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793A - 에어 워시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워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793A
KR20180052793A KR1020160149298A KR20160149298A KR20180052793A KR 20180052793 A KR20180052793 A KR 20180052793A KR 1020160149298 A KR1020160149298 A KR 1020160149298A KR 20160149298 A KR20160149298 A KR 20160149298A KR 20180052793 A KR20180052793 A KR 2018005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module
outdo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623B1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는, 실내공간과 현관공간으로 구분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모듈; 실외공간에서 상기 현관공간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내기 위한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모듈;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 상기 흡입모듈에서 흡입되는 이물을 상기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제1에어모듈 및 상기 제2에어모듈 중 하나 이상의 에어모듈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흡기구; 및 상기 복수의 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 중 하나 이상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공간에서 의류에 부착된 이물을 현관공간에서 제거하여 깨끗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관공간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이물이 실내공간에 쌓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를 순환하거나,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워시 장치{Air Wash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워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독주택을 비롯하여 아파트 및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현관을 출입할 때에는 거의 아무런 위생관념이 없이 출입하였다.
특히, 외출한 후에 귀가하여 실내로 들어올 때에는 옷과 신발 및 손과 발에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비롯하여 여러 병원균과 화학물질 등 각종 유해성 이물들이 부착된 상태에서 현관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현관에는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출에서 귀가할 때에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의복이나 손발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성 이물에 의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심지어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을 얻게(앓게) 되는 등 위생문제를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2993호, “방충 방진용 에어워시장치”를 살펴보면, 외부공간으로부터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충이나 먼지 등을 털어내는 에어워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되는 종래기술에 따르면, 유충이나 먼지 등을 외부로 털어낼 수 있으나, 밀폐된 현관 공간일 경우, 털어내진 유충이나 먼지 등이 현관 공간의 내부에서 순환하며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현관공간 내에서 에어워시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에어워시장치에 의하여 비산되는 이물 등이 공기에 포함됨으로써, 공기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2993호, "방충 방진용 에어워시장치"
본 발명은, 실외공간으로부터 의류에 부착되는 이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을 현관공간에서 털어낼 수 있는 에어워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된 현관공간 내에서 이물 등을 포함하는 공기에 의하여 실내공간 및 현관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워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 및 실외공간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에어워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는, 실내공간과 현관공간을 구분하기 위하여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모듈을 포함하여, 현관공간의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관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를 향해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현관공간에 배치되고,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포함하여, 현관공간 상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현관공간, 실내공간, 실외공간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현관공간, 실내공간, 실외공간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제1,2에어모듈 및 흡입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유동적으로 변화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에어모듈 및 제2에어모듈과 연통되는 공기덕트를 포함하여, 제1에어모듈 및 제2에어모듈으로 용이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간의 공기 및 실외공간의 공기 중 하나 이상의 공기가 공기덕트로 유입되도록 하는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를 포함하여, 제1에어모듈 및 제2에어모듈로 공급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로부터 제어되고,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하여,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상태변화 또는 실외공간의 상태변화에 따라 에어워시장치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흡입모듈과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이 실외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를 포함하여, 현관공간에서 흡입되는 이물을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필터부를 포함하여, 실외공간에서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걸러내거나, 실내공간에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공간에서 의류에 부착된 이물을 현관공간에서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현관공간으로 털어내진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는 이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현관공간에서 털어내진 이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모듈에서 흡입된 이물을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물이 실내공간 및 현관공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실내공간의 환경상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하여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미리 걸러냄으로써, 복수의 흡기구 및 배기구를 유동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구성과 흡기구 및 배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현관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은 주택의 실내공간(S1)과 주택의 실외공간(S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사용자는 신발을 벗거나, 신는 등의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내공간(S1)은 도어(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가 닫힐 경우, 상기 현관공간(S2)은 상기 실외공간(S3)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현관공간(S2)은 주택의 출입공간으로써,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통하여 출입함으로써, 상기 이물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이물에는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미세먼지, 중금속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관공간(S2)에는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에게서 상기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워시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에어를 분사하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에어를 흡입하는 상기 흡입모듈(130)이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현관 내에 위치한 사람에게 