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933B1 -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933B1
KR101468933B1 KR1020120147155A KR20120147155A KR101468933B1 KR 101468933 B1 KR101468933 B1 KR 101468933B1 KR 1020120147155 A KR1020120147155 A KR 1020120147155A KR 20120147155 A KR20120147155 A KR 20120147155A KR 101468933 B1 KR101468933 B1 KR 10146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eed
disk
camera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139A (ko
Inventor
하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씨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씨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씨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2014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G03B35/0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with movement of beam-selecting members in a system defining two or more viewp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카메라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피사체가 안착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디스크와, 디스크의 회전속도 또는 반복되는 정지각도를 구동하도록 설치된 모터를 포함한 턴테이블; 및,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 및 정지속도와,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턴테이블은 제어장치와 모터 및 카메라를 유,무선 통신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하는 통신모듈과, 모터가 내장되면서 디스크가 상부에 설치된 케이스와, 모터에 의해 자전하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축과,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 및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케이스의 내부로 입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급작스런 회전 및 정지에 의한 피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피사체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균일한 양질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턴테이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photographing system having movable turn table for 3-dimention image}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를 구비한 턴테이블을 밀거나 끌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의 회전속도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이동이 용이한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3차원 촬영시스템.
일반적으로, 3차원 촬영기술은 생동감있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차세대 영상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영화, 교육, 광고 등의 각종 3차원에 의한 콘텐츠의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관련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3차원 촬영방법이 있고, 넓게는 고정된 피사체를 카메라가 회전하면서 촬영하는 방법과, 회전하는 피사체를 고정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이들 촬영방법에 따라 적합한 3차원 촬영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중, 카메라 고정식 3차원 촬영장치(1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6452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피사체(11)가 안착되는 턴테이블(12), 턴테이블(12) 주위에 조명(13)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된 다수의 프레임(14) 및, 프레임(14)에 설치되면서 일부위에 카메라(15)가 고정된 각도조절바(16)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정 속도로 턴테이블(12)이 회전하면 카메라(15)가 이를 연속 촬영하여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턴테이블(12)을 이용한 촬영장치는 턴테이블(12)의 회전 시작과 정지시 덜컹거림이 발생하면서 피사체(11)가 원치않게 움직였고, 이때 획득한 3차원 이미지의 퀄리티가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12)이 일정 속도로 회전할 때와 시작 및 정지할 때에 획득한 3차원 이미지의 퀄리티가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였다. 또한, 턴테이블(12)의 회전 시작과 정지시 발생하는 반복된 피사체(11)의 움직임으로 인해 턴테이블(12)에 순간적으로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였고, 이는 턴테이블(12)의 잦은 고장 및 수명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턴테이블(12)의 회전속도와 카메라(15)의 셔터속도가 상호 연동되어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동일한 피사체를 동일한 시간동안 촬영하여도 서로 상이한 3D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내부에 모터를 포함한 회전수단이 내장된 중량(重量)의 턴테이블(12)을 운반 및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턴테이블(12)을 1인 또는 2인 이상이 힘겹게 들어올려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턴테이블의 회전 시작 및 정지시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급작스런 턴테이블의 회전 및 정지를 방지하여 피사체의 움직임 역시 방지하고, 턴테이블의 회전속도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회전 및 정지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3차원 이미지가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균일한 양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된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턴테이블에 다수의 바퀴 및 고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턴테이블 이동시 바퀴를 이용하여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촬영 작업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턴테이블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카메라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피사체가 안착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디스크와, 디스크의 회전속도 또는 반복되는 정지각도를 구동하도록 설치된 모터를 포함한 턴테이블; 및,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 및 정지속도와,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턴테이블은 제어장치가 모터의 회전속도와 가속 및 감속시간에 상응하여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장치와 모터 및 카메라를 유,무선 통신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턴테이블은 모터가 내장되면서 디스크가 상부에 설치된 케이스; 모터에 의해 자전하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축;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 및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고, 케이스의 내부로 입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모터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는 3∼6 rpm이고, 회전시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은 1∼3초이다.
