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222A - 배수용 콘크리트관 - Google Patents

배수용 콘크리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222A
KR20180052222A KR1020160149272A KR20160149272A KR20180052222A KR 20180052222 A KR20180052222 A KR 20180052222A KR 1020160149272 A KR1020160149272 A KR 1020160149272A KR 20160149272 A KR20160149272 A KR 20160149272A KR 20180052222 A KR20180052222 A KR 2018005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drainage
drai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972B1 (ko
Inventor
육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to KR102016014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수로관은,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되는 배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통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과 상기 배수통로의 상면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고,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슬릿부재, 및 상기 배수로관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의 주위에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용 콘크리트관{drain concrete pipe}
본 발명은 배수용 콘크리트관(이하, "배수로관"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배수로관은 상면 개구부에 금속 그레이팅을 설치하여 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각종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 배수로관은 차량의 하중도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해야 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배수로관의 개구부에 받침단턱을 형성하여 그 받침단턱에 그레이팅을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하였으므로, 그레이팅이 쉽게 분리되어 유실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개구부와 그레이팅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무거운 차량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배수로관을 제작할 때 상면에 배수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러한 배수로관은 형태가 복잡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금형에서 성형하는 것만으로 배수홀을 형성할 수 없고, 배수홀을 천공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여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수로관의 상면에 복수의 배수홀을 가진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집수슬릿부재가 일체로 매립되어 형성된 배수로관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로관은,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되는 배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통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과 상기 배수통로의 상면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고,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슬릿부재, 및 상기 배수로관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의 주위에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슬릿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배수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슬릿부재는, 상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상단리브와, 하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하단리브와, 측벽에 돌출되어 상기 상단리브와 하단리브를 연결하는 측벽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은 상기 집수슬릿부재 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배수통로 주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타측면에 상기 배수통로 주위에서 함몰되어 다른 배수로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은, 측면 전방 및 후방에 인서트 사출되어 연결부재 및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다른 배수로관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은, 양측면 상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운반용 고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운반용 인서트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은,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할 때 상기 철근부재를 금형 내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상기 철근부재에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철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금형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통로는 수직의 평면인 양측면부와, 원호면 형태의 상면부 및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곡률반경을 가진 하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무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배수로관에 의하면, 배수로관의 상면에 복수의 배수홀을 가진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지 않고 집수슬릿부재가 일체로 매립되어 형성된 배수로관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관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집수슬릿부재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그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콘크리트 내에 고정 위치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배수로관의 상면에 돌출무늬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잘 미끄러지지 않고, 상면이 배수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에 흐르는 물이 배수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수로관에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배수관들을 연결할 때 쉽게 연결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관에 인서트 너트를 구비하여 연결부재를 볼트로 체결하여 두 배수로관을 연결함으로써 지중에 매립된 후에 연결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관에 운반용 인서트 너트를 구비하여 운반용 고리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무거운 배수로관을 쉽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로는 그 하면이 포물면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져 물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에는 돌출무늬가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로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수로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수로관의 좌측면도(a) 및 우측면도(b) 및 돌출부와 오목부 사이에 압입되는 고무링(c)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집수슬릿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배수로관을 제작하는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금형장치를 개방하고 배수통로 성형 금형을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배수로관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철근부재를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로관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수로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수로관의 좌측면도(a) 및 우측면도(b) 및 돌출부와 오목부 사이에 압입되는 고무링(c)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배수로관(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되며, 내부에 배수통로(11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관(100)은 지중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수로가 길게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로관(1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수통로(110)가 형성된다. 