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826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826A
KR20200144826A KR1020190072958A KR20190072958A KR20200144826A KR 20200144826 A KR20200144826 A KR 20200144826A KR 1020190072958 A KR1020190072958 A KR 1020190072958A KR 20190072958 A KR20190072958 A KR 20190072958A KR 20200144826 A KR20200144826 A KR 2020014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unit
purification devi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장성준
Original Assignee
김정
장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 장성준 filed Critical 김정
Priority to KR102019007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826A/ko
Publication of KR2020014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정화장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와;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유출부(300)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30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물 안개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240)를 포함하여, 공기가 상기 미스트에 용해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100)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100)는 물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공기유출부(300)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상기 미스트 발생부(240)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물 안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필터부(1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500)와, 하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100)로부터 상기 하수도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필터로서 사용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 오염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황사 등으로 인한 공기 오염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 결과, 이러한 미세 먼지 등은 인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오염 문제에 대응하여 공기정화장치가 폭발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로부터 오염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부직포 필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직포 필터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여, 그에 따른 교체 비용 및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교체 주기가 지난 필터는 필터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오히려 세균의 번식 등으로 인하여 공기 질을 악화시킬 위험도 가진다. 또한, 필터의 폐기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도 뒤따른다.
한편, 부직포 필터 대신 물 필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 필터 방식 공기정화장치도 정화 성능의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만 하는 따른 불편함이 여전히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정화 성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어 관리 노력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와;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유출부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물 안개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를 포함하여, 공기가 상기 미스트에 용해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는 물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공기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물 안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하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하수도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어 관리 노력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기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300)와 필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는 필터부(100)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부이다. 공기유출부(300)는 필터부(100)터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구성부이다. 이를 위하여, 공기유입부 및 공기유출부(300)는 공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관, 호스 또는 기타 이들과 유사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00)는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30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100)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공기유출부(300)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공기가 물을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유해물질 등은 물에 걸러지고 (용해되고) 깨끗한 공기만이 물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에 담겨진다. 본 개시내용에서, 물은 순수(pure water)만을 의미하는 좁은 의미의 물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물 등 넓은 의미의 물을 포함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가 물을 통과하는 이동 거리 (공기가 물을 통과하면서 접촉하는 거리)는 예컨대 적어도 5cm 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어떠한 공기정화장치들에서는, 공기가 워터 스프레이, 물 줄기, 워터 커튼 등을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등이 씻겨지는 기술적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들은 공기와 물의 접촉 정도 (시간, 거리)가 낮아 충분한 정화 성능을 얻을 수 없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수조의 크기 및 물의 수위 등은 물의 두께 (또는 깊이)가 상기한 예컨대 적어도 5cm의 접촉 거리를 얻기에 충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는 물 안개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스트 발생부(240)는, 공기가 상기 미스트에 용해된 상태로 필터 기능을 수생하는 물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필터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오염된 공기가 미스트와 섞이게 되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은 미스트에 포집될 수 있다. 이후, 미스트에 섞인 오염된 공기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물에 유입되고 먼지 등을 포획한 미스트는 쉽게 물에 흡수되고, 공기만이 기포의 형태로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즉 오염물질 등은 제거되고 깨끗한 공기만이 수면 위로 떠오른 후, 공기유출부(300)를 통하여 유출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미스트 발생부(240)는, 초음파 진동, 분사, 분무 등을 이용하여 물 안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물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500)는 필터부(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물배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배출부(600)는 필터부(100)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물공급부(500)는 물공급부(50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물배출부(600)는 물배출부(60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이러한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물공급부(500)는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수도관으로부터 필터부(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물배출부(600)는 하수도관에 연결되어 