그리고, 카메라의 셔터속도는 디스크의 1회전을 360°로 하는 경우, 디스크의 1회전에 25 내지 35컷을 동일한 속도로 촬영하는 속도이다.
한편, 제어장치에는 디스크의 회전속도, 디스크를 연속회전시키거나 일정 각도로 정지 및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속도 및 정지속도와, 모터의 회전시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을 제어하고, 카메라의 셔터속도를 모터의 회전속도,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의 회전 시작 및 정지 시점에서 모터의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으로 디스크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급작스런 회전 및 정지 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급작스런 회전 및 정지에 의한 피사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피사체의 회전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균일한 양질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회전속도, 일정 각도로 디스크가 정지와 회전을 하도록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속도,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속도가 상응하여 제어됨으로써, 현실과 최대한 동일한 입체감을 구현하면서 자연스러운 최적의 3차원 입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이 소형이면서 바퀴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촬영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이든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3D 촬영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형 턴테이블의 실사이다.
도 4는도 3에 도시된 소형 턴테이블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턴테이블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서 모터 및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화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형 턴테이블의 실사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형 턴테이블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a는 도 4의 턴테이블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5b는 도 4a에서 모터 및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화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소형 턴테이블(110), 카메라(120) 및 제어장치(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턴테이블(110)은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회전축(111)이 내장된 케이스(112), 케이스(112)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회전축(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디스크(113), 회전축(11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모터(114), 통신모듈(117), 케이스(112)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115) 및 고정부재(116)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112)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내부에는 디스크(113)와 일단부가 결합된 회전축(111)과, 이 회전축(111)과 결합된 모터(114)가 내장된다.
또한, 디스크(113)는 피사체가 안착되면 이 피사체를 360° 회전시키는 부재로서, 회전축(111)과 결합하여 모터(114)에 의해 회전축(111)과 더불어 회전하도록 케이스(112)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디스크(113)는 케이스(112)의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피사체의 자중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해 디스크(113)와 케이스(112)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터(114)는 케이스(112)에 내장된 회전축(11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모터(114)는 디스크(113)의 회전 시작 및 정지 시점에서 갑작스런 회전 및 정지로 인해 덜컹거림과, 디스크(113)에 안착된 피사체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정밀하게 제어되는 서보모터가 이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모터는 대부분 rpm(회전수/분당)으로 스펙(spec)을 정하는 일반 AC모터를 사용하였으나, 이 AC모터는 회전속도가 고정적이고, 회전 또는 정지시 순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디스크(113)가 덜컹거리면서 피사체 역시 흔들리거나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AC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려면 별도의 인버터를 장착해야 하는데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이 발생된다. 또한, 스텝모터의 경우 회전속도가 낮아 회전하는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3D로 획득한 이미지의 퀄리티가 저하되고, 피사체의 무게 및 움직임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므로 미세촬영 각도를 제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C모터보다 더 큰 동력을 발생시키면서 회전속도를 훨씬 빠르게 하기 위해 스펙을 분해능(217 bit)과 W(와트)로 선정하면서 감속기와 연동되어 정밀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이용한다. 이 서보모터는 감속시간과 가속시간을 이용하여 디스크(113)의 회전 또는 정지시 속도를 천천히 증가 또는 감속시키는데 최적이다. 따라서, 이 서보모터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디스크(113)가 회전 또는 정지할 때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속시킴에 따라 디스크(113)의 갑작스런 회전 또는 정지를 방지함으로써, 피사체가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모터의 가속시간을 2.5초로 설정한 경우 회전 시작 시점에서의 부하를 2.5초 동안 감쇠시켜 구동하므로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감속시간을 2.5초로 설정한 경우 회전 정지시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2.5초 동안 감쇠시켜 회전이 정지되므로 역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보모터는 디스크(113)를 일정 각도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때, 일예로 디스크(113)가 30°마다 회전과 정지를 반복할 때에도 디스크(113)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원하는 회전속도를 얻을 수 있고, 반복적인 디스크(113)의 회전과 정지에도 갑작스런 동작을 방지하는데 탁월하다. 물론, 서보모터는 30°미만의 미세한 각도 조절에도 현저히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보모터가 연속회전으로 동작하는 경우,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3D 촬영에 최적인 3∼6rpm으로 하고,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을 1∼3초로 한다. 이 서보모터의 조건은 제어장치(130)에서 설정된 값으로, 통신모듈(117)을 통해 후술된 카메라(120)의 셔터속도와 연동된다. 물론, 서보모터는 도 3에서와 같이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일예로, 디스크(113)의 360° 1회전은 10∼15초 정도로 함이 적당하다.