이 배수통로(110)는 수직의 평면인 양측면부와, 원호면 형태의 상면부 및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곡률반경을 가진 하면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배수통로(110)의 하면이 포물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의 배수로관에 비해, 배수통로(110)로 물이 훨씬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로(110)는 배수로관(100) 내에서 상하좌우로 둘러싸이되, 배수로관(100)의 상면벽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물이 배수홀을 통해 배수통로(110)로 흘러들어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배수로관(100)의 상면벽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로관(100)의 상면과 상기 배수통로(110)의 상면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는 집수슬릿부재(150)에 복수의 배수홀(158, 도 5 참조)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배수로관(100)은 그 길이가 약 2m 정도로 형성되는바, 강도 보강을 위해 배수로관 내부에 철근부재(190, 도 8 참조)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철근부재(190)는 상기 배수통로(1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 철근부재(190)는 배수로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되고, 상기 배수통로(110)는 물론, 상기 배수홀에도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철근이 외부 또는 물에 노출되면 부식되기 쉬우므로, 철근은 콘크리트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금형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철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배수로관(100)의 상면(140)에는 돌출무늬(142)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이 크고, 심미감이 있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돌출무늬(142)는 복수의 사각형 패턴이 상기 집수슬릿부재(150) 주위에 배열되어 있는데, 돌출무늬는 이러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형에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다각형 또는 원 등 다른 형태로도 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등의 형태가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로관(100)의 상면(140)은 상기 집수슬릿부재(150) 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140)으로 흐르는 물이 상기 배수홀 쪽으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면(140)의 경사는 철근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그 강도 등을 고려하여 약 2%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관(100)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배수통로(110) 주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타측면에 상기 배수통로(110) 주위에서 함몰되어 다른 배수로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122, 도 2 내지 도 4 참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1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전방이라 하고 타측을 후방이라 할 때, 상기 돌출부(120)는 배수로관(100)의 전면에서 상기 배수통로(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22)는 상기 배수로관(100)의 후면에서 상기 돌출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22)의 크기가 상기 돌출부(120)보다 작거나 같다면, 배수로관(100) 2개를 서로 연결할 때 한 쪽의 돌출부(120)를 다른 쪽의 오목부(122)에 삽입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오목부(122)를 상기 돌출부(120)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치수 공차를 어느 정도 허용하여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0)를 오목부(122)에 삽입할 때 상기 돌출부(120)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가진 고무링(130, 도 4)을 삽입하여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20)와 오목부(122)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관(100)의 양측면(160) 하부에는 모따기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모따기부(165)는 배수로관(10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각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부(165)는 콘크리트 재료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로관(100)의 측면에서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따기부(165)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끝까지 형성된다면 그만큼 재료가 더 줄어들겠지만, 반면에 배수로관(100)이 쓰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관(100)은 측면 전방 및 후방에 인서트 사출되어 연결부재(175) 및 볼트(176)에 의해 체결되어 다른 배수로관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서트 너트(170)는 금형에서 콘크리트 성형시 금형 내에 미리 고정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175)와 인서트 너트(170) 및 볼트(176)는 모두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부재(175)에는 볼트(176)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관(100)의 측면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인서트 너트(170) 주위로 상기 연결부재(175)의 각 절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관(100)은 양측면 상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운반용 고리(185)를 볼트(186)로 체결하는 운반용 인서트 너트(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관(100)은 대략 길이 2m로서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시 지게차를 이용하기 어렵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상기 운반용 인서트 너트(180)에 운반용 고리(185)를 볼트(186)로 체결한 다음 운반용 고리(185)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는 집수슬릿부재(150)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집수슬릿부재는 도 1에 비해 상하 반전되어 있는바, 도 5의 상면은 도 1에서 하면이 되고 도 5의 하면은 도 1에서 상면이 되는 것이다. 