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353A -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353A
KR20180052353A KR1020160149559A KR20160149559A KR20180052353A KR 20180052353 A KR20180052353 A KR 20180052353A KR 1020160149559 A KR1020160149559 A KR 1020160149559A KR 20160149559 A KR20160149559 A KR 20160149559A KR 20180052353 A KR20180052353 A KR 2018005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surveillance cameras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488B1 (ko
Inventor
목승준
김대희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을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게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절히 설치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에 의하여 감시가 수행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에 의하여 감시가 수행되는 감시 시스템의 경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이 적절히 설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감시 카메라들의 감시 영역들 사이에서 중첩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 패닝(panning) 각도, 틸팅(tilting) 각도, 및 주밍(zooming) 배율이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감시 카메라들을 설치하는 통상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자는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뷰어-창을 보면서 감시 카메라들을 설치한다.
둘째, 설치자는,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간이 모니터를 연결한 후, 간이 모니터를 보면서 감시 카메라들을 설치한다.
셋째, 설치자는, 감시 카메라들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에 연결한 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선택 채널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보면서 감시 카메라들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상기 첫째 및 둘째 방법들의 경우, 설치자는 인접 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이 적절히 설치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둘째 및 셋째 방법들의 경우,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간이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감시 카메라들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에 연결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상기 모든(첫째 내지 셋째) 방법들의 경우, 단순히 FOV(Field Of View) 내의 영상들만이 비교됨에 의하여 카메라들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설치자의 비교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감시 카메라들 각각이 적절히 설치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2-157665호 (출원인 : NEC Access Technica 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 휴대 단말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및 홈 보안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시 카메라들 각각이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게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자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인접 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간이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감시 카메라들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셋째,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단순히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의 설치에 도움이 되는 비교 영상들을 설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지피에스(GPS)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상기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이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화각의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중첩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주 메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1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의 시각화 모드(단계 S309)의 상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평 시각화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평 시각화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b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시각화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b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시각화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에서의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모드(단계 S313)의 상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3c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파노라마 영상이 패닝 제어에 의하여 변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서의 제어부에 의한 감시 카메라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에서의 감시 카메라들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와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이다. 물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NFC(Near Field Commnication) 중 어느 한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일 수도 있다.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요청 신호에 따라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을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에게 전송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에게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를 가지고 다니면서 인접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 정보를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에 간이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셋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단순히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의 설치에 도움이 되는 비교 영상들을 설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에 지피에스(GPS)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이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화각의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의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한 화면(101s)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중첩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102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1021)는 광학계(201), 광전 변환부(20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 Analog-to-Digital Converter, 203), 영상 압축부(204), 타이밍 회로(205), 제어부(206),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7),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209), 및 상황 감지용 센서들(2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물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NFC(Near Field Commnication) 중 어느 한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상황 감지용 센서들(211)은 음향 센서, 가속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냄새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센서를 포함한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201)는 촬영 영역으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202)는 광학계(201)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제어부(206)는 타이밍 회로(205)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202)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2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203)는 광전 변환부(202)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영상 압축부(204)에 입력된다.
영상 압축부(204)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결과의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206)에 입력된다.
제어부(206)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7) 및 안테나(208)를 통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도 1의 101)와 통신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 및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에 의하여, 비컨(beacon) 신호를 방송하면서 감시 카메라들과 멀티페이링(multi-pairing)을 수행한다(단계 S301).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어느 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 정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03). 동작 정보가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선택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05).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각화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07). 시각화가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시각화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309).