에어(Air)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분사 장치(미도시) 및 에어 흡입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 등을 걸러내는 필터, 살균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실내공간(S1)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내공간(S1)을 에어를 분사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하는 에어를 에어커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되는 에어커튼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 상기 실외공간(S3) 등의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도어(10)의 사이에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내기 위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에어샤워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샤워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을 출입하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이물 등은 털어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실외공간(S3)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상기 도어(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털어내진 이물 등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은 제어 모듈에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 각각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풍량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의 사이에서 현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이 서로 이격되어 별도의 하우징에 각각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보다 상기 실내공간(S1)에 인접한 상기 현관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현관공간(S2)과 상기 실외공간(S3)을 구획하는 상기 도어(10)는 힌지(Hinge)에 의하여 회동하거나, 슬라이딩(Sliding)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문기둥(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문기둥(20)은 상기 도어(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사용자가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면,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공간(S3)에서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하여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오픈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고, 상기 도어(10)를 폐쇄하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하면,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우선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 작동하면, 실내공간(S1)과 상기 현관공간(S2)을 구분하는 에어샤워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작동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향하여 에어샤워용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사용자의 의류 등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발을 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에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며 사용자에게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털어내기 위하여 일정한 세기 이상의 풍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분사되는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향하여 분사되면, 상기 현관공간(S2)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이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서 털어내진 이물 등은 상기 현관공간(S2)이 내부에서 비산할 수 있다. 비산된 이물 등은 상기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풍량보다 센 흡입력으로 비산된 이물 등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된 이물 등을 걸러내는 필터, 살균모듈 등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을 통하여 다시 분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실외공간(S3)으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택으로 진입하여도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의하여 이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의하여 이물 등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사용자가 진입함으로써, 청결한 실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를 폐쇄한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에어워시장치(100)가 작동됨으로써, 추가적으로 실외공간(S3)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구성과 흡기구 및 배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하나의 하우징(101) 내부에 다수의 모듈이 수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덕트(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면 이외의 측면, 하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기덕트(60)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공기덕트(60)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덕트(60)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1흡입구(111)와, 상기 제1흡입구(1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1토출구(112)와, 상기 제1흡입구(111)에서 상기 제1토출구(11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1팬(11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는 상기 제1팬(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제1흡입구(111)는 상기 공기덕트(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10)로부터 가장 먼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실내공간(S1)과 현관공간(S2)이 구분됨으로, 충분한 현관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제1팬(11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제1흡입구(111)는 상기 공기덕트(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에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흡입구(121)와, 상기 제2흡입구(1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2토출구(122)와, 상기 제2흡입구(121)에서 상기 제2토출구(12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2팬(12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2팬(1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토출구(122)에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제2흡입구(121)는 상기 공기덕트(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에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부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흡입모듈(130)의 내부로 흡입하는 제3흡입구(131)와, 상기 제3흡입구(1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흡입모듈(130)의 외부로 토출하는 제3토출구(132)와, 상기 제3흡입구(131)에서 상기 제3토출구(132)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제3팬(13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3팬(13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10)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흡입구(131)는 상기 하우징(101)의 일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흡입구(131)는 상기 현관공간(S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흡입구(131)에는 필터가 제공되어, 상기 현관공간(S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낼 수도 있다. 