그리고, 통신모듈(117)은 제어장치(130)에 의해 설정된 모터(114)의 연속된 회전속도, 정지 및 회전속도와, 카메라(120)의 셔터속도에 대한 설정값을 각각 모터(114) 및 카메라(120)에 전송하기 위해, 모터(114)와 카메라(120)를 제어장치(13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한다.
또한, 바퀴(115)는 1인(人)이 턴테이블(110)을 밀거나 끌어서 아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느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112)의 하부에 바닥과 접촉하도록 일정 각도로 다수 설치된다. 이 바퀴(115)는 각각 어느 방향으로도 굴러갈 수 있도록 회전바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116)는 이동된 턴테이블(110)의 위치를 견고히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112)의 하부에 일정 각도로 다수 설치된다. 이 고정부재(116)는 볼트 및 너트, 나사 방식 또는 피봇회전 방식으로 회전시켜 상부가 케이스(11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되도록 케이스(112)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부재(116)의 하부는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턴테이블(110)의 이동시에는 고정부재(11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과 닿지 않도록 케이스(112)의 내부로 삽입하고, 이동된 장소에서 턴테이블(110)을 고정시킬 때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과 고정부재(116)의 하부가 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카메라(120)는 통상의 카메라이고, 이때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는 턴테이블(110)의 디스크(113) 회전속도, 회전 및 정지속도, 즉 디스크(113)를 회전시키는 모터(114)의 회전속도와 연동하도록 제어된다. 일예로, 피사체가 연속 회전하는 경우, 상기에 제시된 서보모터의 회전속도가 3∼6rpm인 경우 피사체가 360° 회전하는 동안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는 25∼35컷 정도로 연동되고, 이때의 각각의 컷은 동일한 속도로 촬영된다. 또한, 서보모터의 회전속도가 3∼6rpm인 경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는 피사체가 설정된 각도, 일예로 30° 각도로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는 경우 피사체가 360° 회전하는 동안 동일한 속도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조절된 속도로 촬영한 25∼35컷 정도이다. 여기서, 카메라(120)는 별도의 유선 릴리즈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고, 이 유선 릴리즈 컨트롤러에 의해 그 셔터속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장치(130)는 상기 모터(114)의 회전속도, 가속시간, 감속시간 및, 상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가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컴퓨터가 이용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제어장치(13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도 6에서와 같이, 초기 화면에 "상태부(State)"를 통해 모터(114) 및 카메라(120)와 통신모듈(117)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장치(130)와 접속시킨다. 이때, "커넥션부(Connection)"의 통신포트를 통신모듈(117)의 통신포트와 일치시킴으로써, 제어장치(130)와 모터(114) 및 카메라(120)가 접속된다. 이후, 접속상태가 되면 "조그무브부(Jog Move)"에서 모터(114)의 왼쪽 또는 오른쪽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면, "현재각도부(Current Angle)"에 현재의 각도가 표시된다. 별도로, "카메라 세트변수부(Set Parameter)"에서는 3D 촬영시 "세트각도부(Set Angle)"인 디스크(113)의 회전각도 360°에 대해 카메라(120)의 셔터 컷의 횟수가 "컷카운트부(Cut Count)"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이때의 "딜레이시간부(Delay time)"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모터세트부(Moter Set)"를 클릭하여 "모터세트 변수부(Set Parameter)"에서 카메라(120)와 연결된 상태에서의 모터(114)의 회전속도를 "회전속도부(Run Speed)"에 입력하고, 매뉴얼로 사용되는 회전속도를 "조그 속도부(Jog Speed)"에도 입력한다. 그리고, "실제각도부(Actual Pos)"에서는 모터(114)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113)의 실제 회전각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속도부"에 입력한 회전속도가 "조그 속도부"에 입력된 회전속도와 일치하는지, 실시간으로 회전하는 속도와 동일한지를 실시간으로 비교하게 된다. 이렇게 모터(114)의 회전속도가 설정되면 디스크(113)의 1회전을 360°로 하여 얼마의 간격으로 회전후 멈출 것인지에 대해 "정지각도부(Stop Angle)"에 입력한다. 