시각화 모드(단계 S309)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로부터의 화각의 정보 및 지피에스(GPS) 수신기(도 2의 209)의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1021 내지 102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 및 감시 카메라들 각각(1021 내지 102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을 한 화면(101s)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대하여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라이브-뷰(live-view)의 촬영 영상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11). 촬영 영상이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313). 즉,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선택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의 동영상을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적어도 두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 중에서 적어도 둘)의 파노라마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단계(S313)에 대하여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제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15). 네트워크 통신 제어가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용 제어 정보를 선택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한다(단계 S317).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프로파일(profile) 제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19). 영상 프로파일 제어가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영상 프로파일 설정용 제어 정보를 선택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한다(단계 S321).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1021 내지 1027)에 대한 팬-틸트-줌(PTZ : Pan, Tilt & Zoom) 제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3). 팬-틸트-줌(PTZ) 제어가 요청되었으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팬-틸트-줌(PTZ) 설정용 제어 정보를 선택된 감시 카메라(1021 내지 1027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한다(단계 S325).
상기 단계들 S303 내지 S325는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327).
도 4는 도 1에서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화면(101s)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주 메뉴를 보여준다. 도 4의 경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두 개의 감시 카메라들만이 적용되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정보"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1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감시 카메라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05). 본 실시예의 경우, 아이콘의 선택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touch)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정보"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1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2 감시 카메라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05).
"시각화"에서의 "수평" 아이콘(402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평 시각화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309). 수평 시각화 모드에 대하여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시각화"에서의 "수직" 아이콘(402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직 시각화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309). 수직 시각화 모드에 대하여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촬영 영상"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3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의 동영상을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13). "촬영 영상"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3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2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의 동영상을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13). "촬영 영상"에서의 파노라마 아이콘(403c)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및 제2 감시 카메라들의 파노라마 동영상을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13). 이와 같은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단계(S313)에 대하여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4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용 제어 정보를 제1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17). "네트워크 통신 제어"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4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용 제어 정보를 제2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17).
"영상 프로파일 제어"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5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영상 프로파일 설정용 제어 정보를 제1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21). "영상 프로파일 제어"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5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영상 프로파일 설정용 제어 정보를 제2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21).
"PTZ 제어"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6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팬-틸트-줌(PTZ) 설정용 제어 정보를 제1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25). "PTZ 제어"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6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팬-틸트-줌(PTZ) 설정용 제어 정보를 제2 감시 카메라에게 전송한다(단계 S325).
도 5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1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작 정보를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 정보"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1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휴대용 무선 단말기(도 1에서의 101)는 제1 감시 카메라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한다(도 3에서의 단계 S305).
도 5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들(도 1에서의 1021 내지 1027) 각각으로부터의 동작 정보는 화각의 정보(501),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502), 자이로(Gyro) 센서의 정보(503), 네트워크 통신의 정보(504), 영상 프로파일의 정보(505), 팬-틸트-줌의 정보(506), 및 온도 센서의 정보(50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각의 정보(501)는 감시 카메라의 수평 화각 및 수직 화각을 포함한다.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502)는 감시 카메라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한다. 자이로(Gyro) 센서의 정보(503)는 감시 카메라의 방위 및 기울기를 포함한다. 팬-틸트-줌의 정보(506)는 팬 각도, 틸트 각도 및 줌 배율을 포함한다.
도 6은 도 3에서의 시각화 모드(단계 S309)의 상세 동작을 보여준다. 도 4 및 6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도 1에서의 101)는 시각화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S601). 화면(101s)의 "시각화"에서의 "수평" 아이콘(402a)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시각화 방향이 "수평"으로 판단된다. 화면(101s)의 "시각화"에서의 "수직" 아이콘(402b)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시각화 방향이 "수직"으로 판단된다.
시각화 방향이 "수평"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평 화각의 정보 및 지피에스(GPS) 수신기(도 2의 209)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603).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평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 및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평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을 한 화면(101s)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05).
시각화 방향이 "수직"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직 화각의 정보 및 지피에스(GPS) 수신기(209)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607).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직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 및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직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을 한 화면(101s)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09).
도 7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평 시각화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수평 시각화의 제1 예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평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701a, 701b), 및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평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702a 내지 703b)은 한 화면(101s)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605).
도 8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a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평 시각화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8의 제2 예는 도 7의 제1 예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들을 가진다.