상기 필터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도 3을 기준으로, 실내공간(S1)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공간(S3) 또는 도어(10)에 인접하도록 상기 흡입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흡입모듈(130)의 사이에 상기 제2에어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상기 흡입모듈(13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상기 공기덕트(60)로 실외공간(S3)의 공기 또는 실내공간(S1)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실내흡기구(41) 및 실외흡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모듈(130)에서 흡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공간(S3)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흡기구(41) 및 실외흡기구(40)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실내흡기구(41) 및 실외흡기구(40)는 상기 공기덕트(60)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흡기구(41)가 개방될 경우, 상기 실외흡기구(40)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내흡기구(41)는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공간(S1) 또는 현관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흡기구(40)는 상기 하우징(10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흡기구(40)는 문기둥(20)의 일부분을 관통하거나, 도어(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실외공간(S3)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50)는 상기 문기둥(20)의 일부분을 관통하거나, 상기 도어(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실외공간(S3)과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50)는 상기 흡입모듈(130)의 제3토출구(132)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모듈(130)을 통하여 상기 현관공간(S2)에서 흡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를 상기 실외공간(S3)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흡기구(40)와 상기 배기구(5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실외흡기구(40)와 상기 배기구(50)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70)가 상기 실외흡기구(40)에 제공될 경우, 상기 실외공간(S3)에서 실내공간(S1)으로 공기는 이물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70)가 상기 배기구(50)에 제공될 경우,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실외공간(S3)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 등이 상기 필터부(70)에서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가 상기 실외공간(S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털어내진 이물 등이 상기 배기구(50)를 통해 실외공간(S3)으로 배출되어 이웃주민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제1에어모듈(110), 제2에어모듈(120) 및 흡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감지부(140), 제어부(150) 및 공기유동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커튼용 에어(Air_1)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용 에어(Air_3)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는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용 에어(Air_1)의 풍량은 제2에어모듈(120)에서 분사되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와 대응되거나,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현관공간(S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가이드부(124)에 의하여 경사지도록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은 사용자의 의류 등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는 일정한 풍량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현관공간(S2)의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현관공간(S2)에서 상기 흡입모듈(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에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과 대응되는 풍량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보다 큰 풍량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온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이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에어모듈(110)의 커튼용 에어(Air_1)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의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튼용 에어(Air_1)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 분사되거나, 풍량이 더 큼으로써, 실내공간(S1)과 상기 현관공간(S2)이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사용자로부터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상기 현관공간(S2)의 이물 등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오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에어모듈(120)이 상기 제1에어모듈(110)보다 우선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보다 우선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상기 커튼용 에어(Air_1)보다 우선으로 오프 됨으로써,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된 이물 등이 상기 커튼용 에어(Air_1)에 의하여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일한 시점에 온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적으로 온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 등을 흡입하여야 함으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와 동일한 시점 또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우선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모듈(13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상기 제2에어모듈(120)과 동일한 시점에 오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과 상기 제2에어모듈(120)보다 우선적으로 오프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이물 등이 상기 현관공간(S2)에서 비산되고 있으므로, 상기 흡입용 에어(Air_3)는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보다 나중에 오프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으로 출입하는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인식하거나, 도어(10)의 개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을 촬영하는 카메라 또는 상기 도어(10)의 개방여부를 확인하는 센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분석부 또는 상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센서값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실내공간(S1) 또는 실외공간(S3)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온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습도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현관공간(S2) 상에 배치되어, 상기 현관공간(S2)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실내공간(S1)에서 상기 현관공간(S2)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문기둥(20), 상기 도어(10) 등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부(140)가 사용자의 출입여부, 도어의 개방여부를 인식하면,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출입여부 및 개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는 상기 공기덕트(60)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는 상기 공기덕트(60)의 실외흡기구(40)및 실내흡기구(41)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외흡기구(40) 및 상기 실내흡기구(41)는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실내공간(S1) 또는 실외공간(S3)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실외흡기구(40) 및 상기 실내흡기구(41)에는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Valve), 게이트(Gate)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에 의하여 상기 실외흡기구(4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는 상기 공기덕트(6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에 의하여 상기 실외흡기구(40)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는 상기 공기덕트(6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실내흡기구(41)를 통하여 