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870A -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870A
KR20180050870A KR1020160147420A KR20160147420A KR20180050870A KR 20180050870 A KR20180050870 A KR 20180050870A KR 1020160147420 A KR1020160147420 A KR 1020160147420A KR 20160147420 A KR20160147420 A KR 20160147420A KR 20180050870 A KR20180050870 A KR 2018005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bags
garbage ba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102B1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16014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73Flexible receptacles fixed on a frame or in an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측면부로 둘러쌓인 내부공간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수납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바닥부의 긴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쓰레기봉투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봉투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걸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봉투점착부, 봉투점착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는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GARBAGE CAN FOR HANGING RECYCLING BAGS AND ADJUSTING WIDTH OF EACH RECYCLING BAGS}
본 발명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1991년 생활쓰레기 분리수거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된 지 20년이 넘은 지금, 생활쓰레기를 분리하는 것은 전국민의 일상이 되었다. 그러나, 생활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생활쓰레기 분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3479호는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0734호는 쓰레기 분리수거대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생활쓰레기 분리수거의 불편함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특히나, 고정된 크기의 분리공간을 갖는 쓰레기통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였다. 세대 인구구성이나 생활패턴에 따라서 많이 발생하는 쓰레기가 있는가 하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쓰레기가 있기 마련인데, 고정된 크기의 분리공간을 갖는 쓰레기통으로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완성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는 하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안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적이 커졌음에도 오히려 내하중은 강화된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제안함에 있다. 즉 구조적 개선을 통해 내하중을 개선한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측면부로 둘러쌓인 내부공간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수납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바닥부의 긴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쓰레기봉투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봉투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걸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제1각도로 연장되는 봉투점착부, 봉투점착부로부터 제1각도 보다 더 큰 제2각도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는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봉투점착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고정하는 점착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테이프는 베이스기재, 상기 베이스기재 후면에 도포된 접착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기재 전면에 도포된 점착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레이어는 봉투점착부 상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점착레이어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쓰레기봉투가 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쓰레기봉투를 제거한 후 다른 쓰레기봉투를 재부착할 수 있도록 반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에 걸치는 방법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봉투는 말단이 몇 개의 돌기부 사이에 걸쳐지는가에 따라 거치되는 폭이 조절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봉투는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봉투점착부에 부착된 점착테이프에 반접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쓰레기봉투가 연이어 붙어있는 쓰레기봉투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거치할 수 있는 롤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국면은 연속 쓰레기봉투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쓰레기봉투를 포함하고, 이 단위 쓰레기봉투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으며, 어떤 단위 쓰레기봉투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쓰레기봉투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쓰레기봉투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연속 쓰레기봉투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쓰레기봉투를 포함하고, 이 단위 쓰레기봉투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으며, 어떤 단위 쓰레기봉투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쓰레기봉투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쓰레기봉투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연속 쓰레기봉투 카트리지에 관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쓰레기봉투를 포함하고, 이 단위 쓰레기봉투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의 연속 쓰레기봉투카트리지로서,
어떤 단위 쓰레기봉투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쓰레기봉투 사이에 절개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쓰레기봉투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으며, 쓰레기통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단위 쓰레기봉투가 쓰레기통에서 분리될 때 다음 쓰레기봉투가 개봉되어 쓰레기통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하나 이상의 쓰레기봉투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상호 대칭의 눕힌 M자 형태의 접힘부(M1, M2)가 있으며,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을 따라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로 180도 개킨 상태에서, 입구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밀봉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 쓰레기봉투를 포함하고, 이 단위 쓰레기봉투가 같은 규격으로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어떤 단위 쓰레기봉투의 상기 밀봉 라인과 다음 이어지는 단위 쓰레기봉투 사이에 절개 라인이 설치되며, 이 절개 라인이 절개됨으로써 단위 쓰레기봉투가 분리될 때 다음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 단부가 개봉되도록 포장되어 있는 쓰레기봉투 카트리지가 쓰레기통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에는 상기 쓰레기봉투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돌출부들로 구성된 돌출부 라인이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봉투 카트리지가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통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쓰레기통은, 상기 쓰레기봉투 카트리지는 단위 쓰레기봉투가 롤 팩으로 감겨 있거나, 상기 밀봉 라인의 위치가 180도씩 바뀌면서 개켜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상부 입구의 대향하는 양 사이드의 돌출부 라인 평면에는 상기 단위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고정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한 점착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쉽게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의 폭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빈 병이 많이 나오지 않고 종이가 많이 나오는 가정에서는 빈 병 수거용 쓰레기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좁혀서 부피를 작게하고, 종이 수거용 쓰레기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넓혀서 부피를 크게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바로 이와 같은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큰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쓰레기통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거치해놓은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측면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측면도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쓰레기봉투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쓰레기봉투가 포개지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쓰레기봉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100)은 몸통부(110) 및 봉투걸이부(200)를 포함한다.
