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58A - 저속회전 카메라 - Google Patents

저속회전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58A
KR20180054358A KR1020160152226A KR20160152226A KR20180054358A KR 20180054358 A KR20180054358 A KR 20180054358A KR 1020160152226 A KR1020160152226 A KR 1020160152226A KR 20160152226 A KR20160152226 A KR 20160152226A KR 20180054358 A KR20180054358 A KR 2018005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mera
information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6015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4358A/ko
Publication of KR2018005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06
    • H04N5/23238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구동부를 통해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를 움직임과 동시에 정지영상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영상을 영상의 핀트가 일치하도록 촬영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속회전 카메라{Low speed rotating camera}
본 발명은 저속회전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카메라가 저속으로 회전하며 정지영상을 자동으로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저속회전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은 먼저 카메라를 삼각대의 머리부에 고정설치한 다음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향하여 1단계 촬영하고, 다시 삼각대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고정설치된 머리부를 회전시킨 다음 2단계 촬영하고, 다시 삼각대의 머리부와 함께 카메라를 회전시켜 3단계 촬영하는 순으로 반복하여 원하는 만큼 연속촬영한 후 편집함으로써 파노라마 촬영이 되게 하고 있다.
이때, 종래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은 촬영자의 감각으로 삼각대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삼각대의 머리부와 함께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분할된 각도로 카메라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다단계 연속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연결되는 영상의 핀트가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로테이터 장치를 구입하여 로테이터 장치를 삼각대에 결합한 뒤 카메라를 로테이터 장치에 결합하게 되는데, 삼각대에 로테이터 장치와 카메라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장착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로테이터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함으로 인해 비용의 증대를 야기시키는 한편, 장치 설치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599호 (2005.10.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구동부를 통해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를 움직임과 동시에 정지영상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영상을 영상의 핀트가 일치하도록 촬영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저속회전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닝 구동부; 및 상기 본체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상기 패닝 구동부를 제어하고, 동시에 정지영상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카메라 셋팅값과,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무빙 패턴값을 설정부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카메라 셋팅값과 무빙 패턴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패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패닝 구동부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동작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닝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동풀리;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제3모터의 제3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3모터의 구동력을 벨트를 매개로 상기 피동풀리에 전달하는 구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닝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동기어;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제3모터의 제3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3모터의 구동력을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에 의하면,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구동부를 통해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를 움직임과 동시에 정지영상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영상을 영상의 핀트가 일치하도록 촬영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가 삼각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저속회전 카메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의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가 삼각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저속회전 카메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저속회전 카메라(100)는 지면 또는 테이블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저속회전 카메라(100)는 정지영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도 촬영할 수 있는 광학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속회전 카메라(100)는, 카메라모듈(120)을 포함하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부(114); 받침부(114)에 구비되어 본체(1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닝 구동부(160); 및 본체(110)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패닝 구동부(160)를 제어하고, 동시에 정지영상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120)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20)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촬상된 광 이미지를 메모리부(192)에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으로, 렌즈가 배열된 렌즈배럴, 적외선을 차단하는 IR필터, 촬상된 광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전기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메모리부(192)에 데이터로 저장되며, 메모리부(192)에 저장된 데이터는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본체(110)는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노라마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120)이 구비되어 받침부(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체(110)는 받침부(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공간 하측면에 좌우 방향으로 지지 플레이트(112)가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112)에는 받침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부(163)의 힌지축(156)이 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본체(110)는 복수 개의 렌즈필터(122)가 구비되는 회전체(130) 및 복수 개의 렌즈필터(122)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모듈(120)의 렌즈배럴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체(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회전체(13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용부(124)가 형성되며, 수용부(124)에 UV필터, PL필터, Cross필터, Soft필터, ND필터 등의 렌즈필터(122)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130)는 복수 개의 렌즈필터(122)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모듈(120)의 렌즈배럴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체 구동부(140)에 결합되어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체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 구동부(140)는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필터(122)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모듈(120)의 렌즈배럴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체(1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본체(110)에 구비되며, 회전체(130)와 연결된다.
회전체 구동부(140)는 회전축(144)이 구비된 제1모터(142)를 포함한다.
제1모터(142)는 카메라모듈(120)과 인접하게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제1모터(142)에 구비된 회전축(144)은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체(130)와 결합된다.