이는 집수슬릿부재(150)를 인서트 사출할 때 금형장치 내에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배수로관 제작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 집수슬릿부재(150)는 복수의 배수홀(158)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이 복수의 배수홀(158)은 집수슬릿부재(15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구획부재(152)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가 배수로관(100)에 인서트 사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배수홀(158)은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는 양 측벽(151)이 아래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홀(158)이 하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각 배수홀로 더욱 잘 흘러내려갈 수 있고, 배수홀에 오물이 걸려 막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의 전방벽과 후방벽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는 상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상단리브(154)와, 하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하단리브(153)와, 측벽(151)에 돌출되어 상기 상단리브와 하단리브를 연결하는 측벽리브(15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리브(154)는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의 상단 테두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 테두리부를 전후좌우로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리브(153)도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의 하단 테두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부를 전후좌우로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의 양 측벽(15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상단리브(154)의 윤곽과 상기 하단리브(153)의 윤곽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리브(154)가 상단 테두리부 일측에서 연장되는 폭은 상기 하단리브(153)가 하단 테두리부 일측에서 연장되는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리브(155)는 상기 구획부재(1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들은 집수슬릿부재(150) 주위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그 압력을 견디도록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측벽리브(155)가 상기 구획부재(152)에 지지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측벽(15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장 잘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단리브(154)와 하단리브(153)와 측벽리브(155) 사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집수슬릿부재(150)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될 때 홈 속으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굳어지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배수로관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는 철근 콘크리트 배수로관을 성형하는 금형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금형장치를 개방하고 배수통로 성형 금형을 분리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금형장치(2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즉, 금형장치(200)는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금형(210)과,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전면금형(220) 및 후면금형(250)과, 상기 배수로관(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하면금형(230)과, 상기 배수통로(110)를 형성하는 배수통로금형(24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금형(210)은 복수의 힌지에 의해 상기 하면금형(230)에 대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측면금형(2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한 모따기부(165)를 형성하기 위한 모따기부금형(215)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금형(220) 및 후면금형(250)도 상기 하면금형(230)에 대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금형(240)은 상기 배수통로(110)를 형성하는 금형으로서, 상기 전면금형(2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로금형(240)의 전면에는 배수통로금형(240)을 금형장치(100) 내에 밀어넣은 다음 전면금형(220)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레버(22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금형(210)의 외측면 전단부에는 상기 전면금형(220)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레버(21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금형(210)의 외측면 후단부에는 상기 후면금형(250)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레버(212)가 마련된다.
상기 하면금형(230)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무늬(142)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금형(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를 안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두 쌍의 고정돌기(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쌍의 고정돌기(235)는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의 양 끝에 형성된 배수홀 양단(158)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금형장치(200)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집수슬릿부재(15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집수슬릿부재(150)는 금형장치(200) 내에서 상기 두 쌍의 고정돌기(235)에 의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통로금형(240)이 집수슬릿부재(150)에 밀착되어 집수슬릿부재(150)를 밀착하고 배수홀(158)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면금형(220)에는 상기한 돌출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금형(250)에는 상기한 오목부(122)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배수로관(100) 내에 매립되는 철근부재(19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철근부재를 고정하는 스페이서(19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철근부재(190)는 소정 지름을 가진 직선 와이어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서로 용접하여 전체적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철근부재(190)는 양 측면과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직교하는 와이어들이 용접되어 연결된다.
상기 철근부재(190)는 금형장치(200)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전에 금형장치(200) 내에 먼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철근부재(190)는 각 면이 금형장치(20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치수를 갖고, 양 측면 및 하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장착하여 금형장치(200)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부재(190)의 하면은 상기 집수슬릿부재(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195)는, 하나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걸리는 한 쌍의 걸림고리(196)와, 상기 와이어와 직교하는 다른 와이어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97)과, 상기 한 쌍의 걸림고리(196) 및 상기 지지홈(197)으로부터 두 와이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98)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195)는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98)의 단부는 상기 금형장치(200)의 내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단부(199)로서, 상기 스페이서(195)는 직교하는 일면의 두 와이어로부터 금형장치(200)의 내면 사이의 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걸림고리(196) 및 상기 지지홈(197)은 와이어가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195)가 와이어에 장착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95)는 상기 철근부재(190)의 양 측면 및 하면에 두 와이어가 직교하는 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철근부재(190)를 상기 금형장치(200)의 내부에 고정한다.
