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276A -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276A
KR20220151276A KR1020210058303A KR20210058303A KR20220151276A KR 20220151276 A KR20220151276 A KR 20220151276A KR 1020210058303 A KR1020210058303 A KR 1020210058303A KR 20210058303 A KR20210058303 A KR 20210058303A KR 20220151276 A KR20220151276 A KR 20220151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oor
water tank
booth
tan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972B1 (ko
Inventor
박재철
Original Assignee
박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철 filed Critical 박재철
Priority to KR10202100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은, 출입부스에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출입부스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출입부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가 채워지는 벽체 형상의 제1 수조벽과, 실외로 출입할 수 있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를 개방시 상기 흡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조벽을 통과하여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도어를 폐쇄시 상기 배기부를 통해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FINE DUST BLOCKING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부스에 진입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실외의 미세먼지, 황사 등의 증가로 인해 환기시 먼지를 차단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창문에 설치하여 외부의 먼지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거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실내에 정화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실외에서 활동을 하고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출입부스쪽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차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4200호(2010년 6월 14일 공개)는 다중 이용시설용 에어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면에서 공기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트노즐을 지니는 본체 유니트와, 상기 본체유니트의 내부 공기흐름 경로 상에 카본필터, 헤파필터, 미듐필터 중 선택되는 복수의 조합으로 설치되는 필터수단와, 상기 본체유니트의 내외부 공기흐름 경로 상에 유브이램프와 할로겐램프를 구비하는 램프수단와, 상기 본체유니트의 입출구에 설치된 센서의 입력을 받아 송풍기와 램프수단의 가동을 단속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외부 공기를 단순히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입문의 개방 여부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수조를 통과시킴으로써 정화된 공기를 출입부스에 공급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2중문 형태의 도어를 이용하여 출입부스의 환기 여부에 따라 실내와 연결된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출입부스 내의 화재가 발생을 감지하여 수조 내의 용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은, 출입부스에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출입부스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출입부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가 채워지는 벽체 형상의 제1 수조벽과, 실외로 출입할 수 있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를 개방시 상기 흡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조벽을 통과하여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도어를 폐쇄시 상기 배기부를 통해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조벽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가 채워지는 벽체 형상의 제2 수조벽과, 상기 제1 도어와 이격되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제2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시 상기 흡기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수조벽을 통과하여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도어를 폐쇄시 상기 배기부를 통해 상기 출입부스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제2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와 이격되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제2 도어와, 상기 출입부스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부스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부스 내의 온도 또는 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1 수조벽 내의 용수를 배출하는 소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고, 상기 소화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조벽 내 상기 용수의 수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조벽 내 상기 용수의 수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용수를 공급하고, 상기 용수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용수를 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문의 개방 여부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수조를 통과시킴으로써 정화된 공기를 출입부스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2중문 형태의 도어를 이용하여 출입부스의 환기 여부에 따라 실내와 연결된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출입부스 내의 화재가 발생을 감지하여 수조 내의 용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1 도어가 개방시의 환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1 도어가 폐쇄시의 환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2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소화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음이온처리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1 도어가 개방시의 환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1 도어가 폐쇄시의 환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서 제2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출입부스(10) 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출입부스(10)는 현관이나 주방, 화장실과 같이 다양한 공간에 진압하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흡기부(110), 배기부(120), 제1 수조벽(130), 제1 도어(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흡기부(1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출입부스(10)의 내부로 배출한다. 흡기부(110)는 실외와 연결된 제1 유로(11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유로(111)는 후술하는 제1 수조벽(130)과 연결된다. 흡기부(110)는 제1 유로(111)와 연결된 제1 블로워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출입부스(10) 안으로 흡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111)에는 댐퍼가 형성되어 자동으로 외부의 공기를 차단시킬 수도 있다. 흡기부(110)의 제1 유로(111)는 제1 수조벽(130)의 용수(20) 속으로 외부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정화시키기 위함이다.
배기부(120)는 출입부스(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부(120)는 제2 유로(12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유로(121)에는 제2 블로워가 형성되어 출입부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121)에는 제2 댐퍼가 형성되어 자동으로 내외부의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공기압에 따라 개폐된다. 배기부(120)는 출입부스(10)의 천장 등에 형성된 덕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배기부(120)의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배기 여부가 결정된다.