첫째, 각 카메라의 위치, 온도 및 화각의 정보가 화면(101s)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둘째, 각 카메라에서의 전경 피사체의 수평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피사체 아이콘들(801a, 801b)이 화면(101s)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셋째, 각 카메라와 각 전경 피사체 사이의 거리 정보(D1, D2)가 화면(101s)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넷째, 인접 카메라들 사이의 거리 정보(D3)가 화면(101s)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b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시각화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9에서 참조 부호 904는 지면 시각화 영상을 가리킨다.
도 6 및 9를 참조하면, 수직 시각화의 제1 예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직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901a, 901b) 및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수직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902a 내지 903b)은 한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609).
도 10은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2b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 시각화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9의 제1 예에 대한 도 10의 제2 예의 차이점은, 각 카메라의 위치, 온도 및 화각의 정보가 화면(101s)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3에서의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모드(단계 S313)의 상세 동작을 보여준다. 도 4 및 1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도 1에서의 101)는 디스플레이 대상을 판단한다(단계 S1100).
"촬영 영상"에서의 제1 카메라 아이콘(403a)에 의하여 제1 카메라(CAM1)가 선택된 경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감시 카메라(CAM1)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의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단계 S1101).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3).
"촬영 영상"에서의 제2 카메라 아이콘(403b)에 의하여 제2 카메라(CAM2)가 선택된 경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2 감시 카메라(CAM2)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의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단계 S1105).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7).
"촬영 영상"에서의 파노라마 아이콘(403c)에 의하여 파노라마 영상이 선택된 경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
먼저,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감시 카메라(CAM1)로부터의 제1 촬영 영상, 및 제2 감시 카메라(CAM2)로부터의 제2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단계 S1109).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촬영 영상에서 제1 특징점들을 검출한다(단계 S1111).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2 촬영 영상에서 제2 특징점들을 검출한다(단계 S1113).
다음에,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1 특징점들과 제2 특징점들 중에서 공통 특징점들을 찾는다(단계 S1115).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공통 특징점들의 화소 좌표들이 정합(matching)되도록, 제2 촬영 영상의 화소 좌표들을 변환한다(단계 S1117).
그리고,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제2 촬영 영상과 좌표 변환된 제2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중첩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19). 상기 단계 S1119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4에서의 참조 부호 403c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파노라마 영상이 패닝 제어에 의하여 변함을 보여준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S1119의 수행에 의하여 제1 파노라마 영상(1201)이 한 화면(101s)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사용자는 제1 파노라마 영상(1201)에서 중첩 영역(1201D)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파노라마 영상(1201)에서 중첩 영역(1201D)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어느 한 카메라의 패닝을 제어함(도 3의 S325)에 의하여 중첩 영역(1201D)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의 설치 후에 제2 카메라의 패닝 각도가 설정될 때, 제2 감시 카메라가 오른쪽으로 패닝함에 의하여 중첩 영역(1201D)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하고 용이하게 카메라의 패닝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 1202는 중첩 영역(1201D)이 제거된 시점에서의 파노라마 영상을 보여준다.
도 13은 도 2에서의 제어부(206)에 의한 감시 카메라(1021)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 2 및 13을 참조하여 감시 카메라(102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시 카메라(1021)의 제어부(206)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하여, 비컨(beacon) 신호를 전송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단계 S1301).
다음에, 감시 카메라(1021)의 제어부(206)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가 동작 정보를 요청하였으면(단계 S1303), 요청된 동작 정보를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에게 전송한다(단계 S1305, 도 5와 대응함).
또한, 감시 카메라(1021)의 제어부(206)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가 촬영 영상을 요청하였으면(단계 S1307), 라이브-뷰(live-view)의 촬영 영상을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에게 전송한다(단계 S1309).
또한, 감시 카메라(1021)의 제어부(206)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한다(단계 S1313). 제어 정보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단계들 S1303 내지 S1313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1315).
도 14는 도 1에서의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있어서,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와 SPP(Serial Port Prifile)가 이용된다.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에 의하면, 라이브-뷰(live-view) 촬영 영상이 송수신될 수 있다.
