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018A - 곡선가위 - Google Patents

곡선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018A
KR20180051018A KR1020160147796A KR20160147796A KR20180051018A KR 20180051018 A KR20180051018 A KR 20180051018A KR 1020160147796 A KR1020160147796 A KR 1020160147796A KR 20160147796 A KR20160147796 A KR 20160147796A KR 20180051018 A KR20180051018 A KR 2018005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rved
lower blade
scissor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16014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018A/ko
Priority to PCT/KR2016/014162 priority patent/WO2018088623A1/ko
Publication of KR2018005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자재를 반복적인 가위질할 때 가위질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윗날부에는 이중의 곡선날이 형성되고 아랫날부에는 날면이 평면인 직선날로 이루어지는 곡선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윗날본체와 상기 윗날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날로 이루어지는 윗날을 포함하는 윗날부; 및 판상의 아랫날본체와 상기 아랫날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윗날과 함께 식자재를 절단하는 아랫날을 포함하는 아랫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윗날부와 아랫날부는 힌지핀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아랫날은 상기 아랫날본체의 내측면과 직교를 이루는 평면의 직선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선가위{Curved Type Scissors}
본 발명은 곡선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자재를 반복적으로 가위질할 때 가위질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윗날부에는 이중의 곡선날이 형성되고 아랫날부에는 날면이 평면인 직선날로 이루어지는 곡선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절단하는 도구로서, 윗날부와 아랫날부 및 손잡이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가위의 용도에 따라 이용의 편의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형상의 가위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 일례로 윗날부와 아랫날부의 양날이 모두 곡선날로 이루어지는 가위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9643호(공개일자: 2014.10.10.)에 소개되어 있으며, 도 1은 상기 가위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위는 양날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날 끝으로 갈수록 직선날에 비해 큰 시어각(Ω)(shear angle)을 갖게 되어 보다 작은 악력(握力)으로 피전단물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직선날에 비해 큰 시어각(Ω)을 갖게 됨으로써 절단 과정에서 피전단물이 날 끝 방향으로 쉽게 밀려 사용상 불편을 초래할 소지가 있다.
KR 10-2014-0119643 A 2014.10.10.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위질 편의를 위해 윗날부에는 이중의 곡선날이 형성되고 아랫날부에는 날면이 평면인 직선날로 이루어지되 윗날부와 아랫날부의 시어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절단물의 밀림이 억제되는 곡선가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선가위는, 판상의 윗날본체와 상기 윗날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날로 이루어지는 윗날을 포함하는 윗날부; 및 판상의 아랫날본체와 상기 아랫날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윗날과 함께 식자재를 절단하는 아랫날을 포함하는 아랫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윗날부와 아랫날부는 힌지핀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아랫날은 상기 아랫날본체의 내측면과 직교를 이루는 평면의 직선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선가위는, 상기 윗날의 외측면에는 내측면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윗절단면과 경사날면이 형성되고, 상기 윗절단면은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윗날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곡선날과 제2곡선날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은 상기 아랫날에 대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이 증가했다 변곡되어 감소하는 오목한 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곡선날은 상기 아랫날에 대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선가위는, 상기 아랫날본체의 외측면에 피절단물을 거치하는 도마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선가위는, 상기 아랫날 및 도마편의 상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파형의 요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곡선가위는, 상기 요철이 상기 아랫날의 날 끝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곡선가위에 의하면, 곡선날로 이루어지는 윗날과 평면의 직선날로 이루어지는 아랫날을 통해 반복적인 가위질 작업에 편의를 제공하고 절단에 필요한 악력이 경감됨으로써 곡선가위의 상품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선가위에 의하면, 시어각이 증가했다 감소하는 제1곡선날 및 아랫날의 날 끝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요철을 통해, 피절단물의 밀림이 방지되고 절단에 필요한 악력이 경감됨으로써 곡선가위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곡선가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의 윗날부와 아랫날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도마편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요철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평면도.