그래서, 상기 금형장치(200)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상기 철근부재(19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관의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집수슬릿부재(150)를 사출성형하고, 철근부재(190)도 별도로 제작하며 철근부재에 스페이서(195)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금형장치(200)에서 배수통로금형(240)을 인출하고 전면금형(220), 후면금형(250), 및 양 측면금형(210)을 회동시켜 개방한다.
그러면 하면금형(230)이 노출되고, 고정돌기(235)에 집수슬릿부재(150)를 안착한다.
다음으로, 철근부재(190)를 하면금형(230) 위에 배치하고, 인서트 너트들을 양 측면금형(210)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 다음, 전면금형(220), 후면금형(250), 및 양 측면금형(210)을 수직으로 회동시켜 서로 결합한다.
그런 후, 배수통로금형(240)을 금형장치(200) 내로 인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배수통로금형(240)의 하면이 집수슬릿부재(150) 위에 밀착되어 배수홀(158)은 하면금형(230)과 배수통로금형(240)에 의해 막히게 된다.
다음으로, 금형장치(2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한다.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양은 금형장치(200)의 개구된 상면에 콘크리트가 수평면을 형성할 때까지 주입한다. 이 수평면은 배수로관(100)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를 양생한 다음, 배수통로금형(240)을 인출하고 전면금형(220), 후면금형(250), 및 양 측면금형(210)을 회동시켜 분리하면 배수로관(100)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배수로관에 의하면,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배수로관
110: 배수통로
120: 돌출부
122: 오목부
130: 고무링
140: 상면
142: 돌출무늬
150: 집수슬릿부재
160: 측면
170: 연결용 인서트 너트
180: 운반용 인서트 너트
190: 철근부재
195: 스페이서
200: 금형장치

Claims (11)

  1.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되는 배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통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과 상기 배수통로의 상면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고,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슬릿부재; 및
    상기 배수로관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의 주위에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하는 배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슬릿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배수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슬릿부재는,
    상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상단리브와,
    하단 테두리부에 측방으로 연장된 하단리브와,
    측벽에 돌출되어 상기 상단리브와 하단리브를 연결하는 측벽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은 상기 집수슬릿부재 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배수통로 주위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다른 배수로관과 접하는 타측면에 상기 배수통로 주위에서 함몰되어 다른 배수로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은, 측면 전방 및 후방에 인서트 사출되어 연결부재 및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다른 배수로관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은, 양측면 상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운반용 고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운반용 인서트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은, 콘크리트를 금형에 주입할 때 상기 철근부재를 금형 내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상기 철근부재에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철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금형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로는 수직의 평면인 양측면부와, 원호면 형태의 상면부 및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곡률반경을 가진 하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관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관.