필터부(100)로부터 하수도관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종래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공기정화장치에서는, 필터의 관리의 번거로움이 사용자들의 사용 만족도를 저해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하는 대신, 공기정화장치 판매업자 또는 임대업자가 파견하는 자가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가정에 방문하여 교체 서비스를 하는 영업 모델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 모델에서는, 필터 교체 비용뿐 아니라, 인건비까지 사용자가 부담하여야 하므로, 공기정화장치 사용 비용의 급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물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정화장치에서도 필터 관리의 번거로움이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물을 교환하여 주어야 하는데, 특히 정화 용량이 큰 공기정화장치에서는 수 시간을 주기로 대용량의 물의 교환 필요성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낮은 공기정화장치라 하더라도, 물을 수조에 장기간 두는 것은 세균 번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 일을 주기로 물의 교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환 작업도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어느 가정에나 설치되어 있는 상하수도관에 공기정화장치를 연결 설치하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물 교환 작업을 요구함이 없이 반영구적으로 우수한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물 공급 필요성을 판단하고, 물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물공급부(500)(의 밸브)를 개방하여 필터부(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물 배출 필요성을 판단하고, 물 배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물배출부(600)(의 밸브)를 개방하여 필터부(100)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탁도 센서(810)를 포함할 수 있다. 탁도 센서(810)를 필터로 기능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측정 정보에 따라 물배출부(600)(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의 탁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제어부(700)는 물배출부(600)(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는 필터로 기능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측정 정보에 따라 물공급부(500)(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필터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가 되면, 제어부(700)는 물공급부(500)(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물공급부(500)는 필터부(100)의 물을 향하는 그 끝단에 구비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필터로 기능하는 물이 담긴 수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토출구의 직경이 조절 가능한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노즐의 직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수조의 청소 필요성을 판단하고,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노즐의 직경을 축소하여 노즐로부터 고속의 물줄기가 수조의 내벽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여 수조를 청소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그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토출구가 수조의 구석 구석을 향하도록 노즐을 제어하여 수조를 구석 구석 청소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가 수조 청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입력부는 입력 버튼, 입력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수조 청소를 명령하면, 제어부(700)는 입력부로부터 그 명령을 전송 받아 노즐을 제어하여 수조를 청소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수조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노즐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수조 청소 수행에 앞서 물배출부(600)(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한 뒤, 몰공급부(의 밸브)를 개방하여 수조 청소를 시작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필터부(100)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필터부(100)의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는 건물의 외부에 연결되는 실외흡기부(220)와, 건물의 내부에 연결되는 실내흡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출부(300)는 건물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장치는 건물의 외부에 연결되는 배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실외흡기부(220)는 실외흡기부(22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흡기부(210)는 실내흡기부(21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출부(300)는 공기유출부(30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부(400)는 배기부(400)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이러한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700)는 디폴트 모드에서는 배기부(400) 및 실외흡기부(220)의 폐쇄를 유지하고, 실내흡기부(2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상시 개방하여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가 필터부(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환기 필요성을 판단하고,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배기부(400)를 개방하여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기시키고, 실내흡기부(210)를 폐쇄하고 실외흡기부(220)를 개방하여 건물의 외부의 실외 공기가 필터부(10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환기 모드).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의 O2 농도 및 CO2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제어부(700)에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측정 정보에 따라 환기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환기 기능의 On/Off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입력부는 입력 버튼 또는 입력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환기 기능의 On을 선택하면, 그 명령은 제어부(7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배기부(400)를 개방하여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기시키고, 실내흡기부(210)를 폐쇄하고 실외흡기부(220)를 개방하여 건물의 외부의 실외 공기가 필터부(10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순 예시로서, 공기유입부의 유입구(필터로 기능한 물을 향하는 공기유입부의 끝단)가 직하방을 향하여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는 (필터부(100)로) 유입되는 공기가 직하 방향과 0도 보다는 큰 각도를 가지며 분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분출된 공기가 다시 공기유입부로 되돌아오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 내의 압력은 공기가 필터부(100)의 물 속 충분한 거리까지 분출될 수 있도록 커야 한다. 