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618A - 위생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618A
KR20140134618A KR1020140057039A KR20140057039A KR20140134618A KR 20140134618 A KR20140134618 A KR 20140134618A KR 1020140057039 A KR1020140057039 A KR 1020140057039A KR 20140057039 A KR20140057039 A KR 20140057039A KR 20140134618 A KR20140134618 A KR 2014013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jaw
pocket
insertion pocke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PCT/KR2014/0042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85700A1/ko
Publication of KR2014013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식당,정육점,마트등 식품 취급점의 직원이나 의사등이 고객과 접할 경우에 대화중에 입에서 토출되는 침등의 타액이 고객의 신체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위생 마스크로서,
평면 타원형상의 마스크 전면부(10)와,
이 마스크 전면부(10)의 아랫쪽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접혀진 상태인 턱받침(31)와, 사용시에는 턱받침(31)를 펼치면,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와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된 턱받침(31)에 의해 턱이 삽입될 수 있는 턱받침 포켓(30)이 형성되고,
이 턱받침포켓(30)의 좌우측에 귀끈(20)을 연결하여 착용하는 위생마스크.

Description

위생마스크 { Hygienic mask}
본발명은 위생이 요구되는 음식물등을 취급하는 요식업소를 포함하여 고객과 서로 얼굴을 대면하고 일하는 써비스 업종 종사자에 있어서 근무시 대화 혹은 재치기등으로 인해 토출되는 입안의 이물질들이 상대방이나 음식물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식당,정육점,마트등 식품 취급점의 직원이나 의사등이 고객과 접할 경우에 대화중에 입에서 토출되는 침등의 타액이 고객의 신체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들은 착용의 편리성과 세탁의 편리성을 고려해 부직포등의 저가 재질로 제작된 1회용 마스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마스크가 얼굴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착용시 덥고 답답하여 장기간 사용시 피로를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마스크가 고객과의 대화 전달을 가로막기 때문에 마스크 사용을 기피하거나 마스크를 반만 걸쳐 쓰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당사는 선출원인 특허원 2007-119465에 나타난 것처럼 마스크의 상부가 얼굴에서 이격되어 호흡기가 노출되고 하부에는 마스크의 얼굴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턱 지지부가 설치된 마스크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해당 발명은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해 대량 생산이 쉽지 않아 제조단가가 높고, 마스크 상부가 얼굴에서 이격되기는 하나, 자연스럽게 이격되지 못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면 마스크 윗쪽 귀끈의 응력에 의해 마스크의 위쪽부분이 항상 얼굴쪽으로 밀착되려는 힘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사용하다 보면 마스크의 윗부분에 의해 코가 덮어지는 때가 많아, 답답함을 견디지 못한 사용자가 종래의 1회용 마스크와 동일하게 마스크를 턱에 걸쳐 착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한편 최근에는 당사의 선출원 특허인 특허원 2009-0047178호처럼,플라스틱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프레임의 중앙 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입가리개 고정프레임을 갖추고, 입가리개 고정프레임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입가리개가 착탈되는 위생용 입가리개가 사용되고 있다. 이 마스크는 입과 코의 측면이 노출되는 효과로 인해 종전의 마스크 보다 호흡이 편해지고, 침등의 토출을 막을 수 있어 인기가 높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 위생마스크는 무거울 뿐 아니라 토출된 침이나 이물질이 투명창에 부착되고, 이물질로 인해 투명창이 오염된 상태가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오히려 지져분해 보일수 있어서 수시로 세척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튀김작업등 외부에서 이물질이 튀는 사업장에서는 투명창의 바깥쪽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시로 세척을 해야하는데, 기름 때는 세척이 잘 안되기 때문에 제품이 금방 지져분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 사업장에서는 사용을 기피하고, 위생을 위하여 한번쓰고 버리는 종래의 1회용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플라스틱 위생마스크의 하부는 얼굴과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해 덜 답답한 장점은 있으나, 얼굴에서 피부 각피나 털등이 아래로 떨어질 경우에 이를 제지할 보호수단이 마무것도 없기 때문에, 식품제조업체나 약품제조업체등 위생에 민감한 업체에서는 플라스틱 위생마스크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전의 플라스틱 재질의 입가리개 마스크와 부직포 마스크의 장점을 취하여 호흡이 편하고,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스타일의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에서는
종전의 부직포 마스크와는 달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마스크의 상부면이 자연스럽게 얼굴에서 이격되어, 코,입이 노출되어, 호흡기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가 마스크의 상부를 통해 자유롭게 출입함으로서 호흡이 매우 편하고, 장시간 사용해도 이산화탄소로 인한 피로가 적을 뿐 만 아니라, 대화를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마스크의 아랫부분은 반드시 턱을 아랫부분까지 감싸게 형성함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카락, 수염, 피부조각등의 이물질이 턱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품이나 약품공장에서 사용시 상기 이물질이 작업장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에 더욱 안전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가 턱을 감싸는고정되는 구조로 인해, 마스크의 착용 안정성이 높은 위생 마스크를 제공코자 한다.
