본체를 손수건, 붕대, 원판, 육각판, 화장솜, 수정솜, 마스크필터, 턱받이, 마스크 또는 생리대의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응급시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건본체에는 수건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수건걸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본체를 포함하는 수건본체의 표면이거나, 또는 표면 및 이면에 소정의 깊이의 홈으로 일정한 패턴이거나 또는 배경무늬를 형성한 슬림방지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솜을 압축시켜 수건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물기의 흡수율을 높이면서도 가볍고 작은 부피와 무게로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건본체에서 절취선으로 분할되는 사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배열된 분할본체를 형성함으로써, 기본용도로 수건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른 적정한 크기를 맞추도록 배열된 분할본체를 조절하여 절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분할본체를 화장용 퍼프나 솜을 대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외부에서 그러한 화장용품이 없는 경우에도 화장을 고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분할본체를 붕대, 마스크필터, 턱받이, 마스크, 생리대와 같이 응급한 상황 시 대체할 수 있는 특정화된 형상으로 절취 가능하게 형성시켜 그러한 물품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 절취하여 응급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건본체에 수건걸이홈을 형성시켜 보관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건본체에 표면 또는 표면과 이면에 형성되는 슬림방지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단차에 의해 긁어내듯이 물기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슬리방지홈으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거나 또는 꽃 등의 사물을 배경으로 한 무늬를 형성시켜 수건에 심미감과 입체감이 감득되게 하면서도 사용시 건조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건본체에 분할커버가 절취선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도 1에서 분할커버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방지홈을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손수건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붕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원판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육각판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8a는 도 7의 육각판을 이용하여 사각형태로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8b는 도 7의 육각판을 이용하여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으로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화장솜과 수정솜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화장솜을 도시한 사시도, (b)는 수정솜을 접어 직삼삭형으로 형성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마스크필터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턱받이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마스크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16은 도 15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본체가 생리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18은 도 1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크게, 수건본체(100)와 그 수건본체(100)에 특정화된 형상이 절취선(200)으로 손쉽게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할본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수건본체(100)는 일반적인 수건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재질은 피부와 닿았을 때 알레르기성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물기의 흡수력이 우수하고, 부피를 최소로 이루어 사용자가 접어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천연 솜을 압축하여 이루어지고, 이렇게 형성된 수건본체(100)는 외부에서 사용하고 버릴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건본체(100)는 사용자가 넓은 전체를 이용하여 신체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도 있고, 필요한 상황에 따라 분할본체(300)를 절취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건본체(100)에는 수건을 옷걸이나 수건걸이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건걸이홈(101)이 구성되고, 상기 수건걸이홈(101)은 사각형상의 수건본체(100)의 네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건본체(100)에는 절취될 분할본체(300)를 포함하여 소정의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슬림방지홈(102)이 구성되어, 손이 건조한 사용자가 수건본체(100)와 분할본체(300)를 사용할 때 미끄러지는 슬림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신체에 묻은 물기나 물체에 묻은 이물질을 홈의 단차를 이용하여 긁어 제거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림방지홈(102)은 격자 또는 사선모양 등의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꽃과 같은 사물의 모양을 모티브로 한 배경무늬로 형성시켜 수건의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슬림방지홈(102)은 수건본체(100)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표면과 이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할본체(300)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6과 같이, 수건본체(100)에 특정화된 형상을 뜯어낼 수 있도록 그 외곽을 절취선(200)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본체(300)는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다른 이종 형상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일 또는 이종 형상은 수건본체(100)에 단수로 구성되거나, 또는 절취선(200)을 기준으로 연이어진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할본체(300)의 형상을 사각으로 형성하여 단일 형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사각과 원형으로 이종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사각 또는 원형을 하나만 형성할 수 있으며, 분할본체(300)의 접합는 외곽을 절취선(200)으로 뜯어낼 수 있도록 연이어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분할본체(300)의 특정형상은 의류품이나 화장품 또는 응급용품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분할본체(300)는 첨부된 도면 도 4와 같이, 수건본체(100)의 넓이보다 비교적 작은 넓이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손수건(310)으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수건(310)은 수건본체(100)에서 절취한 후,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손수건(310)은 수건본체(100)에서 복수가 크기를 상호 다르게 형성시켜 신장이 다른 어린이 또는 성인에 맞춰 적절한 크기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수건본체(100)에서 길이방향에 직사각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붕대(32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붕대(320)는 교통사고와 같은 응급상황 시 절취하여 상처부위의 지혈 및 세균감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수건본체(100)에서 원형을 이루는 원판(331)으로 형성하여 그 외곽은 절취선(200)으로 형성시켜 뜯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원판(331)은 단수로 형성시켜 원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로 절취선(200)으로 연이어 형성시켜 1열 이상의 배열을 절취하여 사각형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판(331)이 복수로 형성한 경우에는 원판()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배열 수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및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수건본체(100)에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외곽을 절취선(200)으로 연이어서 형성되는 벌집모양의 육각판(332)으로 형성되어 수건본체(100)에서 뜯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육각판(332)은 첨부된 도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연이어진 1열 이상의 종방향과 횡방향 배열 수에 따라 사각형상에 가깝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절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육각판(332)은 사용하고자 하는 신체 또는 물체에 적합한 형상과 크기로 적절하게 선택하여 절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는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수건본체(100)의 일측에 화장품의 분을 바르거나 지울 수 있도록 화장솜(340)이 구성된다.