본 설명에 앞서, 가위의 양날이 오므려졌을 때 양날이 상호 접하는 면을 내측면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측면을 외측면이라 지칭함을 밝혀 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의 윗날부와 아랫날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방용 가위로서 힌지핀(A)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윗날부(10)와 아랫날부(20) 및 상기 양날부(10, 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윗날부(10)에는 곡선날이 형성되고 상기 아랫날부(20)에는 직선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윗날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윗날본체(11), 상기 윗날본체(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식자재를 절단하는 윗날(13) 및 힌지핀(A)을 경계로 상기 윗날본체(11)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0)에 고정되는 윗날고정편(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윗날(13)의 외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α, α')을 갖는 윗절단면(131)과 경사날면(13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윗절단면(131)에서 식자재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한편, 절단이 진행될수록 식자재의 절단면과 가윗날의 외측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식자재 절단면의 마찰저항으로 가위질의 부하가 증대되는데, 상기 경사날면(133)은 식자재 절단면이 윗날본체(1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가위질 부하가 경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날면(133)의 경사각 α'는 상기 윗절단면(131)의 경사각 α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식자재의 절단이 진행될수록 식자재 절단면과 경사날면(133)의 이격 공간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이러한 단면 구조로 가위질 부하도 훨씬 경감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마편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요철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곡선가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윗절단면(131)은 힌지핀(A)을 기준으로 윗날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곡선날(131a)과 제2곡선날(131b)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곡선날(131a)은 다시 제1구간(131a')과 제2구간(131a")으로 나뉘며, 후술할 아랫날부(20)의 아랫날(23)에 대해 상기 제1구간(131a')은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θ')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2구간(131a")은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θ')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제1곡선날(131a)의 전체적인 외형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곡선날(131b)은 상기 아랫날(23)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θ")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날로 이루어진다.
가위질 초기에는 가위 양날이 벌어짐으로써 형성되는 시어각(θ)으로 인한 측방 분력(F)으로 인해 식자재(B)가 날 끝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고, 식자재가 클수록 이러한 밀림이 용이해 질 수 있는데, 상기 제1곡선날(131a)은 시어각(θ')이 감소하는 구간으로 인해 식자재의 밀려남이 억제되게 된다.
더불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는 가위의 특성상, 식자재의 절단이 진행됨에 따라 절단 진행 부위가 힌지핀(A)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절단에 필요한 악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제2곡선날(131b)은 날 끝으로 갈수록 시어각(θ")이 증가되어 이러한 악력 증가가 경감되게 된다.
아랫날부(20)는 윗날부(10)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아랫날본체(21), 상기 아랫날본체(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윗날(13)과 함께 식자재를 절단하는 아랫날(23) 및 힌지핀(A)을 경계로 상기 아랫날본체(21)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0)에 고정되는 아랫날고정편(25)으로 이루어진다.
주방용 가위로서 다지기와 같은 반복적인 가위질 작업시 가위의 아랫날이 예리할 경우에는 식자재를 반복적으로 날에 거치하기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랫날(23)은 상기 윗날(13)의 윗절단면(131)과 같은 예리한 날이 아닌 아랫날본체(21)의 내측면과 직교를 이루는 평면의 직선날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이러한 반복적인 가위질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랫날본체(21)의 외측면에는 피절단물을 거치하는 도마편(27)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도마편(27)의 상면은 반복적인 가위질의 편의를 위해 아랫날(23)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위질 말기의 악력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제2곡선날(131b)이 날 끝으로 갈수록 시어각(θ")이 증가하는 구조로 개시되는데, 이러한 시어각 증가로 인해 식자재가 날 끝 방향으로 밀릴 소지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식자재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곡선날(131b)과 대응되는 아랫날(23)의 상면 구간 및 도마편(27)의 상면 구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파형의 요철(2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231)은 아랫날(23)의 날 끝 방향(x)에 대해 예각(α")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식자재의 절단과정에서 절단면이 벌어지도록 한다.
즉, 제2곡선날(131b)의 시어각(θ")에 의해 식자재가 아랫날(23)의 날 끝 방향으로 밀리는 과정에서 식자재의 바닥면이 경사진 요철(231)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식자재의 전단면이 벌어짐으로써, 식자재의 절단면과 윗날(13) 내측면의 밀착이 완화되고 이를 통해 식자재 절단면의 마찰저항 감소로 가위질 부하가 경감되게 된다.
손잡이(30)는 통상의 가위에 구비되는 손잡이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 파지되는 윗손잡이(31) 및 나머지 손가락이 삽입 파지되는 아랫손잡이(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윗손잡이(31)는 아랫날고정편(25)에, 상기 아랫손잡이(33)는 윗날고정편(15)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윗날부
11: 윗날본체
13: 윗날
15: 윗날고정편
131: 윗전단면
133: 경사날면
20: 아랫날부
21: 아랫날본체
23: 아랫날
231: 요철
25: 아랫날고정편
27: 도마편
30: 손잡이부
31: 윗손잡이
33: 아랫손잡이