이와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생 마스크의 하부에 턱이 삽입되는 턱 삽입포켓를 형성하고, 턱삽입 포켓의 양측부에는 한쌍의 귀끈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턱 삽입포켓에 턱을 삽입하고,귀끈으로 위생마스크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턱 삽입포켓의 상부나 전방에 마스크 전면부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입에서 발생하는 침등의 이물질이나,얼굴에서 발생하는 털,각질등의 이물질이 전방이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생마스크를 제공코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에서는 마스크 전면부의 상부가 얼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만듦으로서, 호흡용 공기의 소통이 원할하여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해도 답답하거나 피로감이 적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전면부의 상부테두리에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거나 마스크 전면부의 중앙에 중앙부 프레임을 부착하여 마스크 전면부로 착용자의 호흡공기가 분출해도 펄럭이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1회용 마스크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마스크의 상부면이 자연스럽게 얼굴에서 이격되어, 코,입등 호흡기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가 마스크의 상부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출입함으로 인해 호흡이 매우 편해 장시간 사용해도 이산화탄소로 인한 피로가 적을 뿐 만 아니라, 마스크가 입 앞을 막지 않아, 대화를 방해하지 않고, 본 발명의 마스크의 아랫부분의 턱지지대가 턱 아랫부분을 감싸게 형성됨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카락, 수염, 피부조작들의 이물질이 턱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품이나 약품공장에서 사용시 위생에 더욱 안전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가 턱을 감싸는 구조는 마스크의 착용 안정성을 높이고, 턱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턱 전체에 고루 분산되어 장시간 착용해도 얼굴부에 마스크 착용 흔적이 남지 않게 된다.
제1도 종래기술의 전면 사시도
제2도 종래 마스크의 착용 개념도
제3도 본발명의 후면 사시도
제4도 본발명의 전면 사시도
제5도 본발명의 착용도.
제6도 본발명의 착용 개념도
제7도 본발명의 귀끈부착 변형 측면도
제8도 본발명의 제2실시예
제9도 본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제10도 제2실시예의 마스크 높이조절 예시도
제11도 본발명의 제2실시예 변형도
본발명에서는
평판형의 소재로 형성되는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에 턱받침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사용자 턱의 전방과 하부를 감싸는 턱삽입 포켓과,
상기 턱삽입 포켓에 설치된 귀끈으로 이루어진 위생마스크를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얼굴에서 발생하는 침이나 피부 이물질들이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평판형의 소재로 형성되는 마스크 전면부(10)와,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에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 턱의 전방과 하부를 감싸는 주머니 형태로 구성된 턱삽입 포켓(30)과,
상기 턱삽입 포켓(30)를 귀쪽으로 당겨 얼굴에 고정시키는 귀끈(20)로 이루어진 위생마스크를 제공코자 한다.
본 발명은 위생 마스크의 하부에 턱이 삽입되는 턱 삽입포켓(30)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주머니를 형성하고,
턱삽입 포켓(30)의 양측에 한쌍의 귀끈(20)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턱 삽입포켓(30)에 턱을 삽입하고 귀끈을 이용하여 위생마스크를 귀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턱삽입 포켓(30)의 전방 상부에 부직포나 필름과 같은 평판형상의 마스크 전면부(10)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입에서 발생하는 침등의 이물질이나,얼굴에서 발생하는 털,각질등의 이물질이 전방이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생마스크를 제공코자 한다.
