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72A - 버스바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스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72A
KR20180053072A KR1020160150431A KR20160150431A KR20180053072A KR 20180053072 A KR20180053072 A KR 20180053072A KR 1020160150431 A KR1020160150431 A KR 1020160150431A KR 20160150431 A KR20160150431 A KR 20160150431A KR 20180053072 A KR20180053072 A KR 2018005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jection
region
mold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15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072A/ko
Publication of KR2018005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6Plugs, connector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영역을 포함하는 단자에 세레이션을 형성 또는 이중 사출을 하여 단자와 사출물을 고정시키는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는 단자와,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제1 사출되어 형성되는 인몰드와, 인몰드를 포함하는 사출 영역 외부에 제2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며, 사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단자와,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바 조립체{busbar assembly}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부품의 일종인 각종 커버는 성형수지의 내부에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버스바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커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서트 사출성형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출금형 내의 성형공간에 다수의 버스바를 일정하게 배치 및 고정시킨 후 성형공간에 용융수지를 가압하여 주입함으로써 버스바와 일체화된 성형수지의 제품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성형공간으로 용융수지를 가압하여 주입하는 과정에서 강한 압력에 의해 버스바의 위치가 틀어지면서 접속단자와 용융수지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와 사출물 간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자와 사출물 간에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버스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는 단자와,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제1 사출되어 형성되는 인몰드와, 인몰드를 포함하는 사출 영역 외부에 제2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자에는, 사출 영역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또한, 사출물에는,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가 도포된다.
또한, 사출물에는, 실링부재를 도포하기 위해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이 생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며, 사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단자와,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자에는, 세레이션이 포함된 사출 영역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또한, 사출물에는,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가 도포된다.
또한, 사출물에는, 실링부재를 도포하기 위해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는, 단자와 사출물이 고정되어 열 또는 진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단자와 사출물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부재를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홈을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부재를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홈을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10)는 단자(20), 인몰드(30) 및 사출물(40)을 포함한다.
단자(20)는 구리, 철,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21)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자(20)의 사출 영역(21)은 인서트 몰딩으로 사출되는 인몰드(30) 및 사출물(40)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인몰드(30)는 단자(20)의 사출 영역(21)의 외부에 인서트 몰딩으로 제1 사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인몰드(30)는 단자(20)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단자(20)와 인몰드가(30)가 고정되도록 단자(20)의 사출 영역(21) 외부에 에폭시,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사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단자(20)의 사출 영역(21)의 전체 또는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를 단자(20)의 사출 영역(21)에 도포하여 제1 사출함으로써, 단자(20)와 인몰드(30)를 비틀어지거나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출물(40)은 단자(20)의 사출 영역(21)에 인서트 몰딩으로 제2 사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출물(40)은 단자(20)의 사출 영역(21)에 형성된 인몰드(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물(40)은 인몰드(20)를 포함하는 사출 영역(21) 외부에 제2 사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단자(20)에 고정된 인몰드(30)로 인해 단자(20)와 사출물(40)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단자(20)는 사출물(40)의 내부를 관통하고, 단자(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단자(20)와 사출물(40)이 열 충격을 받으면, 단자(20)와 사출물(40) 간에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며 단자(20)와 사출물(40) 간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20)와 사출물(40)이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단자(20)에 고정된 인몰드(30)가 단자(20)가 발생한 틈 사이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해준다. 따라서, 단자(20)와 사출물(4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과 접촉된 사출물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하여 단자(20)와 사출물(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은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부재를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출물(40)은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가 도포되어 단자(20)와 사출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서 사출물(40)과 단자(20)가 접촉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한다. 이때, 실링부재(42)는 사출물(40)에 도포되어 단자(20)와 사출물(4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하기 위해 사출물(40)에 실링홈(44)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홈을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출물(40)은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44)을 생성할 수 있다.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서 사출물(40)과 단자(20)가 접촉되는 영역에 실링홈(44)을 생성한다. 이때, 실링홈(44)은 사출물(40)에 생성되어 사출물(40)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10)는 단자(20) 및 사출물(40)을 포함한다.
단자(20)는 구리, 철,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출 영역(21)은 인서트 몰딩으로 사출되는 사출물(40)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단자(20)의 사출 영역(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42)이 생성된다.
그리고, 사출물(40)은 세레이션(42)이 포함된 단자(20)의 사출 영역(21)에 인서트 몰딩으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단자(20)에 형성된 세레이션(22)에 에폭시,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출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를 단자(20)에 형성된 세레이션(22)에 도포하여 사출함으로써, 단자(20)와 사출물(40)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단자(20)와 사출물(40)이 비틀어지거나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과 접촉된 사출물(40)에 실링부재(46)를 도포하여 단자(20)와 사출물(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부재를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출물(40)은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가 도포되어 단자(20)와 사출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서 사출물(40)과 단자(20)가 접촉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한다. 이때, 실링부재(42)는 사출물(40)에 도포되어 단자(20)와 사출물(4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하기 위해 사출물(40)에 실링홈(44)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버스바 조립체에 실링홈을 추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출물(40)은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44)을 생성할 수 있다. 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서 사출물(40)과 단자(20)가 접촉되는 영역에 실링홈(44)을 생성한다. 이때, 실링홈(44)은 사출물(40)에 생성되어 사출물(40)에 실링부재(42)를 도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와 사출물의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버스바 조립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버스바 조립체
20: 단자
21: 사출 영역
22: 세레이션
30: 인몰드
40: 사출물
42, 46: 실링부재
44,48: 실링홈