상기 화장솜(34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양측에는 "∥"형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끼움절취선(34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끼움절취선(341)을 절취한 후, 그 관통된 홈에 손가락을 넣어 화장품의 분을 바르는 퍼프를 대체 사용하거나, 또는 화장품을 지우는 클랜징을 묻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솜(340)이 구성된 수건본체(100)의 타측에 바른 화장품을 수정하거나 지우도록 하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정솜(350)이 구성된다.
상기 수정솜(350)은 삼각형상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접는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취한 수정솜(350)을 삼각형상의 넓은 면적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수정솜(350)은 부드러운 연성으로 형성되어 피부의 미세한 주름 및 골부분에 화장을 하거나 지울 때 구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수정솜(350)은 삼각형상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복수의 접이선(351)이 구성된다. 상기 접이선(351)으로 접어 직각삼각형상으로 접으면 두께가 겹쳐 경도를 갖추게 됨으로써, 번지거나 잘못 바른 마스카라 또는 매니큐어 부분을 모서리부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정 및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수건본체(100)에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마스크필터(360)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필터(360)는 기존마스크와 착용자의 입 사이에 개재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의 흡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작용효과와 더불어 기존마스크를 자주 세탁하지 않더라도 오염물질에 의한 감염 또는 지저분한 냄새가 흡입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필터(360)는 기존마스크와 고정되지 않더라도 기존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과 신축력으로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개재된 마스크필터(360)는 자연히 안면과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수건본체(100)에서 절취되는 턱받이(370)로 구성시켜, 유아들이 음식을 섭취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턱받이(370)는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수건본체(100)에서 소정의 폭으로 길게 목띠(371)를 형성시켜 착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띠(371)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372)은 절취선(200)으로 뜯어내어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목띠(371)의 타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요철부(373)는 상기 걸림홈(37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걸림홈(372)의 상,하부가 안착되는 요부(373a)가 형성되고, 그 요부(373a)와 이어지되 걸림홈(372)보다 높게 형성되어 걸려지는 철부(373b)가 요부(373a)와 더불어 연이어서 반복 구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연이어서 반복 형성된 요부(373a)와 철부(373b) 중 어느 한 부분에 걸림홈(372)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띠(371)의 하부에는 착용자의 가슴을 막도록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374)로 구성되어 이물질이 옷에 묻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수건본체(100)에서 절취되는 마스크(380)로 구성시켜, 갑자기 발생하는 미세먼지 또는 화재시 발생하는 매연의 흡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38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막을 수 있도록 사각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가리개(38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리개(381)의 일단에는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머리띠(382)가 구성되고, 상기 제1머리띠(382)의 일측에는 절취선(200)으로 뜯어 관통되는 걸림홈(38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리개(381)의 타단에도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머리띠(384)가 구성되고, 상기 제2머리띠(384)의 상,하부에는 걸림홈(38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걸림홈(383)이 안착되는 요부(385a)와 그 요부(385a)와 이어지고 걸림홈(383)보다 높게 형성되어 걸림홈(383)이 걸려지도록 하는 철부(385b)가 형성되며, 그 요부(385a)와 철부(385b)는 연이어서 반복형성된다.