제1 수조벽(130)은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출입부스(10)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20)가 채워진다. 예를 들어, 제1 수조벽(130)은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조벽(130)은 외부의 수도로부터 용수(20)를 공급받는다. 제1 수조벽(130)은 흡기부(110)의 제1 유로(11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제1 유로(111)를 통해 제1 수조벽(130) 내부로 공급된다. 제1 유로(111)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용수(20)에 흡착되어 가라앉게 된다.
또한, 제1 수조벽(130)의 용수(20)를 거친 공기는 제1 수조벽(13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구(131)를 통해 출입부스(10)의 실내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배출구(131)는 다중의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제1 수조벽(130)의 용수(20)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용수(2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고, 2차적으로 제1 배출구(131)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 정화시켜 2중으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131)를 통해 출입부스(10) 내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제1 도어(14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공기압에 의해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1 도어(140)가 개방되면 외부의 공기가 출입부스(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는 제1 유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는 다르다. 이 경우, 흡기부(110)가 구동하면서 제1 유로(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조(130)를 거치면서 정화되고, 이를 출입부스(10) 내부로 유입시킨다. 따라서, 출입부스(10) 내부에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제1 도어(13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공기압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1 도어(140)는 출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실외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도어(140)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을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140)는 출입부스(10)의 실외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이며, 제1 도어(140)의 개폐 여부는 사용자의 출입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어(140)가 개방되면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가 동작하여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도록 한다. 이는 제1 도어(140)가 열리면서 외부의 사용자가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제어부(150)는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제1 도어(140)의 개폐 여부에 따라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의 구동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도어(140)를 개방시 흡기부(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1 수조벽(130)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출입부스(10) 내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여 제1 도어(14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밀어내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제1 도어(140)를 폐쇄시 배기부(120)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사용자가 출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에 묻어 있거나 출입부스(10) 내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의 용수(20)의 수위나 순환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용수(2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배수하고, 새로운 용수(20)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용수(20)의 수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추가로 용수(20)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용수(20)를 순환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용수(20)를 가열하여 스팀을 출입부스(10) 내부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수조벽(130) 내부에는 가열코일(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전열방식으로 용수(20)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옷 등에 묻어 있는 미세먼지를 스팀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온도로 용수(20)를 가열하여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제2 수조벽(160)과 제2 도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조벽(160)은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출입부스(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1 수조벽(13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수조벽(160)의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20)가 채워진다. 예를 들어, 제2 수조벽(160)은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수조벽(160)은 외부의 수도로부터 용수(20)를 공급받는다. 제2 수조벽(160)은 흡기부(110)의 제1 유로(111)와 연결된다. 이 경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제1 유로(111)를 통해 제2 수조벽(160) 내부로 공급된다. 제2 유로(12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용수(20)와 접촉하여 미세먼지가 가라앉게 한다. 따라서, 출입부스(10)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조벽(160)은 제1 수조벽(130)과 대향하여 제1 유로(111)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는다. 제2 수조벽(160)의 용수(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 수조벽(16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배출구(161)를 통해 출입부스(10)의 실내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2 배출구(161)는 다중의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제2 수조벽(160)의 용수(20)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용수(2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고, 2차적으로 제2 배출구(161)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 정화시켜 2중으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흡기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수조벽(130)과 제2 수조벽(160)의 용수(20)를 통해 정화되어 출입부스(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흡기부(110)는 제1 유로(111)에서 제1 수조벽(130)과 제2 수조벽(160)으로 공기를 분할하여 공급할 수 있다. 출입부스(10)의 내부에서는 제1 수조벽(130)의 제1 배출구(131) 및 제2 수조벽(160)의 제2 배출구(161)를 통해 각각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아 청정구역을 오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수조벽(130)과 제2 수조벽(160)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공기압을 증가시켜 제1 도어(140)의 개방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1 배출구(131) 또는 제2 배출구(161)의 위치는 제1 도어(140)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수조벽(130)과 제2 수조벽(160)에 의해 출입부스(10) 내에 보다 높은 공기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어(170)는 출입부스(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 도어(140)와 이격된다. 제2 도어(170)는 제1 도어(140)와 대향하여 출입부스(10)와 연결된 실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 이 경우, 제2 도어(170)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을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어(170)는 실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이다. 제2 도어(170)의 개폐 여부는 사용자의 출입부스(10) 내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제2 도어(170)는 제1 도어(140)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개방 여부가 결정된다. 이는 출입부스(10) 내의 공기 정화가 충분히 이뤄진 이후에 실내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도어(140)를 개방시 흡기부(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수조벽(160)을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과 제2 수조벽(160)에 각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제1 도어(140)가 폐쇄되면 배기부(120)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배기부(120)를 통해 출입부스(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제2 도어(170)를 개방시킨다. 이는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최대한 제거한 상태에서 실내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제2 도어(17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 내의 감지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제2 도어(170)를 개방시킨다. 제어부(150)는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제2 도어(170)를 폐쇄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제2 도어(17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실내에 출입 전에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의 구동시간이나 공기 부하의 용량을 증가시켜 공기 순환이 더 빨리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50)는 감지부(180)가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센서의 미세먼지 농도와 제2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 이상으로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출입부스(10) 내부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의 고장으로 인해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를 과도하게 구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해당 센서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에게 고장난 센서의 교체를 알람하기 위함이다.