실내공간(S1)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6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에어모듈(110), 상기 제2에어모듈(120), 및 상기 흡입모듈(130)을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를 일정 시간동안 제어하여, 실외공간(S3)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6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동안 상기 실외흡기구(40)를 개방하여 실외공간(S3)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6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는 상기 에어워시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로부터 정보(날씨정보, 공기오염도 등)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열림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10)가 열림 상태가 되면, 감지부(140)는 상기 도어(10)가 열림을 인식하고 제어부(15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어의 개방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1정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에 상기 제1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1에어모듈(110)을 가동하여, 커튼용 에어(Air_1)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면, 외부로부터 이물 등을 포함한 공기가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튼용 에어(Air_1)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0)가 개방되어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가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차단모드라 칭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현관공간으로 출입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10)가 닫히는 경우,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도어(10)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제1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40)는 현관공간(S2)으로 사용자가 출입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15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정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에 상기 제2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2에어모듈(120)을 가동하여,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이물 등이 부착된 의류를 입고 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하여,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를 분사하여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제거하는 것을 이물차단모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제2에어모듈(120)은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토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차단모드는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차단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상기 샤워용 에어(Air_2)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냄으로써, 이물 등이 상기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흡입모듈이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하면, 상기 샤워용 에어(Air_2)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은 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모듈(130)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된 후 상기 상기 흡입모듈(130)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한 후 일정한 시간 이후에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모듈(130)이 상기 현관공간(S2)으로부터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이물제거모드라 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와 일정 시간동안 교번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현관공간(S2)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을 흡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제거모드는 상기 이물차단모드가 작동을 멈춘 이후에도 계속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차단모드는 상기 이물제거모드가 작동을 멈춘 이후에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현관공간(S2)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 등이 상기 이물제거모드에 의하여 모두 제거된 이후, 상기 공기차단모드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물 등이 제거된 현관공간(S2)과 실내공간(S1)을 서로 연통하여 깨끗한 실내공간(S1)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시장치(100)는 실내공간(S1)의 공기 또는 실내공간(S1)의 공기를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세히, 상시 에어워시장치(100)는 감지부(140), 제어부(150), 공기유동조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출입여부, 도어의 개방여부와 별도로 실내공간(S1)의 상태정보를 더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S1)의 상태정보는 온도, 습도, 먼지농도, 이산화탄소농도 등의 측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실내공간(S1)의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실내공간(S1)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는 실외흡기구(40)와 실내흡기구(41)를 조절하여, 실내공간(S1)의 공기 또는 실외공간(S3)의 공기를 상기 제1에어모듈(110) 및 제2에어모듈(12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유동조절부(160)에 의하여 상기 실외흡기구(40)이 차폐될 경우, 상기 실내흡기구(41)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S1)의 공기가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상기 실내공간(S1)의 공기는 제1에어모듈(110) 및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커튼용 에어(Air_1) 및 샤워용 에어(Air_2)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현관공간(S2)에 위치한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털어내진 이물 등은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된 이물 등은 제3토출구(132)와 연통된 배기구(50)를 통하여 실외공간(S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실외공간(S3)의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실외공간(S3)의 환경상태가 나쁜 경우, 상기 실외흡기구(40)를 통하여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깨끗한 실내공간(S1)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내흡기구(41)이 차폐될 경우, 상기 실외흡기구(40)를 통하여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가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실외공간(S3)의 공기는 실외흡기구(40)를 통하여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로 공급되며, 필터에 의하여 이물 등이 제거된 상태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급된 상기 실외공간(S3)의 공기는 제1에어모듈(110) 및 제2에어모듈(120)에 의하여 커튼용 에어(Air_1) 및 샤워용 에어(Air_2)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샤워용 에어(Air_2)는 현관공간(S2)에 위치한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 등을 털어낼 수 있다.
털어내진 이물 등은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130)에 의하여 흡입된 이물 등은 제3토출구(132)와 연통된 배기구(50)를 통하여 실외공간(S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를 통하여 상기 실내공간(S1)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실외공간(S3)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워시장치(100)를 작동하고, 이물 등을 포함한 공기를 실외공간(S3)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물 등을 포함한 공기가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공간(S3)의 환경상태가 맑거나, 쾌적한 날씨 상태인 경우, 상기 실외흡기구(40)를 통과하여 실내공간(S1)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간(S3)의 공기에 의하여 실내공간(S1)은 환기될 수 있다.