SPP(Serial Port Prifile)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1021 내지 1027)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101)는 상호 직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의 버젼(version, 1401), 데이터(1411)의 길이(1403),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의 식별자(1405), 플래그(1407), 프레임의 전송 시간(1409), 및 데이터(1411)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인접 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간이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감시 카메라들을 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NVR : Network Video Recorder)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셋째,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단순히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감시 카메라들의 설치에 도움이 되는 비교 영상들을 설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 지피에스(GPS)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이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화각의 정보에 따라,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중첩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적절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영상 시스템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1 : 휴대용 무선 단말기, 1021 내지 1027 : 감시 카메라들,
201 : 광학계, 202 : 광전 변환부,
203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04 : 영상 압축부,
205 : 타이밍 회로, 206 : 제어부,
207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208 : 안테나,
209 : 지피에스(GPS) 수신기, 210 : 안테나,
211 : 센서들, 101s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화면,
401a 내지 406b : 메뉴 아이콘들, 501 내지 506 : 동작 정보,
701a, 701b : 카메라 아이콘들, 702a 내지 703b : 선분들,
801a, 801b : 전경 영상들, 901a, 901b : 카메라 아이콘들,
902a 내지 903b : 선분들, 1201, 1202 : 파노라마 영상들,
1201D : 중첩 영역.

Claims (6)

  1.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복수의 감시 카메라들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을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게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에게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및 NFC(Near Field Commnication) 중 어느 한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인,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으로부터의 동작 정보는,
    화각의 정보,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 자이로(Gyro) 센서의 정보, 네트워크 통신의 정보, 영상 프로파일의 정보, 팬-틸트-줌의 정보, 및 온도 센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화각의 정보 및 상기 지피에스(GPS) 수신기의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카메라 아이콘들, 및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화각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선분들을 한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정보, 영상 프로파일의 제어 정보, 및 팬-틸트-줌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촬영 영상들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들로부터의 촬영 영상들을 조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중첩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60149559A 2016-11-10 2016-11-10 감시 시스템 KR10259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59A KR102596488B1 (ko) 2016-11-10 2016-11-10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559A KR102596488B1 (ko) 2016-11-10 2016-11-10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53A true KR20180052353A (ko) 2018-05-18
KR102596488B1 KR102596488B1 (ko) 2023-10-31

Family

ID=6245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559A KR102596488B1 (ko) 2016-11-10 2016-11-10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418B1 (ko) * 2019-06-03 2020-09-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695A (ko) * 2011-02-09 2012-08-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130130544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695A (ko) * 2011-02-09 2012-08-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130130544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2-157665호 (출원인 : NEC Access Technica 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 휴대 단말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및 홈 보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418B1 (ko) * 2019-06-03 2020-09-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488B1 (ko)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0878B2 (en) Dynamic range compression for thermal video
EP2437496A2 (en) Intelligent monitoring camera apparatu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same
US20150009325A1 (en) Modular camera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95249B1 (ko)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0633313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システム
JP200633313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システム
JP2009284452A (ja) ハイブリッドビデオカメラ撮像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4266317A (ja) 監視装置
JP2005176143A (ja) 監視装置
KR101810447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US20170026573A1 (en) High-resolution cctv panoramic camera device
KR20110075250A (ko) 객체 추적 모드를 활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1704551B1 (ko) 열상 카메라를 채용하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감시 방법
JP2010213249A (ja) ビデオカメラ撮像装置
JP5677055B2 (ja) 監視映像表示装置
KR101874588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한 다채널 관심영역 표출방법
KR102596488B1 (ko) 감시 시스템
CN107431846B (zh) 基于多个摄像机的图像传输方法、设备和系统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72403B1 (ko)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ptz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시스템
KR100642687B1 (ko) 폐쇄회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4333255B2 (ja) 監視装置
JP4438396B2 (ja) 監視装置
KR101048182B1 (ko) 카메라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