몸통부(110)는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한다. 4개의 측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쓰레기통(100)은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복수의 측면부로 둘러쌓인 내부공간에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가 수납된다.
봉투걸이부(200)는 바닥부의 긴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봉투걸이부(200)는 쓰레기봉투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봉투걸이부(200)는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제1각도로 연장되는 봉투점착부, 봉투점착부로부터 제1각도 보다 더 큰 제2각도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돌기부는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는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쓰레기봉투는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봉투점착부에 부착된 점착테이프에 반접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쓰레기통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거치해놓은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에 걸치는 방법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131, 132, 133, 134)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131, 132, 133, 134)는 말단이 몇 개의 돌기부 사이에 걸쳐지는가에 따라서 거치되는 폭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쓰레기봉투(131)는 두 개의 돌기부에 걸쳐지고, 제2쓰레기봉투(132)는 세 개의 돌기부에 걸쳐지고, 제3쓰레기봉투(133)는 네 개의 돌기부에 걸쳐지고, 제4쓰레기봉투(134)는 네 개의 돌기부에 걸쳐질 수 있다. 이렇게 쓰레기봉투(131, 132, 133, 134)의 폭을 서로 다르게 조절해두면 각 가정의 세대구성 또는 생활습관에 따라서 많이 나오는 재활용쓰레기는 넓은 폭의 쓰레기봉투에 버리고, 적게 나오는 재활용쓰레기는 좁은 폭의 쓰레기봉투에 버릴 수 있다. 종래에는 균등한 부피를 갖는 쓰레기봉투에 쓰레기를 버리다보니 적게 나오는 쓰레기를 담는 봉투는 남고, 많이 나오는 쓰레기를 담는 봉투는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쓰레기봉투(131, 132, 133, 134)의 폭을 서로 다르게 조절해두면 이와 같은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100)은 바닥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쓰레기봉투가 연이어 붙어있는 쓰레기봉투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거치할 수 있는 롤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롤형태로 말려있는 쓰레기봉투롤에는 복수의 쓰레기봉투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쓰레기봉투가 가득 차면 쓰레기봉투를 뜯어내고, 새로운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에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100)은 바닥부의 짧은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투걸이부(2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쓰레기통걸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통걸이(330)에는 줄과 고리가 연결될 수 있다. 쓰레기통걸이(330)는 쓰레기통(100)을 베란다 등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측면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일 실시예에서 봉투걸이부(200)는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210), 수평부(210)로부터 지면을 향해 제1각도로 연장되는 봉투점착부(220), 봉투점착부(220)로부터 제1각도 보다 더 큰 제2각도로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230)를 포함한다. 봉투점착부(220)의 상면에는 점착테이프(1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를 두 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돌기부(230)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 입구의 폭을 고정하고 점착테이프(120)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가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봉투걸이부의 측면도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봉투점착부(220) 상면에는 점착테이프(120)의 두께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120)는 홈 내부에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점착테이프(120)는 복수의 레이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착테이프(120)는 베이스기재(121), 접착레이어(123), 점착레이어(125), 및 이형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기재(121)는 점착테이프(120)의 형태를 유지하는 부재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기재(121)는 PET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레이어(123)는 베이스기재(121) 후면에 도포된다. 접착레이어(123)는 쓰레기통 상단부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레이어(125)는 베이스기재(121) 전면에 도포된다. 점착레이어(125)는 쓰레기봉투가 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쓰레기봉투를 제거한 후 다른 쓰레기봉투를 재부착할 수 있도록 반접착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착레이어(125)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은 끈끈한 점착력을 제공하는데, 힘이 점착레이어(125)와 평행한 방향으로 인가되면 강한 점착력이 유지되어 쓰레기봉투가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힘을 점착레이어(125)와 수직한 방향으로 인가하면 매우 손쉽게 쓰레기봉투를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힘의 방향에 따라서 점착력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는 반접착력이라고 표현하도록 한다. 반접착력이 있는 점착레이어(125) 덕분에 사용자가 의도할 경우 언제든지 쓰레기봉투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점착레이어(125)는 이물질에 의해 더러워질 수 있으나, 이 경우 물 등으로 세척하면 다시 끈끈한 점착력을 원복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형지(127)는 접착레이어(123)의 외면 및/또는 점착레이어(125)의 외면에 부착된다. 접착레이어(123)를 쓰레기통 상단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형지(127)를 제거해야함은 자명하다. 점착레이어(125) 외면에 부착된 이형지(127)는 제품 출고 후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다.