따라서, 제1,2머리띠(382)(384)는 전술한 목띠(371)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본체(300)는 부드러운 연성으로 이루어져 굽힘과 펼침 가능하기 때문에 목띠(371)와 제1,2머리띠(382)(384)에 형성된 걸림홈(372)(383)보다 높은 철부(373b)(385b)를 오므려 걸림홈(383)을 관통시켜 적절한 위치의 요부(373a)(385a)에 안착시킨 후, 오므려진 철부(373b)(385b)를 펼쳐 걸림홈(372)(383)에 걸려지게 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분할본체(300)를 첨부된 도면 17 및 도 18과 같이, 수건본체(100)에서 절취되는 생리대(390)로 구성시켜,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이 생리현상에 대한 불안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리대(390)는 수건본체(100)에서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드(391)를 구성하여 그 패드(391)를 사용자의 팬티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패드(391)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하부에 소정의 폭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날개(392)를 구성하되, 상기 고정날개(39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이선(393)을 구성하여, 팬티의 하부 양측 라인을 따라 접어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팬티의 라인을 수용한 접혀진 고정날개(392)와 사용자의 두 다리가 갈라진 사이의 허벅지의 어름이라 일컫는 샅부분과 밀착 고정되어 생리대(390)의 패드(391)가 정위치에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건본체(100)에 의류품 또는 화장품 또는 응급용품으로 사용하는 특정화된 물품으로 형성된 분할본체(300)를 절취선(200)으로 뜯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건본체(100)의 넓은 전체 면적으로 일반 수건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급하게 필요로 하는 특정화된 형상을 절취한 후 응급으로 대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절취형 다용도 일회용 수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수건본체: 100 수건걸이홈: 101
슬림방지홈: 102 절취선: 200
분할본체: 300 손수건: 310
붕대: 320 원판: 331
육각판: 332 화장솜: 340
끼움절취선: 341 수정솜: 350
접이선: 351 마스크필터: 360
턱받이: 370 목띠: 371
걸림홈: 372 걸림요철부: 373
요부: 373a, 철부: 373b
커버: 374 마스크: 380
가리개: 381 제1머리띠: 382
걸림홈: 383 제2머리띠: 384
걸림요철부: 385 요부: 385a
철부: 385b 생리대: 390
패드: 391 고정날개: 392
접이선: 393

Claims (3)

  1. 천연 솜을 압축하여 형성된 수건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수건본체(100)에서 단수의 단일 특정화된 턱받이 형상을 뜯어낼 수 있도록 외곽을 절취선(200)으로 형성한 분할본체(300)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선(200)을 따라 분할본체(300)를 뜯어내어 수건본체(100)와 별도로 사용하도록 하되.
    상기 분할본체(300)는 수건본체(100)에서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목띠(371)와,
    상기 목띠(371)의 일측에는 절취선(200)으로 뜯어 관통되는 걸림홈(372)과,
    상기 목띠(371)의 타측 상,하부에는 상기 걸림홈(372)의 높이로 형성된 요부(373a)와 걸림홈(37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철부(373b)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된 걸림요철부(373)와,
    상기 목띠(371)의 하부에는 착용자의 가슴을 막도록 형성된 커버(374)로 이루어진 턱받이(3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본체(100)에 관통 형성되어 수건을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건걸이홈(10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본체(300)를 포함하는 수건본체(100)의 표면이거나, 또는 표면 및 이면에 소정의 깊이의 홈으로 일정한 패턴이거나 또는 배경무늬를 형성한 슬림방지홈(10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1020170181847A 2017-12-28 2017-12-28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20180054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47A KR20180054507A (ko) 2017-12-28 2017-12-28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47A KR20180054507A (ko) 2017-12-28 2017-12-28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25A Division KR101877819B1 (ko) 2016-11-15 2016-11-15 절취형 일회용 수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13U Division KR200487118Y1 (ko) 2018-07-06 2018-07-06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07A true KR20180054507A (ko) 2018-05-24

Family

ID=6229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47A KR20180054507A (ko) 2017-12-28 2017-12-28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5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2509A1 (en) Protective bib or apron
KR101166153B1 (ko) 마스크 팩
US20170325649A1 (en) Hygienic tissue
JP2007502919A (ja) 髪を保護並びに乾かすための簡単な装着の長いキャップ
KR101845680B1 (ko) 생리대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200485337Y1 (ko) 미용 마스크 팩
KR101840176B1 (ko) 화장용품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101845679B1 (ko) 마스크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101877819B1 (ko)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20180054507A (ko)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WO2015159345A1 (ja) マスク
JP6023296B1 (ja) 和服を着脱するときの、顔面の化粧の和服への付着防止と、顔面の化粧崩れ防止のための和服用フェイスカバー
KR200451470Y1 (ko) 병풍형 마사지팩 포장 파우치
KR20140134618A (ko) 위생마스크
KR200487118Y1 (ko) 턱받이 절취형 일회용 수건
JP3228270U (ja) 簡易マスク
JP3098246U (ja) マスク
CN208582726U (zh) 美容面膜
US2793367A (en) Protective garment
JP3121985U (ja) 襞付き立体マスク
JP3232429U (ja) マスク
CN218898465U (zh) 一种打开式双层口罩
JP3231041U (ja) ハンカチマスク
KR200469657Y1 (ko) 다목적 때밀이 타월
US10736797B1 (en) Guard for post-operative sternal inc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