Claims (5)

  1. 판상의 윗날본체(11)와 상기 윗날본체(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곡선날로 이루어지는 윗날(13)을 포함하는 윗날부(10); 및
    판상의 아랫날본체(21)와 상기 아랫날본체(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윗날(13)과 함께 식자재를 절단하는 아랫날(23)을 포함하는 아랫날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윗날부(10)와 아랫날부(20)는 힌지핀(A)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아랫날(23)은 상기 아랫날본체(21)의 내측면과 직교를 이루는 평면의 직선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날(13)의 외측면에는 내측면에 대해 예각의 경사각(α, α')을 갖는 윗절단면(131)과 경사날면(133)이 형성되고, 상기 윗절단면(131)은 상기 힌지핀(A)을 기준으로 윗날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곡선날(131a)과 제2곡선날(131b)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날(131a)은 상기 아랫날(23)에 대해 상기 힌지핀(A)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θ')이 증가했다 변곡되어 감소하는 오목한 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곡선날(131b)은 상기 아랫날(23)에 대해 상기 힌지핀(A)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시어각(θ")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가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날본체(21)의 외측면에는 피절단물을 거치하는 도마편(2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가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날(23) 및 도마편(27)의 상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파형의 요철(2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가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231)은 상기 아랫날(23)의 날 끝 방향(x)에 대해 예각(α")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가위.
KR1020160147796A 2016-11-08 2016-11-08 곡선가위 KR20180051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96A KR20180051018A (ko) 2016-11-08 2016-11-08 곡선가위
PCT/KR2016/014162 WO2018088623A1 (ko) 2016-11-08 2016-12-05 곡선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796A KR20180051018A (ko) 2016-11-08 2016-11-08 곡선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18A true KR20180051018A (ko) 2018-05-16

Family

ID=6210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796A KR20180051018A (ko) 2016-11-08 2016-11-08 곡선가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1018A (ko)
WO (1) WO20180886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767A (ja) * 1999-04-28 2000-11-07 Kuraray Co Ltd 安全鋏
KR200347752Y1 (ko) * 2004-01-27 2004-04-17 서해춘 가위
KR20100001832U (ko) * 2006-11-04 2010-02-19 서정래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KR20080114632A (ko) * 2008-08-21 2008-12-31 김경은 식재료 절단용 가위
JP6244097B2 (ja) * 2013-04-01 2017-12-06 プラス株式会社 事務用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623A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619B2 (en) Bag cutter and piercer
US20070101576A1 (en) Blunt tip utility blade
US6044566A (en) Plastic knife
US5337482A (en) Safety blade for utility knife
US20170246748A1 (en) Ceramic cutting blades
US9744681B2 (en) Knife and scissors provided with protection means
US20050115083A1 (en) Knife with an ergonomic handle
US8006390B2 (en) Media cutting and ribbon curling device
US11708256B2 (en) Bag cutter and piercer
KR20180051018A (ko) 곡선가위
US20190255717A1 (en) Knife blad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722044B2 (en) Sheet material cutting tool
KR101857257B1 (ko) 조리용 식칼
US20200139563A1 (en) Cutlery implement with continuous longitudinal ridge
WO2007124335A2 (en) Media cutting and ribbon curling device
JP3207150U (ja) パン切り包丁
KR101908592B1 (ko) 절삭물 부착방지 홈이 구비된 가위
JP7062319B1 (ja) 調理用切断器具
JP3141704U (ja) 指掛けリング付き包丁
CA2820690C (en) Bag cutter and piercer
JP2016068176A (ja) 鋸刃
JP3098510U (ja) 竹の子の皮削ぎ具
JP3109182U (ja) 押圧切断具
KR20210101872A (ko) 새로운 가위날부가 추가된 가위 날
JPH0744415Y2 (ja) ステンレス等の硬質金属材用の金切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