Claims (8)

  1.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는 단자;
    상기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제1 사출되어 형성되는 인몰드; 및
    상기 인몰드를 포함하는 사출 영역 외부에 제2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상기 사출 영역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버스바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에는,
    상기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버스바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도포하기 위해 상기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이 생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5.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사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레이션이 형성된 단자;
    상기 단자의 사출 영역 외부에 사출되어 형성되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에는,
    상기 세레이션이 포함된 상기 사출 영역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버스바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에는,
    상기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버스바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도포하기 위해 상기 단자가 노출되는 영역에 실링홈이 생성되는 버스바 조립체.
KR1020160150431A 2016-11-11 2016-11-11 버스바 조립체 KR20180053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31A KR20180053072A (ko) 2016-11-11 2016-11-11 버스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31A KR20180053072A (ko) 2016-11-11 2016-11-11 버스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72A true KR20180053072A (ko) 2018-05-21

Family

ID=6245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31A KR20180053072A (ko) 2016-11-11 2016-11-11 버스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0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5783B2 (en) Fluid-tight contact with permanently elastic sealant
JP5939177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3097922A (ja) 芯線止水構造及び芯線止水方法
US9337569B2 (en) Fluid-tight contact implementation
JP6390447B2 (ja) 防水構造ケーブル、及び防水構造ケーブルの製造方法
US9312647B2 (en) Connection of a first metal component to a covered second metal component
US10144163B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WO2014188862A1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4979221A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及半导体装置
WO2017010240A1 (ja) モールド部付電線及びモールド部付電線製造方法
JP2000326359A (ja) プリモールド部材を用いた複合一体成形品
US20140034381A1 (en) Housing component for door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JP588826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US10122097B2 (en) Molded portion-equipped electric wire
JP2000208232A (ja) ハ―ネス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金型
US10348002B2 (en) Wiring member having molded part
US20170125989A1 (en) Plastic injection overmolded conductor path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lastic injection overmolded conductor path structure
US20180244017A1 (en) Fastening Structure
US10065342B2 (en)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and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production method
KR20180053072A (ko) 버스바 조립체
CN109075467B (zh) 带模塑部电线
JP2014229586A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0101138A1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20160380379A1 (en) Coupling part for an electrical conductor
CN111295275B (zh) 通电部件模块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