또한, 감지부(18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 용수(20)의 수위 및 오염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80)는 용수(20)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용수(20)의 수위가 낮아져 공기 정화의 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80)는 용수(20)의 투명도를 이용하여 용수(20)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용수(20)가 오염되어 정화능력이 감소될 경우 용수(20)를 교체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 용수(20)의 수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용수(20)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에 연결된 외부의 수도의 밸브를 조절하여 용수(20)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용수(20)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용수(20)를 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배수구의 밸브를 조절하여 용수(20)를 배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용수(20)를 기 설정된 수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오염도를 낮춰 정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소화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소화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부(19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용수(20)를 출입부스(10) 내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소화부(190)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출입부스(10) 내에 용수(20)가 퍼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소화부(190)는 펌프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토출압 이상으로 용수(20)를 분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화재시 용수(20)를 신속하게 분사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함이다. 소화부(190)는 출입부스(10) 내 혹은 실내에서 화재시 출입공간에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 내의 온도 또는 가스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온도센서, 가스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80)는 미세먼지 농도 외에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의 가스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 내의 온도나 가스농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감지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는 화재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거나 실내의 사람들에게 신속히 알람을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50)는 감지부(180)의 감지정보에 따라 화재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출입부스(10) 내의 온도 및 가스농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소화부(1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화부(190)는 제1 수조벽(130) 또는 제2 수조벽(160) 내의 용수(20)를 분사하고, 제어부(150)는 외부의 수도밸브를 조절하여 용수(20)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부(180)를 통해 출입부스(10) 내의 온도 및 가스농도가 기 설정치 미만일 때까지 소화부(1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화재신호를 경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본 발명의 환기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소방서, 경찰서에 화재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화재를 사람이 화재신고를 신속히 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를 신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감지부(180)는 열화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열화상 카메라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코로나와 같은 감염증이 있는 경우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감지부(180)는 사용자의 체온을 열화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열화상정보에 따라 제2 도어(17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도어(170)를 폐쇄하고, 체온이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제2 도어(17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는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를 실내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제1 수조벽(130) 도는 제2 수조벽(160) 내에 용수(20) 외에 별도의 방역수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조벽(130)에는 용수(20)가 수용되고, 제2 수조벽(160)에는 방역수가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출입부스(10)의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방역수를 분사하여 감염병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지부(180)는 출입부스(10)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8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녹음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구분하여 제어신호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퇴근"인 경우 직장에서 퇴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운동"인 경우 운동을 마치고 들어온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기 설정된 고유의 주파수로 사용자를 인식하는 수단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음성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음성신호와 일치하면 제2 도어(17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는 허용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시설물의 경우 음성인식으로 인해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의 구동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퇴근"인 경우 직장에서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여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화장실"인 경우 단순 외출로 판단하고, 흡기부(110) 및 배기부(120)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에 음이온처리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은 음이온처리부(200)룰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처리부(200)는 용수(20)를 통과한 공기에 음이온을 대전시켜 여과시킨다. 음이온처리부(200)는 용수(20)를 거친 공기 중 미세먼지나 황사 입자를 대전된 음이온과 결합시켜 제거시킨다. 음이온처리부(200)는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오염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음이온 발생량을 줄이고,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음이온 발생량을 늘릴 수 있다. 음이온 발생량은 공기오염도의 시간별 증가율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음이온처리부(200)로부터 2차 여과된 공기는 출입부스(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50)는 음이온처리부(200)를 제어하여 용수(20)를 통과한 공기를 2차로 여과시키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음이온처리부(200)의 대전판을 음이온으로 대전시키고, 용수(20)를 통과한 공기를 음이온으로 대전된 대전판으로 접촉시켜 2차 여과를 시키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음이온처리부(200)의 음이온 대전량을 제어하여 여과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스 내의 공기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음이온 대전량을 증가시키고, 공기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음이온 대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이중도어형 환기시스템