또한 본발명의 위생마스크에서는 호흡용 공기의 원할한 유통을 위하여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가 얼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기위해, 마스크 전면부(10)를 상하로 나눌 경우, 하부에 턱삽입 포켓(30)과 귀끈이 부착되도록 형성하여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가 턱삽입 포켓(30)과 귀끈(20)과 사용자 턱의 결합 위치에 따라 마스크 전면부(10) 상부와 얼굴의 이격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턱삽입 포켓(30)을 형성하는 실시예로서
타원형상의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 테두리에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되어 턱받침(31)이 부착되고 , 평상시에는 접혀 있다가, 사용시에 펼치면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와 턱받침부(31)가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되어 주머니형태를 이루어 턱삽입 포켓(30)이 만들어지는 방식(제1 실시예)과, 내부에 주름형태의 주머니를 가진 제2턱받침(130)을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에 연결하여 제2 턱삽입포켓(131)을 만드는 방식(제2 실시예)을 제시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내지 제2도는 종래의 1회용 부직포 마스크의 도면 및 착용도이다. 기존 제품은 방진용이기 때문에 착용시 얼굴 전체를 감싸서 갑갑하고 습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고, 장시간 착용시 착용자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제3도내지 8도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마스크 전면부(10)와, 타원형상의 마스크 전면부(10)의 아랫쪽 테두리에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접혀진 상태인 턱받침(31)와, 사용시에는 턱받침(31)를 펼치면,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와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된 턱받침(31)에 의해 턱이 삽입될 수 잇는 턱받침 포켓(30)이 형성되고,턱받침포켓(30)의 좌우측에 연결 설치되는 귀끈(20)으로 구성된 위생마스크를 제공한다.
마스크 전면부(10)는 입에서 돌출되는 이물질들을 막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 물질들이 걸려서 통과되지 못할 정도의 밀집도를 가져야 하며, 사용자의 호흡기에서 분출 및 흡입되는 호흡공기의 흐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 공기에 의해 휘거나 흔들려서는 부서져서는 안되기 때문에 적절한 탁성과 강도와 밀집도를 가지는 부직포나 필름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얼굴의 눈밑부터 턱부분까지를 가릴 정도의 크기를 가진 넓적한 타원형으로 가공된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전면부(10)의 높이는 턱하부에서부터 눈 밑까지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고, 측면으로의 넓이는 양쪽 귀사이의 거리를 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턱받침(31)은 넓적한 타원형의 하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형상을 가진 부직포등의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며, 턱받침(31)의 하부와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를 연결한 포켓봉합선(32)은 초음파나 고주파 융착 혹은 봉재등으로 부착 결합되게 된다.
본발명의 턱받침부(31)는 평상시에는 마스크 전면부(10) 쪽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사용시에는 펼쳐져 사용자의 턱아랫 부분을 받쳐줌으로서,사용자의 얼굴이나 턱에서 발생하는 이물질들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발명의 제1실시예 위생 마스크를 사용할 때는
마스크 전면부(10)의 좌우측을 눌러 위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의 곡면으로 휘도록 하면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에 접혀졌던 턱받침(31)가 펼쳐지면서 제3도에 제시된 형상으로 위생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와 턱받침부(31)에 의해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된 턱삽입 포켓(30)이 형성된다.
제6도에 게시된 턱삽입포켓(30)의 측단면도를 보면
마스크 전면부(10)와 턱받침부(31)는 대략 12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하부에 포켓봉합선(32)으로 연결된 턱삽입 포켓(30)에 턱을 삽입하고 귀끈(20)를 통해 위생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면, 위생마스크의 턱받침부(31)는 착용자의 턱선이 이루는 수평면과 일치하고, 마스크 전면부(10)는 턱받침부(31)에 대해 포켓봉합선(32)을 중심으로 대략 120도 각도로 직립되게 되어,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와 사용자의 코사이는 자연스럽게 이격되게 된다..