공기와 물의 평균 계면이 적어도 공기유입부의 유입구 밖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공기와 물의 평균 계면이 공기유입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는 공기를 필터부(100)로 압송하는 압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송부(230)는 공기가 필터로 기능하는 물 속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압송부(230)는 팬과 같은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출부(300)의 유출구(물을 향하는 공기유출부(300)의 끝단)는 공기유입부의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유입부는 물 속에 연결되고, 공기유출부(300)는 필터로 기능하는 물의 수면 위의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의 미세 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0)에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전송 받은 측정 정보에 따라 압송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미세 먼지 농도가 낮아 공기 정화가 요구되지 않을 때에는 압송부(230)를 정지시키거나 최소 속도로 구동시키고, 미세 먼지 농도가 높아 많은 유량의 공기 정화가 요구될 때에는 압송부(230)의 구동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정화장치의 작동 속도 (내지는 압송부(230)의 구동 속도)의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입력부는 입력 다이얼 또는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작동 속도를 선택하면, 그 명령은 제어부(7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압송부(23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실외흡기부(220)와 배기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흡기부(220)를 통하여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부(40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시켜 냉방/난방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컨대, 동절기에는 따뜻한 배기로부터 차가운 실외 흡기로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하여 난방 손실을 최소화하고, 하절기에는 따뜻한 실외 흡기로부터 차가운 배기로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하여 냉방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91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910)은 제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910)은 사용자가 PC, 휴대폰 등으로 공기정화장치를 로컬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공기정화장치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92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920)은 제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920)은 사물 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제품 사업자나 고객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920)을 이용하여 공기정화장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920)은 사용자가 PC, 휴대폰 등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원격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9)

  1.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와;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유출부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물을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하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하수도관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의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공기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정화장치.
  2.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와;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유출부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출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물을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물 안개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부를 포함하여, 공기가 상기 미스트에 용해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의 물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공기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부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물 안개를 발생시키는,
    공기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제어부와,
    상기 필터부가 포함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탁도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물배출부를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에 물 공급 필요성을 판단하고, 물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공급부를 개방하여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기정화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제어부와,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의 O2 농도 및 CO2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와,
    상기 건물의 외부에 연결되는 배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에 연결되는 실외흡기부와,
    상기 건물의 내부에 연결되는 실내흡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출부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환기 필요성을 판단하고,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부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를 상기 건물의 외부로 배기시키고, 상기 실내흡기부를 폐쇄하고 상기 실외흡기부를 개방하여 상기 건물의 외부의 실외 공기가 상기 필터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정화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제어부와,
    건물의 내부의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는, 공기를 상기 필터부로 압송하는 압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압송부를 제어하는,
    공기정화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190072958A 2019-06-19 2019-06-19 공기정화장치 KR20200144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58A KR20200144826A (ko) 2019-06-19 2019-06-19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58A KR20200144826A (ko) 2019-06-19 2019-06-19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826A true KR20200144826A (ko) 2020-12-30

Family

ID=7408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58A KR20200144826A (ko) 2019-06-19 2019-06-19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276A (ko) * 2021-05-06 2022-11-15 박재철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276A (ko) * 2021-05-06 2022-11-15 박재철 미세먼지 차단용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21B1 (ko)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103974650A (zh) 用于净化和再循环淋浴器水的装置和方法
KR100836021B1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US20110163170A1 (en) High Pressure Humidifier
KR101208349B1 (ko) 환기시스템
CN104654453A (zh) 一种空调回风的除尘控制方法及除尘空调
CN110793099A (zh) 具有自清洁功能的室内机、空调系统
KR100841030B1 (ko) 공기세척정화장치
US20030056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ir handling systems
KR20200144826A (ko) 공기정화장치
KR102256209B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JP4164037B2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乾燥機
WO2016023479A1 (zh) 一种除霾空调
JP2011058646A (ja) 天井据付型エアコンディ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KR10213636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236823B1 (ko) 다중이용시설 실내의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저감 및 멸균소독 겸용 공기 정화 장치
CN211261006U (zh) 具有自清洁功能的室内机、空调系统
JP4442202B2 (ja) サウナ装置
CN113310089A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JP2001314723A (ja) 空気清浄機
CN207317102U (zh) 空调的智能过滤系统及空调系统
KR100537738B1 (ko)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JP2002224511A (ja) 異なる位置に設置した2か所の浴槽または異なる浴温の浴槽の浴槽水循環ろ過加熱装置
CN105433845A (zh) 洗浴设备、洗浴设备系统及洗浴设备系统的控制方法
JPH1033926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