받침부(114)는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삼각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에 본체(110)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패닝 구동부(160)가 구비된다.
받침부(114)는 본체(110)와 접하는 상부 측면에 눈금(116)이 형성되며, 눈금(116)을 통해 본체(110)의 회전각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부(114)는 상측에 지지축부(163)가 관통되는 지지홀이 형성되고, 내부 하측면에 본체(110)의 지지축부(16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지지축부(163)는 원통형상으로 본체(110)에 결합되어 받침부(114)의 지지홀에 끼워지며 지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축부(163)는 상부에 힌지축(156)이 좌우방향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며, 힌지축(156)은 본체(110)의 지지 플레이트(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축(156)은 지지축부(163)의 상부에 좌우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며, 본체(110)의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 구동부(150)와 연결된다.
틸팅 구동부(150)는 본체(11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힌지축(156)과 연결된다.
틸팅 구동부(150)는 회전축(154)이 구비된 제2모터(152)를 포함한다.
제2모터(152)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2모터(152)에 구비된 회전축(154)은 힌지축(156)과 연결된다.
따라서, 틸팅 구동부(150)의 제2모터(152)가 힌지축(156)을 중심으로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함에 따라 본체(110)는 카메라 모듈의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모터(152)와 함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모터(152)는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스텝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패닝 구동부(160)는 받침부(114)에 구비되어 본체(1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축(164)이 구비된 제3모터(162), 구동풀리(166), 벨트(169) 및 피동풀리(168)를 포함한다.
피동풀리(168)는 본체(110)의 지지축부(163)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풀리(166)와 벨트(169)를 매개로 연결되며, 제3모터(162)의 회전축(164)에 결합된 구동풀리(166)가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본체(1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피동풀리(168)는 본체(110)의 지지축부(163)에 결합되어 제3모터(162)의 회전축(164)에 결합된 구동풀리(166)가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본체(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풀리(166)는 받침부(114)에 구비되는 제3모터(162)의 회전축(164)에 결합되어 제3모터(162)의 구동력을 벨트(169)를 매개로 피동풀리(168)에 전달하게 된다.
제3모터(162)는 받침부(114)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3모터(162)에 구비된 회전축(164)에는 구동풀리(166)가 결합된다.
제3모터(162)는 일정한 각도로 일정한 시간에 따라 움직임을 갖도록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스텝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닝 구동부(160)는 구동풀리(166), 벨트(169) 및 피동풀리(168)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와는 다르게 제3모터(162)의 회전축(164)과 본체(110)의 지지축부(163) 사이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패닝 구동부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받침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동기어 및 받침부에 구비되는 제3모터의 제3회전축에 결합되며, 피동기어와 맞물려 제3모터의 구동력을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본체(110)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패닝 구동부(160)를 제어하고, 동시에 정지영상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12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카메라 셋팅값과, 본체(110)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무빙 패턴값을 설정부(170)를 통해 메모리부(192)에 저장하며, 메모리부(192)에 저장된 카메라 셋팅값과 무빙 패턴값에 따라 카메라모듈(120)과 패닝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90)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92)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부(192)는 예시되지 않은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설정부(170)는 본체(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셋팅값과, 본체(110)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를 포함하는 무빙 패턴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172)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172)을 조작하여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셋팅값과, 본체(110)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를 포함하는 무빙 패턴값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110)는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셋팅값과, 본체(110)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를 포함하는 무빙 패턴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4)가 외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통신부(180)는 받침부(114)에 구비되며, 카메라모듈(120), 패닝 구동부(160), 틸팅 구동부(150) 및 회전체 구동부(14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콘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동작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80)는 랜포트, 와이파이(WiFi), (3G, 4G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근거리 통신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저장된 영상을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설정부(170) 및 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명령에 따라 회전체 구동부(140), 틸팅 구동부(150), 패닝 구동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버튼(172) 또는 리모콘 등의 무선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렌즈필터(122)가 렌즈배럴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본체(110)를 틸팅 및 설정된 시간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정지영상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1초에 0.1°씩 회전함과 동시에 카메라모듈(120)이 1초에 1장씩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을 동영상 포맷으로 메모리부(19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저속회전 카메라(10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회전체 구동부(140)는 렌즈필터(122)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모듈(120)의 렌즈배럴 전방에 배치되도록 회전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틸팅 구동부(150)는 본체(1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메라 모듈의 틸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10)는 회전을 시작하고 설정된 회전각까지 회전한 후에 정지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의 회전 방향(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및 속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회전각까지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타 방향으로 다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동작 중, 본체(110)는 소정의 각도마다 회전을 일시 정지할 수 있고, 단순하게 회전을 시작한 후에 정지 신호가 입력되는 때에 정지할 수도 있다.
이때, 소정의 각도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110)가 일시 정지하는 시간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회전을 시작하고 설정된 회전각까지 회전한 후에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20)은 본체(110)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정지영상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120)은 촬영시작시간, 촬영종료시간, 촬영속도 및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구동부를 통해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모듈을 움직임과 동시에 정지영상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영상을 영상의 핀트가 일치하도록 촬영하여 용이하게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삼각대 100 : 저속회전 카메라
110 : 본체 112 : 지지 플레이트
114 : 받침부 120 : 카메라모듈
122 : 렌즈 130 : 회전체
140 : 회전체 구동부 142 : 제1모터
144 : 제1회전축 150 : 틸팅 구동부
152 : 제2모터 154 : 제2회전축
156 : 힌지축 160 : 패닝 구동부
162 : 제3모터 163 : 지지축부
164 : 제3회전축 166 : 구동풀리
168 : 피동풀리 169 : 밸트
170 : 설정부 180 : 통신부
190 : 제어부 192 : 메모리부