한편 120도의 각도를 가진 삽입 포캣(30)에 사용자의 턱을 고정할 때, 가급적 사용자의 턱 아래에 턱받침부(31)가 밀착되고, 턱 전방부인 마스크 전면부(10) 쪽으로는 귀끈의 당김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가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에서는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가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호흡용 공기의 원할한 유통을 위하여
타원형의 마스크 전면부(10)를 상하로 나눌 경우,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측에 턱삽입 포켓(30)을 형성하고 귀끈을 부착함으로서,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에 턱을 밀착시켜 마스크 전면부(10)의 상부는 얼굴에서 들리도록 하고,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에서 턱삽입 포켓(30)과 귀끈(20)과 사용자 턱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마스크 전면부(10) 상부와 얼굴의 이격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턱삽입 포켓(30)에 귀끈을 고정하는 방법이 2가지가 나올 수 있는데, 제5도내지 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턱삽입 포켓(30)에 턱이 삽입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제5도및 6도에 도시된 것처럼 마스크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귀끈의 상하부가 서로 분리되는 방식과 제7도처럼 마스크 착용성 향상을 위하여 턱삽입포켓(30)과 마스크 전면부(10)가 만나는 한점에 귀끈의 상하부가 한점에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귀끈(20)이 분리부착되는 방식은
귀끈의 상부(22)끈은 턱삽입 포켓(30)과 마스크 전면부(10)가 만나는 점에 부착하고, 하부끈(23)은 턱삽입 포켓(30)의 하단 적절한 위치에 부착된다.
이와같은 구성된 귀끈에는 제5도에 나타난 것처럼 상부끈(22)은 턱 삽입포켓(30)의 하단부와 귀를 연결하는 일직선과 일치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끈(22)은 턱 받침부(30)를 귀쪽으로 당기는 역할만을 하고 마스크 전면부(10)를 얼굴로 당기는 힘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하부끈(23)은 상부(22)끈의 위치보다 하부측인 턱삽입 포켓(30)의 중상부에 부착되어, 턱삽입 포켓(30)의 상단부를 귀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끈(23)의 잡아당김 응력은 턱삽입포켓(30)을 사용자의 턱을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뿐이고, 마스크 전면부(10)를 얼굴쪽으로 당기는 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생마스크에서의 마스크 귀끈(20)의 잡아당김 응력은 턱삽입 포켓(30)에 마스크를 밀착시키는 힘으로만 작용하고, 기존의 마스크와는 달리 마스크 전면부를 귀쪽으로 당기는 힘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한편 마스크 상부끈(23)이 마스크의 턱 삽입부(30)를 귀쪽으로 당겨 형성되는 팽팽한 직선상태의 라인상에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단을 부착하면, 마스크 상부끈이 당기는 힘의 방향이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단과 평행하기 때문에, 마스크 전면부를 당기는 힘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 마스크 상부끈(23)에 마스크 전면부(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하 귀끈(20)이 턱삽입포켓(30)의 한점에 고리형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방식의 경우, 마스크 전면부(10)와 턱받침부(31)가 만나는 최상단부에 귀끈(2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귀끈이 마스크 전면부(10)를 잡아당기는 응력을 최소화하면서 마스크의 당김 응력을 분산시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입을 움직일 때 마스크가 상하로 쉽게 움직여 착용감이 좋다. 다만 턱삽입포켓(30)의 밑면이 넓을 경우, 고정축이 흔들려 착용 안정성은 분리형에 비해 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본체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버티는 힘이 필요한 부분에는 고정용 프레임을 부착할 수 있다.
즉 마스크 전면부의 상부테두리에 테두리 프레임(14)을 설치하거나 마스크 전면부(10)의 중앙에 중앙부 프레임(15)을 부착하여 마스크 전면부(10)로 착용자의 호흡공기가 분출해도 펄럭이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테두리 프레임(14)나 중앙부 프레임(15)은 탄성 플라스틱이나 두꺼운 부직포등의 탄성체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마스크 전면부(10)의 일부를 접어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위생 마스크 전면부의 좌우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프레임은 마스크가 탄력적으로 펼쳐지고 오랫동안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8도내지 제10도에 제시된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턱삽입 포켓(130)을 주름형식으로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주름형식의 포켓은 제8도에 제시된 것처럼 마스크 전면부(100) 하부에 주름형상의 포켓(130)이 형성된 제2턱받침(131)을 부착하여 턱을 삽입하는 방식과, 제10도처럼 타원형의 마스크 전면부(10)의 하부내부에 주름 형상의 턱받침 포켓을 형성한 방식을 제시하였다.