KR1020160149272A 2016-11-10 2016-11-10 배수용 콘크리트관 KR10192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72A KR101928972B1 (ko) 2016-11-10 2016-11-10 배수용 콘크리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72A KR101928972B1 (ko) 2016-11-10 2016-11-10 배수용 콘크리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22A true KR20180052222A (ko) 2018-05-18
KR101928972B1 KR101928972B1 (ko) 2018-12-13

Family

ID=6245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72A KR101928972B1 (ko) 2016-11-10 2016-11-10 배수용 콘크리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10A (ko) 2018-05-11 2019-11-20 이종훈 나선형 자전거 변속기 및 변속기 제어방법
JP2020133309A (ja) * 2019-02-22 2020-08-31 中里産業株式会社 排水孔形成治具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178U (ko) * 1989-11-02 1991-06-28
JPH1037293A (ja) * 1996-07-26 1998-02-10 Kyodo Concrete Kk 排水間隙の形成方法及び排水間隙の形成用縁材
JP2957650B2 (ja) * 1990-07-12 1999-10-06 株式会社カイエーテクノ グレーチング直付暗渠ブロック製造法
JP2002121816A (ja) * 2000-10-16 2002-04-26 Takara Kizai:Kk 排水部材、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を敷設する方法。
KR20020041508A (ko) * 2000-11-28 2002-06-03 서영석 수로관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02225013A (ja) * 2001-02-01 2002-08-14 Norihiro Umezawa U溝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品
JP3366470B2 (ja) * 1994-12-22 2003-01-14 恭司 高見 貫通型吊上げ反転穴付きu字溝の製造方法及びその型枠装置
JP2006224339A (ja) * 2005-02-15 2006-08-31 Kaieitechno Co Ltd 水路ブロック製造用型枠及び水路ブロック製造方法
KR100985990B1 (ko) * 2010-03-10 2010-10-06 아세아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178B2 (ja) * 1990-08-20 2000-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178U (ko) * 1989-11-02 1991-06-28
JP2957650B2 (ja) * 1990-07-12 1999-10-06 株式会社カイエーテクノ グレーチング直付暗渠ブロック製造法
JP3366470B2 (ja) * 1994-12-22 2003-01-14 恭司 高見 貫通型吊上げ反転穴付きu字溝の製造方法及びその型枠装置
JPH1037293A (ja) * 1996-07-26 1998-02-10 Kyodo Concrete Kk 排水間隙の形成方法及び排水間隙の形成用縁材
JP2002121816A (ja) * 2000-10-16 2002-04-26 Takara Kizai:Kk 排水部材、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を敷設する方法。
KR20020041508A (ko) * 2000-11-28 2002-06-03 서영석 수로관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JP2002225013A (ja) * 2001-02-01 2002-08-14 Norihiro Umezawa U溝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品
JP2006224339A (ja) * 2005-02-15 2006-08-31 Kaieitechno Co Ltd 水路ブロック製造用型枠及び水路ブロック製造方法
KR100985990B1 (ko) * 2010-03-10 2010-10-06 아세아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67178호(2000.03.21.) 1부.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366470호(2003.01.14.)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10A (ko) 2018-05-11 2019-11-20 이종훈 나선형 자전거 변속기 및 변속기 제어방법
JP2020133309A (ja) * 2019-02-22 2020-08-31 中里産業株式会社 排水孔形成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72B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1139B2 (ja) スロット排水管、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排水システム、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道路、スロット排水管を備える滑走路、排水システムを備える道路、排水システムを備える滑走路及びスロット排水管を構成する方法
JP6607930B2 (ja) 浮動ユニットと浮動ユニットから組み立てられた浮動構造体
EP2449179B1 (en) Corrugated leaching chambers having pillars and wide peak corrugations
KR101928972B1 (ko) 배수용 콘크리트관
US20160053855A1 (en) Chain Link and Method for Forming Chain Link
US3294358A (en) Pipe sleeve
KR100639359B1 (ko) 조립식 맨홀
KR20170135494A (ko) 거푸집 조립체
KR101820907B1 (ko) 에코 그레이팅 제조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에코 그레이팅
KR100511462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KR101455923B1 (ko) 맨홀제작용 거푸집 제조방법
JP5717029B2 (ja) 暗渠型ブロック
KR102477305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용 철근연결구
US20110020065A1 (en) Leaching chamber having pillars and wide peak corrugations
KR20040387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JP6430314B2 (ja) U字溝
KR101670863B1 (ko) 맨홀끼움체가 인서트된 맨홀받침부재의 제조방법
KR102477764B1 (ko)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2121964B1 (ko) 수로관
KR1014250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101310384B1 (ko) 맨홀블럭과 이를 이용한 맨홀유닛
JP6392156B2 (ja) U字溝
KR200367774Y1 (ko) 관 연결장치
KR101841348B1 (ko) 수로관의 이중 연결 소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