[내하중 강화 쓰레기봉투]
본 발명의 쓰레기봉투롤은 그것만으로 독립된 제품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쓰레기통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롤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상하가 개방된 종이재 원통(40)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위 쓰레기봉투(10)가 연속으로 이어져서 감긴 형태이다. 그리고 스티커(50)로 최초 단위 쓰레기봉투(10)가 롤 팩(30)에 고정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롤 팩(30)은 두루마리 휴지(toilet paper roll)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봉투롤은 클리넥스(Kleenex) 티슈처럼 단위 쓰레기봉투(10)가 연속으로 개켜져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두 가지 실시예의 쓰레기봉투롤은 단위 쓰레기봉투(10)가 연속되는 쓰레기봉투로서 단위 쓰레기봉투(1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단위 쓰레기봉투(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를 보자. 도 11은 단위 쓰레기봉투(10)의 입구 라인(11) 부근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었다. 단위 쓰레기봉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는 접힘부(M1, M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힘부(M1, M2)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입구를 조금 벌려 놓고서 위에서 바라보는 평면이 대략 M자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접힘부(M1, M2)의 형태는 대칭적이다. 그러므로 우측의 접힘부(M2)가 M자 형태라면 좌측의 접힘부(M1)은 반전된 M자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M자 형태라 함은, 알파벳 M과의 정확히 일치를 뜻하는 것은 아니며, 쓰레기봉투 시트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측부에서 접혀 있다는 구성을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 차용한 것이다. 사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쓰레기봉투는 형상유지력이 없고 포개진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부재는 밀착되어 있다. 손으로 입구를 살짝 벌려놓고 관찰하여야만 M자 형태가 됨을, 당연하지만 첨언한다.
연속 쓰레기봉투의 규격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도 10과 같은 구성은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모든 쓰레기봉투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입구 라인에 특징점 8개를 표시하였다. 좌측의 접힘부(M1)의 입구 라인(11)에서는 5, 9, 8, 7, 5로 이어진다. 우측의 접힘부(M2)의 입구 라인(11)에서는 5, 1, 2, 3, 5로 이어진다. 특징점 2와 특징점 8 사이의 거리의 크기는 M자 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쓰레기 봉지의 용적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큰 용적을 원한다면 특징점 2와 특징점 8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0~10mm인 것이 좋다. 사이 거리가 0이어도 형태유지력이 없는 재료 특성 때문에 포개지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한편, 이들 특징점 중에서 특징점 5는 두 개의 특징점에 부여되어 있다. 그 까닭이 아래와 같다.
도 10의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을 기준으로 접어서, 부재의 우측 부분(10b)을 좌측 부분(10a)으로 180° 포개서 개킨다. 이렇게 되면 두 개의 특징점(5, 5)이 하나의 특징점(5)이 된다.