일예로, "0°"를 입력할 경우, 디스크(113)는 멈춤없이 360°를 연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30°"를 입력할 경우, 디스크(113)는 30°보다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여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실제각도부"를 0.00으로 초기화한다. 끝으로, 모든 설정이 끝나면 초기화면에서 "시작부(Start)"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된 "정지각도부"의 각도에 따라 디스크(113)가 연속회전 또는, 회전과 정지가 "정지부(Stop)" 버튼을 클릭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카메라(120)로 회전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피사체가 안착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디스크(113)와, 상기 디스크(113)의 회전속도 또는 반복되는 정지각도를 구동하도록 설치된 모터(114)를 포함한 턴테이블(110); 및
    상기 모터(114)의 회전속도 및 정지속도와, 상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30);를 포함하고,
    상기 턴테이블(110)은 제어장치(130)가 모터(114)의 회전속도와 가속 및 감속시간에 상응하여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장치(130)와 모터(114) 및 카메라(120)를 유,무선 통신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하는 통신모듈(1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114)는 서보모터이고, 상기 제어장치(130)는 상기 디스크(113)가 회전 또는 정지할 때 회전속도가 천천히 증가 또는 감속되도록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을 가지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는 3-6rpm이고, 상기 제어장치(130)는 회전시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은 1∼3초가 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모터(114)가 내장되면서 상기 디스크(113)가 상부에 설치된 케이스(112);
    상기 모터(114)에 의해 자전하면서 상기 디스크(113)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축(111);
    상기 케이스(112)의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115); 및
    상기 케이스(112)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112)의 내부로 입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는 상기 디스크(113)의 1회전을 360°로 하는 경우, 디스크(113)의 1회전에 25 내지 35컷을 동일한 속도로 촬영하는 속도인 것을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30)에는 디스크(113)의 회전속도, 디스크(113)를 연속회전시키거나 일정 각도로 정지 및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114)의 회전속도 및 정지속도와, 모터(114)의 회전시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를 상기 모터(114)의 회전속도, 가속시간 및 감속시간과 연동하여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30)는,
    상기 모터(114) 및 카메라(120)와 통신모듈(117)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장치(130)와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상태부(State);
    모터(114)의 왼쪽 또는 오른쪽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조그 무브부(Jog Move);
    현재의 각도가 표시되는 현재각도부(Current Angle);
    상기 디스크(113)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세트각도부(Set Angle)와, 상기 세트각도부(Set Angle)의 각도에 대해 카메라(120)의 셔터 컷의 횟수를 표시하는 컷 카운트부(Cut Count) 및, 상기 카메라(120)의 셔터속도가 딜레이된 시간이 표시되는 딜레이시간부(Delay time)가 구성된 카메라 세트변수부(Set Parameter);
    상기 카메라(120)와 연결된 상태에서의 모터(114)의 회전속도를 입력하는 회전속도부(Run Speed)와, 모터(114)의 회전속도를 입력하는 조그속도부(Jog Speed) 및, 모터(114)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113)의 실제 회전각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실제각도부(Actual Pos)를 포함하는 모터세트부(Moter Set);
    상기 디스크(113)의 1회전을 360°로 하여 얼마의 간격으로 회전후 멈출 것인지를 입력하는 정지각도부(Stop Angle);
    모든 설정이 끝나면 모터(114) 및 카메라(120)을 작동시켜 3D 촬영을 시작 및 정지하는 시작부(Start) 및 정지부(Stop);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KR1020120147155A 2012-12-17 2012-12-17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KR10146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155A KR101468933B1 (ko) 2012-12-17 2012-12-17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155A KR101468933B1 (ko) 2012-12-17 2012-12-17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39A KR20140078139A (ko) 2014-06-25