제8도 및 제9도에서는 평단형의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내부에 주름형태의 턱삽입 포켓이 형성된 턱받침과,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측면하부와 턱받침하부에 부착되는 귀끈으로 구성된 위생마스크를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전면부(110)와,
마스크 전면부(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주름형태의 제2 턱삽입포켓(130)이 형성된 제2턱받침(131)과,
마스크 전면부(100)의 측면하부와 제2턱받침(131)하부에 부착되는 제2 귀끈(120)으로 구성된 위생마스크를 제시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 턱삽입 포켓(130)은 제2 턱받침의 중앙높이에 주름형태로 형성되며, 위생마스크 착용시, 제2 턱삽입포켓, 즉 주름에 사용자의 턱을 삽입토록 하였으며,
상기 제2귀끈(120)은 제2 상부귀끈(123)과 제2 하부귀끈(122)으로 나뉘며, 제2 상부귀끈(123)은 턱삽입포켓(13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제2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에 부착되며, 제2 하부귀끈(122)은 제2 턱받침(131)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제2턱삽입 포켓(131)에 턱이 삽입되고 제2 귀끈을 통해 위생마스크를 얼굴에 고정하고, 상기 제2 턱삽입 포켓(130)의 상부면에 제2 마스크 전면부(110)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입에서 발생하는 침등의 이물질이나, 얼굴에서 발생하는 털,각질등의 이물질이 전방이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생마스크를 제시한다.
이하 각 구성부를 상술한다.
제2마스크 전면부(110)는 부직포나 종이등의 통기성을 가지면서도 자체적으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소 뻣뻣한 소재를 사용하며, 형상은 대략 활꼴형의 모양을 가지며, 하부에는 제2 턱삽입 포켓(130)이 연결된다.
제2 마스크 전면부(110)에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114) 혹은 중앙부 프레임이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시 제1 마스크 전면부(110)가 굽거나 꾸겨짐 없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레임 역할을 하게 된다. 제2 마스크 중앙 프레임(114)의 재질은 탄성이 좋은 pet나 pvc류와 같은 플라스틱 박필름이 적절하나, 제2 마스크 전면부(110)의 중앙에 접어짐부를 만드는 방식으로 프레임을 만들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턱받침(131)은 대략 사각형으로 절단된 부직포 등의 원단소재를 가지고, 중앙부에 주름을 잡고 측면을 융착하는 방식으로 제2 턱삽입포켓(131)을 형성하여, 주름 형태의 제2 턱삽입포켓(131)에 사용자의 턱이 삽입하고 제2 귀끈(120)을 착용함으로서 위생 마스크를 얼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턱받침(131)의 가로크기는 제1마스크 전면부(100)의 가로 길이보다는 같거나 적아야 하고, 세로크기는 최소로는 턱끝만을 담을 만한 크기에서, 최대로는 턱하부 및 입까지 막을 만한 크기까지 사용될 수 있으나, 호흡공기의 원할한 유통을 위해서는 코까지 가려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위생마스크의 제1턱삽입포켓부(130)의 절대 세로길이는 주름부를 만든 상태에서 7cm이하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마스크 전면부(110)를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2 턱삽입포켓(130)의 측면상부와 같은 높이의 제2 마스크 전면부(110)의 측면 하부에 제2 상부귀끈(123)을 설치하고, 제2 턱삽입포켓(130)의 측면하부에는 하부 제1 귀끈부(122)를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이때 제2 턱삽입포켓(130)의 측면상부와 같은 높이의 제2 마스크 전면부(110)의 측면 하부에 제2 상부귀끈(123)을 설치하는 것은 제2 턱받침부(130)의 상부 측면과 귀의 상부를 연결한 직선상에 제2 마스크 전면부(110)의 하부 바닥을 연결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는 제1 마스크 전면(110)부의 좌우 하부를 제1 상부귀끈부(123)의 당겨지는 선상에 고정하여 제1 마스크 전면부(110)가 안정되게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위생마스크에서는 제2 마스크 전면부(110)부의 상부를 얼굴에서 이격시겨 호흡용 공기를 원할하게 유통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주름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제10도에서 게시하는 바와 같이, 주름을 조금만 펼칠 경우에는 굽힘각이 작아 제2 마스크 전면부(110)부의 상부와 얼굴과의 이격이 크고, 주름을 완전히 펼칠 경우에는 굽힘각이 커져 제2 마스크 전면부(110)부의 상부와 얼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한편 이와같은 주름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름의 크기가 충분히 커야하고, 제2 턱받침부(130) 소재는 변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체 경도를 가진 소재여야 한다.