도 12는 입구 라인(11)을 확대해서 조금 더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단위 쓰레기봉투(10)의 완전히 접혀 있는 입구 라인(11)을 특징점 3에서 살짝 잡아서 벌린 상태를 나타낸다. 특징점(5(미도시), 9, 8, 7, 5로 이어지는 입구 라인 부분이 도 10의 부재의 좌측 부분(10a)에 해당한다. 그리고 특징점(5(미도시), 3, 2, 1)로 이어지는 입구 라인 부분이 도 10에서 나타난 부재의 우측 부분(10b)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단위 쓰레기봉투(10)를 쓰레기봉투 카트리지인 롤 팩(30)에서 분리해서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절개라인을 따라 단위 쓰레기봉투(10)를 롤 팩(30)에서 분리하게 된다. 밀봉라인(18)에 의해서 한쪽은 막혀 있고, 다른 한 쪽은 입구라인(11)으로 개방되어 있다. 쓰레기 봉지가 만들어진 것이다. 입구라인(11)은 이미 설명했다. 밀봉라인(18)의 내부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쓰레기봉투 안으로 투입되는 쓰레기에 대한 하중은 입구쪽 의 문제가 아니라 밀봉라인(18)이 있는 쓰레기봉투의 하부 구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자. 단위 쓰레기봉투(10)의 부재 양쪽에 M자 형태의 접힙부(M1, M2)를 형성한다. 도10 내지 도 12의 관점으로 말하자면, 특징점 8의 길이방향 라인과 특징점 2의 길이방향 라인이 생기도록 안쪽으로 접어 넣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접힘부가 만들어졌다. 이런 상태에서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중앙부분에서 180° 포개서 접는다. 그러면 2×2, 4개의 접힘부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런 접힘 상태는 쓰레기봉투 부재 전체에 적용된다. 그런 다음에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밀봉라인과 절개라인을 부여한다. 절개라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입구 구조에 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충분히 설명했다. 밀봉라인에 의해서 생기는 내부 구조는 어떻게 될까
도 13은 이에 대해서 답변한다. 4개의 접힘부가 있는 상태에서 부재에 밀봉라인을 설치했기 때문에, 단위 쓰레기봉투(10)의 하부에는 4개의 지지 파티션(14, 15, 16, 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사이사이에 4개의 계곡(o, p, q, r)이 형성된다. 이 지지 파티션의 높이는 밀봉라인의 길이를 뜻한다. 또한 그것은 상기 단위 쓰레기봉투(10)가 롤 팩에 감긴 상태, 즉 포개진 상태의 너비에 대응한다. 대략 110~120mm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파티션(14, 15, 16, 17)이 쓰레기봉투(10) 하부 중앙에 산처럼 솟아 있는 구조이다. 4개의 방향에서 밀봉라인이 수직 방향으로 솟아 있고, 이런 부분이 투입되는 쓰레기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밀봉라인이 4개의 내하중 부재를 만든 것이다. 더욱이 쓰레기봉투 하부 중앙에 형성된 4개의 지지 파티션(14, 15, 16, 17)으로 말미암아, 쓰레기봉투 아랫 쪽 중앙에 형태 유지력이 부여되었다. 소량의 가벼운 쓰레기를 버릴 때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직사각형 모양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측면부로 둘러쌓인 내부공간에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수납하는 몸통부; 및
    상기 바닥부의 긴 변에 접한 한 쌍의 측면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쓰레기봉투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봉투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걸이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봉투점착부, 봉투점착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봉투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는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끼울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점착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쓰레기봉투의 말단을 고정하는 점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재는 베이스기재, 상기 베이스기재 후면에 도포된 접착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기재 전면에 도포된 점착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레이어는 봉투점착부 상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점착레이어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쓰레기봉투가 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쓰레기봉투를 제거한 후 다른 쓰레기봉투를 재부착할 수 있도록 반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에 걸치는 방법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봉투는 말단이 몇 개의 돌기부 사이에 걸쳐지는가에 따라 거치되는 폭이 조절되는 것인,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봉투는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홈부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상기 봉투점착부에 부착된 점착부재에 반접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인,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쓰레기봉투가 연이어 붙어있는 쓰레기봉투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거치할 수 있는 롤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20160147420A 2016-11-07 2016-11-07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193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20A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6-11-07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20A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6-11-07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70A true KR20180050870A (ko) 2018-05-16