KR101468933B1 true KR101468933B1 (ko) 2014-12-10

Family

ID=5112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155A KR101468933B1 (ko) 2012-12-17 2012-12-17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358A (ko) * 2016-11-15 2018-05-24 김정훈 저속회전 카메라
KR102268558B1 (ko) 2020-08-31 2021-06-22 김경은 차량 온라인 판매를 위한 자동 사진촬영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290A1 (en) * 2015-07-31 2017-0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urntable peripheral for 3d scanning
KR200491541Y1 (ko) * 2018-03-19 2020-04-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턴 테이블 rt대차
KR102123179B1 (ko) * 2019-01-28 2020-06-15 안정호 회전식 영상 촬영 장치
KR102320398B1 (ko) * 2020-05-07 2021-11-01 심재권 카메라 회전 촬영 장치
KR102611537B1 (ko) * 2021-06-04 2023-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고품질의 디지털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4727086A (zh) * 2022-04-29 2022-07-08 临沂中科英泰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图像数据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555A (ja) * 1994-10-13 1996-05-07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静止画撮像システム
KR20010091419A (ko) * 2000-03-15 2001-10-23 김시중 자동 사진촬영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제작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555A (ja) * 1994-10-13 1996-05-07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静止画撮像システム
KR20010091419A (ko) * 2000-03-15 2001-10-23 김시중 자동 사진촬영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제작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358A (ko) * 2016-11-15 2018-05-24 김정훈 저속회전 카메라
KR102268558B1 (ko) 2020-08-31 2021-06-22 김경은 차량 온라인 판매를 위한 자동 사진촬영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39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933B1 (ko) 소형 턴테이블을 구비한 3차원 이미지 획득용 촬영시스템
US8200078B2 (en) Camera control system and associated pan/tilt head
JP6855673B2 (ja) 変形可能装置
CN104055355B (zh) 可变运动婴儿座椅
EP2345012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télé-visionnage
US8721198B2 (en) Camera head with pan, roll and tilt movement
CN108353142A (zh) 使用链条来调整显示器的位置的装置
JP2018534490A (ja) 搭載物を安定させる安定化装置
EP3231963B1 (en) Dynamic multidirectional film watching system
US20210223668A1 (en) Orbiting camera mount with integrated electronic camera positioning and functional control
JP2006345478A (ja) 三次元イメージ生成装置
CN112666996A (zh) 控制运动状态的方法、装置、系统、非易失性存储介质
KR101407451B1 (ko) 3차원 영상 카메라의 무빙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137439B1 (ko)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N206479707U (zh) 显微镜
KR101766821B1 (ko)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132311U (ja) 撮影スタンドの構造
CN109478001B (zh) 用于平衡变焦镜头重心的系统
KR101284674B1 (ko) 4d용 관람시트 구동장치
KR100852248B1 (ko) 카메라용 크레인
US20090303334A1 (en) Crowd photography
CN113759640A (zh) 一种应用于3d成型加工的矩阵拍照设备及3d成型建模方法
KR102123179B1 (ko) 회전식 영상 촬영 장치
US20200070045A1 (en) Vr motion control method, multi-dimensional motion platform and thrust universal spherical plain bearing
CN207640995U (zh) 一种反重力全景影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