Claims (5)

  1. 파노라마 촬영을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100)에 있어서,
    카메라모듈(120)을 포함하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부(114);
    상기 받침부(114)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닝 구동부(160); 및
    상기 본체(110)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움직임을 갖도록 상기 패닝 구동부(160)를 제어하고, 동시에 정지영상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20)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는, 촬영시작정보, 촬영종료정보, 촬영속도정보 및 촬영간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카메라 셋팅값과, 상기 본체(110)의 이동방향정보, 이동속도정보 및 이동시작과 멈춤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무빙 패턴값을 설정부(170)를 통해 메모리부(192)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192)에 저장된 카메라 셋팅값과 무빙 패턴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120)과 상기 패닝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120) 또는 상기 패닝 구동부(16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동작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90)에 전송하는 통신부(19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 구동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동풀리(168); 및
    상기 받침부(114)에 구비되는 제3모터(162)의 제3회전축(164)에 결합되어 상기 제3모터(162)의 구동력을 벨트(169)를 매개로 상기 피동풀리(168)에 전달하는 구동풀리(1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 구동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피동기어; 및
    상기 받침부(114)에 구비되는 제3모터(162)의 제3회전축(164)에 결합되며,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3모터(162)의 구동력을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구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회전 카메라.
KR1020160152226A 2016-11-15 2016-11-15 저속회전 카메라 KR20180054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26A KR20180054358A (ko) 2016-11-15 2016-11-15 저속회전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26A KR20180054358A (ko) 2016-11-15 2016-11-15 저속회전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58A true KR20180054358A (ko) 2018-05-24

Family

ID=6229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26A KR20180054358A (ko) 2016-11-15 2016-11-15 저속회전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435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481A (ja) * 1992-11-20 1994-08-12 Picker Internatl Inc パノラマカメラ装置
JPH11146257A (ja) * 1997-09-08 1999-05-28 Toshiba Tec Corp パノラマ撮像装置
JP2011155361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68933B1 (ko) * 2012-12-17 2014-12-10 주식회사 아이엠씨인터랙티브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481A (ja) * 1992-11-20 1994-08-12 Picker Internatl Inc パノラマカメラ装置
JPH11146257A (ja) * 1997-09-08 1999-05-28 Toshiba Tec Corp パノラマ撮像装置
JP2011155361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68933B1 (ko) * 2012-12-17 2014-12-10 주식회사 아이엠씨인터랙티브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7322B2 (en) Method of setting initial position of camera, camera, and camera system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1489995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7616232B2 (en) Remote shooting system and camera system
US100449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mera operation through control device
JP2001051323A (ja) ファン/チルトカメラ及びその構造
CN105430131A (zh) 一种手机的角度可调式摄像头组件及手机
US8749894B2 (en) Lens barrel
WO2020052444A1 (zh) 用于摄影的设备控制系统及方法
KR20110102593A (ko)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US2004001750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tegrated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30071914A1 (en) Image-capturing system capable of changing an image capturing angle
KR20180054358A (ko) 저속회전 카메라
KR101907895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KR200496841Y1 (ko) 단말기 거치대
US9667869B2 (en) Camer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horizontality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3034158A (ja) 撮像装置
JP5402075B2 (ja) カメラ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端末
KR102095099B1 (ko) 조이스틱을 갖는 스마트폰용 삼각대
KR102470470B1 (ko) 피사체 추적 장치
JP2915659B2 (ja)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テレビ電話装置
KR101284010B1 (ko) 회전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KR200487333Y1 (ko) 스마트폰용 회동식 카메라 렌즈 유닛
JP202316812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098883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