제11도에 나타난 변형에는 대략 제9도와 원리는 같다. 다만 제2 상부 끈부의 제2 마스크 전면부와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하기위해 제2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가 제2 마스크 상부끈부(223)보다 약간 아랫 쪽에 위치하도록 했으나. 실제적으로 귀끈이 부착되는 위치는 사실상 차이가 없다.
10 마스크 전면부
14 테두리 프레임
15 중앙부 프레임
20 귀끈
22 상부끈
23 하부끈
30 턱삽입포켓
31 턱받침
32 포켓봉합선
110 제2 마스크 전면부
114 제2 테두리 프레임
120 제2 귀끈
123 제2 상부 귀끈
122 제2 하부 귀끈
130 제2 턱삽입 포켓
131 제2 턱받침

Claims (2)

  1. 평판형의 소재로 형성되는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에 턱받침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사용자 턱의 전방과 하부를 감싸는 턱삽입 포켓과,
    상기 턱삽입 포켓에 설치된 귀끈으로 이루어진 위생마스크
  2. 평단형의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내부에 주름형태의 턱삽입 포켓이 형성된 턱받침과,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측면하부와 턱받침하부에 부착되는 귀끈으로 구성된 위생마스크
KR1020140057039A 2013-05-14 2014-05-13 위생마스크 KR20140134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4297 WO2014185700A1 (ko) 2013-05-14 2014-05-14 위생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144 2013-05-14
KR1020130054144 2013-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618A true KR20140134618A (ko) 2014-11-24

Family

ID=5245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039A KR20140134618A (ko) 2013-05-14 2014-05-13 위생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6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29B1 (ko)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20220054065A (ko) 2020-10-23 2022-05-02 복성균 캡슐이 삽입된 세로주름 마스크
KR20230077946A (ko) 2021-11-26 2023-06-02 복성균 캡슐이 삽입된 음성증폭형 세로주름 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29B1 (ko)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20220054065A (ko) 2020-10-23 2022-05-02 복성균 캡슐이 삽입된 세로주름 마스크
KR20230077946A (ko) 2021-11-26 2023-06-02 복성균 캡슐이 삽입된 음성증폭형 세로주름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632B2 (ja) 他者保護用の衛生マスク
KR101720674B1 (ko) 마스크
JP2011505208A (ja) 手の接触による病原菌伝染に対する保護機能を有する咳キャッチャー
TW200522988A (en) Disposable dust protective mask
JP3205181U (ja) 使い捨てマスク
JP5820798B2 (ja) 耳掛け型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およびマスク用フレーム
KR20150142321A (ko) 위생마스크
KR20140134618A (ko) 위생마스크
US715052A (en) Mouth and nose guard.
KR101036956B1 (ko) 위생마스크
KR200485337Y1 (ko) 미용 마스크 팩
JP3229569U (ja) 衛生用保護具
JP7299624B2 (ja) 衛生マスク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20210002600U (ko) 보건용 마스크
WO2014185700A1 (ko) 위생마스크
KR101485571B1 (ko) 안면 팩용 기구
KR20130068939A (ko) 입가림 마스크
KR20220039130A (ko) 마스크용 넥 스트랩
JP3232429U (ja) マスク
KR20150046875A (ko) 치과 환자용 위생시트
KR20220039131A (ko) 마스크용 넥 스트랩
KR20230100130A (ko) 보건용 위생 마스크
JP2009261890A (ja) 理美容用フェースカバー
KR20160002916U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