KR101935102B1 KR101935102B1 (ko) 2019-01-04

Family

ID=6245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420A KR101935102B1 (ko) 2016-11-07 2016-11-07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8341A (zh) * 2022-04-12 2022-08-05 李培培 一种肿瘤科用防止化疗药物外溅的医疗辅助装置
KR102443230B1 (ko) 2022-05-09 2022-09-14 이수경 친환경 기능성 공중 쓰레기통
KR102443149B1 (ko) 2022-03-02 2022-09-15 최영범 친환경 기능성 공중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21B1 (ko) 2019-02-18 2020-06-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재활용기
KR102086299B1 (ko) 2019-10-17 2020-03-06 이효심 높이와 폭, 상하부 공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최소구성의 초저가 쓰레기 수거장치
KR20240048396A (ko) 2022-10-06 2024-04-15 최규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32Y1 (ko) * 2003-09-06 2003-11-21 김영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710B2 (ja) 1992-10-20 2001-02-1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圧力センサ内蔵スパークプラグ
KR200176529Y1 (ko) 1999-10-27 2000-04-15 김영화 쓰레기봉투
KR200176528Y1 (ko) 1999-10-27 2000-04-15 김영화 쓰레기통
KR200192126Y1 (ko) * 2000-03-30 2000-08-16 주식회사크린업코리아 쓰레기통
KR200269868Y1 (ko) 2002-01-12 2002-03-23 김영화 비닐봉투
JP2004284816A (ja) 2003-03-24 2004-10-14 Yoshiaki Nakazawa ゴミ袋ハンガー
KR200351204Y1 (ko) 2004-03-08 2004-05-20 김갑순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JP5438235B1 (ja) 2013-05-16 2014-03-12 田辺 歩美 袋群
JP2015054761A (ja)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ケミカルジャパン 切り取り式袋テープ、袋ロールおよび袋ロールの使用方法
KR101784361B1 (ko) 2016-04-11 2017-10-11 김보경 쓰레기봉지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쓰레기봉지를 복수회 재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1784634B1 (ko) 2016-11-07 2017-10-12 장정학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32Y1 (ko) * 2003-09-06 2003-11-21 김영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149B1 (ko) 2022-03-02 2022-09-15 최영범 친환경 기능성 공중 쓰레기통
CN114848341A (zh) * 2022-04-12 2022-08-05 李培培 一种肿瘤科用防止化疗药物外溅的医疗辅助装置
KR102443230B1 (ko) 2022-05-09 2022-09-14 이수경 친환경 기능성 공중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102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102B1 (ko)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US8807378B2 (en) Trash can system with a folded bag dispensing supply
US7252194B2 (en) Trash container liner dispenser box including a reinforcing insert
US5730312A (en) Bag supply unit and waste receptacle
US5531325A (en)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packed in a sealed pouch
US20080019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sealable waste disposal bag
AU679175B2 (en)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packed in a sealed pouch
US6283405B1 (en) Dispenser for trash container liners
JP5309315B2 (ja) ポップアップ式のパックシート包装体
CA1245112A (en) Prepacked and disposable animal litter receptacles and containment therefor
US20180222672A1 (en) Waste container and waste liner system
US20170065134A1 (en) Multi-Liner Assembly for A Body Liquid Receptacle and A Body Liquid Receptacle Including Same
CA3004351C (en) Trash bag apparatus
KR101784634B1 (ko) 내하중이 강화된 플라스틱 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KR101784361B1 (ko) 쓰레기봉지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쓰레기봉지를 복수회 재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WO2006050748A1 (en) Transport- and storage package containing paper-rolls
US10329115B2 (en) Speedy bag—bag dispensing system
US10486890B2 (en) Low bulk, center-pull bag dispenser with end-forms
US10822144B2 (en) Versatile trash bag
CN103249342A (zh) 湿片分配器
CN103261050A (zh) 棉纸系统
JP2005153959A (ja) 衛生薄葉紙の包装袋
JP3247055B2 (ja) 分別収集用ゴミ容器
EP0588938B1 (en) Waste receptacle incorporating a bag supply unit
WO1998050276A1 (es) Conjunto dispensador de bols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