S1 실내공간 S2 현관공간
S3 실외공간 10 도어
20 문기둥 40 실외흡기구
41 실내흡기구 50 배기구
60 공기덕트 70 필터부
100 에어워시장치 110 제1에어모듈
120 제2에어모듈 130 흡입모듈
140 감지부 150 제어부
160 공기유동조절부

Claims (11)

  1. 실내공간과 현관공간으로 구분하는 커튼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모듈;
    실외공간에서 상기 현관공간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내기 위한 샤워용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모듈;
    상기 샤워용 에어에 의하여 상기 현관공간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모듈;
    상기 흡입모듈에서 흡입되는 이물을 상기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제1에어모듈 및 상기 제2에어모듈 중 하나 이상의 에어모듈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흡기구; 및
    상기 복수의 흡기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또는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 중 하나 이상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에어워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모듈, 상기 제2에어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에어모듈 및 상기 제2에어모듈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는 공기덕트가 더 포함되는 에어워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기구에는, 실내흡기구 및 실외흡기구가 포함되며,
    상기 실내흡기구 및 상기 실외흡기구는, 상기 공기덕트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에어워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흡기구 및 상기 실외흡기구에는, 상기 공기유동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실내흡기구 및 상기 실외흡기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 또는 게이트가 제공되는 에어워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흡기구는, 상기 실내공간 또는 상기 현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공간 또는 상시 현관공간 중 하나의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실외흡기구는, 상기 실외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공간과 연통되는 에어워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모듈 및 상기 제2에어모듈 각각에는,
    상기 공기덕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1, 2흡입구;
    상기 제1,2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2토출구; 및
    상기 제1,2흡입구에서 상기 제1,2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2송풍팬이 각각 포함되는 에어워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듈에는,
    상기 현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3흡입구;
    상기 제3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3토출구; 및
    상기 제3흡입구에서 상기 제3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3송풍팬이 포함되는 에어워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3토출구와 상기 실외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실내공간의 상태정보 또는 상기 실외공간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워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워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실외공간에서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이물을 방지하거나, 상기 현관공간에서 상기 실외공간으로 이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워시장치.
KR1020160149298A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KR10257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8A KR102570623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8A KR102570623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793A true KR20180052793A (ko) 2018-05-21
KR102570623B1 KR102570623B1 (ko) 2023-08-28

Family

ID=6245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98A KR102570623B1 (ko) 2016-11-10 2016-11-10 에어 워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KR102131085B1 (ko) * 2019-06-12 2020-08-05 유환 사진촬영부스
KR102264493B1 (ko) * 2020-10-19 2021-06-14 김정곤 터널식 공기 청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1276A (ko) * 2021-05-06 2022-11-15 박재철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2993A (ja) 2009-04-01 2010-10-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防虫、防塵用のエアシャワー装置
JP2012149864A (ja)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JP2016114255A (ja) * 2014-12-11 2016-06-23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空気流通遮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2993A (ja) 2009-04-01 2010-10-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防虫、防塵用のエアシャワー装置
JP2012149864A (ja) * 2011-01-15 2012-08-09 Tornex Inc 汚染遮断エアーゲート
JP2016114255A (ja) * 2014-12-11 2016-06-23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空気流通遮断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43B1 (ko) * 2018-07-04 2019-03-12 주식회사 프로젝트 융 에어샤워 게이트
WO2020009397A1 (ko) *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퓨리움 에어샤워 게이트
US20210252176A1 (en) * 2018-07-04 2021-08-19 Dong Kyu NAM Air shower gate
KR102131085B1 (ko) * 2019-06-12 2020-08-05 유환 사진촬영부스
KR102264493B1 (ko) * 2020-10-19 2021-06-14 김정곤 터널식 공기 청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1276A (ko) * 2021-05-06 2022-11-15 박재철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23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624B1 (ko) 에어 워시 장치
KR101956143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180052793A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539677B1 (ko) 에어 워시 장치
KR101975918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KR102473046B1 (ko) 에어 워시 장치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WO2022216033A1 (ko)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70838B1 (ko)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KR20090008761U (ko) 에어클린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현관
JP4713239B2 (ja) バイオ関係実験室用のエアシャワ装置
KR102356153B1 (ko)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KR20180085420A (ko) 에어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샤워 시스템
JP7080838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H11304208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JP501481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KR102268973B1 (ko)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KR102539682B1 (ko) 에어 워시 장치
JP482488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清浄装置の配置構造及び運転方法
KR102040319B1 (ko)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0495820Y1 (ko) 에어 커튼이 형성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