110 : 흡기부
111 : 제1 유로
120 : 배기부
121 : 제2 유로
130 : 제1 수조벽
131 : 제1 배출구
140 : 제1 도어
150 : 제어부
160 : 제2 수조벽
161 : 제2 배출구
170 : 제2 도어
180 : 감지부
190 : 소화부
200 : 음이온처리부
10 : 출입부스
20 : 용수

Claims (5)

  1. 출입부스(10)에 설치되는 환기시스템(100)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출입부스(1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부(110);
    상기 출입부스(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20);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20)가 채워지는 벽체 형상의 제1 수조벽(130);
    실외로 출입할 수 있는 제1 도어(140); 및
    상기 제1 도어(140)를 개방시 상기 흡기부(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수조벽(130)을 통과하여 상기 출입부스(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도어(140)를 폐쇄시 상기 배기부(120)를 통해 상기 출입부스(1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벽(13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기 설정된 수위의 용수(20)가 채워지는 벽체 형상의 제2 수조벽(160); 및
    상기 제1 도어(140)와 이격되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제2 도어(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도어(140)를 개방시 상기 흡기부(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 수조벽(160)을 통과하여 상기 출입부스(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 도어(140)를 폐쇄시 상기 배기부(120)를 통해 상기 출입부스(1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제2 도어(170)를 개방시키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140)와 이격되어,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제2 도어(170); 및
    상기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출입부스(10)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도어(170)를 개방시키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스(10) 내의 온도 또는 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80); 및
    상기 제1 수조벽(130) 내의 용수(20)를 배출하는 소화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부(180)의 감지정보에 따라 화재를 판단하고, 상기 소화부(19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벽(130) 내 상기 용수(20)의 수위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감지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수조벽(130) 내 상기 용수(20)의 수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용수(20)를 공급하고, 상기 용수(20)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용수(20)를 배수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100).
KR1020210058303A 2021-05-06 2021-05-06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KR10255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03A KR102555972B1 (ko) 2021-05-06 2021-05-06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03A KR102555972B1 (ko) 2021-05-06 2021-05-06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276A true KR20220151276A (ko) 2022-11-15
KR102555972B1 KR102555972B1 (ko) 2023-07-13

Family

ID=8404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303A KR102555972B1 (ko) 2021-05-06 2021-05-06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228A (ko) * 2000-03-11 2001-09-26 박원 공기정화기
KR20180052793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시 장치
KR20200138985A (ko) * 2019-06-03 2020-12-11 민병창 미세먼지저감과 화재진압 및 예비수 겸용의 수자원 활용 복합 환경 설비
KR20200144826A (ko) * 2019-06-19 2020-12-30 김정 공기정화장치
KR20200144720A (ko) * 2019-06-19 2020-12-30 나연재 습식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어항파티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228A (ko) * 2000-03-11 2001-09-26 박원 공기정화기
KR20180052793A (ko) * 2016-11-10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시 장치
KR20200138985A (ko) * 2019-06-03 2020-12-11 민병창 미세먼지저감과 화재진압 및 예비수 겸용의 수자원 활용 복합 환경 설비
KR20200144826A (ko) * 2019-06-19 2020-12-30 김정 공기정화장치
KR20200144720A (ko) * 2019-06-19 2020-12-30 나연재 습식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어항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72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732351B1 (ko) 에너지 절감형 흄후드 시스템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JP4718317B2 (ja) 高機能エアシャワー装置
US20060035579A1 (en) Ventilating system
KR102319017B1 (ko) 전열교환기 결로방지 및 외기냉난방 운전고지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JP6982727B2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KR102111268B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JP2020034223A (ja) 熱交換型換気扇
KR20160114846A (ko) 클린룸 시스템
KR20210030589A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10214219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276193B1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KR102555972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KR102537999B1 (ko) 공동 주택용 실별 제어 양, 음압 환기 시스템
KR20180052793A (ko) 에어 워시 장치
JPH10132346A (ja)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KR102087324B1 (ko) 환기 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226659B1 (ko) 먼지센서 오염방지 공기청정기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